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국회 상임위 위원장)] || {{{#ffffff '''현직 및 역임한 직위'''}}}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5> [[대한민국 국회|[[파일:국회휘장.svg|width=30px]]]] {{{#cfa547 '''[[대한민국|{{{#cfa547 대한민국}}}]] [[대한민국 국회의원|{{{#cfa547 국회의원}}}]] ([[경기도|{{{#cfa547 경기}}}]] [[광주시 갑|{{{#cfa547 광주시 갑}}}]])'''}}} || || ''선거구 분리''[br][[노철래]][* [[광주시]] 선거구의 [[제19대 국회의원]]이다.] || → || '''제20-21대[br]소병훈''' || → || ''현직'' || ---- [include(틀:역대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장)]}}}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4EA2 0%, #004EA2 20%, #004EA2 80%, #004EA2)" '''{{{#ffffff 대한민국 제20·21대 국회의원}}}[br]{{{#ffffff {{{+1 소병훈}}}[br]蘇秉勳 | So Byeonghun}}}'''}}}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소병훈.jpg|width=100%]]}}} || ||<|2> {{{#ffffff '''출생'''}}} ||[[1954년]] [[6월 3일]] ([age(1954-06-03)]세) || ||[[전라북도]] [[군산시]] 임피면 읍내리 || || {{{#ffffff '''거주지'''}}} ||[[경기도]] [[광주시]] 탄벌동 경남아너스빌2단지 || || {{{#ffffff '''본관'''}}} ||[[소(성씨)#s-1.1|진주 소씨]] || || {{{#ffffff '''현직'''}}} ||[[제21대 국회의원]][br]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위원장[br][[더불어민주당]] 제2사무부총장[br][[더불어민주당]] [[광주시 갑]] 지역위원장 || || {{{#ffffff '''서명'''}}}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background: #FFF; border-radius: 4px" [[파일:소병훈 서명.svg|width=120]]}}} || || {{{#ffffff '''SNS'''}}} ||[[http://blog.naver.com/sotongsa|[[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width=20]]]] | [[https://youtube.com/channel/UC9BK2KCPSPFUqCKrCX7EYHg|[[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sotongsa, 크기=20)] | [[https://www.facebook.com/sotongsa1|[[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0]]]]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ffffff '''가족'''}}} ||[[배우자]], 슬하 1 남 2 녀[* 장녀 [[https://people.joins.com/search/profile.aspx?pn=392297|소제인 씨는 변호사 (1982년생)]]인데 시사 평론가 [[김용민(1974)|김용민]], [[황현희]], 신유진 변호사와 함께 하는 유튜브 방송 '피하지방법원'에 출연했다.] || || {{{#ffffff '''학력'''}}} ||군산동국민학교 {{{-2 ([[졸업]])}}}[br][[전주북중학교]] {{{-2 (졸업)}}}[br][[전주고등학교]] {{{-2 (졸업)}}}[br][[성균관대학교/학부/문과대학|성균관대학교 문과대학]] {{{-2 ([[철학]] / [[학사]])}}} || || {{{#ffffff '''병역'''}}} ||[[대한민국 육군]] [[일병]] [[소집해제]] || || {{{#ffffff '''종교'''}}} ||[[개신교]]{{{-2 ([[성결교회]])}}} [* 광주성결교회 집사이다.[[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923500569&code=23111111&cp=nv|출처.]]] || || {{{#ffffff '''신체'''}}} ||182cm, 90kg, [[A형]] || || {{{#ffffff '''소속 정당'''}}}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 {{{#ffffff '''지역구'''}}} ||[[경기도|경기]] [[광주시 갑]] || || {{{#ffffff '''의원 선수'''}}} ||'''2''' || || {{{#ffffff '''의원 대수'''}}} ||'''[[제20대 국회의원|20]], [[제21대 국회의원|21]]''' || || {{{#ffffff '''소속 위원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위원장)''' || || {{{#ffffff '''경력'''}}} ||도서출판 이삭, 산하 대표[br]남 북 민간 교류 협의회 사무총장[br]대한출판문화협회 이사[br]새천년민주당 창당준비위원[br]산하미디어 대표이사[br]한강소사이어티 이사장[br][[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자문 위원[br][[군산대학교]] 겸임교수[br]제5회 지방 선거 [[민주당(2008년)|민주당]] 경기도당 공천재심위원회 부위원장[br]민주당 정책위원회 부의장[br]민주당 출판문화진흥특별위원회 위원장[br]제6회 지방 선거 [[새정치민주연합]] 경기도당 비례 대표 공천심사위원회 부위원장[br]새정치민주연합 경기도당 광주시 지역위원회 위원장[br]새정치민주연합, 더불어민주당 경기도당 부위원장[br]새정치민주연합, 더불어민주당 정책위원회 부의장[br]더불어민주당 문화예술특별위원회 위원장[br]더불어민주당 정책위원회 부의장[br]더불어민주당 교육연수원 부원장[br]더불어민주당 제2사무부총장[br][[제21대 국회]] 후반기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위원장 ||}}}}}}}}}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출판인 출신 [[정치인]]이다. == 생애 == [[1954년]] [[6월 3일]], [[전라북도]] [[군산시]]에서 태어났다. 군산동초등학교, 전주북중학교, [[전주고등학교]], [[성균관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였다. 성균관대학교 졸업 후 1982년부터 도서출판 이삭, 도서출판 [[산하]] 대표이사를 역임하였다. === 정치 활동 === 2000년 [[새천년민주당]] 창당준비위원을 역임하면서 정치에 입문하였다. 이후 [[열린우리당]] 국정자문위원회 위원, [[제17대 대통령 선거]] [[대통합민주신당]] [[정동영]] 후보 문화체육특별보좌관 등을 역임하였다. 2008년 [[제18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당(2008년)|민주당]] 후보로 [[경기도|경기]] [[광주시(선거구)|광주]]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한나라당]] [[정진섭(정치인)|정진섭]]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2011년 민주당 정책위원회 부의장에 임명되었다. 2012년 [[제1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통합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였다. [[출구조사]]에서는 노철래를 1.8% 앞선 것으로 나왔으나 실제 결과는 새누리당 [[노철래]]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자세히 보자면 상대적으로 젊은 층 인구가 많은 시내 동 지역 (경안, 광남, 송정)하고 오포에 앞섰으나 나머지 농촌 지역 (곤지암, 퇴촌, 남종 등)에서 노철래 후보의 몰표가 쏟아 졌고, [[정통민주당]] [[최석민(정치인)|최석민]] 후보가 4%나 득표한 것이 치명타였다. [[2015년]] [[새정치민주연합]] 경기도당 부위원장을 역임하였다. 새정치민주연합이 더불어민주당으로 개명하고 나서도 경기도당 부위원장을 역임하였다. [[2016년]]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더불어민주당]] 후보로 경기도 광주시 갑 선거구에 출마하여 [[새누리당]] 정진섭 후보에 설욕하였다.[* 저번 19대 총선에서 승리했던 시내 동 지역에서 이번 20대 총선에서 더 많은 표를 받았다.] 이로써 경기 광주에서는 1988년 [[제1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통일민주당]] [[유기준(1924)|유기준]] 후보가 당선된 지 28년 만에 [[민주당계 정당]] 국회 의원이 배출되었다. [[2018년]]에는 [[이해찬]] 대표 체제 이후에 [[더불어민주당]] 제 2 사무부 총장으로 임명되었다. 그 후, [[문화체육관광위원회]]에서 [[행정안전위원회]]로 옮겼다. [[2020년]]에도 [[광주시 갑|광주 갑]] 지역에 다시 공천되었고, 당선되며 재선에 성공했다. 이후 전당 대회에 최고위원으로 출마했으나, 한 자릿수 득표에 그치며 최고위원 후보들 중 최하위로 마무리했다. ==== [[기본소득]] 재원 마련을 위한 증세 추진 ==== [[이재명]]처럼 기본 소득에 호의적인 입장인 정치인 중 한 명이다. 막대한 재원이 소요되기에 로봇 세, 데이터 세, 국토 보유 세 등을 신설할 것을 주장하기 시작했다. [[https://www.chosun.com/politics/assembly/2021/02/25/ASIE5A4VLZCNTJ4GSGQTUXZ66Y/|#]] [[http://news.tvchosun.com/site/data/html_dir/2021/02/27/2021022790031.html|#]] == 비판 및 논란 == === 음주 운전 측정 거부 === 2009년 음주 측정 거부로 벌금 300만원을 낸 적이 있다. [[http://monthly.chosun.com/client/Mdaily/daily_view.asp?Idx=5387&Newsnumb=2018115387|#]] === 비서의 실수로 구설수 === [[파일:소병훈 논란.png]] 더불어민주당 소병훈 의원실의 7급 비서가 2019년 2월 1일 오전 국회로 차를 몰고 돌진해 분신을 시도한 60대 남성의 사진을 자신의 [[인스타그램]] 계정에 올린 뒤 [[통구이드립|통구이 됐어 ㅋ ㅋ, 통구이 됐음]]이라고 쓴 사실이 알려져 논란이 되었다. 분신을 시도한 60대 남성은 차에 불을 지르기 직전 전단지 수 10 여 장을 뿌렸는데, 전단지에는 "적폐국회 바로 세워서 대한민국이 새롭게 태어 나야 한다", "국회 의원 특권 폐지하라!", "특수활동비, 입법활동비 수많은 특혜를 폐지하라"는 내용이 담겨 있다. 해당 표현에 대해 법조계 관계자는 "60대 남성에 대한 [[모욕죄|모욕 죄]] 소지도 있어 보인다"고 비판했다. [[http://news.donga.com/3/all/20190214/94115022/1|동아일보]] 분신한 사람은 [[3도 화상]]을 입어, 영등포 한강성심병원으로 후송되어 치료를 받고 있는 상태였다. 3도 화상은 피부층은 물론 피하 조직까지 죄다 손상되어 자연 치유가 불가능한 정도로 분류된다. [[http://www.segye.com/newsView/20190215000569|세계일보]] 특히 [[자유한국당]] 일부 국회 의원들이 [[5.18 민주화운동]] 망언으로 비판이 쇄도하는 상황에서 터진 상황이여서 비판 여론이 거세지고 있다. 결국 이 같은 사실이 알려 지고 논란이 확산되자 이씨는 이 발언에 대해 “‘통구이’ 발언은 지인이 쓴 댓글에 다시 댓글을 달면서 쓴 표현”이라며 “처음에 그 분이 극 우 세력이라고 생각해서 비 꼬듯 글을 올렸지만 성급하고 잘 못된 생각이었던 것 같다 반성하고 있다"라고 해명을 했다.[* 이 해명 역시 논란의 소지가 있다. 국회에 분신을 시도한 남성을 극 우 세력이라고 단정 짓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고, 극 우 세력이니까 비꼬듯이 썼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해당 게시물을 삭제하고 인스타그램 계정을 비공개로 전환하였으며, 책임을 통감한다면서 소병훈 의원실에 사의를 표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논란이 거세 지자 결국 소병훈은 이에 대해 "분명히 잘 못된 행동이었다. 제 비서가 당사자하고 국민들에게 마음의 상처를 드린 점에 대해 사죄 드린다"라고 사과 글을 올렸다. [[http://cm.asiae.co.kr/view.htm?no=2019021518480279912#Redyho|#]] ===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위원장으로 맹활약 === === 다주택 부동산 투기는 범죄, 형사 처벌 주장 === 2020년 7월 29일 국토 교통위에서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5/0004389489?sid=100|다주택자는 도둑들]]이라며 법을 개정해서 형사범으로 다뤄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는 사유 재산의 침해를 정당화하는 발언이며, 반 자본 주의적인 성향을 띈다. 그러나 정작 소병훈 의원은 주택만 1채일 뿐 여러 종류의 부동산과 재산을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국회에 1 주택, 1 상가, 다수의 토지를 재산 신고했다. 경기 광주 아파트와 전북 군산의 상가 (근린 생활 시설), 강원 인제의 임야 등을 포함해 2903750000원의 재산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 났다. 논란이 되자 소병훈은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01&aid=0011782285|시세 차익을 얻는 것이 범죄로 여겨져 형사 처벌이 필요하다는 해명]]을 하였으나 시세 차익을 얻는 것을 범죄로 규정하는 것도 명백한 사유 재산 침해이며 반 자본 주의적인 발상이다. 또한 소병훈은 범죄자라고는 발언하지 않았다고 주장하지만 회의록에는 범죄자라고 되어 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23/0003550777|회의록 다 있는데도 소병훈 다주택자 범죄자라 안했다]] [[https://www.youtube.com/watch?v=gQUmeKdYYFo|범죄자, 도둑들 발언 영상이 그대로 공개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안했단다]] === 왜 전세 제도로 인한 서민 고통 대변 === 소병훈은 임대 차 보호 법 개정을 옹호하면서 "(전세 제도는) 대한민국에만 있어야 하고 몇 몇 나라에만 있어야 하고 왜 그 문제로 서민들이 고통을 받아야 하는지 의문입니다" 라고 발전했다. 전세 제도등 임대차 제도 전반에 대한 주택정책의 제도 개선을 주장했다. 전세 대출 이자와 월세 부담이 비슷하다면 전세의 월세 전환이 큰 문제는 아니라는 주장했다. 서민들의 주택정책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대변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448/0000303820?cds=news_edit|#]] === 국민에게 부동산 관련 쓸 데 없는 이야기는 입 닥치라 당신은 머슴이다 발언 === [[파일:sobh_shutup.png]] [[https://twitter.com/sotongsa/status/1385217565400604675?s=20|#]] [[2021년]] 4월 22일, 부동산이 자리 잡혀 가고 있다며 [[폭언|더 이상의 쓸 데 없는 이야기는 닥치라]]는 망언을 트위터 및 페이스북에 올리며 크게 논란이 되었다.[[https://www.yna.co.kr/view/AKR20210422179000001|#]] 또한 이후 "X맨들은 정리했습니다."라는 댓글을 올리며[* [[파일:sobh_xman.png]]] 스스로 비판 댓글을 지웠음을 사실상 시인해 더 큰 논란을 일으켰다. [[파일:EzltYtYVUAcndgT.png]] 게다가 그 이후 2시간 반도 지나지 않아 정신을 못 차렸는지 '''"당신은 머슴입니다"'''라는 이해할 수 없는 내용의 상식 밖의 언행을 올리며 논란을 키웠다. 23일 오전 10시 20분경 [[개소리|이 나라의 주인은 국민입니다. 국록을 받는 선출직이나 공직자들은 주인에게 일을 위임 받은 머슴입니다]]라고 올리며 새벽의 언행을 포장하려는 듯 하나 "당신은 머슴이다. 아직은 주인이 아니다. 이제부터 시작이다"라는 말로 봐서 머슴으로 지칭한 공직자 및 선출직 의원들이 주인으로 지칭한 국민을 제끼고 주인이 되겠다라는 맥락의 얘기가 돼서 변명 거리 만드는데 급급하다가 더 큰 논란을 일으켰다. 아직은 이라는 소리와 이제부터 시작이라는 소리는 어떻게 해석해도 헌법상 대한민국의 주권자인 국민을 배제하고 귀족정치 독재정치를 지향하겠다라는 의미가 되기 때문이다. === 親 중국공산당 발언 논란 ===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23&aid=0003615634|중국 들러 한미회담 설명하라 소 의원 글에 속국이냐 뭇매]] 문재인 대통령의 2021년 방미 및 조 바이든 대통령과의 회담 내용을 뜬금 없이 ‘중국’에 귀국 길에 보고 (?)를 해야한다는 글을 올렸다. 이에 네티즌들로부터 "왜 중국에 보고하러 가야 하나, 한국이 속국인가", "[[시진핑]]한테 보고하는 것인가", “뭘 설명하냐”, “중국 스파이냐” 라는 강한 비판을 받고 해당 글을 삭제하였다. 이어 소병훈 의원은 [[연합뉴스]]와 통화에서 "문 대통령의 방미 성과가 깎일 수 있다는 지적을 받아서 글을 내렸다"고 말했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01&aid=0012410490|#]] [[국민의힘]]은 “여당 의원이 공개적으로 ‘치욕 외교’를 권유하고 나섰다”고 비판했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22&aid=0003583622|#]] == 선거 이력 == ##당 내부 선거가 아닌 대한민국 선출직 공직자 선거 결과만 기록한다. || '''연도''' || '''선거 종류''' || '''선거구''' || '''소속 정당''' || '''득표수 (득표율)''' || '''당선 여부''' || '''비고''' || || 2008 || [[제18대 국회의원 선거|제 18대 국회 의원 선거]] ||<|2> 경기 [[광주시|광주]] || [include(틀:통합민주당(2008년))] || 18,672 (27.26%) ||<|2> 낙선 (2위) || || || 2012 ||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 [include(틀:민주통합당)] || 46,133 (45.66%) || || || 2016 ||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2> 경기 [[광주시 갑|광주 갑]] ||<|2>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31,769 (51.52%)''' ||<|2> '''당선 (1위)''' || '''초선''' || || 2020 ||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 '''53,221 (56.15%)''' || '''재선''' || || {{{#fff '''역대 선거 벽보'''}}} || ||<^|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소병훈1.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소병훈2.jpg|width=100%]]}}} || || [[제18대 국회의원 선거|{{{#000000,#fff 18대 총선}}}]] ({{{#000000,#fff 경기 광주시}}}) || [[제19대 국회의원 선거|{{{#000000,#fff 19대 총선}}}]] ([[광주시|{{{#000000,#fff 경기 광주시}}}]])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소병훈3.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소병훈4.jpg|width=100%]]}}} || || [[제20대 국회의원 선거|{{{#000000,#fff 20대 총선}}}]] ([[광주시 갑|{{{#000000,#fff 경기 광주시 갑}}}]]) || [[제21대 국회의원 선거|{{{#000000,#fff 21대 총선}}}]] ([[광주시 갑|{{{#000000,#fff 경기 광주시 갑}}}]]) ||}}}}}}}}} || == 소속 정당 == ||
'''{{{#fff 소속}}}''' || '''{{{#fff 기간}}}''' || '''{{{#fff 비고}}}''' || || [include(틀:새천년민주당)] || 2000 - 2003 || 정계 입문 || || [include(틀:무소속)] || 2003 || 탈당[* [[열린우리당]] 창당을 위한 탈당.] || || [include(틀:열린우리당)] || 2003 - 2007 || 창당 || || [include(틀:대통합민주신당)] || 2007 - 2008 || 합당[* [[열린우리당]]과 신설 합당.] || || [include(틀:통합민주당(2008년))] || 2008 || 합당[* [[민주당(2007년)|민주당]]과 신설 합당.] || || [include(틀:민주당(2008년))] || 2008 - 2011 || 당명 변경 || || [include(틀:민주통합당)] || 2011 - 2013 || 합당[* [[시민통합당]]과 신설 합당.] || || [include(틀:민주당(2013년))] || 2013 - 2014 || 당명 변경 || || [include(틀:새정치민주연합)] || 2014 - 2015 || 합당[* [[새정치민주연합]]에 흡수 합당.]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2015 - 현재 || 당명 변경 || == 둘러보기 == [include(틀:제20대 국회의원/경기도)] [include(틀:제21대 국회의원/경기도)] [include(틀:제20대 국회의원/더불어민주당)] [include(틀:제21대 국회의원/더불어민주당)] [[분류:군산시 출신 인물]][[분류:진주 소씨]][[분류:1954년 출생]][[분류:대한민국의 성결교회 신자]][[분류:대한민국의 남성 정치인]][[분류:제20대 국회의원]][[분류:제21대 국회의원]][[분류: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분류:전주고등학교 출신]][[분류:성균관대학교 출신]][[분류:더불어민주당 소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