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광명시 시내버스 회사)] [include(틀:양천구의 버스회사)] ||<-2> '''{{{+2 세풍운수 주식회사}}}'''[br]世豊運輸 株式會社[br]Sepoong Transportation Co., Ltd. || || '''설립일''' ||[[1973년]] [[10월 20일]] || || '''업종''' ||시내버스 운송업 || || '''대표자''' ||김재민 || || '''주요 주주''' ||'''권형선: 7.34%'''[br]'''문인수: 7.34%'''[br]박성규: 6.42%[br]{{{-2 (2022년 12월 31일 기준)}}} || || '''기업구분''' ||[[중소기업]] || || '''상장여부''' ||비상장기업 || || '''직원 수''' ||356명^^(2022년 12월 31일 기준)^^ || || '''자본금''' ||4억 6,325만원^^(2022년 기준)^^ || || '''매출액''' ||309억 8,323만 8,984원^^(2022년 기준)^^ || || '''영업이익''' ||-4,010만 868원^^(2022년 기준)^^ || || '''순이익''' ||4억 9,528만 2,733원^^(2022년 기준)^^ || || '''자산총액''' ||166억 4,880만 9,066원^^(2022년 기준)^^ || || '''부채총액''' ||54억 3,781만 3,038원^^(2022년 기준)^^ || || '''부채비율''' ||48.50%^^(2022년 기준)^^ || || '''소재지''' ||'''본사''' - [[경기도]] [[광명시]] [[안양천로]] 477 ([[철산동]])[br]'''양천영업소''' - [[서울특별시]] [[양천구]] [[신정로(서울)|신정로]]7길 17 ([[신정동(양천구)|신정동]], [[양천공영차고지]])[* 상법상 본점] || [목차] [clearfix] == 개요 == || [[파일:세풍6614번_개선형저상.png|width=100%]] || [[파일:6638 2788.jpg|width=100%]] || || [[서울 버스 6614|'''{{{#fff 6614번}}}''']] || [[서울 버스 6638|'''{{{#fff 6638번}}}''']] || 서울특별시의 [[버스 회사]] 중 하나로[* 정확히는 서울특별시 면허인 광명시 버스 회사이다. 광명시 철산동에 본사가 위치하고 있으며, 양천공영차고지에 영업소가 있다.] 주로 [[양천구]], [[구로구]], [[영등포구]]를 기점으로 운행하는 지선버스 노선을 운영하고 있는 회사다. == 역사 == * 1973년에 보성운수 오류동/신정동영업소가 분리되어 세풍운수가 창립되었다. * [[2004년 서울 시내버스 개편]]에 따라 2004년 7월 1일 자사가 운영하던 111(신정동 - 난곡)과 123(온수동 - 광화문) 노선이 폐선되었다. 그리고 121번의 광명시 구간을 분할하여 6513(철산동 - 서울대)번과 6638(철산동 - 오목교역)번으로 분리했다. == 여담 == * [[서울승합]]에서 떨어져 나온 [[보성운수]]의 오류동, 신정동 영업소[* 지금은 둘 다 신정동의 양천공영차고지로 통합되었으며, 구 신정동 영업소 자리에는 [[VIPS]]가 들어섰다. 지금은 패밀리 레스토랑 열풍이 식어버리면서 VIPS 신정점 역시 사라졌고 그 건물에는 일반 고깃집이 운영되고 있다.]가 분리되어 지금의 세풍운수가 되었으며, 현재까지 이어져 오고 있다.[* 보성운수와의 공통점이라면 두 회사가 2017년도에 구형 로얄시티 가스차를 같은 년도에 전멸시켰다는 것. 두 회사 모두 스마트폰 USB 충전포트와 스펀지 시트가 달려있는 화이버드를 보유한 것도 공통점이다. 보성운수는 가스, 세풍운수는 전기. 일부 차량번호 대역도 공유하고 있다.] * [[양천공영차고지]]가 등기상 본사이나, 실질적인 본사의 기능은 철산동영업소에서 이뤄지고 있다.[* 본사 노선인 [[서울 버스 6616|6616번]]의 경우 전기버스인 6대를 제외하면 가스 충전을 [[온수공영차고지]]에서 한다. [[서울 버스 6638|6638번]]과 [[서울 버스 6713|6713번]]은 아예 전 차량 전기버스여서 본사에서 충전한다. 철산동에 천연가스버스만 존재하던 시절에는 6616번을 제외한 나머지 노선들은 [[광명공영차고지]]나 [[양천공영차고지]]로 원정가서 충전했다.] [[온수역]]에서 도보 3~5분 거리에 자리잡고 있는 온수동차고지는 본래 세풍운수의 본사가 위치하고 있었으나 준공영제 이후 주간선 버스업체인 [[서울교통네트웍]]과 공동으로 쓰다가 차고지를 양도하고 2006년 초에 아예 신정동 영업소와 같이 정리해버리고 양천공영차고지에 입주했다.[* 6716번과 6613번이 [[온수역]] 구간을 2번 왕복하는 것이 이 때문이다.] 이 과정에서 본사 등기도 양천공영차고지로 옮겼으나, 철산동영업소가 자가 차고지인 만큼 주 사무실 등이 소재하고 있다.[* 사실 서울시내버스 업체 특성상 본사 등기는 서울시내에 있어야 한다. 그래서 이런 편법을 쓴 것. 예전 대원여객이나 현재 군포교통, 태릉교통, 서울매일버스 등도 이런 수를 쓰고 있다.] * '''서울 시내버스 주제에 [[경기도]] [[시흥시]] 연성1지구까지 가는''' 노선 길이 총 70㎞(왕복해서)의 6권역 최장거리 지선노선 6640번이 있었다. 긴 노선 길이 때문에 서울특별시와 세풍운수는 몇 차례 단축이나 폐선을 시도한 적이 있었으며, 여러 차례 감차를 단행하기도 했다. 결국 2010년 1월에 은행동으로 1차 단축이 이뤄졌으며[* 그래봐야 여의도 경유가 추가되어 전체 운행시간에서 큰 차이는 없었다. 천왕역 단축 때에 여의도 구간도 같이 삭제되었다.], 3개월 만인 4월 26일부터 [[천왕역]] 이후 구간이 다시 단축되었다. 이 2013년 9월 26일 부터 양천공영차고지-양천공영차고지의 순환 노선으로 개편된 6640A,B번을 볼 수 있다.[* [[천왕역]] 이남 구간은 [[시흥 버스 520|시흥 520번]]이 대체라고 신설됐는데, 대체는 커녕 배차간격이 엄청 벌어졌었다. 결국 현재는 폐선.] 그리고 6640의 단축으로 [[화영운수]]의 [[광명 버스 1|1번]]은 20분에 한 대 다니던 뒷방 늙은이 신세에서 차량 20대(!)가 증차되며 그야말로 날아올랐다. * 사실상 [[구로구]] 서부[* [[수궁동]], [[오류동(구로구)|오류동]], [[개봉동]][* [[고척동]]은 [[서울 버스 600|600번]]으로 인해 예외.]]와 [[광명시]] 북부[* [[철산동]], [[광명동]] 일부]의 교통을 책임진다. 특히 궁동 같은 경우는 부일로, 신정로를 제외한 모든 도로에서 달리는 버스들이 마을버스인 [[서울 버스 구로14|구로14번]]을 제외하면 모두 이 회사 소속이다. 그런데 그 구로14마저 배차간격이 길어서 사실상 궁동 독점 회사. 천왕동 역시 서울특별시 시내버스를 독점했으며 딱히 경쟁할 노선이 [[서울 지하철 7호선|7호선]]이나 [[서울 버스 구로04|마을버스]] 밖에 없다. * 최근에는 [[부천시]] 일부 지역에 진출하였다. [[서울 버스 6614|6614번]]이 [[옥길지구]]를 경유하고, [[서울 버스 6615|6615번]]은 [[역곡역]]을 경유하면서 부천시민의 발로도 어느 정도 영향력을 행사하게 됐다.[* 정확히는 부천시에서 다시 존재감을 드러낸 것이다. 과거 심야좌석버스인 905번(송내역~영등포)을 운행했던 경력이 있었는데, 대개편 전에 경성여객(현 [[부천버스]])에 노선을 양도하면서 경기도 면허의 노선으로 바뀌었다. 이 노선이 지금의 [[부천 버스 83|83번]].][* 이 과정에서 [[성광운수]]와의 경쟁이 본의 아니게 치열해지게 되었다. 정작 차고지까지 있는 [[광명시]]에서는 [[화영운수]]와의 직접적인 경쟁이 크게 있지는 않다.] * '''그럼에도 불구하고 소속 노선들의 배차간격은 좋지 못한 편.''' 소속 노선들의 평균 배차간격이 15분 정도이다. 가장 심각한 노선들은 [[서울 버스 6613|6613]], [[서울 버스 6615|6615]], [[서울 버스 6638|6638]]이 꼽힌다. 구로구 마을버스들과 배차간격으로 경쟁할 정도. 기본 배차간격이 10분을 넘어가는데 [[경인로]], [[목동로]], [[남부순환로]] 등지에서 막히기라도 한다면... 그나마 [[서울 버스 6713|6713번]]과 [[서울 버스 6716|6716번]] 정도가 배차가 좋은 편이다. * 막차가 비교적 이른 편이다. (회차지 기준 23:40~23:50) * 아마추어 축구단을 운영'''했'''다. * 철산동에 살았던 사람들은 알만한 노선인 121, 121-1번이 바로 세풍운수 철산동 지사의 노선인 6616(구 121-1), 6513(구 121)번이다. 하지만 이 동네 사람들은 '''누구도 6513을 121번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광명시에서 121번의 정체성은 '''북고, 철산13단지, 철산역, 광명사거리, 제일제당, 신도림역, 영등포역'''이었기 때문. 오히려 목동 경유로 개편되기 전 6638이 철산동 사람들에게는 121번의 단축형 후계노선으로 받아들여졌고 구 6513은 30번과 121번이 뒤섞인 혼종 정도였다. * 6616번 같은 경우는 [[철산역]]의 상업지구와 [[광명사거리역]]의 [[광명시장]]을 거쳐 가는 상당히 돌아가는데다가 수궁동에서도 빙빙 돌아대는 시티투어 버스이기 때문에 철산동에서 [[온수역]]에 가야 한다면 그냥 7호선이 답이다. 아니면 11-1번 타고 제일제당까지 나가서 환승하는 방법도 있다. === 차량운용 === * 본래 대우자동차를 선호하던 회사였다. 과거에는 [[현대 RB버스|RB520]]를 운용하기도 했고, 1994~1995년에 에어로타운이 투입되기는 했지만, 사실 이건 대우에서 중형 버스를 출시하지 않았기 때문에 궁여지책으로 뽑은 쪽에 가깝다. 1997~1998년에 BM090을 출고하여 460번에 투입하였고, 2003년에 에어로타운을 전부 BS090으로 교체하면서 전부 대우차만 운행하던 시절이 있었다. 이러한 대우차 선호가 깨진 것은 2014년 12월의 일. * 2014년 12월부터 현대와 대우 차량을 혼용하기 시작했다. 물론 2015년 1월에 [[자일대우버스 BS|NEW BS110]]을 출고해 당시 6716번에 투입했고, 동년 12월에는 [[자일대우버스 BS|NEW BS106]]을 출고해 6513번에 투입했었다. 2017년 4월에는 [[자일대우버스 BS|NEW BS090]]을 출고했고 그뒤로도 대형차량은 뉴 슈퍼 에어로시티 일반형이나 저상을, 중형차량은 NEW BS090을 출고하는 방식으로 혼용 출고를 했지만[* 이는 [[도원교통(서울)|도원교통]]에서도 사용했었지만 도원교통 역시 완전히 현대차로 전향했다.] 대우버스의 고질적인 문제가 개선이 되지 않았다고 2019년 7월에 그린시티를 처음으로 출고하면서 현대차로 돌아서는 듯 싶었으나. * 2019년에 전기버스 운영업체로 선정되어 12대를 배정받았으나 11대로 줄었으며 전부 6638번에 투입되었다. [[https://gall.dcinside.com/transit/159873|출처]] 에디슨 모터스 e-화이버드와 현대 일렉시티를 도입하였다. 그리고 2020년 12월 2일 일렉시티 1대, E-SKY 2대를 출고했다. E-SKY는 창원, 양주, 김포에 이어 4번째로 서울 최초로 출고했으며, 전부 6513번(현.6713번)으로 투입한다. 2021년 11월 22일 [[우진산전 아폴로 1100]] 4대를 출고했다. 이로써 서울 최초로 4개 제조사의 전기버스를 보유하게 되었다. *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업체 중에서 [[차돌리기]]가 매우 잦은 회사이기도 하다. 대개편 이후에는 대체적으로 가스 충전이 편한데다가 이용객이 많은 6716번 위주로 신형 차량 투입이 이뤄졌다. 반면에 철산동 소속 노선들은 가스 충전소가 없어서 노후 차량이 집중적으로 투입되었다. 하지만 2019년부터 철산동 위주로 전기버스 신차가 투입되면서 본사와 신정동영업소 상황이 뒤바뀌었다. * 철산동 본사는 주로 [[전기버스]]를 운용하며[* 단 [[서울 버스 6616|6616번]]의 경우 종점인 [[온수동차고지]]에 CNG 충전소가 있어 가스차량이 상당수다.] 양천공영차고지 영업소는 [[천연가스버스]]로만 운용한다. * 2011년부터 2014년 11월까지는 신차소식이 없었다. 2014년 12월 이후로는 컴텔싸인으로 출고하지만 2016년식 고상차량만 한시적으로 다시 싸인텔레콤으로 출고했다. == 보유 노선 == __밑줄__ 표기 구간은 '''양방향이 동시에 경유하는 구간'''이다. 이 구간에서는 버스 행선판으로 목적지를 확인한 후 이용해야 한다. === 철산동본사 소속 === || '''번호''' || '''기점''' || '''주요 경유지''' || '''종점''' || '''배차간격''' || || '''[[서울 버스 6616|{{{#5bb025 6616}}}]]''' ||<|3> 철산동 || 모세로삼거리 - [[철산역]] - [[광명사거리역]] - [[오류동역]] - __원각사입구__ - 우신고등학교 - __온수힐스테이트__ - [[온수역]] || 온수동종점 || 11~16 || || '''[[서울 버스 6638|{{{#5bb025 6638}}}]]''' || 모세로삼거리 - [[철산역]] - [[광명사거리역]] - [[개봉역]] - 봉영여중.목동고 - [[목동역]] || [[오목교역]] || 10~15 || || '''[[서울 버스 6713|{{{#5bb025 6713}}}]]''' || 철산두산위브아파트 - 동양미래대학교 - [[구로역]] - [[신도림역]] - 도림사거리 - 신길뉴타운 - 서울지방병무청 - [[여의도역]] - [[신촌역(도시철도)|신촌역]] || [[홍대입구역]] || 10~12 || === 양천영업소 소속 === || '''번호''' || '''기점''' || '''주요 경유지''' || '''종점''' || '''배차간격''' || || '''[[서울 버스 6613|{{{#5bb025 6613}}}]]''' ||<|6> [[양천공영차고지]] || 서서울생활과학고 - __수궁동주민센터 - 온수동종점 - 온수힐스테이트 - 수궁동주민센터__ - (← 원각사입구 ←) - 궁동입구 - [[오류동역]] - (→ 개봉푸르지오 →/← 고척근린시장 ←) - 봉명여중.목동고 - [[구로역]] → 구로보건소 → [[대림역]] → 구로구청 → 구로변전소 → [[구로역]] || [[대림역]] || 14~19 || || '''[[서울 버스 6614|{{{#5bb025 6614}}}]]''' || __신정이펜하우스__ - [[신정네거리역]] - [[목동역]] - [[양천구청역]] - 신트리아파트 - 신정현대아파트 - [[오류동역]] - 유한공고.성공회대 - 항동하버라인 || 옥길지구 || 10~16 || || '''[[서울 버스 6615|{{{#5bb025 6615}}}]]''' || 서서울생활과학고 - [[온수역]] - [[역곡역]] - 항동행정복지센터 - [[천왕역]] || 천왕동 || 13~20 || || '''[[서울 버스 6640|{{{#5bb025 6640A}}}]]''' || 신트리아파트 → 양천구청 → [[오목교역]] → 당산동진로아파트 → 경방타임스퀘어 → [[구로역]] → [[개봉역]] → [[오류동역]] → [[천왕역]] → 천왕이펜하우스 → [[천왕역]] → 서서울생활과학고 || [[양천공영차고지]] || 11~16 || || '''[[서울 버스 6640|{{{#5bb025 6640B}}}]]''' || 서서울생활과학고 → [[천왕역]] → 천왕이펜하우스 → [[천왕역]] → [[오류동역]] → [[개봉역]] → [[구로역]] → 경방타임스퀘어 → 당산동진로아파트 → [[오목교역]] → 양천보건소 → 신트리아파트 || [[양천공영차고지]] || 12~16 || || '''[[서울 버스 6716|{{{#5bb025 6716}}}]]''' || __서서울생활과학고 - 온수동종점 - 서서울생활과학고__ - 신트리아파트 - [[신정네거리역]] - 까치산시장 - 대일고교 - [[염창역]] - [[양화대교]] - [[합정역]] - [[홍대입구역]] - 신촌로터리 → [[서강대학교]] → [[대흥역]] → 이대입구 → 신촌로터리 || 이대입구 || 9~11 || === [[폐선]]된 노선 === * [[부천 버스 83|905]] : [[부천시|부천]] [[송내역]] - [[영등포역]](심야좌석, 2002년 [[부천버스|경성여객(부천시 면허업체 현.부천버스 옛 이름)]]으로 매각) * 6513 : 철산동영업소 - [[서울대학교]](2022년 10월 17일부로 홍대입구역으로 변경 후 6713번으로 변경) * 6612 : 양천공영차고지 - [[구로디지털단지역]](이대역 연장으로 6716번으로 변경) * 6615 : 온수동차고지 - 목동아파트단지(폐선) * 6619 : 신정동차고지 - [[당산역]](폐선) * 6622 : 신정동 순환(폐선) * 6636 : 철산동영업소 - [[당산역]](폐선) * 6656: 온수동차고지 - 초운교회(폐선) * 6657 : 양천공영차고지 - 영등포(폐선, [[서울 버스 6657|도원교통 6657번]]과 무관) (구) 6615, 6622, 6636, 6656은 신설된지 반년도 안 돼서 폐선되었다.[* 6636을 없애면서, 당시 신정동에서 바로 시흥으로 빠지던, 6640번이 영등포를 찍고가게 바뀌었다.][* 6622번은 고작 '''40일'''동안 운행했던 노선이다.] 그나마 오래 살아남은 것 같지만, 6619, 6657도 2005년 중순에 없어졌다.[* 세풍운수가 쓸데없는 노선들을 많이 받아간 것은, 주력 노선인 111, 123이 폐선되면서 남은 차들이 많았기 때문이다.] == 면허 체계 == * 서울 '''70'''사 '''83##'''호[* [[구로구]] 면허의 [[시내버스]] 회사들 증차번호] * 서울 '''74'''사 '''2725'''호 ~ '''2882'''호[* 보성운수와 공유. 이는 보성운수로부터 분리된 흔적이다.] * 서울 '''74'''사 '''5956'''호 ~ '''6037'''호[* 폐업해서 없어진 구.신촌운수 주 면허.] * 서울 '''74'''사 '''97##'''호[* 구 서울시영버스 면허.] * 서울 '''75'''사 '''3431'''호 ~ '''3455'''호[* 본 회사 증차 면허.] * 서울 '''75'''사 '''83##'''호[* [[구로구]] 면허의 [[마을버스]] 회사들 증차번호] == 보유차량 == === 현재 보유차량 === ==== [[현대자동차]] ==== * [[현대 그린시티|현대 그린시티 F/L 천연가스버스]] * [[현대 슈퍼 에어로시티|현대 뉴 슈퍼 에어로시티 F/L 도시형버스 L 천연가스버스]] * [[현대 슈퍼 에어로시티|현대 저상 뉴 슈퍼 에어로시티 F/L 천연가스버스]] * [[현대 슈퍼 에어로시티|현대 저상 뉴 슈퍼 에어로시티 2차 F/L 천연가스버스]] * [[현대 일렉시티|현대 일렉시티 전기버스]] ==== [[자일대우버스]] ==== * [[자일대우버스 BS|대우 NEW BS090 뉴 로얄미디 천연가스버스]] * [[자일대우버스 BS|대우 NEW BS106 뉴 로얄시티 천연가스버스]] * [[자일대우버스 BS|대우 NEW BS110 천연가스버스]] ==== [[KGM커머셜]] ==== * [[에디슨 화이버드|에디슨 NEW e-화이버드 전기버스]] * [[KGM커머셜 스마트|KGM커머셜 스마트 110 전기버스]] ==== [[우진산전]] ==== * [[우진산전 아폴로 1100|우진산전 아폴로 1100 전기버스]] ==== [[황해자동차]] ==== * [[황해자동차 E-SKY|황해자동차 E-SKY II 전기버스]] === 과거 보유차량 === ==== [[자일대우버스]] ==== * [[대우버스 BM090|대우 BM090 로얄미디 디젤]] * [[자일대우버스 BS|대우 BS090 로얄미디 디젤]] * [[자일대우버스 BS|대우 BS090 로얄미디 천연가스버스]] * [[자일대우버스 BS|대우 BS090 로얄미디 F/L 천연가스버스]] * [[새한 BD|새한 BD098 디젤]] * [[자일대우버스 BF|대우 BF101 디젤]] * [[자일대우버스 BS|대우 BS105 디젤]] * [[자일대우버스 BS|대우 BS105L 디젤]] * [[자일대우버스 BS|대우 BS106 하이파워 디젤]] * [[자일대우버스 BS|대우 BS106L 하이파워 디젤]] * [[자일대우버스 BS|대우 BS106L 로얄시티 디젤]] * [[자일대우버스 BS|대우 BS106 로얄시티 천연가스버스]] * [[자일대우버스 BS|대우 BS106 로얄시티 F/L 천연가스버스]] * [[자일대우버스 BS|대우 BS110CN 천연가스버스]] * [[자일대우버스 BS|대우 BS110CN F/L 천연가스버스]] * [[자일대우버스 BV|대우 BV101 디젤]] * [[자일대우버스 BH|대우 BH115H 로얄익스프레스 디젤]] * [[자일대우버스 BH|대우 BH116 로얄럭셔리 디젤]] ==== [[현대자동차]] ==== * [[현대 에어로타운|현대 에어로타운 디젤]] * [[현대 FB버스|현대 FB485 디젤]] * [[현대 RB버스|현대 RB520L 디젤]] * [[현대 RB버스|현대 RB520SL 디젤]] * [[현대 에어로시티|현대 에어로시티 540 디젤]] ==== [[기아]] ==== * [[기아 AM버스|기아 AM807 디젤]] * [[기아 코스모스|기아 AM818 코스모스 디젤]] == 지배구조 == 2022년 12월 기준 || 주주명 || 지분율 || 비고 ||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2]]]] 권형선 || 7.34%|| 이사 ||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2]]]] 문인수 || 7.34%|| ||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2]]]] 박성규 || 6.42%|| 이사 ||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2]]]] 이춘옥 || 6.42%|| || ||기타(이상돈 외) || 72.48%|| 40인 || == 둘러보기 == [include(틀:서울특별시의 버스 회사)] [include(틀:서울특별시의 버스 회사/관외)] [[분류:서울특별시의 시내버스 회사]][[분류:서울 양천구의 교통]][[분류:부천시의 교통]][[분류:1973년 설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