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초나라의 15대 국군 == [include(틀:역대 초 군주)] |||||| '''{{{#ece5b6 초(楚)나라 15대 국군[br]{{{+1 소오}}}[br] 霄敖}}}''' || |||| '''[[성씨|{{{#ece5b6 성}}}]]''' ||미(羋) || |||| '''[[본관|{{{#ece5b6 씨}}}]]''' ||웅(熊) || |||| '''[[휘|{{{#ece5b6 휘}}}]]''' ||감(坎) || |||| '''{{{#ece5b6 아버지}}}''' ||[[약오]](若敖) 웅의(熊儀) || || '''{{{#ece5b6 생몰 기간}}}''' || 음력 ||기원전 ???년 ~ 기원전 758년 || || '''{{{#ece5b6 재위 기간}}}''' || 음력 ||기원전 763년 ~ 기원전 758년 || [clearfix] [[초(춘추전국시대)|초나라]]의 15대 [[군주]]. [[약오]]의 아들.[* 형제로는 [[초무왕]] 때 영윤인 [[투백비]] 등이 있다.] [[초여왕|분모]]와 [[초무왕]]의 아버지. 《청화간》(清華簡)의 내용 중에 초나라의 역사를 담은 문헌인 《계년》(繫年)에는 소오 웅록(宵敖 熊鹿)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소오 원년(기원전 763년), 아버지 약오가 죽고 아들 웅감이 뒤를 이으니 그가 소오이다. 소오 6년(기원전 758년), 소오가 사망하고 그의 장남 웅순이 뒤를 이으니 그가 분모이다. 그의 군호인 소오는 시호가 아니라 소(霄) 땅에 장사지냈기 때문에 붙은 이름이다. == [[신라]]의 관등 == [include(틀:골품제)] [[신라]] 17관등 중 16번째다. [[금석문]]에서 소오제지小烏帝智 소오제小烏第로 나타난다. 후대에 제(帝, 第)와 지(智)가 탈락해 소오만 남게 된다. [[삼국통일]] 이후 [[고구려]]의 [[귀족]]을 신라에 받아들이며 대응하는 신분 등급을 설정할 때 고구려의 [[조의]]를 이 등급 또는 한 단계 위인 [[대오]]로 취급해 적용했다. == [[신의 탑]]의 등장인물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소오(신의 탑))] == [[일본]]의 지명 == * [[가고시마현]] '''[[소오시]](曽於市)''' * 가고시마현 '''[[소오군]](曽於郡)''' [[분류:동음이의어]][[분류:초나라의 군주]][[분류:기원전 758년 사망]][[분류:신라의 관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