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1 셰얼하오}}}[br] 謝爾豪 / Xie Erhao''' || ||<-2>{{{#!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셰얼하오(2023삼성화재배).jpg|width=100%]]}}}|| ||<:><#000> {{{#fff '''생년월일'''}}} || [[1998년]] [[9월 26일]]([age(1998-09-26)]세) || ||<:><#000> {{{#fff '''국적'''}}} || [include(틀:국기, 국명=중국)] || ||<:><#000> {{{#fff '''출생지'''}}} || [[후베이성]] [[우한시]] || ||<:><#000> {{{#fff '''직업'''}}} || [[바둑 기사]] || ||<:><#000> {{{#fff '''소속'''}}} || [[중국기원]] || ||<:><#000> {{{#fff '''단급'''}}} || 九단 || ||<:><#000> {{{#fff '''프로 입단'''}}} || [[2012년]] || ||<:><#000> {{{#fff '''한큐바둑 닉네임'''}}} || Terminator(终结者5) || [목차] [clearfix] == 개요 == [[중국]]의 [[프로]] [[바둑]] [[기사(바둑)|기사]]. == 경력 == 10대 초반에 입단한 해 첫 번째 [[바이링배 세계바둑오픈]]에서 4강까지 올랐고[* 14세의 나이로 세계 대회 4강에 올랐고 이 기록은 현재까지 최연소 세계 대회 4강 기록이다.], 2018년 2월 [[LG배]]에서 일본의 [[이야마 유타]]를 종합 전적 2-1로 꺾고 우승했다. 그 전해 [[삼성화재배]]에서 우승한 [[구쯔하오]], 몽백합배 4강에 진출한 [[리쉬안하오]]와 함께 3대 '하오'로도 불리며 주목받았다. 같은 해 3월 [[춘란배]] 16강전에서 한국의 [[김지석(바둑)|김지석]]에게 패했다. 5월 28일 LG배 32강전에서 [[박영훈(바둑)|박영훈]]에게 패하면서 탈락. 전 해 우승자가 다음 해에 우승한 경우가 없는 LG배의 징크스에 걸려들었다. 7월 24일 백령배 16강전에서 [[변상일]]에게 반집 차로 패했다. 9월 23일 천부배 A조 8강전에서는 [[천야오예]]에게 패배했다. 10월 2일 삼성화재배 8강전에서 [[이야마 유타]]를 이기고 준결승 진출. [[커제]]와 11월 5~7일 맞섰지만 종합 전적 1-2로 패하면서 결승 진출에는 실패했다. 2019년 3월 15일 중국 왕중왕전 결승에서 [[판팅위]]를 꺾고 우승했다. 8월 31일 삼성화재배 16강전에서 박정환에게 패하며 탈락했다. 2020년 8월 21일 농심배에서 박정환에게 패했다. 9월 8일 응씨배 28강전에서는 신진서에게 패했다.10월 31일 삼성화재배 준결승전에서도 신진서에게 패했다. 12월 29일 재개된 몽백합배 8강전에서는 미위팅에게 패했다. 2021년 5월 30일 LG배 24강전에서 [[강동윤]]에게 패해 탈락했다. 10월 20일 삼성화재배 32강전에서는 신진서에게 패배했다. 2022년 9월 16일 중국 CCTV배 결승에서 [[스웨]]에게 패하며 준우승에 그쳤다. 12월 16일 중국 아함동산배 결승에서 리친청에게 패하며 준우승에 그쳤다. 2023년 5월 6일 [[제1회 취저우 난가배 세계 바둑 오픈]] 16강전에서 박건호에게 패해 탈락했다. 8월 4일 [[제5회 Mlily 몽백합배 세계 바둑 오픈전]] 32강전에서 류위항에게 패하며 탈락했다. 11월 28일 [[제28회 삼성화재배 월드 바둑 마스터스]] 결승 최종국에서 [[딩하오]]에게 접전 끝에 패하며 종합 전적 1-2로 준우승에 그쳤다. 준우승을 차지했지만 이 대회에서 빠르고 정확한 속기 능력을 통해 공격적인 바둑을 구사하여 초읽기에 잘 몰리지 않은 상태로 바둑을 풀어가는 인상적인 모습을 많이 보여주었다. [[제25회 농심신라면배 세계바둑 최강전]]에서 중국 대표팀의 선봉으로 출전해서 [[쉬자위안]], [[변상일]], [[시바노 도라마루]]를 차례대로 꺾고 3연승을 기록했다. 삼성화재배 결승전을 치르고 부산으로 내려간 뒤 11월 30일에 열린 5국에서도 [[원성진]]에게 반집승을 거두고 4연승에 성공했고, 12월 1일에는 일본의 [[이치리키 료]]를 상대로 승리를 거두며 5연승으로 연승을 늘렸다. 2일에는 [[박정환]]을 제치고 6연승, 3일에는 일본의 [[위정치]]에게 완승으로 농심배 단일 대회 최다 연승 타이인 7연승에 성공했다. == 주요 대회 성적 == * 2012년 바이링배 4강 * 2018년 LG배 우승으로 9단 승단 / 삼성화재배 4강 * 2019년 중국 왕중왕전 우승 * 2020년 삼성화재배 4강 * 2022년 중국 CCTV배 준우승 /중국 아함동산배 준우승 * 2023년 삼성화재배 준우승 [[분류:1998년 출생]][[분류:바둑 기사/중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