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희왕]]의 ~~지속 마법~~ 최상급 펜듈럼 몬스터 카드. [include(틀:관련 문서, top1=세피라)] [목차] == 설명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46422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특수 소환=, 펜듈럼=, 효과=, 한글판명칭=세피라 트라 그라마톤, 일어판명칭=智天の神星龍(セフィラ・トーラ・グラマトン), 영어판명칭=Zefraath, 속성=땅, 종족=암석족, 레벨=11, 공격력=3450, 수비력=2950, P스케일=5, P효과외1="세피라 트라 그라마톤"의 펜듈럼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P효과1=①: 자신 메인 페이즈에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세피라" 펜듈럼 몬스터 1장을 골라\, 자신 엑스트라 덱에 앞면 표시로 넣고\, 이 카드의 펜듈럼 스케일을 턴 종료시까지\, 그 펜듈럼 몬스터의 펜듈럼 스케일과 같도록 한다., 효과외1=이 카드는 통상 소환할 수 없다. 이 카드가 엑스트라 덱에 앞면 표시로 존재하고\, "세피라" 몬스터 3장 이상을 포함하는 자신 필드의 몬스터를 전부 릴리스했을 경우에만 특수 소환할 수 있다., 효과1=①: 이 카드가 특수 소환에 성공한 턴에\, 자신은 통상의 펜듈럼 소환 외에도 1번만\, 자신 메인 페이즈에 "세피라" 몬스터를 펜듈럼 소환할 수 있다., 효과2=②: 1턴에 1번\, 자신 필드의 몬스터 1장을 릴리스하고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세피라" 몬스터 1장을 특수 소환한다.)] [[세피라]]의 이론상 에이스 몬스터로, OCG 최초의 레벨 11의 펜듈럼 / 특수 소환 몬스터다. [[A라고 쓰고 B라고 읽는다|"지천의 신성룡"이라 쓰고 "세피라 트라 그라마톤"이라 읽는다.]] 세피로트의 나무의 숨겨진 열한 번째 세피라 다 아트에 대응한다. 몬스터 효과는 최종병기답게 파격적이다. ①의 효과는 최초의 펜듈럼 [[이중소환]] 효과. 하지만 이 카드를 소환하면서 필드에 불러온 몬스터들을 전부 릴리스해야 하므로 전 턴에 펜듈럼 소환한 세피라 몬스터가 3장 이상 있는 희귀한 상황이 아닌 한, 첫 펜듈럼 소환시에 세피라 몬스터들의 효과를 안 쓰고 이 카드를 부른 다음, 이 카드의 효과로 한번 더 펜듈럼 소환하고 그때 효과를 발동하는 식의 플레이가 일반적일 것이다. 엑스트라 덱에 세피라 몬스터가 어느 정도 쌓였다면 세피라 테라나이트 같은 상대 견제형 세피라를 먼저 뽑아 상대 필드를 털어버린 다음에 릴리스해 이 카드를 뽑고, 전개형 세피라를 소환해 6가지 이상의 효과를 쓸 수도 있다. 세피라무피리카나 세피라르츠의 효과로 특수 소환한 몬스터를 재차 소환해 펜듈럼 효과를 발동하는 것도 된다. ②의 효과는 세피라 몬스터를 리크루트하는 효과. 세피라 펜듈럼 몬스터를 코스트로 사용해 필요한 세피라를 불러내고 코스트로 쓰인 몬스터를 펜듈럼 소환으로 다시 필드로 불러내면 된다. 릴리스하는 몬스터엔 아무 제약이 없으므로 [[아크 디클레어러]]나 [[룡성|원룡성-보우텐코우]]를 릴리스해 추가적인 어드벤티지를 얻을 수도 있다. 게다가 이런 효과들을 쓴다는 건 타점이 3000을 넘는 이 카드가 필드에 나섰단 의미도 되기에, 별다른 카운터 수단이 없다면 그 턴에 승부가 결정되는 일도 적지 않았다. 하지만 신 마스터 룰로 인해 이 카드를 몬스터로 꺼낸 상황에선 필연적으로 링크 마커도 없고 엑스트라 존도 이 카드가 차지하기에 펜듈럼 소환해도 패의 몬스터만을 꺼내야만 하며, 덱의 세피라를 리크루트하는 효과도 그 자체론 효과를 보기 곤란해졌다. 사실상 몬스터로서의 이 카드는 완벽한 예능 카드가 된 것. 세피라 덱 자체가 펜듈럼 굿스터프 싱크로 덱이 된 이후로는 굳이 소환할 이유를 억지로 찾을 필요도 없다. '''그래도 이 카드는 여전히 세피라 덱에서 매우 중요하다.''' 이 카드의 진가는 다름 아닌 펜듈럼 효과로, 덱의 세피라 몬스터를 엑스트라 덱으로 보내 펜듈럼 스케일을 조정하는 효과. 서치하는 효과가 아니라서 [[번개왕]], [[미스테이크(유희왕)|미스테이크]], [[하루 우라라(유희왕)|하루 우라라]] 같이 서치를 방해하는 카드가 있어도 안심하고 발동 가능하며, 안정적으로 해당 스케일의 세피라를 엑스트라 덱에 세팅할 수 있다. 다만, [[유령토끼]]를 맞을 경우 전개가 한방에 끊길 수 있기 때문에 주의할 것. 펜듈럼 스케일을 조정하는 것으로 세피라 몬스터들의 펜듈럼 소환이 편리해지며, 이 카드엔 세피라 특유의 소환 제약이 없으므로 반대편에 세피라 카드가 아닌 펜듈럼 카드를 세팅하면 세피라 외의 카드를 펜듈럼 소환할 수도 있다. 같은 스케일로는 조정할 수 없어 동명 카드를 세팅할 순 없지만 큰 문제는 없다. 때문에 유저들 사이에선 사실상 마법 카드 취급받는다. 다른 카드군엔 포함되지 않는 첫 세피라지만, 신탁, 신의의 서포트를 같이 받을 수 있어서 서치도 쉬우며, 위기시에 신의로 지킬 수도 있고, 엑스트라 덱에 앞면 표시로 놓인 이 카드를 신격의 코스트로 삼는 것도 된다. [[극한의 힘]]에서 발매된 [[펜듈럼 패러독스]] 덕에 엑스트라 덱에서 세피라 몬스터 2장을 샐비지할 수 있어 세피라웬디의 효과와 함께 쓰면 최소 3장 이상은 패에서 추가 펜듈럼 소환이 가능해졌다. [[카오스 임팩트]] 발매 후 세피라 덱에서 레벨 4 몬스터 2장을 전개한 다음 [[어영지사]]를 뽑아 서치하는 방법이 생겼다. 하지만 세피라는 신탁/신의로 서치 카드만 6장이며, 4축 엑시즈를 하기 쉬운 덱이 아니고 정 급하면 엘렉트럼으로 끌고 오면 되기 때문에 실전 구축에서는 사용하지 않는다. [[파일:유희왕 마스터 듀얼 그라마톤 소환 연출.gif]] [[유희왕 마스터 듀얼]]에서는 Live2D 연출이 있다. 물론 세피라 덱을 쓰더라도 실제로 소환할 일은 전혀 없다보니 볼 일이 없다. ||수록 시리즈 || ||<(> 2017-04-11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MACR-KR030 | '''[[맥시멈 크라이시스]]'''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R)][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E)][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L)] || ||<(> 2017-01-14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MACR-JP030 | '''[[맥시멈 크라이시스|MAXIMUM CRISIS]]'''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R)][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E)][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L)] || ||<(> 2017-05-05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MACR-EN030 | '''[[맥시멈 크라이시스|Maximum Crisis]]'''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R)] || === [[유희왕 OCG 듀얼 터미널]] 설정 === 어원은 [[야훼]]의 다른 호칭인 '''[[테트라그람마톤]]'''에 유대교의 경전 [[토라]]를 합친 말장난이며, 보석인 호안석도 고려한 것으로 보인다. 꼬리를 보면 세피라의 10개의 코어가 모두 모인 걸 확인할 수 있다. 이로써 세피라르츠이자 크리스타는 신으로까지 거듭난 것. 북미판에선 세피라와 다아트를 합친 이름이다. 공격력 / 수비력은 크리스타에서 각각 1000씩 올라갔다. 이름과 설정답게 [[젬나이트 크리스타]]의 최종 형태이며 듀얼 터미널 3기의 스토리를 종결시킨 주역이다. [[인페르노이드|인페르노이드 티에라]]가 [[창성신 tierra]]로 완전 부활해 지상에 대한 본격적인 공격을 감행하자 최후의 수단으로 프톨레마이오스는 룡성 9마리의 힘을 sefiroth 시스템에게 넘긴다(룡성의 구지). 그 결과 11번째 세피라가 각성해 세피라르츠=[[젬나이트 크리스타]]를 중심으로 모든 10개의 세피라를 융합시켜 탄생한 존재다. tierra와 천일천야를 싸운 끝에 격퇴하며 2기 스토리의 [[세이크리드 솜브레스|두]] [[벨즈 케르키온|전사]]와 같은 포지션이 됐다. 결전 후 그라마톤은 소멸하고 다시 크리스타의 모습으로 돌아왔다. 전체적으론 이런저런 것을 한가득 섞어놨는데 골반엔 [[룡성]]의 문양이 새겨졌고, 신체 구조는 [[스테라나이트 세이크리드 다이아]]를 기반으로 올섀도르-세피라르츠의 갑옷과 형체를 씌워놓은 모습이다. 꼬리에 달린 검은 세이크리드 다이아일 때부터 지니고 있던 검에 코어를 박아넣은 것이고, [[구체관절인형|각 관절에 박힌 구체]]는 [[섀도르]]의 것이며, 영혼은 [[네크로즈]]의 능력으로, 육신은 세피라의 능력으로 부활시켰다. 세피라+[[네크로즈]]+[[테라나이트]]+[[룡성]]+[[섀도르]]+[[젬나이트]]란, 듀얼 터미널 3기의 총집합이라고 할 수 있는 디자인. ~~[[령수]]는?~~[* 노치우드라고나 레이라우타리 등 토우테츠가 령수의 힘을 손에 넣은 것이 확인되었고, 이후 룡성의 구지에서 힘을 모을 때 령수의 능력도 들어갔다고 하면 령수 역시 융합에 기여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창성신 sophia]]랑 실루엣이 비슷한데 sophia가 세피로트 시스템의 관리자라서 그런듯. == 관련 문서 == [include(틀:젬나이트 크리스타)] === [[젬나이트 크리스타]] === [[분류:유희왕/OCG/암석족]][[분류:유희왕/OCG/펜듈럼 소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