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세계의 군대)] || [[파일:Somaliland_Armed_Forces_Emblem.png|width=200]] || ||
[[파일:external/hiiraan.com/Somaliland2013_2.jpg|width=100%]] || [목차] == 개요 == ||
[[파일:소말릴란드군 요인.jpg|width=100%]] || || [[2022년]] 1월 기준 소말릴란드군 요인. || ||[[파일:소말릴란드군 의장대.jpg|width=100%]] || || [[에티오피아]] 방문 후 귀국한 [[무세 비히 압디]] 대통령을 맞이하기 위해 도열한 소말릴란드군 [[의장대]]. || [[소말릴란드]]군(Republic of Somaliland Armed Forces, Ciidanka Qaranka)은 [[육군]]과 [[해군]]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공군은 없다. 특이하게 [[군사 계급|계급체계]]가 없었는데 2012년부터 [[소말릴란드]] 국방부 산하의 명령체계를 구체화함으로서 계급체계가 들어섰다. 군인 중 최고 계급은 [[중장]](Sareeye Guud)이며 사령관은 [[문민통제|민간인]]인 [[국방부장관]]이다. 현재 장관은 2017년부터 2019년까지 법무부장관을 지낸 Abdiqani Mohamoud Aateye(임기 2019. 3. 31.~)이다. 군력은 2022년 기준 10만여 명의 현역[* 교도대, 경찰대, 소방대 등이 예비 군력으로 편성되어 있다. 실제 전투원 수는 2019년 기준 2만 9천여 명 수준으로 추산된다.]과 4천여 명의 예비역으로 구성되며, [[영국]] 및 [[유럽연합|EU]] 등지로부터 원조와 훈련을 받고 있다. [[https://ctc.usma.edu/somaliland-combats-al-shabaab/|#]] 예산은 1억 5천만 [[미국 달러|달러]] 정도로 [[소말릴란드]] 연간 예산의 30% 가량을 차지한다. [[https://www.realcleardefense.com/articles/2019/03/07/somaliland__key_to_winning_americas_longest_war_114238.html|#]] == 육군 == ||
[[파일:external/www.somalilandpress.com/army2.jpg|width=100%]] || [[파일:external/www.somalilandpress.com/somland3.jpg|width=95%]] || 병력은 [[2018년]] 기준 약 6만여 명으로 소말릴란드군의 약 60%를 차지하는 주력군이다. 현재 참모총장은 Nuh Ismail Tani [[소장(계급)|소장]]이다. 그는 특이하게도 2003년부터 2011년까지 재직한 후 2016년 다시 참모총장에 임명되며 총 3명의 대통령 하에서 참모총장을 맡고 있다. [[소말릴란드]]가 아직까지는 [[미승인국]]이므로 1992년부터 시작된 [[소말리아]] 전 지역에 대한 [[유엔]]의 무기 금수 조치로 인해 공식적인 무기 도입 사업을 할 수 없어 주로 기존에 수거한 무기[* 주로 시아드 바레 정권 축출 및 보라마 평화 협정의 이행 과정에서 수거됐다. 금수 조치 대응 및 민병대 무장 해제의 일환으로, 소말릴란드 군경에 입대하기 위해선 개인이 소지한 화기를 군경에 반납하거나 자비로 사야 한다.]들을 개량하여 사용한다. 구[[소련]]제 무기를 주축으로 [[미국]]산 탱크 등이 일부 낀 정도로 무장하고 있으나 그나마 [[소말리아군|군대]]가 제 기능을 못하고 있는 [[소말리아|본국]]보다는 사정이 나은 편이다.[* 그러나 [[라스 아노드]] 지역에서 친소말리아 민병대에게 패배하는 등 제 기능을 하는지는 의문] == 해군 == [[2009년]] 창설되었으며 [[해안경비대]]의 역할을 담당한다. 현역 인원은 1천여 명 수준이며 [[영국]]에게서 지원받은 순찰정 8척과 경비정 3척을 운용하고 있다. 사령관은 모하메드 후세인 파라 [[소장(계급)|소장]]. 기관총 등 택티컬한 장비를 구축해 놓은 것이 특징이다. [[해군]]이 없는 [[소말리아군]]과 달리 해군 역시 운영되고 있으며[* 재건되긴 했는데, 극소수의 고속정과 단정만으로 구 푼틀란드와 그곳을 중심으로 날뛰던 해적들을 상대로 소말릴란드 해군처럼 초계를 돌아 결국 해적으로 벌어먹고 살던 푼틀란드가 사라지고, 해적들이 이전보다 좀 조용해진 이후로도 저 코딱지만한 전력으로 예멘 어선들 무단침입해서 고기 쓸어가는거 상대하느라 소말릴란드를 직접 상대할 겨를이 없다.] 주로 연안순찰정을 운영하고 있다. 덕분에 소말리아 북부 및 아덴만 서부에서는 해적이 거의 대부분이 소탕되었다. ||
[[파일:external/img.bemil.chosun.com/20111003171500.jpg|width=100%]] || [[분류:소말릴란드]][[분류:동아프리카의 군대]][[분류:나무위키 아프리카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