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소닉 프라임)] [include(틀:스포일러)] [목차] == 개요 == [[소닉 프라임]]의 용어 관련 내용. == 등장 세계관 및 지역 == === 프라임 월드 그린 힐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소닉 프라임 프라임 월드 그린 힐.png|width=100%]] [[파일:소닉프라임 1화 그린힐.png|width=100%]] }}}|| || '''패러독스 프리즘이 깨지기 전의 그린 힐''' || 작중 홈이라고 불리는 곳.[* 한국어 더빙판에서는 집.] 소닉 시리즈에 항상 나오던 그 그린 힐이다. 메인 세계, 넷플릭스에서 공개한 영상([[https://youtu.be/XqWYwD4BAPg|#]])에 따르면 작품 외적으로는 '프라임 월드'라고 부른다. 8화 마지막에 섀도우가 집은 사라졌다고 했으며 넷플릭스에서 공개한 영상에 따르면 프라임 월드가 쪼개져 여러 조각난 세상(섀터스페이스)으로 나뉘었다고 하였으므로 프리즘의 붕괴로 집의 여러 가능성이 섀터스페이스로 구현되며 원래의 프라임 월드는 소실되어서 노란색 포탈의 흑백의 고스트 힐이 된 것으로 보인다. 이후 소닉은 9화부터 프라임 월드의 복구를 위해 움직이게 되나 나인을 너무 믿는 바람에 실패하게된다. 이때문에 애초에 나인을 처음부터 믿지않은 섀도우는 또 분노했지만.[* 단 완전히 실패 한게 아닌게 일시적으로 원래 세계로 돌아왔다.]. 프라임 월드를 되찾는 방법은, 고스트 힐에 있는 제단에서 모든 [[패러독스 프리즘]] 파편을 합치는 것으로 추정되며, 실제로 파편을 3개 모으는 것으로 그린 힐이 일시적으로 원래대로 돌아왔다. === 섀터버스(Shatterverse)[* 더빙판에서는 일부 에피소드에서는 쉐도우버스라고 불린 적도 있으며 그 편에서는 섀터드라이브도 쉐도우드라이브라고 불렸다. 이는 오역.]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소닉프라임_7화_섀터버스.png|width=100%]]}}}|| || '''섀도우가 카오스 컨트롤로 막 도착했을 무렵의 섀터버스''' || 다른 세계들을 돌아다닐 수 있는 곳. 패러독스 프리즘이 깨지면서 프라임 월드가 다양한 조각난 세상으로 나뉘어지면서 생겨난 듯하다. 넷플릭스에서 공개한 영상에 따르면 일반적인 멀티버스랑은 다르다고 한다. 그리고 시즌3 예고편에서 세상마다 균혈이 일어나며 섀터버스가 무너질려고 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파편을 모두 모은 나인이 조립해서 이런 일이 벌어진 것으로 추정] === 조각난 세상(Shatter Spaces)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소닉프라임_6화_섀터버스.png|width=100%]]}}}||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소닉프라임_5화_섀터버스 보스케이지 메이즈.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소닉프라임_6화_섀터버스 더 그림.png|width=100%]]}}}||{{{#!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소닉프라임_8화_섀터버스.png|width=100%]]}}}|| ||<-2> '''조각난 세상의 출입구'''[br]{{{-2 (사진은 순서대로 빨간색은 뉴요크 시, 보라색은 더 그림, 초록색은 보스케이지 메이즈, 파랑색은 노플레이스)}}} || 프라임 월드의 가능성의 조각들이 구현된 세계. 섀터버스 내부에 속하며 패러독스 프리즘의 에너지를 사용해 각각의 섀터스페이스 바깥 섀터버스 공간을 경유하면 서로 오갈 수 있다. 소닉이 다른 세계로 향할 때 1화 초반의 패러독스 프리즘 붕괴 직전의 상황 전개가 유사하게 펼쳐진다. 5화까지는 보스케이지 메이즈, 뉴요크 시 둘다 입구가 십자모양의 포탈만으로 묘사되었는데, 6화부터는 [[로스트 헥스]] 마냥 육각기둥이 덕지덕지 붙어있고 그 중앙부에 포탈이 존재하는 것으로 바뀌었다. 참고로 후술할 평행세계는 모두 그린 힐이다. 그린 힐의 야자나무를 전부 밀어버리고 도시로 만들거나, 그린 힐이 갑자기 거대한 정글로 변하거나, 그린 힐이 물에 잠기는 등 이유로 조성된 세계라 앞으로 나올 평행세계도 전부 그린 힐을 무대로 할 가능성이 높다. 또한 각 평행세계에서는 흐르는 시간이 다르다. 소닉이 어쩌다가 보스케이지 메이즈에 떨어지고 하루정도 시간을 소비하다 뉴요크 시로 돌아왔는데 뉴요크 시에서는 그 사이 몇 주라는 시간이 흘렀다. 그리고 자세히 보면 들어가는 곳 모양이 각각의 파편 모양이다. 그래서 4개 같지만, 파편은 총 5개로 추정되고, 모두 빨강, 초록, 파랑, 노랑, 보라다. ==== 뉴요크 시(New Yoke City)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프라임 저항군.png|width=100%]] }}}|| || '''에그맨이 정복한 세계선의 그린 힐''' || 에그맨에게 침략당한, 그리고 유일무이하게 에그맨이 등장하는 세계선으로 그린 힐이 도시처럼 개발당했다.[* 8화까지 공개된 시점에서 프라임을 제외한 나머지 세계선은 에그맨에 대한 언급이나 존재가 아예 등장하지 않는다.] 이름은 그린 힐이 아닌 뉴요크 시로 불린다. 분위기는 대강 [[케미컬 플랜트|케미컬 플랜트]]나 [[크림슨 카니발|크림슨 카니발]] 같은 모양새가 되어있다. [[소닉 포시즈|소닉 포시즈]]나 [[고슴도치 소닉|고슴도치 소닉]]처럼 저항군이 버티며 싸우고 있다. 에너지 크리스탈(패러독스 프리즘 파편)의 힘을 동력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배드닉 내부에 플리키들이 없다.[* 이곳의 에이미인 러스티 로즈는 내부에 플리키를 보관하고 다니지만 배드닉이라기보단 기술의 발달로 개조된 것에 가깝다.] 테일즈가 소닉과 만나지 못했고 데이터베이스에도 소닉에 대한 정보가 없으며, 에그맨이 세상을 정복하는 데에 성공했음을 미루어 보아 이 세상에는 소닉에 해당하는 인물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 세상 말고도 8화까지 등장한 평행세계 중에는 소닉이 존재하는 다른 세계는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소닉이 프리즘을 깬 장본인이라 그럴지도 모른다. 그리고 패러독스 프리즘의 붕괴에 휘말리기 직전 카오스 컨트롤로 빠져나온 섀도우도 비슷하게 해당하는 인물이 나오지 않는다.] 나인이 에너지 크리스탈을 사용할 수 있게 되나, 그 힘을 뺏겨 노플레이스까지 러스티와 에그맨의 기계들이 쫓아온다. 보스케이지 메이즈에서 돌아온 이후에는 저항군이 본격적으로 봉기해 내전 상태에 들어가 있었다. 소닉이 접하는 첫번째 평행세계지만 작중 유일하게 다시 돌아가기도 하고 메인 빌런으로 추정되는 카오스 위원회의 소속인지라 비중이 크다. 이후 트위터에서 시즌 3 사진 공개 되었는데 해적 맴버 정글맴버들 전부 뉴요크시에 모일것으로 보인다. ==== 보스케이지 메이즈(Boscage Maze)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원시소니쿠.jpg|width=100%]]}}}|| || '''원시 정글 시간선의 그린 힐''' || 그린 힐이 초원이 아닌 정글인 세계. 이름은 덤불미로라는 뜻이다. 괴물이라고 불리는 손이 생태를 보존하기 위해 정글에서 플리키를 제외한 다른 사람들을 약탈자라고 부르며 나무 윗쪽으로 쫓아냈다. 다른 생존자들은 모두 나무 위에서 거의 굶어죽기 직전의 상태로 살아있었다. 이곳에서 소닉의 장갑과 슈즈는 발톱을 내밀 수 있게 되어서 나무나 식물을 자유롭게 오르고 내릴 수 있게 되었다. 손은 정글을 보호하기 위함이라지만 되려 과성장한 나무들이 지상을 뒤덮으면서 식물을 비롯한 그레이트 그린(야자수)이 햇살을 받지 못해 시들어가고 있었다. 소닉은 우거진 숲 때문에 빠르게 달리지도 못하고 손이 돌보는 플리키도 새임에도 불구하고 제대로 날지도 못할 정도로 과성장한 정글 때문에 육지에서 뛰어다니는게 최선이었다. 다행히도 소닉에 의해 손이 회개하면서 이런 비정상적인 상황이 해결되며 정글은 다시 햇살을 받아 건강하게 되살아난다. 노플레이스나 뉴요크 시는 그래도 개발 당하기 전 모습과 침수되지 않은 지역은 원래 그린 힐과 비슷하기는 한데, 보스케이지 메이즈는 그레이트 그린과 루프드 루프를 제외하면 그린 힐 요소가 거의 안보인다. ==== 노플레이스(No Place)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해적 소닉세계.jpg|width=100%]]}}}|| || ''' 그린 힐이 바다에 잠겨버린 시간선의 해적 시대''' || 이 세계에선 그린 힐이 바다에 잠겨있고, 추억의 야자나무 부분과 악마의 등대(패러독스 프리즘 파편)가 위치한 부분 등 일부분만 섬으로 남아있다. 이름은 아마 땅이 모두 물에 잠겨서 없어졌기 때문에 이런 이름이 된 듯하다. --어째선지 빵은 존재하지만--덕분에 핫도그도 여기서는 씨도그라는 미역 등의 해양생물을 사용한 걸로 대체되어 있다. 이 세계에서 소닉의 신발이 호버슈즈로 바뀌어서 물위를 달리는 모습을 보여준다. 시즌 2에서 밝혀진 바로는 바닷속에 그린 힐의 원래 모습 그대로가 보존되어있다. 루프 드 루프도 있었으나 잠수함과 충돌하면서 파괴되었다. 여담으로 소닉이 노플레이스에 갈때 2번이나 같은 곳으로 떨어진 전적이있다(...) ==== 더 그림(The Grim)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소닉 프라임 더 그림.png|width=100%]]}}}|| || '''아무도 존재하지 않는 세계선''' || 아무도 살지 않는 황량한 세계로 나인이 처음 발견해 연구소를 세워 소닉과 새로운 보금자리를 세우기로 도모했지만, 소닉은 저항군들을 돕고 뉴요크 시를 해결하는 것이 먼저라며 나중을 위해 떠난다. 이후 나인이 소닉을 배신하고 패러독스 프리즘을 모두 들고 더 그림으로 가면서 시즌 3의 주 무대가 될 것으로 추정된다. 그리고 나인이 파편을 찾아낸 어느 동굴처럼 생긴 곳에 연구실을 만들어 놓았듯이, 나인 말로는 아무도 없다 하지만, 실제로는 조상이 있었다거나 누군가[* 예를 들어 테일즈, 너클즈, 에이미, 루즈 등등]가 있을 확률도 있다. 시즌3의 주무대가 될 것으로 추정되는 만큼, 더 그림이 아무소리 없이 암울한 만큼, 비밀이 모두 풀릴 것으로 추정된다. 예고편에서는 나인이 페러독스 프리즘을 여기서 완성하고 높은 탑을 짓는다. 그리고 소닉과 섀도우와 민났을때 말다툼을 하다가 보호막같은 에리어[* 전확히는 배틀판을 만들어 논 것.] 를 형성하고 카오스 로봇들을 만든다. 그리고 소닉팀과 배틀하려는듯한 대참사가 일어날수 있다고 볼수 있다. ==== 고스트 힐(Ghost hill)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ghost_hill2.png|width=100%]]}}}|| || '''망가진 프라임 월드의 그린 힐''' || 섀도우가 발견한 세계로, 프라임 월드의 빈 껍데기에 해당하는 월드다. [[나인(소닉 더 헤지혹 시리즈)|나인]]의 언급에 의하면, 모종의 이유로 계획 단계에서 생성이 멈춰버린 듯.[* 즉 원래대로라면 다른 조각난 세계처럼 다른 풍경의 그린 힐과 다른 성격의 캐릭터들이 존재했어야한다는 뜻이다.] 그래서인지 다른 세상은 못 들어간 섀도우가 아무렇지도 않게 유일하게 갈 수 있는 세계이며 테일즈, 에이미, 너클즈, 루즈, 빅은 자아가 없는 잔상으로만 존재한다. 이곳 산 꼭대기에 있는 제단에는 부숴지기 전 패러독스 프리즘의 잔상이 있으며, 모두 돌려놓으면 그린 힐이 원래대로 돌아오는 것으로 추정.[* 그런데 16화에서 프로그램 에그맨이 루프 드 루프를 부수는데, 이것이 다시 돌아올지는 불명.] 시즌 3 후반부에서 카오스 위원회와의 최종 결전지로 예상된다. 그리고 고스트 힐에 가기 전 더 그림에서 사투를 벌일 것 같다.[* 프라임을 전부 여기다 돌려 놓아야 이세계가 원래대로 돌아오고 너클즈&에이미&테일즈&루즈 그리고 소닉&섀도우vs카오스 위원회 그림이 나올가능성이 높으므로.] 그리고 해외에서 유출된 정보인데 나인이 더 그림에서 맞춘 [[ 패러독스 프리즘]] 때문에 조각난 세상 곳곳에 균열이 발생한 후 패러독스 프리즘을 맞춰야하는 곳이 "'카오스 코어"' 라는 이름으로 박살나게 된다. == 등장인물 == === 프라임 월드 그린 힐 === * [[소닉 더 헤지혹]] 본작의 주인공. 패러독스 프리즘을 깬 장본인. 본의 아니게 작중 여러 조각난 세상을 여행하고 있다. 게임과 캐릭터성이 거의 동일한 다른 캐릭터들과 달리, 성격이 시끄럽고 미숙하게 바뀌었다.[* 이는 소닉의 성장 스토리로 내용이 이루어져 있기 때문.] * [[마일즈 테일즈 프로워]] 프라임 월드의 테일즈. 초반부를 제외하면 회상에서만 계속해서 등장. 본 작품에서 본인의 직접적인 비중은 적다. 에그맨이 소닉에게 도발만 하고 일부러 위험한 위치로 가고 있는 것을 보고 의심이 들어 소닉을 말리려 했지만 결국 소닉이 무턱대고 에그맨의 로봇을 밀쳐 떨어뜨려버리고 이후에는 에그맨의 계략을 파악하는데만 몰두한다.[* 친구들이 테일즈가 처음으로 화를 낸다고 표현할 정도로 다른 것들은 모두 무심한 채로 에그맨의 계략만 신경쓰는 것을 보아 어지간히 예감이 안좋았던듯.] 소닉과 친구들과 함께 에그맨을 저지하러가지만 결국 패러독스 프리즘의 여파에 휘말리고 만다.[* 시즌 1에서 프리즘이 파괴된 이후의 모습이 9화에서 등장했는데 유령 상태가 된것으로 밝혀졌으며 이후 16화에서 파편 3개가 불안정하게 붙자 에이미, 루즈, 너클즈와 같이 일시적으로 원래대로 돌아왔다가 3번째 파편이 떨어져 다시 유령 상태가 되었다. 만약 시즌 3에서 너클즈 에이미 루즈와 같이 완전히 돌아오게 된다면 소닉과 섀도우를 따라 카오스 위원회와 대립할 가능성이 높다.] * [[너클즈 디 에키드나]] 프라임 월드의 너클즈. 초반부를 제외하면 회상에서만 계속해서 등장. 본 작품에서 본인의 직접적인 비중은 적다. * [[에이미 로즈]] 프라임 월드의 에이미. 초반부를 제외하면 회상에서만 계속해서 등장. 본 작품에서 본인의 직접적인 비중은 적다. 그래도 에이미가 나름 회상씬 중에서는 꽤 비중이 많은 편이다. 소닉에게 선물로 파티를 열어주며 친구들을 불러 야자수 밑에서 피크닉을 보내려했지만 당시엔 덜 감성적이라 오로지 칠리 핫도그에만 정신이 팔렸던 소닉 때문에 조금 서운해했다. 소닉의 언급에 따르면 예전에도 선물을 준답시고 바다에 빠뜨렸다는 걸 보면 나름 장난기 있던 모양이다. 에이미 본인의 비중은 아직 적지만 그녀가 장소를 마련하며 보여준 야자수는 다른 세계선에서도 계속 모습을 비추고 그 때 마다 소닉이 원래 세계를 떠올릴 정도로 비중이 높다. 여담으로 원작과 의상이 약간 다르다. * [[루즈 더 뱃]] 프라임 월드의 루즈. 원작과 의상이 다르다. 초반부를 제외하면 회상에서만 계속해서 등장. 본 작품에서 본인의 직접적인 비중은 적다. * [[빅 더 캣]] & 개구리 군 프라임 월드의 빅과 개구리 군. 초반부를 제외하면 회상에서만 계속해서 등장. 본 작품에서 본인의 직접적인 비중은 적다. 개구리 군은 개굴이 라는 이전 번역을 두고, 개구리군으로 번역되었다. * [[섀도우 더 헤지혹]] 작중 계속해서 소닉에게 주의를 주는 인물. 소닉이 여러 세계들을 모험하는 동안 여러 장소들을 방문해 섀터버스에 대한 지식을 쌓는다. 이후 소닉과의 대립을 통해 그와 협력하게 된다. 자세한 내용은 [[섀도우 더 헤지혹/작중 행적]] 문서 참고. 그런데 시즌3 예고편에서 소닉과 더 그림에 가는 듯한 모습이 나왔다! * [[닥터 에그맨]] 프라임 월드의 에그맨. 소닉을 이용하여 패러독스 프리즘의 힘을 가로채려 했다. 프리즘 파괴 이후 본인도 휘말린 듯하다. 초반부를 제외하면 회상에서만 계속해서 등장. 본 작품에서 본인의 직접적인 비중은 적다. 이후 카오스 위원회가 프리즘으로 만든 거대 거인의 모습으로 등장한다.[* 다른 만화에 나오는 기술 스사노오와 비슷한 모습.] * [[오봇&큐봇]] === 뉴요크 시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에그맨월드.jpg|width=100%]]}}} || * '''[[카오스 위원회]]''' 이 작품의 메인 빌런 조직. * 닥터 배블(Doctor Babble.) * 닥터 돈잇(Doctor Done-It.) * 닥터 딥(Doctor Deep) * 닥터 도운트(Doctor Don't) * 미스터 [[닥터 에그맨]](Mr. Doctor Eggman)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나인테일스.jpg|width=100%]]}}} || * 테일즈 나인 (Tails Nine)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나인(소닉 더 헤지혹 시리즈))]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SFSBRustyRose.png|width=100%]]}}} || * 러스티 로즈(Rusty Rose) 이 세계의 에이미. 카오스 위원회 소속이며, [[사이보그]]라지만 해킹을 당하거나, 웃는게 아예 불가능하거나[* 본인이 '난 프로그램상 못 웃으니까 아쉽네'라고 말하는 걸 보면 아예 웃는 기능이 없는 것 같지만, 시즌2 3화에서 처음으로 웃었다. 정황상 자신이 웃을 수 있다는 걸 아예 모른 듯.], [[플리키]]를 동력원으로 삼는 등 사실상 [[배드닉]]이나 다름이 없다. 개조를 당해 사지가 쭉쭉 늘어나고 힘으로 찍어눌러서 전투력이 매우 뛰어나다. 거기에 노플레이스에서 잠수한 상황에서 말을 잘만 하는 걸 보면 수중 호흡도 가능하다. 다른 세계의 에이미와 달리 에그맨 진영에 속해있는 터라 가장 취급이 험하다. 소닉조차 초반에만 망설였지 시간이 지나자 확실하게 적으로 인식하고 상대할 정도. 나인의 해킹으로 잠시 아군으로 합류하기도 했으나 소닉이 다른 세상으로 갔다가 돌아왔을 땐 다시 카오스 위원회 소속으로 돌아왔다. 이후 노플레이스로 넘어가 프리즘을 차지하려 하나 소닉이 가세한 드레드 해적단에게 패배하여 포로로 붙잡히는데, 카오스 위원회는 실패만 하는 놈이라며 침몰하려 하는 크라켄과 러스티 로즈를 버려 토사구팽하자 러스티 로즈는 자기 의지로[* 눈 색깔이 빨간색,분홍색으로 오갔다.정황상자신이 버림받았다는 것에 엄청난 감정의 기복이 왔고,카오스 위원회에게 충성을 하는 명령과 충돌이 일어나 감정이 오갔고,결국 자신의 의지가 더욱 강해 분홍색으로 바뀐 듯 하다.이후 협조한다는 대사에서 눈이 완전히 분홍색으로 전환되었고,그것이 마지막 남은 카오스 위원회의 충성심을 없엔 듯 하다.]그것이 카오스 위원회를 적대하면서 진짜 아군으로 합류한다.[* 이전처럼 나인의 해킹이 아닌 '''자신의 의지만으로 감정 시스템을 개방시킴과 동시에 카오스 워원회를 적대하게 된다.'''그 뜻은 이전처럼 다시 감정이 해킹당하지 않을 것이라는 암시인 듯 하다.] [* 이때 왼쪽(본인 기준으론 오른쪽) 눈이 빨강에서 핑크색으로 변한건 덤.] 블랙 로즈와 첫 친구로 둘다 공통점이 많아 서로 공감하고 하이파이브도 하며 우정을 싹 틔운다.[* 아무리 마음이 전환되었다 한들,초반에는 여전히 뚝뚝 끊기는 감정을 보였다.하지만 이후 블랙 로즈에 의해 감정이 업데이트되었고,점점 인간스러움을 찾고 있는 듯 하다.]계속해서 카오스 위원회가 소닉을 공격하는 곳에 찾아가 방해하며 소닉을 도와준다.[* 중간에 보스케이지 메이즈에서 손 로즈를 보고 블랙 로즈랑 같이 쟤 누구냐고 하는 개그씬도 보여준다.]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소닉 프라임 2화 저항군들.png|width=100%]]}}} || * 저항군 * 레니게이드 넉스(Renegade Knucks)[* 단 시즌2 에서는 넉크스로 변경] 이 세계의 너클즈. 저항군의 간부로 베레모를 쓰고 온몸에 흉터가 있다. 중반부에 소닉에게서 스핀 어택을 배우게 되었고, 내전 때도 잘 써먹고 있다. * 레벨 루즈(Rebel Rouge) 이 세계의 루즈. 저항군의 리더로 베레모에 군복을 입고있다. 평화로운 그린 힐에서 살고 있었지만 돌연 에그맨이 지휘하는 배드닉들이 무차별적으로 밀어버려 도시화 시켜버리고 이에 맞서 싸우던 넉스를 구해 저항군을 창설하게 된다.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소닉 프라임 1화 빅과 개구리군.png|width=100%]]}}} || * 빅&개구리 군(Big and Froggy) 이 세계의 빅. 노동자로 하루 하루 고된 삶을 이어가고 있다. 낚시를 좋아하는 건 마찬가지인 듯 닥터 배블과 소닉이 싸우는 동안 낚시를 즐기고 있었다가 뉴요크 시 정전 사태 이후로는 저항군에 합류한다. 노동자 번호가 "1998"인데 은 이는 데뷔작인 소닉 어드벤처의 발행년도인 1998년을 의미한다.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Chaos_Sonic.jpg |width=100%]]}}} || * 카오스 소닉(Chaos Sonic) >'''Heads up, furbag!''' >'''거기 조심해, 털뭉치!''' >'''Wow, looking at you is like looking in a mirror! Only I'm all sad and pathetic...''' >'''Wow!まるで鏡を見てるみたいだ!オレってこんなにいじめで可哀想だったんだ…。''' >'''우와, 너랑 마주보니까 거울 보는 거 같다. 근데 한심해서 슬퍼지는데?''' 14화에서 등장. [[메탈 소닉]], [[메카 소닉]]처럼 소닉을 본딴 로봇인데 미스터 닥터 에그맨이 소닉에 대항하기 위해 만든 로봇이다. [[패러독스 프리즘]] 파편 3개를 획득한 카오스 위원회가 넘쳐나는 에너지로 기존의 로봇을 개량해도 소닉에게는 역부족이었는데, 미스터 닥터 에그맨은 [[나인(소닉 더 헤지혹 시리즈) |나인]]을 심문해 '소닉처럼 생각하는 로봇'을 만들기로 결정하고, 그 결과가 카오스 소닉이다. 그런데 소닉을 굉장히 귀찮게 보는 에그맨의 인식이 섞여있는지 소닉 이상으로 굉장히 말이 많고 촐랑대는 성격이다. 오죽하면 그 소닉조차 입 좀 다물라고 몇 번이나 화를 내고 "내가 쟤 반만큼이라도 짜증나면 성격을 좀 바꾸든가 해야지"라며 자아성찰을 할 정도.(...) 자기가 진짜라고 믿는 경우가 있는 [[메탈 소닉]]과는 달리, 자신을 원판보다 우수한 소닉이라고 믿는다. 소닉과 전투력을 비교해보면 이 말은 절대 과장이 아니고 '''소닉 프라임 최상급 전투력을 갖고 있다.''' 스피드는 소닉과 비슷하지만, 힘과 맷집, 전투센스, 그리고 관절의 유연성이 소닉보다 훨씬 좋다. 소닉을 가볍게 압도하는 건 물론, 자동차에 치여도 멀쩡하며 '''소닉, 루즈, 너클즈'''를 동시에 상대해도 크게 밀리지 않을 정도.[* 아예까지는 아니고 노플레이스의 너클즈가 지원해서 도와주고 마지막 격타에 두 너클즈가 동시에 최대힘의 더블펀치를 날려서 잠시동안 다운되었다] 그리고 확실하지는 않으나 목소리를 흉내낼 수 있는 듯하다. 소닉을 나인의 목소리로 흉내내어 속이기도 했다. 참고로 소닉이 목소리가 왜 그러냐면서 의심했다.그러나 나인이 쏜 [[패러독스 프리즘]] 파편 3개의 에너지를 모은 빔을 맞고 박살났다. 엄청나게 좋은 전투센스와 유연성을 보인다 한들,이 카오스 소닉에게는 큰 단점이 있다.그것은 다름아닌 미스터 닥터 에그맨이 나인에게 들은 이야기로 소닉처럼 만들었는데,문제는 '''감정 또한 소닉,아니 그 이상으로 나대고 방심하는 성격''' 이전에 후술한 너클즈에게 당하거나 버스에 로드킬 당한 것,프리즘 에너지에 의해 박살난것 모두 소닉처럼 촐랑대고 방심한 탓에 일어난 일이다.정말로 소닉처럼 생각하라더니 소닉의 천진난만한 성격만 입력한 듯.이전에 나온 메탈소닉은 오히려 카오스 소닉과 달리 냉정한 성격,단순한 움직임,한계적인 베터리 등 단점이 완전히 상반된다.[* 요약하자면,메탈 소닉은 정말 소닉을 농락하는 것이 아닌 죽이려고 하지만 '로봇'이라는 단점과 카오스 소닉과 달리 프리즘 에너지를 사용해 만들지도 않던지라,여러가지로 문제였고,카오스 소닉은 이런 메탈 소닉의 단점을 커버치지만 '''너무 촐랑거려서 이 장점들이 전부 말이맘아진 것이다.(...)'''][* 그러니 만약 카오스 소닉이 메탈 소닉같은 확연하고 냉정하다면 소닉을 죽이는 것은 일도 아니고 카오스 위원회를 이전과 같이 숙대밭으로 만들거나 카오스 위원회와 소닉 일행이 힘을 합쳐도 비등한 전투를 보여주는 일명 '''최강체'''가 될 것이다.] >'''I'm... the... best...''' >---- >유언 이때 유언을 통해 '''최후까지도 자신이 최고라 하는 집념을 보였다.''' 등장횟수는 딱 1번으로 활약이 매우 짧은데, 시즌 3에서 재등장할 가능성이 있다. 이걸 뒷받침하는 근거는 닥터 배블이 울며 부서진 조각들을 드는 모습이 있다. 그리고 소닉의 성장 스토리인만큼 자아성찰에 도움을 준 캐릭터다.[* 소닉이 성장할수 있게 해주는 캐릭터들은 모든 캐릭터라고 할수 있지만 대표적으로 나인, 손, 드레드, 그리고 섀도우다.]그리고 시즌3에 섀도우와 직접적으로 대조할지도 모른다. 평가 자체는 호불호가 심하게 갈리는데 불호 쪽이 많은 편. 디자인도 얼굴빼고 멋지다는 평을 받으나 전작들의 간지나는 메탈소닉과는 다르게 코믹성이 증가하여 호평하는 쪽은 귀엽다고 하지만 불평하는 쪽은 [[나의 아스카는 그러지 않아|너무 메탈소닉과 다른 캐릭터성]] 때문에 욕을 한다. 어느쪽이든 새로운 시도를 한 메탈소닉이라 평가 받는다. * 나인이 만든 카오스 소닉(가칭) 공개된 클립 영상에서 짧게 배틀 영상으로 출현했다. 카오스 소닉과 마찬가지로 소닉을 매우 닯았으나 소닉이 고개를 약간 젖히고 눈을 가늘게 뜨고 보면 섀도우도 닯은 면이 있다고 그랬다.소닉과 섀도우를 동시에 싸움에도 잘 싸우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소닉과 섀도우가 헉헉대며 힘들어 하는 모습을 보여준건 덤. 아무튼 더블 액션에 당하고 쓰러진다. * 카오스 너클즈(가칭) * 카오스 에이미(가칭) * 카오스 루즈(가칭) * 카오스 빅(가칭)[* 그러나 예고편에선 안 나왔으므로] *키오스 자이언트 플리키(가칭)[* 새같이 생긴 로봇이 있는데 그 모양이 자이언트 플리키와 흡사하다] === 보스케이지 메이즈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Thorn_Rose.png|width=100%]]}}} || * 손 로즈(Thorn Rose) 원시 에이미 포지션. 보스케이지 메이즈에 나무를 기르고 식량을 독차지하는 괴물로 알려져있다. 원래는 친구들과 함께 공존했으나, 친구들이 열매를 필요 이상으로 따거나 벌목하는 등 숲을 파괴하는 것을 참지 못하고 다른 이들을 약탈자로 분류해 나무 위로 추방했고, 플리키들이랑만 살고 있다. 이후 패러독스 프리즘의 파편을 정글의 심장이라 부르며 소닉에게 넘기지 않으려 했으나 소닉의 활약으로 자신의 행위가 오히려 정글의 균형을 파괴하고 있었다는 것[* 손 때문에 정글은 나무가 우거지기만 한 나머지 땅에 태양빛이 닿지 않아 낮에도 밤처럼 어두울 지경에 거대 플리키는 아예 날 수 조차 없었다. 소닉이 망치를 날려버리며 숲을 가리고 있던 잎을 치워버리자 자신이 보호하고 있던 그레이트 그린을 비롯한 식물들도 그동안 햇빛을 받지 못해 시들어가고 있었다는 사실을 그제서야 깨닫고 자책한다.]을 깨닫고 생존자들과 화해하게 된다. 이름의 Thorn은 장미(Rose) 등 식물의 가시라는 뜻이다. 시즌 2에서는 자신의 숲을 망가트리는 위원회에 대항하게 된다.시즌 3에서 다른모습의 자신인 러스티 블랙과 만나서 카오스 위원회 타도할 가능성 높다.그리고 뉴요크시에서 드디어 러스티와 만나 게 된다.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소닉 프라임 4화 에이미의 플리키.png|width=100%]]}}} || * 분홍색 거대 플리키 손 로즈의 애완동물. 동족들과 달리 굉장히 거대하게 성장했다. 원래 세계의 에이미 역시 작지만 이 녀석과 같은 얼굴의 검은 줄의 털이 나있는 동일한 색의 플리키를 데리고 있다.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Mangey_Tails.png|width=100%]]}}} || * 메인지(Mangey) 원시 테일즈. 원 세계의 테일즈와는 달리 이쪽은 지능이 짐승 수준으로 머리가 나쁘고 야성적이다. 테일즈의 특징이 천재적인 과학 기술인데 원시 세계에선 과학 기술이고 뭐고 없다보니 이렇게 된 것으로 보인다. 사족보행을 하고 꼬리로 나는 법도 모르고 말도 못하는 모양이다. [[https://www.youtube.com/watch?v=-BKc5dlDNoM|딱 한 마디]]하는 거 빼곤 거의 개처럼 으르렁거리거나 낑낑대는 울음소리밖에 내지 않는다.[* 한국어 더빙에선 영어 음성을 그대로 쓰는데 타 배역의 소리가 겹치는 부분을 위주로 몇 군데가 무음으로 통편집 되어있다.] 서로 간의 갈등이 해결된 뒤엔 소닉이 가르쳐줘서 꼬리로 나는 법은 터득한다.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Prim_Rouge.png|width=100%]]}}} || * 프림(Prim) 원시 루즈 포지션. 생존자들의 리더 포지션으로 창을 무기로 사용한다. 한 때 손과 잘 지내고 있었지만 손이 무차별적으로 훼손되는 숲을 두고보지 못해 광분해서 친구들을 돌로 만든 해머로 날려버리고 프림은 그런 손을 괴물이라 부르며 대립하면서 싸우고 서로 대화가 통하지 않는 악순환이 계속되고 있었다. 이후 손을 진정시킨 소닉 덕분에 프림과 직접 화해하며 타협점을 찾기로 결심한다. 여담으로 영어 자막에서 넷플릭스 청각장애인용 자막의 고질적인 문제로 인해 이름이 먼저 공개된다. * 행그리(Hangry) 원시 빅 포지션. 새총을 무기로 사용한다.이후 뉴요크시에서 다른 자신과 만나게 된다 * 날리(Gnarly) 원시 너클즈 포지션. 너클즈처럼 큰 차이가 없다. * 개구리 군 이름이 똑같은 지는 불명. 머리에 버섯을 달고 다니며 행그리와 같이 다니지 않고 손의 정글에서 살고 있다. 마지막에 손과 정글 일행이 화해할 때 행그리 앞에 나타난다. === 노플레이스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Knuckles_the_Dread_Introduction.png|width=100%]]}}} || * 너클즈 더 드레드(Knuckles the Dread) 해적 너클즈. 해적단의 선장으로 진중했던 원본과 달리 노는 걸 매우 좋아하는 밝은 성격이지만 겁이 많다. 과거엔 부하들을 막 다루는 냉혈한 성격이었고, 프리즘 파편이 있는 악마의 등대로의 항해를 강행하다가 배가 침몰하고 부하들에게 버림받은 트라우마로 인해 현재처럼 숨어지내고 평화만 추구하는 성격이 되었다. 이후 소닉의 말에 용기를 되찾고 마지막에도 소닉의 힘을 빌려 프리즘을 얻는 데 성공하면서 카오스 위원회의 전함인 크라켄도 노획하지만 이 때 프리즘을 '''"이건 내 보물이고 누구에게도 안 줄 거다."'''라며 집착하는 불안한 모습을 보였고, 결국 시즌 2에선 프리즘을 완벽하게 차지하기 위해 카오스 위원회가 해적단을 공격할 때 직접 전함을 공격하러 가는 소닉을 두고 "소닉이 우릴 버리고 튀었다"라고 부하들을 선동해 소닉과 대립하게 만든다. 이후에도 집착을 버리지 못해 파편을 두고 소닉, 카오스 위원회와 삼파전을 벌이다 결국 카오스 위원회가 파편을 손에 넣고 귀환할 때도 전함에 들러붙어 뉴요크 시까지 넘어간다. 그러다 본의 아니게 카오스 소닉과의 전투에 합류, 뉴요크 시의 너클즈를 보고 순간 어이없어 하지만 일단은 협력하기로 하는데, 너클즈 둘이서 카오스 소닉을 일시적으로 리타이어 시키기도 했다. 카오스 소닉이 끝장나자 다시 소닉과 싸우지만 뉴요크 시의 너클즈가 막아서는 바람에 또 소닉을 놓쳤다. 시즌3에서 변치 않고 소닉과 섀도우를 골치 아프게 할 것으로 보이며, 소닉 프라임 지체가 모두의 성장 스토리이기에 드레드도 성장할 듯 하다.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Black_Rose.png|width=100%]]}}} || * 블랙 로즈(Black Rose) 해적 에이미 로즈. 큰 특징은 없으나 뉴요크 시티의 에이미인 러스티 로즈와 마주치자 둘이 서로 자신들의 모습을 보고 놀란다. 이후 러스티 로즈가 아군으로 합류하자 라이벌 의식을 불태우는데[* 플라스마 캐논으로 에그포서를 누가 더 많이 격추하는지 경쟁을 한다.] 나름 죽이 잘 맞는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카오스 위원회가 열어놓은 포탈을 통해 러스티와 함께 지원을 와줘 위원회의 시선을 끌어주기도 한다.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Batten_Rouge.png |width=100%]]}}} || * 배튼 루즈(Batten Rouge) 해적 루즈 더 뱃. 해적스런 말투를 사용하며 테일즈와 동일하게 날 수 있기에 보초 역할을 자주 맡는다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Sails_Tails.png |width=100%]]}}} || * 새일즈 테일즈(Sails Tails) 해적 테일즈. 손모양 꼬리 기계 의수를 달고있다.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소닉 프라임 7화 캣피쉬와 개구리군.png|width=100%]]}}} || * 캣피쉬(Catfish) & 개구리 군 해적 빅.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Captain_Jack.png |width=100%]]}}} || * 잭(Jack) 과거의 너클즈 해적단이었으나 몇년 전 악마의 등대 난파때 너클즈를 버리고, 예전 동료들과 탈출하여 자신이 선장이 되었다. 성우는 [[잭샙틱아이]][* 크레딧에는 본명인 Sean McLoughli.], 종족은 라쿤. 너클즈 해적단을 다시 찾아와 약탈하다가 소닉의 개입에 후퇴한다. 씨도그[* 한국어 번역은 바다도그, 더빙판은 해적 도그.]를 먹으며 옛 선장을 괴롭히는 게 재밌다고 언급한다.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Bunny_Bones_profile.png|width=100%]]}}} || * 버니 본즈(Bunny Bones) 난파 당시 잭의 해적단으로 갈아탄 예전 선원. 약탈 때도 같이 나타났다. 성우는 [[애슐리 볼]]. 종족은 고양이. [[블레이즈 더 캣|블레이즈]]랑 닮아서 블레이즈도 휘말린게 아니냐는 추측도 들었다.[* 근데 아닌걸로 확인되었다 만약에 등장했다 하더라도 실버 카오틱스 맴버들까지 나와야하는데 나오지 못했다. 이유는 소닉 프라임과의 계약 과정에서 세가랑 와일드브레인으로부터 허가를 받지 못했다는 게 드러났다는 걸로 밝혀졌다.] === 고스트 힐 === * 프리즘 거인(Prismatic Titan) >'''Behold, the pinacle of all creation!''' >'''모든 피조물의 정점을 봐라!''' >---- > '''프리즘 거인을 만들어낸 직후의 미스터 닥터 에그맨이 한 대사''' '''2기의 최종보스.''' 미스터 닥터 에그맨이 패러독스 프리즘의 힘을 사용하여 만들어냈다. 외형은 프라임 월드의 닥터 에그맨과 똑같다. 그 힘은 압도적으로, 파워업한 소닉과 섀도우 따위는 그냥 손으로 쳐서 날려보내거나 입에서 광선을 발사해 리타이어 시키는 수준. 헌데 더욱 파워업된 소닉의 공격에 의하여 일격에 퇴장한다.(...)[* 물론 강하긴 했는지 거인을 해치우느라 파워업을 모조리 소모했다.] == 기타 용어 == === [[패러독스 프리즘]]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패러독스 프리즘)] === 야자나무 === [[그린 힐 존]]에 있는 야자나무. 본 작에서는 소닉에게 있어서 친구들을 이어주고 추억을 상징하는 것으로 등장한다. 각 평행 세계에서도 특별한 의미를 갖는데 뉴요크 시에서는 저항군들에게 있어서 싸워서 지켜야하는, 삶을 상징하는 심볼로서 저항군 기지에서 한 그루 보관되어있고, 보스케이지 메이즈에서도 그레이트 그린이라고 부르며 손 로즈가 지키고 있는 야자수로 나온다. 노플레이스에서는 따로 상징적으로 나오진 않았다. 처음 소닉이 노플레이스에 왔을 때 소닉과 해적단 일행이 만난 곳이 이 야자나무가 있는 곳이었다. === 루프 드 루프 === '''Loop de Loop /ループの道'''[* 일본어 자막에서는 '360度ループ'(360도 루프)로 번역되기도 했다.] 그린 힐에 있는 루프형 길을 말한다. 야자나무와 마찬가지로 새로운 조각난 세상으로 왔을 때마다, 이 곳이 다른 곳이 아니라 여전히 그린 힐임을 나타낸다. 다만 야자나무와는 달리 크게 상징적인 의미는 없다. 뉴요크시는 1화 초반에 그린 힐 특유의 체크무늬 땅을 보고서는 높은 건물로 올라가서 루프드 루프를 확인한다. 보스케이지 메이즈에서는 4화에 처음 소닉과 정글 일행이 괴물을 상대하겠다며 정글 아래로 내려갔을 때 나무 사이에 숨어있는 게 나왔으며, 노플레이스에서는 7화에서 파티 다음날 아침 소닉이 바다 아래 잠겨있는 것을 발견했다. 1화에서는 비슷하게 Hedgehog's Pass[* 일본어 한국어 공통으로 더빙, 자막이 전혀 통일되어 있지가 않다. 일본어 자막: ヘッジホッグロード(헤지호그 로드), 일본어 더빙: ハリネズミの小道(고슴도치 샛길), 한국어 자막: 고슴도치 고개, 한국어 더빙: 헤지혹의 통행로.]도 비슷한 역할로 언급되는데, 본 작품에서 소닉과 섀도우가 처음 만났을 때 한판 붙었던 그 곳이다. 또한 Tails' Lab(테일즈의 연구실)도 비슷한 역할로 언급되었다. 그러나 뉴요크 시 이후에서는 루프드 루프 정도만 나오고 고슴도치 고개나 테일즈 연구실 같은 건 안나온다. 이후 9화에서 프리즘이 파괴된 이후의 그린 힐이 등장해서 재언급 되었다. 현재 섀터버스의 루프 드 루프는 보스케이지 메이즈를 제외하면 모두 파괴된 상태이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소닉 프라임, version=488)][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소닉 프라임, version=525)] [[분류:소닉 프라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