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사가미 철도의 노선)] ||<-2><)>{{{#!wiki style="margin: 0px -5px;" [[사가미 철도|[[파일:Sotetsu_Wlogo.svg|height=40&align=left]]]]}}}{{{#!wiki style="padding-top: 10px" [[사가미 철도|{{{#ffffff 사가미 철도}}}]]}}}|| ||<-2>{{{#!wiki style="margin: -10px -10px" ||<)>[[파일:Sotetsu-SO.svg|width=50]]||{{{#0071c1,#3eaeff '''{{{+1 [ruby(相鉄新横浜線, ruby=そうてつしんよこはません)]}}}'''[br]Sotetsu Shin-Yokohama Line[br]소테츠 신요코하마선}}}||}}}|| ||<-2>{{{#!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相鉄20001f.jpg|width=100%]]}}}|| ||<-2> [[소테츠 20000계 전동차]] || ||<-2> '''{{{#fff 노선 정보}}}''' || || '''분류''' ||간선|| || '''기점''' ||[[니시야역]]|| || '''종점''' ||[[신요코하마역]]|| || '''역 수''' ||3|| || '''노선기호''' ||{{{#0071c1,#3eaeff {{{+1 '''SO'''}}}}}}|| || '''개업일''' ||[[2019년]] [[11월 30일]]|| || '''소유자''' ||[[철도 건설 · 운수 시설 정비 지원기구|[[파일:JRTT_logo.svg|width=200]][br]{{{#007bc4,#00a374 철도 건설 · 운수 시설 정비 지원기구}}}]]|| || '''운영자''' ||[[사가미 철도|[[파일:사가미철도 로고.svg|width=200]]]]|| || '''사용차량''' ||[[소테츠 12000계 전동차]][* 하자와요코하마코쿠다이역에서 JR선으로 진입하며, 신요코하마역으로는 진입하지 않는다.][br][[소테츠 20000계 전동차]][br][[E233계 전동차#s-3.7|E233계 7000번대 전동차]][br][[도큐 3000계 전동차]][br][[도큐 5050계 전동차|도큐 5050계 4000번대 전동차]][br][[도큐 5080계 전동차]][br][[도큐 2020계 전동차#s-6.2|도큐 3020계 전동차]][br]--[[도쿄도 교통국 6500형 전동차]]--[*C 소테츠 대응 신호설비 장착이 늦어져 현재는 도큐/소테츠 경계역인 [[신요코하마역]]까지 운행하는 중으로, 신호설비 장착이 완료되면 소테츠선에 직통운행할 계획이다.][br]--[[도쿄메트로 9000계 전동차]]--[*C]|| || '''차량기지''' ||카시와다이 차량센터|| ||<-2> '''{{{#fff 노선 제원}}}''' || || '''노선연장''' ||6.3km|| || '''궤간''' ||1067mm|| || '''선로구성''' ||복선|| || '''사용전류''' ||직류 1500V 가공전차선|| || '''폐색방식''' ||자동폐색식|| || '''신호장비''' ||ATS-P|| || '''최고속도''' ||120km/h|| ||{{{#!wiki style="margin:-5px -10px" [youtube(6oQv3VyEgjk)]}}}|| || JR 사이쿄선, 소테츠 본선 직통 신주쿠-에비나 간 전면주행영상|| ||{{{#!wiki style="margin:-5px -10px" [youtube(wMQlaR8w7Do)]}}}|| || 하자와요코하마코쿠다이-신요코하마 간 전면주행영상 || ||{{{#!wiki style="margin:-5px -10px" [youtube(a4luyuBJVcQ)]}}}|| || 시부야-니시야 간 전면주행영상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Shinyokohama_Line_linemap.svg|width=100%]]}}}|| || {{{#fff 노선도}}} || [목차] [clearfix] == 개요 == [[철도 건설 · 운수 시설 정비 지원기구|JRTT]]가 건설·소유하고 [[사가미 철도]]가 운영하는, [[신요코하마역]]과 [[니시야역]]을 잇는 노선이다. 신요코하마역에서는 [[도큐 신요코하마선]]과 직통운전한다. 전 구간 지하로 건설되며 2023년 3월 18일 개통되었다. [[철도 건설 · 운수 시설 정비 지원기구|JRTT]]가 건설하고 소유하는 노선이므로 [[사가미 철도]]는 JRTT에 선로 사용료를 지불한다. 이 때문에 이 구간을 다니는 열차에는 [[특정구간운임#s-5|가산운임]]이 적용되어 있다. 다른 사철 노선들이 자사 이름을 앞에 붙이더라도 실제 정식 노선명은 자사 이름을 뺀 것이지만[* 예를 들면 [[도큐 도요코선]]의 실제 노선명은 '도요코선'이다.], 이 노선은 회사 이름인 '소테츠'도 정식 노선명에 포함된다. === 노선 데이터 === * 관할: 사가미 철도 (제1종 철도사업자) * 건설주체: 철도건설·운수시설 정비지원기구 * 구간: 니시야~하자와요코하마코쿠다이 2.1km * 궤간: 1067mm * 역 수: 2 * 복선구간: 전구간 * 전화구간: 전구간 (직류 1500V) * 폐색방식: 자동폐색식 * 신호장비: ATS-P * 최고속도: 120km/h * [[교통카드]] 호환지역: 전구간 == 상세 == === 개설 경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가나가와 동부방면선)]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신요코하마선)] [[사가미 철도]](소테츠)는 [[간토]] 지역 [[대형 사철]] 중 유일하게 [[도쿄도]] 지역에 진입하지 않았다. 이에 따라 사가미 철도 인근 지역에서 도쿄로 가려면 [[요코하마역]] 등에서 [[도카이도 본선]]이나 [[도큐 도요코선]], [[케이큐 본선]] 등으로 환승해야 했고, 이는 불편을 유발했다. 이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지역 정치권과 주민들은 인근 철도 인프라를 활용하여 도쿄로 직통하는 노선을 개설하기를 희망했고, 이에 다소 용량이 남는 [[도카이도 화물선]] 시설을 활용해 [[사가미 철도]] 인근 지역에서 도카이도 화물선을 거쳐 [[사이쿄선]]과 직통하는 [[소테츠·JR직통선]] 계획이 2000년에 제안되었다. 본래 소테츠는 자사 주요역인 [[요코하마역]]에 타격을 가할 이 노선의 개설에 그리 적극적이지 않았으나, [[저출산]] 및 [[고령화]]로 인해 인구 감소가 눈에 뻔히 보이는 상황에서 승객 수를 늘릴 새로운 수단을 찾아야 한다는 판단에 따라 2004년에 입장을 바꿔 소테츠·JR직통선 신설 계획에 동의하였다. 이에 도큐는 당황하였다. 소테츠 인근 지역에서 [[도큐 도요코선]]으로 갈아타 도쿄 신주쿠 및 시부야 등으로 가는 승객을 잃을 위기에 처했기 때문이다. [[가나가와현]]과 [[요코하마시]]에서도 소테츠-JR 직통만 실현되면 도쿄에 대한 [[빨대효과]]만 나타날 것을 우려하였다. 이에 도큐와 가나가와현, 요코하마시가 소테츠-JR 직통선 계획에 개입하여, 도카이도 화물선에 신설되는 역(현 [[하자와요코하마코쿠다이역]])에서 분기하여 [[신요코하마역]]을 지나 [[도큐 도요코선]] 및 [[도큐 메구로선]]에 접속하는 신규 지하노선을 건설할 것을 2005년에 발표하였다. 이를 통해 도큐는 소테츠 인근 지역에서 도쿄 도심부를 직접 잇게 되어 승객 감소를 피할 수 있고, 가나가와현과 요코하마시는 [[도카이도 신칸센]]이 정차하지만 대중교통 수단이 요코하마역에 비해 부실한 [[신요코하마역]]의 대중교통 수단을 더 확충해주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2010년에 노선이 착공되어 2018년 개통을 목표로 했으나, 공사가 지연되어 2023년에 들어서야 개통할 수 있었다. === 운행 계통 === JR선 직결 계통[* [[소테츠 본선]] - 소테츠 신요코하마선 - [[도카이도 화물선]] - [[힌카쿠선]] - [[오사키 지선]] - [[야마노테 화물선]]/(출퇴근시간) - [[아카바네선]] - [[도호쿠 본선|도호쿠 본선 지선]] - [[카와고에선]]([[사이쿄선]])]에는 [[E233계 전동차#s-3.7|E233계]]와 [[소테츠 12000계 전동차|12000계]]만[* 오미야~이케부쿠로역간 도호쿠지선, 아카바네선의 ATS-P의 부재로 인하여(ATACS'만' 설치되어있다), ATS-P만 탑재된 [[소테츠 10000계 전동차|10000계]], [[소테츠 11000계 전동차|11000계]]는 운행이 불가능하다. 다만 이론적으로 ATS-P를 사용하는 모든 직류노선에 입선할수있다.], 도큐선[* [[소테츠 본선]] - 소테츠 신요코하마선 - [[도큐 신요코하마선]] - [[도큐 도요코선]] - [[도쿄메트로 후쿠토신선]] - [[도부 토죠 본선]]([[도큐 도요코선]] 계통). 혹은 [[소테츠 본선]] - 소테츠 신요코하마선 - [[도큐 신요코하마선]] - [[도큐 메구로선]] - [[도에이 미타선]]/[[도쿄메트로 난보쿠선]] - [[사이타마 고속철도선]]([[도큐 메구로선]] 계통)] 직결 계통에는 [[소테츠 20000계 전동차|선두차에 비상문이 있는 전동차]][* JR이나 린카이선처럼 터널이 넓거나 대피로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를 제외하면, 지하철 입선 열차에는 비상문을 의무적으로 설치해야 한다.]만 입선할 수 있다. 소테츠 구간에는 소테츠와 도큐 차량만 입선할 예정이다. 소테츠, JR 계통 열차는 소테츠 본선 에비나역 ~ 신주쿠, 이케부쿠로까지 운행하며[* 소테츠선내 등급은 특급 또는 보통으로 운행된다.], 아침 통근 시간대의 일부 열차는 오미야, 카와고에 방면으로 직통한다. 이 계통이 생기면서 사이쿄선의 [[린카이선]] 직통 열차가 줄어들었다. 소테츠-도큐 계통 열차는 [[소테츠 본선]], [[소테츠 이즈미노선]]을 시작으로 소테츠-도큐 신요코하마선을 통해 [[도큐 도요코선]]으로 진입하고, 이후 [[히요시역]]에서 [[도큐 메구로선]]을 통해 최종적으로는 [[도영 지하철 미타선]], [[도쿄메트로 난보쿠선]]-[[사이타마 고속철도선]]과 직결한다. 또한 히요시역을 지나 [[시부야역]]에서 [[도쿄메트로 후쿠토신선]]으로 진입 후 [[와코시역]]에서 [[도부 토죠 본선]]과 이어져 최종적으로는 [[오가와마치역]]까지 이어진다. 단, 후쿠토신선과 도요코선을 공용하는 [[세이부 철도]]의 [[세이부 유라쿠초선]] 그리고 [[세이부 이케부쿠로선]]과 [[요코하마 고속철도 미나토미라이선]]과는 직결하지 않는다. 후자는 필요성이 없지만 세이부 철도의 경우 [[신요코하마역]]으로의 수요가 적을 것으로 예상해서 직통을 하지 않게 됐다고... 다만 환승개찰 없이 [[무사시코스기역]]이나 [[히요시역(가나가와)|히요시역]] 승강장을 벗어나지 않고 그자리에서 타면된다. 이례사항으로 도큐선과의 직결이 끊길 경우에는 [[소테츠·JR직통선]]과 마찬가지로 각자 경계역인 [[신요코하마역]]까지 반복운행 될 예정이다. 만약 도큐선 계통 차량이 소테츠 구간 내에서 연락이 끊겼을 경우 소테츠 구간만을 반복운전하며, 이 경우 [[도큐 메구로선]]을 통한 [[도쿄메트로 난보쿠선|지하철]] [[도영 지하철 미타선|직통]]이나 [[도큐 도요코선|도요코선]]을 통한 [[도부 토죠 본선|도부]]나 [[세이부 이케부쿠로선|세이부]] 방면으로는 사이쿄선을 타고 [[무사시코스기역|무사시코스기]]에서 환승할 수 있으며, 시부야나 신주쿠, 이케부쿠로가 목적지일 경우 [[사이쿄선]]을 타고 바로 갈 수 있다. 반대로 JR쪽으로의 불통이 생긴 경우에도 도요코선을 통해 시부야, 신주쿠, 이케부쿠로로 갈 수 있다. 다만, JR과 도큐 두 직통 계열이 '''모두 끊길 경우엔''' 소테츠를 타고 [[요코하마역|요코하마]]로 가서 [[도큐 메구로선|도큐]]나 [[쇼난신주쿠라인]]으로 갈아탈 수 밖에 없다. 미타선 방면으로는 [[케이큐 본선|케이큐]]에서 [[아사쿠사선]] 직통을 통해 [[미타역]]에서 갈아타는 것으로도 가능하다. 도요코선 직통 열차는 10량 편성의 차량들만 들어가기때문에 [[모토스미요시역|모토스미요시]], [[신마루코역|신마루코]], [[도리츠다이가쿠역|도리츠다이가쿠]], [[유텐지역|유텐지]], [[다이칸야마역]]에는 정차를 하지 않는다. 무사시코스기나 시부야, 이케부쿠로, 카와고에로 갈 땐 JR하고 도큐가 같이 운행하나 정차하는 노선의 승강장이 다르고 운임도 다르기때문에 어디 직통열차인지 다시한번 확인해야 한다. 행선안내에서도 색깔로 직통 노선을 구분하고 있으며, 하자와요코하마코쿠다이역에서 출발할 때 JR 방면은 발차멜로디가 울리고 도큐 방면은 평범한 발차벨이 울리는 것으로 구분할 수 있다. === 개통 효과 === 이 노선을 통해 소테츠는 도쿄 도심, 나아가 도쿄 도심 북~북서부와의 연계를 통해 도쿄 방면 수요 상당수를 끌어낼 수 있게 되었고, [[도큐 도요코선]]은 갈 수 있는 행선지가 늘어나 자신들의 경쟁력을 한 층 강화시킬 수 있게 되었다.[* 특히 도요코선, 메구로선은 신칸센 역과 연계가 안 되는 약점이 있었는데, 직결로 [[도카이도 신칸센]]의 [[신요코하마역]]을 커버하여 이 문제가 해결되었다.] 특히 기존에 [[히요시역]]에서 끊겨 있던 [[도큐 메구로선]]과 직통하게 되어 메구로선 자체의 가치도 상승 시킬 수 있다. == 역 목록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소테츠·JR직통선)] * 전구간 [[가나가와현]] [[요코하마시]]내 소재. ||<:>표기||<:>이름|| ||<:>{{{#f68b1e '''特'''}}}||<:>특급|| ||<:>{{{#f68b1e '''通特'''}}}||<:>통근특급|| ||<-2><:>통과하는 열차는 {{{#e0e0e0,#383b40 '''흐리게'''}}} 표기되어 있다.|| ||<-6><:>{{{#ffffff '''소테츠 신요코하마선'''}}}|| ||<:>{{{#ffffff km}}}||<:>{{{#ffffff 번호}}}||<:>{{{#ffffff 역명}}}||<:>{{{#ffffff 우등}}}||<:>{{{#ffffff 환승노선}}}||<:>{{{#ffffff 소재지}}}|| ||<:>↑||<-5>'''전 열차''' : [[파일:Sotetsu-SO.svg|width=17]] [[소테츠 본선|본선]] [[에비나역|에비나]]까지 직통, [[파일:Sotetsu-SO.svg|width=17]] [[소테츠 이즈미노선|이즈미노선]] [[쇼난다이역|쇼난다이]]까지 직통 ([[소테츠 본선]] 경유)|| ||<:>0.0||<:>SO08||<:>[[니시야역|니시야]][br]西谷||<:>{{{#f68b1e '''特'''}}} {{{#f68b1e '''通特'''}}}||¶[[사가미 철도]] [[파일:Sotetsu-SO.svg|width=17]][[소테츠 본선|본선]] '''(직통운행)'''||<:>[[호도가야구]]|| ||<:>2.1||<:>SO51||<:>[[하자와요코하마코쿠다이역|하자와요코하마코쿠다이]][br]羽沢横浜国大||<:>{{{#f68b1e '''特'''}}} {{{#f68b1e '''通特'''}}}||¶[[JR 동일본]] [[파일:JRE-JA.svg|width=17]][[사이쿄선]] '''(직통운행)'''||<:>[[가나가와구]]|| ||<:>↙||<-5>'''운행계통 분리''' : (각역정차로 종별변경후) [[JR 동일본]] [[파일:JRE-JA.svg|width=17]][[사이쿄선]] [[신주쿠역|신주쿠]]까지 직통[br](오전 출근 시간대에 [[오미야역(사이타마)|오미야]], [[카와고에역|카와고에]]까지 연장운행)|| ||<:>6.3||<:>SO52||<:>[[신요코하마역|신요코하마]][br]新横浜||<:>{{{#f68b1e '''特'''}}} {{{#f68b1e '''通特'''}}}||¶[[JR 도카이]] [[파일:JRC-SKS.svg|width=17]][[도카이도 신칸센]][br]¶[[요코하마 시영 지하철]] [[파일:YHSub-B.svg|width=17]][[요코하마 시영 지하철 블루라인|블루라인]](B25)[br]¶[[JR 동일본]] [[파일:JRE-JH.svg|width=17]][[요코하마선]](JH16)||<:>[[코호쿠구]]|| ||<:>↓||<-5>'''전 열차''' : [[도큐 전철]] [[파일:TK-TY.svg|width=17]][[도큐 도요코선|도요코선]] [[시부야역|시부야]], [[파일:TK-MG.svg|width=17]][[도큐 메구로선|메구로선]] [[메구로역|메구로]] 방향으로 직통 ([[파일:TK-SH.svg|width=17]][[도큐 신요코하마선]] 경유)|| 하행 방향으로 [[소테츠 본선]]과 직통 운행하고, 상행 방향으로 소테츠·JR 직결 열차가 [[하자와요코하마코쿠다이역]]에서 [[도카이도 화물선]]과 분기 후 [[사이쿄선]] [[신주쿠역|신주쿠]] 방향으로 직통 운행을 하고, 2023년 3월 개통 예정인 소테츠·도큐 직결 열차는 신요코하마선 전 구간을 거친 후 [[히요시역(가나가와)|히요시역]]에서 [[도큐 신요코하마선]]을 경유하여 [[도큐 도요코선|도요코선]] [[시부야역|시부야]]/[[와코시역|와코시]]/[[신린코엔역|신린코엔]]/[[오가와마치역|오가와마치]] 방면, [[도큐 메구로선|메구로선]] [[메구로역|메구로]]/[[니시타카시마다이라역|니시타카시마다이라]]/[[아카바네이와부치역|아카바네이와부치]]/[[하토가야역|하토가야]]/[[우라와미소노역|우라와미소노]] 방향으로 직통 운행을 한다.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신요코하마선, version=245, paragraph=3)] [[분류:일본의 철도 노선]][[분류:2019년 개업한 철도 노선]][[분류:사가미 철도]][[분류:소테츠 신요코하마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