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양서)] ||<-2> {{{#ece5b6 '''{{{+1 소량의 종실[br]장사원왕(長沙元王)[br]{{{+1 蕭淵業 | 소연업}}}}}}'''}}} || || '''{{{#fff 작호}}}''' ||<(> 장사군왕(長沙郡王) || || '''{{{#fff 시호}}}''' ||<(> 원(元) || || '''{{{#fff 성}}}''' ||<(> 소(蕭) || || '''{{{#fff 이름}}}''' ||<(> 연업(淵業) || || '''{{{#fff 자}}}''' ||<(> 정광(靜廣) || || '''{{{#fff 친부}}}''' ||<(> [[소의]](蕭懿) || || '''{{{#fff 출생}}}''' ||<(> 479년 ~ 526년 || [목차] [clearfix] == 개요 == [[남북조시대]] [[양(남조)|양나라]]의 종실로 자는 정광(靜廣). [[양서(역사책)|양서]]와 [[북사]]에서는 [[고조(당)|당고조]] 이연을 피휘하여 소업으로 나온다. == 생애 == 소연업은 장사선무왕(長沙宣武王) [[소의]]의 아들로 479년에 태어났고, [[제(남조)|남제]]에서 저작랑(著作郎), 태자사인(太子舍人)을 역임하였다. 500년에 아버지인 소의가 살해되자, 아우인 소연조(蕭淵藻), [[소연상]]과 함께 도망쳐 숨었다가 소의의 아우인 소연이 거병하자 소연에게 의탁하여 영삭장군이 되었다. 502년에 보국장군, 남낭야청하2군 태수로 제수되었고 양나라가 건국된 뒤인 503년에는 아버지의 작위였던 장사군왕을 습봉하고 관군장군이 되었으며, 뒤에 비서감으로 제수된다. 505년 시중으로 임명되고 507년에는 산기상시, 태자우위솔로 전임되고 좌효기장군으로 옮겼으며 중호군을 역임하였다. 508년에 사지절(使持節), 도독남연연서청기5주제군사(都督南兗兗徐青冀五州諸軍事), 인위장군, 남연주 자사로 전출되었고 509년에는 호군장군으로 임명되었다. 510년에는 중서령으로 임명되고 안우장군으로 제수되었으며, 낭야군과 팽성군에 진수하고 남낭야군 태수를 겸하였다. 511년에는 안우장군, 산기상시가 되었고 515년에 다시 호군장군이 되고 낭야에 진수하다가 이윽고 중서령으로 다시 임명되고 경거장군, 상주 자사를 역임하였다. 522년에 다시 산기상시, 호군장군으로 제수되었고 523년에 시중, 금자광록대부가 되었다. 소연업은 이후 526년에 사망하여 원(元)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분류:양(남조)/인물]][[분류:479년 출생]][[분류:526년 사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