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KBS 수목 드라마(1996~2000))]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소설목민심서(드라마).jpg|width=100%]]}}} || * [[http://web.archive.org/web/20001109113600/http://www.kbs.co.kr/drama/mokmin/|공식 홈페이지 (웨이백머신)]] [목차] [clearfix] == 개요 == [[KBS 2TV]]에서 [[2000년]] [[5월 1일]]부터 [[2000년]] [[10월 12일]]까지 방영되었던 수목드라마로, 초기에는 [[한국방송공사|KBS]]가 봄 개편을 맞아 야심차게 준비한 '''[[일일 드라마|일일연속극]]'''으로 방송(월~금 저녁 9시 20분)되었으나,[* 1997년작 [[오늘은 남동풍]] 이후 3년만이었다.] 동시간대 SBS 일일 시트콤 [[순풍 산부인과]] 때문에 고전을 면치 못하자, 60편 가량 달린 2000년 [[7월 26일]]부터 수목 드라마(수, 목 저녁 9시 50분)로 전환되었다.[* 이것 때문인지 2TV 일일연속극은 2001년 [[여자는 왜]]? 방영 전까지 잠깐 공백기가 있었다. 그 자리에 일일시트콤 [[멋진 친구들]]이 편성됐지만 SBS의 [[순풍 산부인과]]와 [[웬만해선 그들을 막을 수 없다]]의 넘사벽 때문에 죽을 쒀야 했다.] 결국 80부작 가까이에서 마무리. 황인경 작가의 [[소설 목민심서|동명의 소설]]을 원작으로 삼고 있다. 총 82부작. 극본은 윤영수 & 이양희, 연출은 이제헌, 신재국, 이재혁 PD 3명, 조연출은 박창 PD, 음악은 전용태 등이 각각 맡았고, 의상 고증에 '유희경복식문화연구원'이 참여했다. == 특징 == [[한국방송공사|KBS]]에서 '''시작은 했으니 좀 잘 해보고 싶은데 [[시청률]]은 안 나오고 그렇다고 [[조기종영]]할 수도 없어서''' 어떻게 다루어야 할지 몰라 고민한 흔적이 많이 보인 드라마. 처음에는 한 [[소설가]]가 [[정약용]]에 대한 소설을 쓰기 위해 정약용의 일생을 추적하는 형식, 즉 현대와 조선시대가 번갈아 나오는 형식으로 가던 중에 반응이 시원치 않자 아예 [[사극]]으로 전환해버렸다. 그리고 상술했듯이 본래는 [[일일 드라마]]였으나 반응이 시원치 않자 [[수목 드라마]]로 옮겨 버렸다. 이로 인해 [[그대 나를 부를 때]] 이후로 한동안 명맥이 끊겼던 KBS 2TV 수목 드라마가 부활하였다.[* 이는 [[SBS]]가 1991년 개국 초기에 방송했던 [[유심초(드라마)|유심초]]와 비슷한 케이스다.] 내용도 좀 왔다갔다 하는데, 처음에는 [[정약용]]의 귀양살이로 시작했다가 고작 5화(1주일)만에 정약용이 [[정조(조선)|정조]]의 밑에서 일하던 시절로 되돌아가서 결국 정조가 승하하고 정약용의 고생길이 열리는 것으로 드라마를 끝마쳐버렸다. --[[수미상관]].-- 그래서 중간부터 보던 사람들은 '제목이 목민심서면 귀양살이 하는 내용을 보여주는 게 더 낫지 않느냐'는 소리를 하기도 했다. --귀양 시절은 1주일만에 다 끝났구요.-- 그 외에 33회 장용영 장면에서 현대식 빌딩이 보이는 옥에 티도 있다. 그래도 당시에 ~~야심차게 준비한 흔적으로~~ 사극에서 한가락 하던 [[배우]]들이란 배우들은 다 모아놨었다. 왕 전문 배우 [[이진우(배우)|이진우]]가 정약용과 정약용의 삶을 추적하는 [[소설가]]로 [[1인 2역]]을 연기했고, 사극에서 많은 활약을 한 배우 [[김성령]]이 정약용의 연인인 [[기녀]] 비안 역을, [[정조(조선)|정조]]는 [[김흥기]], [[채제공]]은 [[전무송]], [[심환지]]는 [[임혁]], [[이가환]]은 [[한인수]]가 각각 맡았고, 정약용의 형들 중 [[김규철(배우)|김규철]]이 [[정약전]]을, [[차광수]]가 [[정약종]] 아우구스티노를 각각 맡는 등. 그리 큰 배역은 아니지만 정약용에게 잘못 걸려 파직당한 후 끝까지 정약용을 괴롭히는 [[서용보]] 역으로 [[변희봉]]도 나온다. 기타 [[정순왕후(조선 영조)|정순왕후 김씨]]는 [[김영란(배우)|김영란]], [[목만중]]은 [[김인태(배우)|김인태]], [[홍낙안]]은 [[임병기]]가 분했다. 시청률은 생각보다 안 나왔지만, 의외로 정치권에서는 시청 후 반응이 좋았다고 한다. 당시 모 정치인이 KBS 제작진들을 격려했다는 신문기사가 나오기도 했다. 결론은 내용은 좋은데 후속작인 [[천둥소리]]와 마찬가지로 시대를 너무 앞서가서 망한 안타까운 작품이었다. 방영 당시 KBS 홈페이지에서 리얼 플레이어 기반으로 다시보기 서비스를 실시했으나, 세월이 흘러 홈페이지 개편으로 전부 지워졌다가 2022년 1월 12일부터 유튜브 채널 'KBS Drama Classic'을 통해 유료로 다시보기 서비스했으나 2023년 8월 31일부로 전부 내려갔다. == 등장인물 == * [[정약용]] / 소설가 - [[이진우(배우)|이진우]] * 비안 - [[김성령]] * [[정약전]] - [[김규철(배우)|김규철]] * [[정약종]] - [[차광수]] * 정재원 - 박영목 * 정약전의 부인 - 한진주 * [[이승훈 베드로|이승훈]] - 박상규 * [[이벽]] - [[김명수(배우)|김명수]] * [[정조(조선)|정조]] - [[김흥기]] * [[수빈 박씨]] - [[유서진]] * [[영조]] - [[김기현(성우)|김기현]][* 26회 출연.] * [[정순왕후(조선 영조)|정순왕후]] - [[김영란(배우)|김영란]] * 순조 - 윤정근 * [[채제공]] - [[전무송]] * [[이가환]] - [[한인수]] * [[심환지]] - [[임혁]] * [[서용보]] - [[변희봉]] * 서유대 - [[김주영(1952)|김주영]] * 이기경 - [[최종환(배우)|최종환]] * 홍낙안 - [[김병기(배우)|김병기]] * 목만중 - [[김인태(배우)|김인태]] * 김홍수 - 안대용 * 허진구 - [[신충식]] * 오용구 - [[김상순(배우)|김상순]] * 최인길 - [[이계영]] * 오장태 - 이기철 * 성균관 유생들 - 양재원, 김옥만 * 정약용의 과거시험 답안지를 훔치려는 병졸 - 최상길 * 홍낙안의 책사 - 이두섭 * 이승훈과 이벽을 체포하러 온 금부도사 - [[김영인(1940)|김영인]] * 주문모 - [[이영후]] * 천만호 - [[강인덕]] * 천만호의 부인 - 조양자 * 신국치 - [[송금식]] * 이안묵 - [[나성균]] * 강진현 수령 - [[맹봉학]] * 강진현 아전 - [[함석훈]] * 이 아무개 - [[박칠용]] * 진사 - [[신충식]] * 이계심 - [[이원종(1966)|이원종]] * 이계심의 어머니 - [[김지영(1938)|김지영]] * 곡산 관아 수령들 - [[황범식]], [[박윤배]] * 경기도 아전 - [[홍순창]] * 돌석 - [[손호균]] * 기출 - 진운성 * 선공감 관리 - [[오성열]] * 장 서방 - [[박종설]] * 화성 공사 인부들 - 한정국, [[서영진]] * 사대부 - 안형식 * 주모 - [[전원주]] * 백성 - 황덕재 * 병졸 - 신원균 * 어의 - [[오승명]] * [[김하림(1940)|김하림]] * 주막집 주인 - [[이춘식(배우)|이춘식]] * [[남영진]] * [[김애경]] * [[권은아]] * 윤용덕 * 이종래 * 윤서정 * [[문미봉]] * 허맹호 * 이환지 * 윤서유 - 박용진 * 장미 * [[이종남(배우)|이종남]] * 서문경 * 신신범 * 장희진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목민심서, version=28)] [[분류:KBS 수목 드라마]][[분류:2000년 드라마]][[분류:2000년 종영]][[분류:소설 원작 드라마]][[분류:조선/창작물]][[분류:한국 사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