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fff {{{+1 셰커}}} [br] 謝科/谢科 / Xie Ke}}}'''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636527593049501846.jpg|width=100%]]}}} || ||<|2> ''' {{{#white 출생}}}''' || [[2000년]] [[1월 14일]] ([age(2000-01-14)]세) || || [[저장성]] [[닝보시]] || || ''' {{{#white 국적}}}''' || [[파일:중국 국기.svg|width=28]] [[중화인민공화국]] || || '''{{{#white 직업}}}''' || [[바둑기사]] || || ''' {{{#white 소속}}}''' || [[중국기원]] || || ''' {{{#white 입단}}}''' || [[2013년]] || || ''' {{{#white 단급}}}''' || 九단 || || '''{{{#white [[한큐바둑|{{{#fff 한큐바둑}}}]] 닉네임}}}''' || 风骑士(P)(fqishi01) || [목차] [clearfix] == 개요 == [[중국]]의 [[프로]] [[바둑]] [[기사(바둑)|기사]]. == 경력 == 2013년 입단 직후부터 [[한국]] [[바둑]]계에는 경계 대상으로 꼽히고 있었다.[* [[사이버오로]] [[https://www.cyberoro.com/news/news_view.oro?num=520646&div_no=11|기사]]] [[커제]] 九단과 묶여서 경계 대상이었는데, 이후 커제는 세계 대회에서 많이 우승했지만 셰커는 커제만은 못해서 아직까지 세계 대회 우승 경력이 없다. 2017년 제3회 [[몽백합배]]에서 4강까지 올라갔지만 4강전에서는 [[박정환(바둑기사)|박정환]] 九단에게 종합 전적 1-2로 패해 결승 진출에 실패했다. 2018년 12월 17일 춘란배 8강전에서 박정환에게 또 패했다. 2020년 4월 27일 몽백합배 8강에서 [[이치리키 료]]를 상대로 승리하며 4강에 진출했다. 2020년 8월 1일 [[글로비스배]] 8강전에서 [[문민종]]을 상대로 초중반 유리한 바둑을 이어가다 마지막에 대마가 잡히며 역전패했다. 2020년 9월 11일 [[응씨배]] 8강전에서 [[커제]]를 꺾고 4강에 진출했다. 2020년 12월 31일, 2021년 1월 2일 몽백합배 4강전에서 [[판팅위]]를 종합 전적 2-0으로 꺾고 프로 데뷔 이후 처음으로 메이저 세계 대회 결승에 진출했다. 상대는 4강전에서 [[쉬자양]]을 종합 전적 2-0으로 꺾고 올라온 [[미위팅]]. 2021년 1월 10~12일 응씨배 4강전에서도 이치리키 료를 꺾고 결승에 진출했다. 결승 상대는 [[신진서]]. 동시에 두 대회에서 결승전에 올랐다. 4월29일~5월 5일 몽백합배 결승에서 미위팅에게 종합 전적 2-3으로 패하며 준우승에 그쳤다. 이로써 생애 첫 메이저 세계 대회 우승은 무산되었다. 5월 30일 LG배 24강전에서 [[김명훈(1997)|김명훈]]에게 패하며 탈락했다. 10월 22일 삼성화재배 16강전에서 [[이동훈(1998)|이동훈]]에게 패했다. 2023년 7월 26일 [[국수산맥 국제바둑대회]] 16강전에서 [[김명훈(1997)|김명훈]]에게 반집패했다. 8월 3일 [[제5회 Mlily 몽백합배 세계 바둑 오픈전]] 64강전에서 [[위정치]]에게 패했다. 8월 21~23일 [[제9회 응씨배 세계 프로 바둑 선수권 대회]] 결승전에서 신진서에게 종합 전적 0-2로 패하며 준우승에 그쳤다. == 여담 == 랴오위안허, 리웨이칭, [[딩하오]]와 함께 2000년생 유망주로 꼽히고 있다. [[분류:2000년 출생]][[분류:닝보시 출신 인물]][[분류:바둑 기사/중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