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1 소니 보이 윌리엄슨 2세}}}[br]Sonny Boy Williamson II'''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sonny-boy-williamson-ii-de528de4-107a-42f2-90bd-35fa00e022a-resize-750.jpg|width=100%]]}}} || || '''본명''' ||미상|| || '''이명'''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라이스 밀러[br]Rice Miller ---- 리틀 보이 블루[br]Little Boy Blue ---- 리틀 윌리[br]Little Willie||}}}}}} || ||<|2> '''출생''' ||출생일 미상|| ||[[미국]] [[미시시피주]][* 본래 글렌도라 출생으로 알려졌지만, 밥 L. 이글과 에릭 S. 르블랑의 저서 "Blues: A Regional Experience"에선 1920년 인구 조사 자료를 증거로 르플로어 카운티의 머니에서 태어났다고 밝혔다.]|| ||<|2> '''사망''' ||1965년 5월 25일|| ||[[미국]] [[아칸소주]] 헬레나|| || '''직업''' ||싱어송라이터, 음악가|| || '''장르''' ||[[블루스]]|| || '''악기''' ||[[보컬리스트|보컬]], [[하모니카]]|| || '''신장''' ||187cm[*A Martin Chilton, "[[https://www.udiscovermusic.com/stories/mystery-sonny-boy-williamson/|The Mystery Of The Two Sonny Boy Williamsons]]", 「uDiscoverMusic」, 2021.12.5., 2022년 6월 13일 확인]|| || '''링크''' ||[[https://open.spotify.com/artist/69VgCcXFV59QuQWEXSTxfK|[[파일:스포티파이 아이콘.svg|width=20]]]] [[https://www.youtube.com/channel/UCWEMaF6bf_6V2swH692S1EQ|[[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목차] [clearfix] == 개요 == 미국의 음악가. 영향력 있는 블루스 하모니시스트들 중 한 명이다. == 생애 == 본명은 알렉스 밀러[*B David Dicaire, "Blues Singers: Biographies of 50 Legendary Artists of the Early 20th Century" (McFarland · 2015.11.5.), 104쪽, [[https://books.google.co.kr/books?id=rWMsAAAAQBAJ&lpg=PA108&dq=Sonny%20Boy%20Williamson%20II&hl=ko&pg=PA104#v=onepage&q&f=false|#]]], 알렉 밀러[*C Bob L. Eagle · Eric S. LeBlanc, "Blues: A Regional Experience" (ABC-CLIO · 2013.5.1.), 190쪽], 알렉 포드 또는 알렉스 포드가 제시된다.[*A] 출생일은 불명확한데, * 본인은 1897년, 미시시피주 글렌도라의 작은 마을에서 태어났다고 말했다.[*D William E. Donoghue, "[[https://www.furious.com/perfect/sonnyboy.html|Sonny Boy II Told His Sisters "Keep It To Yourself" But They Told Me His Best-kept Secret]]", 「Perfect Sound Forever」] * 1899년생으로 밝히는 자료들이 있다.[*E Cub Koda, "[[https://www.allmusic.com/artist/sonny-boy-williamson-ii-mn0000036031/biography|Sonny Boy Williamson II Biography]]", [[올뮤직]], 2022년 6월 13일 확인][* Edward Komara · Peter Lee, "The Blues Encyclopedia" (Routledge · 2004), 1087쪽, [[https://books.google.co.kr/books?id=XQU3AgAAQBAJ&lpg=PA1087&dq=Sonny%20Boy%20Williamson%20II&hl=ko&pg=PA1087#v=onepage&q&f=false|#]]][* Benjamin Franklin, "Jazz & Blues Musicians of South Carolina: Interviews with Jabbo, Dizzy, Drink, and Others" (Univ of South Carolina Press · 2008), 173쪽, [[https://books.google.co.kr/books?id=e2dHDsQs6xAC&lpg=PA173&dq=Sonny%20Boy%20Williamson%20II&hl=ko&pg=PA173#v=onepage&q&f=false|#]]] * 데이비드 에반스는 1920년 인구 조사에 근거해 그가 1912년경에 태어났다고 주장했다. 그의 주장에 따르면 1920년 인구 조사에 1920년 2월 2일 기준 그가 7세라고 적혀 있었다는 것이다.[*D] * 그의 묘비에는 출생일을 1908년 3월 11일로 작성해 놓았다.[* "[[https://www.findagrave.com/memorial/5341/sonny-boy-williamson|Sonny Boy Williamson II]]", findagrave.com, 2022년 6월 13일 확인] * 밥 L. 이글과 에릭 S. 르블랑은 1920년 인구 조사 자료를 근거로 1912년 12월 5일, 미시시피주 르플로어 카운티 머니에서 태어났다고 밝혔다.[*C] 짐 밀러와 밀리 포드의 사생아였다. 밀리에게는 21번째 자녀였다. 유독 우유와 쌀을 좋아해서 라이스란 별명이 붙었다고 한다.[*A] 그의 유년기에 대한 정보는 많지 않지만, 가난한 부모의 자식으로 태어났다는 것과 어린 시절을 고단하게 보냈던 것은 확실하다.[*B] 하모니카는 독학했고 6~7세가 됐을 때 교회 행사와 지역 파티에서 공연했다.[*F Robert Cochran, "[[https://encyclopediaofarkansas.net/entries/sonny-boy-williamson-ii-1798/|"Sonny Boy" Williamson II (1912?–1965)]]", encyclopediaofarkansas.net, 2022년 6월 13일 확인] 1930년대 중반에 리틀 보이 블루란 가명으로 미시시피 델타에서 활동하고 있었다. 그는 [[로버트 락우드]] 등과 주크 조인트 같은 곳에서 공연했다.[*E] 1941년엔 록우드와 함께 King Biscuit Time 에서 밀가루 제품을 홍보했다.[*A] 그는 이 라디오 쇼에 출연하면서 큰 인기를 얻었다.[*F] 이때 당시 유명한 하모니시스트였던 [[소니 보이 윌리엄슨 1세|소니 보이 윌리엄슨]]의 유명세를 이용하려한 맥스 무어가 본인을 소니 보이 윌리엄슨이라 사칭할 것을 요청했고 그가 이를 받아들였다고 한다.[*A][*E] 사칭이 통했던 이유는 사칭한 본인이 남부에서 공연할 생각이 없었기 때문이었다고 한다.[*E] 그는 나중엔 아예 본인이 원조라고 주장했다.[*D][* 몇몇 학자들은 이 주장을 내놓은 걸 근거로 1897년생이라 말한 것을 사칭을 위해서 그런 게 아니냐는 추측을 내놓았다. 원조 소니 보이 윌리엄슨은 1914년생이기 때문이다.] 그는 1930년대 [[하울링 울프]]의 이복 가족과 결혼했고, 하울링 울프에게 하모니카를 가르쳐주었다. 그는 1951년부터 녹음하기 시작했으며, [[엘모어 제임스]] 밴드의 멤버로 활동하기도 했다.[*G William Donoughue, "[[http://www.celticguitarmusic.com/Harmsb2.htm|'Fessor Mojo On Rice Miller (Sonny Boy II)]]", celticguitarmusic.com, 2022년 6월 13일 확인] 그는 꾸준히 활동했으며 시카고의 스케줄이 적었을 땐 아칸소주로 돌아와 King Biscuit 라디오 쇼에 출연했다. 1963년 아메리칸 포크 블루스 페스티벌의 일원으로 처음 유럽을 방문하게 되었다.[*E] 그는 유럽에서 좋은 반응을 얻었고 자신도 유럽에 호감을 느꼈다.[*E] [[야드버즈]], [[애니멀스]], [[지미 페이지]]와 녹음하기도 했으며, 1964년 [[버디 가이]]와 마지막 세션을 치르고 비자 만료로 1965년에 아칸소주 헬레나로 돌아왔다.[*G] 돌아온 뒤 그는 King Biscuit Time 쇼를 재개했다.[*H Greg Johnson · University of Mississippi, "[[https://mississippiencyclopedia.org/entries/sonny-boy-williamson-ii/|Sonny Boy Williamson II (Aleck Miller)]]", mississippiencyclopedia.org, 2017.7.11., 2023년 2월 2일 확인] 돌아올 때 본인의 생이 얼마 안 남았다고 느꼈는지 휴스턴 스택하우스 (Houston Stackhouse) 에게 '죽기 위해 집에 왔다'고 말했다.[* "[[https://msbluestrail.org/blues-trail-markers/sonny-boy-williamson|Sonny Boy Williamson]]", msbluestrail.org, 2023년 2월 2일 확인] 1965년 5월 25일, 아칸소주 헬레나에 있는 자택에서 자던 중 심장마비로 사망했다.[*E] 사후 미시시피주 터트월러에 장사됐다.[*F] == 영향력 == 그는 20세기 중반 가장 영향력 있는 싱어송라이터들 중 한 명으로 평가받는다.[*H] == 여담 == * 그가 사칭을 하고 있었단 걸 알고 있던 [[에릭 클랩튼]]이 이에 대해 묻자, 과일을 깎는 칼을 꺼내는 걸로 답했다고 한다.[* 다만 클랩튼이 그의 실력을 부정하진 않았다.] 에릭 클랩튼이 따져물으려던 건 아니고, 그냥 자신의 지식을 자랑하려는 목적으로 그랬다고 한다. 두 사람은 같이 무대에 올랐던 적이 있다.[* "[[https://bobcorritore.com/photos/sonny-boy-williamson-ii/|Sonny Boy Williamson II]]", bobcorritore.com, 2022년 6월 13일 확인] * 사람 자체만 보면 결코 좋은 사람은 아니었다. 유명인을 사칭해놓곤 자신이 원조라고 주장한데다, 폭행을 저지른 적도 있었다.[*A] 어린 시절엔 '목사 블루'라 자칭하기도 했던[*F] 독실한 기독교도인 듯 싶었으나[*G], 이후 과음꾼 · 도박꾼 · 바람둥이가 되어버렸다.[*G] 당시 14세였던 [[로버트 플랜트]]가 그에게 자신을 소개하자 꺼지라고 짧게 답한 적도 있다.[*A] * 그는 187cm의 장신에 손발이 컸고 인상도 좋지 않았다고 전해진다.[*A] [[분류:미국의 싱어송라이터]][[분류:미국의 하모니시스트]][[분류:1965년 사망]][[분류:미시시피 주 출신 인물]][[분류:심장마비로 죽은 인물]][[분류:블루스 음악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