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토론 합의, 합의사항=타 코너에 관련된 취소선 드립을 하지 않기, 토론번호=AnImminentAndSordidHydrant)] ||<-2> [[파일:201811180923561910_1_20181118092459890.jpg|width=350]] || || '''코너명''' || 소원 || || '''시작''' || [[2018년]] [[11월 18일]] || || '''종료 및 방영 중단''' || [[2019년]] [[1월 6일]] || || '''방영 여부''' || 방영 중단 || || '''출연자''' || [[양선일]], [[양상국]], [[김정훈(개그맨)|김정훈]] || || '''유행어''' || 5634번, 가자!(내레이션) [br] 마지막으로... ~해도 되겠습니까?/마지막인데...(양상국) || || '''오프닝 BGM''' || [[이영훈]] - Tears 순수의 시대 The Daydream || [목차] == 소개 == [[개그콘서트]]의 前 코너. [[사형수|죽음을 앞둔 죄수]]의 마지막 --별의별-- 소원들을 들어주면서 일어나는 에피소드를 담았으며, 동시에 32기 개그우먼 송이지의 데뷔작.[* 그러나 중간에 하차했다.] 처음에는 '''"5634번, 가자!"'''라는 내레이션으로 시작하고 마지막에는 양선일이 '''"시간 없다고!"'''라고 재촉하면서 코너가 끝난다[* [[12월 2일]] 방영분에서는 양상국이 일부러 엄청나게 긴 편지를 가져와서 읽으려고 했으며, 결국 참다 못한 교도관들이 끌고 가려 했으나, 그런 와중에도 양상국은 편지를 다 못 읽었는지, 아니면 마지막까지 시간을 끌려는 것이었는지 계속해서 안 가려고 징징거렸다.]. [[12월 23일]]에는 편집되었고 [[1월 6일]]에 종영되었으며, [[2019년]] 첫 번째 종영 코너임과 동시에 김정훈의 공백기가 돌아왔다가 [[4월 21일]]과 [[5월 12일]]에 [[비둘기 마술단]], [[전지적 구경 시점]], [[민상소송]]에 [[단역]]으로 출연했다. 또한, 1000회 특집이 다 끝난 뒤 6월에 [[알래 카메라]]와 [[답정너(개그 콘서트)|답정너]]로 다시 복귀했다. 이 중 [[답정너(개그 콘서트)|답정너]]는 2회성으로 방영했다. == 등장인물 == === 양상국 === 죽음을 앞둔 사형수. 엄청나게 까다로운 각종 요구사항으로 시간을 자꾸 끌면서 이런저런 소원을 들어달라고 한다. 특히 후반부에는 어머니의 목소리를 듣고 싶다고 하거나 어머니의 편지를 읽고 싶다고 한다. ~~옛날에 방영되었던 [[출소(개그 콘서트)|같은 교도소 코너]]의 8826번에 이어 번호의 의미가 무엇인지 궁금해진다. 전화번호일 수도... 그리고 [[그만했으면회|이 코너]]의 4885의 의미도 궁금하다.~~ === 양선일 === 교도관 1. 양상국이 이런저런 요구사항으로 시간을 끌 때마다 시간 없다고 재촉한다. === 김정훈 === 교도관 2. 양상국이 요구하는 물건들을 즉석에서 바로 제공해 준다. 하지만 양선일이 전체적인 것을 다 해서 [[공기(은어)|본인은 하는 것이 별로 없다]]. === ~~[[송이지]]~~ === 양상국의 어머니. 전화나 편지가 오며, 언젠가부터 미등장했다. [[분류:개그 콘서트 코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