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소떡소떡의 둘러보기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떡/종류)] ---- [include(틀:한국의 육식)] ---- [include(틀:한국의 분식 문화)] ----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odduk.png|width=100%]]}}} || || '''{{{+1 {{{#ffffff 소떡소떡}}} }}}''' || [목차] [clearfix] == 개요 == [[경부고속도로]] [[안성휴게소|안성휴게소(부산방향)]]에서 [[핫바]]나 [[떡꼬치]]처럼 한 가지 음식으로만 꼬치가 되어 있는 게 식상하다고 하여 탄생한 음식. 이름은 '''[[소시지]]와 [[떡]]이 차례로 꼬치에 꽂혀 있는 모습'''에서 앞글자만 따와 합친 것으로, [[떡꼬치]]의 응용 버전이라 할 수 있다. [[비엔나 소시지]]와 [[가래떡]]을 연달아 꽂아 구운 뒤 붉은 소스를 묻혀 [[칠리소스]]나 [[케첩]], [[머스타드]], 다진 [[견과류]] 등을 곁들여 먹는 음식이다. 다른 형태는 떡 안에 소시지가 들어간 형태. [[한국식 핫도그]]에서 [[빵]]이 [[떡]]으로 바뀌었다고 생각하면 된다. == 만드는 법 == [Youtube(Hnt8k5oCJ1k)] 필수 재료 : 치즈 떡볶이 떡, 비엔나 소시지, 식용유, 다진 땅콩 양념 재료[* [[양념치킨]]의 양념 소스랑 다를 것이 없으므로 양념치킨을 만들었는데 소스만 남고 치킨이 더 이상 여의치 않을 경우 소떡소떡을 만드는 것으로 처리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 고추장 1숟가락, 올리고당 3숟가락, 다진 마늘1/2숟가락, 케첩 3숟가락, 간장 1/2숟가락, 물 1숟가락 조리 순서 : 1. 끓는 물에 떡과 소시지를 1~2분 데친다. (치즈 떡볶이 떡 6개, 비엔나 소시지 6개) 2. 꼬치에 떡과 소시지를 번갈아 꽂는다. 3. 팬에 식용유를 넉넉히 두른 후 떡과 소시지를 튀긴다. 4. 팬에 양념재료를 넣어 볶아 양념장을 만든다. 5. 튀긴 소시지 떡꼬치에 양념을 바른다. == 그 외 == 2019년 2월 [[BHC]]에서 사이드 메뉴 4종이 출시되었는데, 그 중에 '뿌링소떡소떡'이라는 메뉴가 있다. 이전부터 있었긴 했지만 [[2018년]] [[MBC]]의 [[예능 프로그램]] [[전지적 참견 시점]]에서 [[이영자]]가 [[경부고속도로]] [[안성휴게소]]의 소떡소떡을 언급한 이후 판매량이 급증하며 휴게소 대표 간식 중 하나가 되었으며, 전국 [[고속도로 휴게소]], 동네 분식집과 [[PC방]] 등 여기저기서 찾아 볼 수 있는 음식이 되었다. [[미니스톱/한국|한국 미니스톱]]에서도 소떡소떡을 판매 중이다.[* 일반적인 소떡소떡과는 달리, 소시지를 가래떡으로 감싼 듯한 형상이다.] 그리고 이 소떡소떡은 [[일본]] [[미니스톱]]을 통해 일본에 진출, 절찬리에 판매 중에 있으며,[* 외형은 [[미니스톱/한국|한국 미니스톱]]에서 파는 것과 동일하다. 판매명도 한국명 그대로 일본식으로 읽어 ソトクソトク(소토쿠소토쿠). 다만, 소스는 한국에서 일반적으로 활용되는 [[케첩]] + [[머스타드]] 조합이 아닌, [[고추장]] 소스 + [[마요네즈]] 소스 조합이 특징.] 일본 내에서 제법 반응이 좋은지, 인터넷에 퍼져 있는 소떡소떡 레시피를 활용해 집에서 만들어 먹거나, 인증샷을 찍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에 올리는 사람들이 부쩍 늘어났다. 이 외에도 [[신오쿠보역|신오쿠보]]와 [[츠루하시역|츠루하시]]를 중심으로 판매점이 늘고 있다. [[미스터리 음악쇼 복면가왕]] 98차 경연에서 소떡소떡을 모티브로 한 가면이 나왔다. 이 가면의 가명은 현재 복면가왕 최장가명 2위이다. [[분류:한국의 떡]][[분류:길거리 음식]][[분류:한국의 돼지고기 요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