[include(틀:록 음악의 역사)] ||<-2> '''소프트 록의 대표곡들'''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VWO3nEuWo4k,height=2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12KbOAc8vmk,height=200)]}}} || || ''[[Something]]''[br][[비틀즈]] (1969) || ''[[Thank You(레드 제플린)|Thank You]]''[br][[레드 제플린]] (1969)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GmK5_lnQUbE,height=2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eAR_Ff5A8Rk,height=200)]}}} || || ''Sweet Caroline''[br][[닐 다이아몬드]] (1969) || ''[[You've Got a Friend]]''[br][[캐롤 킹]] (1971)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zHxobd1WLno,height=2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u2lfizz6OJs,height=200)]}}} || || ''[[Imagine(노래)|Imagine]]''[br][[존 레논]] (1971) || ''[[Goodbye Yellow Brick Road(노래)|Goodbye Yellow Brick Road]]''[br][[엘튼 존]] (1973)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QwVjTlTdIDQ,height=2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2bqm4gRY3mA,height=200)]}}} || || ''[[Piano Man(빌리 조엘 노래)|Piano Man]]''[br][[빌리 조엘]] (1973) || ''[[Love of My Life]]''[br][[퀸(밴드)|퀸]] (1975)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swJOIjjW69U,height=2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Pu5c4aEg3NM,height=200)]}}} || || ''[[Dreams]]''[br][[플리트우드 맥]] (1977) || ''[[Wonderful Tonight]]''[br][[에릭 클랩튼]] (1977) || }}}}}}}}} || ||<-2><#FFB6C1> '''{{{+1 소프트 록}}}[br]Soft rock''' || ||<|2> '''기원''' ||^^'''장르'''^^ [[팝 록]] || ||^^'''지역'''^^ [[파일:미국 국기.svg|width=28]] [[미국]] / [[파일:영국 국기.svg|width=28]] [[영국]] || || '''등장 시기''' ||[[1960년대|1960년대 후반]] || || '''사용 악기''' ||[[보컬]], [[일렉트릭 기타]], [[어쿠스틱 기타]], [[베이스 기타]], [[드럼]], [[신디사이저]] 등 || || '''파생 장르''' ||[[어덜트 컨템퍼러리]] || || '''관련 장르''' ||[[포크 록]], [[하드 록]], [[팝 음악]], [[R&B]] || || '''대표 음악가''' ||[[비틀즈]], [[레드 제플린]], [[캐롤 킹]], [[엘튼 존]], [[빌리 조엘]], [[플리트우드 맥]], [[비 지스]], [[에릭 클랩튼]], [[홀 앤 오츠]], [[닐 세다카]], [[닐 다이아몬드]], [[셀린 디옹]] || [목차][clearfix] == 개요 == [[록 음악]]의 장르. == 역사 == 첫 등장은 1960년대로 보고 있다. 당시 [[비틀즈]]를 대표로 여러 소프트 록 장르의 음악들이 등장했고, 비틀즈는 해체 후에도 많은 기여를 한다.[* [[폴 매카트니]] 등이 대표이다. ] 1970년이 되면서, 60년대를 풍미했던 [[사이키델릭 록]]의 전성 시대는 히피 문화의 쇠퇴와 동시에 끝나가고 있었고, 하드 록 음악이 그 자리를 빠르게 메워가고 있었지만, 동시에 [[닐 다이아몬드]]로 대표되는 소프트 록 음악 역시 세력을 넓혀가고 있었다. [[카펜터즈]]와 [[브레드(밴드)|브레드]]의 성공은 소프트 록 음악의 본격적인 전성기를 불러왔다. 1970년대 전체는 소프트 록이 최고 전성기를 누렸던 시대이다. 70년대 초-중반을 비롯하여, [[디스코]] 시대였던 70년대 중-후반에도 소프트 록은 디스코와 함께 미국 음악계의 큰 주춧돌이었다. 그러나 이후 1980년대가 되면서 [[뉴웨이브(음악)|뉴웨이브]]와 [[신스팝]]의 등장, [[Thriller]]를 필두로 하는 [[MTV]]의 시대 도래 등으로 인하여 소프트 록은 단독 장르로는 희미해진다.[* 정확히 말하자면, 소프트 록이 R&B에 편입되다시피했다. 소프트 록, 팝 록 아티스트의 아이콘 [[폴 매카트니]]가 1980년대 스티비 원더 및 마이클 잭슨과 같은 흑인 R&B 뮤지션과의 협업을 했던 것이 대표적이다.] == 음악적 특징 == 부드러운 멜로디, 얌전한 구성을 가진 미드 템포 팝 음악과 시끄럽지 않고 적당한 분위기의 록 음악, [[발라드]], [[어덜트 컨템퍼러리]] 등이 이에 해당한다. 주로 얌전하고 잔잔한 곡들로 분류된다. == 한국에서의 소프트 록 == 잔잔하고 아름다운 선율의 발라드 형식의 음악을 선호하는 한국에서는 록 장르 중 가장 인기있는 장르이며, 록 팬들뿐만 아니라 록에 문외한인 사람들도 많이 듣는 장르이다. 다만 록 음악은 전부 [[메탈(음악)|헤비 메탈]]이라는 편견이 존재하는 국내 특성상 소프트 록 장르가 [[록 음악]]인지 모르고 있는 경우가 대다수이며[* 보통 ‘올드 팝’이라고 뭉뚱그려서 불린다.], 이게 대체 왜 록 음악이냐는 의견도 많은 편. 국내에서는 세계적으로 유명한 록 아티스트들의 수많은 곡들 중 소프트 록 장르의 곡들만 알려진 경우도 매우 많다.[* [[비틀즈]]가 대표적인 예시인데, 비틀즈의 소프트 록 넘버들인 [[Yesterday]], [[Hey Jude]](후반부는 하드 록), [[Let It Be(노래)|Let It Be]] 등은 한국에서도 잘 알려져 있으나, [[Lucy in the Sky with Diamonds]]같은 [[사이키델릭 록]] 넘버나 [[Yer Blues]]같은 [[블루스 록]] 넘버, [[Love You To]]같은 [[라가 록]] 넘버들은 국내에서의 인지도가 거의 제로에 가깝다.] 이렇듯이 소프트 록, 팝 록을 주 장르로 삼고 있는 록 아티스트들은 한국에서의 인지도도 매우 높은 편인데, 대표적으로 [[폴 매카트니]][* 비틀즈 시절은 제외.], [[빌리 조엘]] 등이 있다. == 주요 소프트 록 음악가 == * '''[[비틀즈]]''' * '''[[폴 매카트니]]''' * '''[[링고 스타]]''' * [[레드 제플린]] * [[닐 세다카]] * '''[[캐롤 킹]]''' * '''[[닐 다이아몬드]]''' * [[에릭 클랩튼]] * '''[[플리트우드 맥]]''' * '''[[엘튼 존]]''' * '''[[셀린 디옹]]''' * '''[[카펜터즈]]''' * '''[[홀 앤 오츠]]''' * '''[[빌리 조엘]]''' * [[배리 매닐로]] * [[에어 서플라이]] *[[퀸(밴드)|퀸]] * '''[[글렌 캠벨]]''' * [[시카고(밴드)|시카고]][* [[데이비드 포스터]]와 작업한 80년대 한정. 원래는 [[재즈 록]].] == 같이 보기 == * [[팝 록]] * [[피아노 록]] * [[파워 팝]] * [[어덜트 컨템퍼러리]] [[분류:소프트 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