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파일:AMIfv94wVnu1R3x6NpC0RXM83gd7Uf8JlNLK.jpg|width=100%]] || ||<-2> '''{{{#black 소년대 ([ruby(少年隊, ruby=しょうねんたい)])}}}''' || || '''{{{#black 출신지}}}'''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width=28]]|| || '''{{{#black 멤버}}}''' ||'''[[니시키오리 카즈키요|{{{#red 니시키오리 카즈키요}}}]]''', '''[[히가시야마 노리유키|{{{#000,#fff 히가시야마 노리유키}}}]]''', '''[[우에쿠사 카츠히데|{{{#ffd700 우에쿠사 카츠히데}}}]]'''|| || '''{{{#black 결성}}}''' ||[[1981년]] || || '''{{{#black 데뷔}}}''' ||[[1985년]] '''<가면 무도회(仮面舞踏会)>'''|| || '''{{{#black 활동 기간}}}''' ||[[1985년]] ~ [[2020년]] [[12월 31일]] || || '''{{{#black 사무소}}}''' ||[[쟈니스 사무소]]|| [목차] == 개요 == ||
[[파일:tumblr_olsf2uZ0xY1w37995o1_1280.jpg|width=100%]] || || {{{#ffffff ''' 1980년대 당시의 소년대 ''' }}} || [[일본]]의 아이돌 댄스 그룹. 1981년에 결성되어 1985년 데뷔한 이후 멤버 구성 변동 없이, 2020년 데뷔 35주년을 맞이할 때까지 [[쟈니스 사무소]]에 있던 가장 선배 그룹이었다.[* 2020년 12월 31일 이후 히가시야마를 제외한 멤버가 쟈니스 사무소를 퇴소했다.] 물론 21세기 들어선 그룹 활동은 거의 안하는 수준이긴 하다.[* 애초에 활동을 하더라도 아크로바틱적인 안무를 할 수 있는 나잇대가 아니다.] == 멤버 == ||
'''이름 (한국어)''' || '''이름 (일본어)''' || '''생년월일''' || '''비고''' || || [[니시키오리 카즈키요|'''{{{#ffffff 니시키오리 카즈키요}}}''']] || ([ruby(錦織 一清, ruby=にしきおり かずきよ)]) || [[1965년]] [[5월 22일]] ([age(1965-05-22)]세) || [[도쿄도]] 출신, [[키(신체)|키]]172cm, [[O형]][br]애칭: '''니키''', 니시키 || || [[우에쿠사 카즈히데|'''{{{#000000 우에쿠사 카츠히데}}}''']] || ([ruby(植草 克秀, ruby=うえくさ かつひで)]) || [[1966년]] [[7월 24일]] ([age(1966-07-24)]세) || [[치바현]] 출신, [[키(신체)|키]]170cm, [[O형]][br]애칭: '''캇쨩''' || || [[히가시야마 노리유키|'''{{{#ffffff 히가시야마 노리유키}}}''']] || ([ruby(東山 紀之, ruby=ひがしやま のりゆき)]) || [[1966년]] [[9월 30일]] ([age(1966-09-30)]세) || [[가나가와현]] 출신, [[키(신체)|키]]178cm, [[A형]][br] 애칭: '''히가시''', 동산형님[* 히가시야마라는 뜻이 동산이기 때문이다. 국내 한정 별명.], 노리쨩 || 멤버 3명 모두 노래나 댄스 실력이 당시 일본에선 수준급이었기에 [[쟈니 키타가와]] 사장이 생전에 가장 완벽했던 그룹이라고 평가했으며, 쟈니스 선배그룹이었던 시부가키대의 멤버[* 대신 이쪽은 해체되고나서 멤버였던 [[모토키 마사히로]]가 배우로 대성하긴 했다. 사실 소년대 결성 이전부터 이들 멤버는 대놓고 불화가 있진 않았지만 서로가 맞지 않았기 때문에 해체 소식을 들었을 때도 다들 미련없이 손절치는 분위기였고 현재도 [[쟈니스 사무소]] 시절을 그닥 좋지 않게 생각하는듯하다.]들은 소년대의 데뷔무대를 보고 '절대 이길 수 없다'라고 생각했다고 한다. 1980년대 중반이라서 컨셉이나 의상의 촌스러움은 감안하고 보더라도 공중제비부터 고난이도의 동작과 군무까지 일본 아이돌스럽지 않은(?) 댄스 실력을 보여줬다. 실제 멤버 [[히가시야마 노리유키]]가 요즘 쟈니스 후배들 중엔 백턴을 아예 못하는 애들이 수두룩하다는 얘기를 듣고 탄식했을 정도. 다만 이런 [[아크로바틱]]스런 안무는 사실 매번 하기엔 위험할 뿐더러 군무 측면에서도 크게 조화스럽진 않아서 아이돌 댄스에서 점점 사장된 것에 가깝다. == 활동 == 소년대는 멤버 3명을 포함해도 당시에는 아직 20~30명밖에 없었던 [[쟈니스 주니어]]에 대한 총칭이었다. 그러다가 1981년 10월 6일부터 텔레비전 도쿄에서 시작된 <[[더 베스트 텐]]>의 시작에 맞추어 니시키오리, 우에쿠사, 마츠바라 야스유키의 3명으로 결성된 그룹 'B팀'이 이후에 '쟈니스 소년대'라고 불린다. * [[1982년]]: 마츠바라에서 히가시야마로 멤버를 변경한 뒤 현재의 멤버로 소년대가 결성되었다. 그룹 결성 당초는 [[타하라 토시히코]], [[콘도 마사히코]]의 백으로 노래 프로그램이나 콘서트에 출연했다. 6월에는 레코드 데뷔 전임에도 불구하고 당시 유명 가요 프로그램이었던 후지 텔레비전 "밤의 히트 스튜디오"에 단독 유닛으로서 첫 출연했다. 이후 9월 <석세스 스트리트>에도 레코드 데뷔 전에 이미 10회 전후 단독 아티스트로서 출연한 경험이 있다. 또 1982년 11월에는 "하와이 음악제"에서 금상을 수상했다. * [[1984년]]: 4월 2일 우편 저금 홀에서 단독 퍼스트 콘서트를 갖고 하루 5회 공연을 했다. 그 해 5월 비디오 『소년대』를 발매했다. 그 후, 이 비디오 수록곡인 "당신에게 지금 Good-bye"으로 노래 프로그램에 다수 출연했다. * [[1985년]]: 12월 12일 <가면 무도회>로 '''음반 데뷔.''' 데뷔 때의 캐치 프레이즈는 '''"일본발 세계행"'''. * [[1986년]]: 2집 데카메론 전설(デカメロン伝説)이라는 곡으로 활동. 소년대 주연 뮤지컬 PLAYZONE 개연. 제37회 NHK [[홍백가합전]]에 처음 출전했고 이후 8년 연속 출전했다.[* 하지만 [[홍백가합전 가면라이더 사건|이 사건]]의 피해자가 되었다.] * [[1987년]]: "브로마이드"의 연간 매출 성적이 제1위에 올랐다. * [[1994년]]: 제31회 골든 애로우 상 연극상 그랑프리 수상. * [[1995년]]: 데뷔 10주년. * [[1999년]]: 소년대 첫 간판 프로그램 <소년대 꿈>이 스타트. * [[2004년]]: 쟈니스 빅 서프라이즈 카운트다운 라이브 출연. 소년대로서 첫 출연. * [[2005년]]: [[콘도 마사히코]] 25주년 기념 디너 쇼에 게스트로서 출연. 또 소년대로 데뷔 20주년. * [[2007년]]: 뮤지컬 PLAYZONE이 통산 상연 횟수 900회를 맞았다. 또 2007년 공연 은 협연자였던 아카사카 아키라가 각성제로 현행범 체포된 일로 DVD화가 전격 중단이 되고 말았다. * [[2008년]]: 23년간의 소년대 주연 뮤지컬 이 폐막. 이듬해부터는 쟈니스의 후배가 주연. * [[2012년]]: 결성 30주년. * [[2015년]]: 데뷔 30주년. * [[2020년]]: 데뷔 35주년, 12월 31일을 끝으로 니시키오리와 우에쿠사가 쟈니스를 퇴소한다고 발표했다. 다만, 팬들을 위해 소년대라는 이름은 없어지지 않고 상징적으로 남아 유지된다고 한다. == 여담 == 당시 일본을 넘어 주변국에도 영향을 끼친 아이돌 그룹으로, 대표적으로 2년 후인 1987년 한국에서 데뷔한 그룹 [[소방차(아이돌)|소방차]]가 소년대를 모방해 탄생하였고, [[대만]]에도 소년대와 거의 유사한 컨셉으로 [[소호대(대만)|소호대(小虎隊)]]라는 그룹이 있었다. 1986년 NHK 홍백가합전에 백팀의 첫 타자로 첫 출장했던 소년대의 노래 "가면무도회"를 백팀 MC 카야마 유조가 "가면라이더"라고 잘못 소개해버려 21세기에도 종종 회자되고 있다. 자세한 건 [[NHK 홍백가합전 가면라이더 사건]]을 참고. [[분류:일본의 보이그룹]][[분류:1985년 데뷔]][[분류:3인조 음악 그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