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세종특별자치시의 고등학교]][[분류:예술고등학교]][[분류:2018년 개교]][[분류:나무위키 교육기관 프로젝트]] [include(틀:다른 뜻1, other1=이 문서는 세종특별자치시에 있는 예술고등학교에 관한 문서입니다. 세종특별자치시에 있는 과학예술영재학교, rd1=세종과학예술영재학교)] [include(틀:교육기관)] [include(틀:대한민국의 예술고등학교)] [include(틀:세종특별자치시의 고등학교)] ||<-2> '''{{{#white {{{+1 세종예술고등학교}}}[br]SEJONG HIGH SCHOOL OF ARTS [br] 世宗藝術高等學校 }}}''' || ||<-2> [[파일:세종예고.jpg|width=100%]] || ||<-2> [include(틀:지도, 장소=세종예술고등학교, 너비=100%)] || || {{{#black '''개교'''}}} || [[2018년]] [[3월 1일]] || || {{{#black '''유형'''}}} || [[특수목적고등학교]] || || {{{#black '''성별'''}}} || [[남녀공학]] || || {{{#black '''운영 형태'''}}} || [[공립]] || || {{{#black '''교장'''}}} || 황덕수 || || {{{#black '''학생 수'''}}} || 230명[br]([[2023년]] 기준) || || {{{#black '''교직원 수'''}}} || 46명[* 강사 제외][br]([[2023년]] 기준) || || {{{#black '''관할 교육청'''}}} || [[세종특별자치시교육청]] || || {{{#black '''소재지'''}}} || [[세종특별자치시]] 중앙공원서로 60[br]([[세종동]] 551-136) || ||<-2> [[http://sjarts.sjeduhs.kr/index.do?sso=ok|홈페이지]] [[https://youtube.com/@user-sp7tv5vr1z|유튜브]] || [목차] [clearfix] == 개요 == [[세종특별자치시]] [[세종동]]에 위치한 공립 [[예술고등학교]]이다. [[2018년]] [[3월 1일]] 개교하였으며, 세종특별자치시 내 첫 예술고등학교이자 '''유일한''' 예술고등학교이다. == 학교 연혁 == || 2017년 5월 || 특수목적고등학교 지정 || || 2017년 7월 || 자율학교 지정[* 2018.03.01. ~ 2023.02.28. (5년)] || || 2018년 1월 || 개교 T/F팀 운영 || || 2018년 3월 || 임진환 초대 교장 취임 || || 2018년 3월 || 제1회 입학식 || || 2019년 3월 || 제 2회 입학식 || || 2020년 3월 || 제 3회 입학식 || || 2021년 1월 || 제1회 졸업식 || || 2022년 2월 || 제2회 졸업식 || || 2022년 3월 || 황덕수 제2대 교장 취임 || || 2022년 3월 || 제5회 입학식 || || 2023년 2월 || 제3회 졸업식 || || 2023년 3월 || 제6회 입학식 || [[세종특별자치시]] 내에는 2018년 이전까지 [[예술고등학교]]가 없었다. 때문에 세종시에 거주하는 예술고 지망 학생들은 [[천안시|천안]]에 위치한 [[충남예술고등학교]]나 [[충북예술고등학교]]로 진학해야 했는데, 문제는 세종시에서 천안/청주간 거리가 꽤 되는지라 통학하는데 상당히 시간을 투자해야 했다. 또한 두 학교 모두 과가 3개 밖에 없어서[* 실용과, 무용과, 음악과.] 입시의 폭도 꽤 좁은 상황이었다. 이 때문에 세종시에서도 예술고등학교를 설립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되었고, 2016년 개교 예정이었으나 모종의 사정으로 2년이 미뤄져 결국 2018년 3월 1일부터 개교하게 됐다. 따라서 세종시에 거주하는 2018학년도 예술고 입시생들부터[* 2002년생~] 세종예술고등학교로 진학할 수 있게 됐다. == 학과 == 한 학급당 20명, 총 80명을 선발한다. 음악과, 미술과, 실용음악과, 공연예술과로 나뉘어져 있다. 과당 1학급으로 3년 내내 같은 반이다. === 음악과 === ==== 전공 ==== * [[양악]] *[[피아노]] *[[기악]] *[[현악기|현악기군]]: 바이올린, 비올라, 첼로, 콘트라베이스 등 *[[금관악기|금관악기군]]: 트럼펫, 트럼본, 튜바, 호른등 *[[목관악기|목관악기군]]: 플루트, 오보에, 클라리넷, 바순, 색소폰 등 *[[타악기|타악기군]]: 마림바, 팀파니 등 *[[성악]] *[[성악]]: 소프라노, 알토, 테너, 베이스 *[[작곡]] *[[작곡]]: 작곡 *[[국악]] *[[기악]] *[[현악기|현악기군]]: 가야금, 거문고 등 *[[관악기|관악기군]]: 대금, 피리, 해금, 아쟁 등 *[[타악기|타악기군]]: 국악타악 *[[성악]]: *[[가야금|가야금병창]]: 가야금병창 *[[판소리]]: 판소리 *[[민요]]: 민요 *[[정가]]: 정가 ==== 생활 ==== ==== 실기실 ==== 관현악실 : 1 국악합주실 : 1 음악이론실 : 1 렛슨실 : 4 개인연습실 : 60[* 입학 시 배정받아 1인 1연습실을 쓸 수 있다.] === 미술과 === ==== 전공 ==== *[[한국화]]: 정신적 · 상징적인 미와 선을 중시하며 현대사회 미술의 시대적 변화에 따른 다양한 체험을 제공하고 수묵화, 수묵 담채화, 채색화로 구분하여 작품을 연구하며 진로와 연계, 학생들의 미래사회 적응력을 키워나감. *[[서양화]]: 서양화의 전통적인 재료와 화법을 연구하고, 현대 사회의 예술성을 체험하며 학생들의 창의적 사고력을 바탕으로 서양예술의 다양한 미적 체험을 제공함으로 진로와 연계하여 학생들의 미래사회 적응력을 키워나감. *[[조소]]: 입체적인 미술품을 만드는 미학과 재료학을 기반으로 학습에 참여하고 현대사회에서 요구하는 예술가를 육성하기 위한 특성화된 전공프로그램을 제공함으로 진로와 연계하여 미래사회 적응력을 키워나감. *[[디자인]]: 주어진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여러 조형요소(造形要素)을 활용하며 그에 따른 예술적 체험과 합리적 사고력을 키우기 위한 특성화된 전공 프로그램을 제공함으로 진로와 연계하여 미래사회 적응력을 키워나감. ==== 생활 ==== ===== 성적 ===== 타 예체능과에 비해 성적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과인지라 미술과 학생들의 성적이 압도적으로 높다. 국어 모의고사 1등급이 20명 중 8명 있었다고 한다. 그래서 학교의 내신은 미술과 + 작곡전공 + 연출전공 + a[* 소수의 공부의 끈을 놓지 않은 학생들] 정도의 싸움이라고 볼 수 있다. 학생수가 적어 1등급이 3명, 2등급 6명으로 경쟁도 치열한 편이다. ===== 기타 ===== 별도의 기숙사는 없다. 2020년 무렵 기숙사를 신설해야 한다는 얘기가 나왔으나, 학교 측에서 기숙사 신설 대신 지역 학생들의 선발 비율을 늘릴 것이라는 답을 내놓았다. [[https://www.sjpost.co.kr/news/articleView.html?idxno=53342|#]] 또한 학생들 상당수가 세종시 내에 살고 있는 학생들이라는 것 때문에, 기숙사를 신설해도 인원이 충분하지 않다. ==== 행사 ==== ===== 예울림전 ===== 12월 말마다 하는 미술과 전시회이다. --전시장도 제대로 없어 아트리움 1층 파랑벽 나무벽에 걸고 보러오는 사람들도 적다-- ==== 실기실 ==== 한국화실 : 2 서양화실 : 3 조소실 : 2 디자인실 : 3 미술창작실 : 2 컴퓨터그래픽실 : 2 소묘실 : 1 공예실 : 1 조형실 : 1 판화실 : 1 패션실 : 1 교사실 : 1 === 실용음악과 === ==== 전공 ==== *[[보컬]]: 체계적인 호흡법과 발성법을 바탕으로 성대와 구강 구조를 이해하고 개인이 가진 음색을 각 장르에 적합한 톤으로 개발하여 적용함으로써 보컬에 관련된 다양한 이론과 실기를 학습한다. *[[작곡]]: 기초악전과 화성법 및 악기론을 통해 선율을 작곡하고 편곡할 수 있는 기술을 익힌다. 또한 외장 모듈과 음악 장비(컴퓨터, 신디사이저) 등으로 시그널 프로세서를 소프트웨어(Cubase, protools)로 구현하는 방법을 학습하고 본인이 작ㆍ편곡한 곡을 수준 높은 사운드로 연출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피아노]]: 다양한 스케일을 중심으로 재즈 화성과 재즈, R&B, FUNK, GOSPEL 등 여러 장르의 리듬을 습득한다. 또한 블루스를 통한 즉흥 연주와 FUNK, POP BALLAD, R&B 등 모든 장르의 연주법을 익힌다. *[[일렉기타]]: 다양하게 발전하고 있는 연주스타일, 장르별 리듬, 화성적 발전과 사운드이펙터의 개발 등 변화에 발맞추어 기본 스케일부터 다양한 코드과 주법, 재즈화성을 기타에 접목시키는 방법을 교육한다. *[[베이스]]: 베이스 연주자로서 갖추어야 할 필수 장르에 대한 교육, 그리고 초견과 플레잉테크닉을 익힌다. 또한 리듬연주를 배우며 단계적으로 화성학을 적용하여 연주에 필요한 다양한 테크닉을 익히는데 목표를 두고 있다. *[[드럼]]: 드럼연주의 기본이 되는 기초 이론과 악보 보는 법, 스틱 잡는 법, 기본 4비트에서 32비트까지 다양한 리듬의 종류와 연주 테크닉 등을 익힌다. ==== 실기실 ==== 녹음실 1 대합주실 1 소합주실 3 건반연습실 1 음악이론실 1 렛슨실 2 개인연습실 60 === 공연예술과 === ==== 전공 ==== *[[연기]]: 연기 전반에 관한 이론과 실습에 대한 교육을 통해 지성, 감성, 인성을 갖춘 연기자가 될 수 있도록 교육. *[[연출]]: 예술 전반에 대한 깊은 이해와 통찰력을 통해 공연예술 작품을 완성 시킬 수 있는 창조적인 예술인에 대한 교육 *[[안무]]: 무용에 대한 이론과 실습을 교육하고 신체를 통하여 스스로의 몸짓 언어를 만들 수 있는 안무가로써의 교육 ==== 실기실 ==== 연기연습실 1 안무실 1 공연연습실 1 극창작실 1 보컬실 1 미디어실 1 영상스튜디오 1 ==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 학교 앞에 세종시의 공공자전거인 뉴어울링이 설치되어 있어 쉽게 대여가 가능하다. === 시내버스 === * [[세종 버스 203|지선 203번]]: 세종예술고등학교~[[도담동]]~[[다정동]]~[[정부세종청사]]~세종예술고등학교 : 2018년 12월 1일 개통하였다. 아침버스를 탈 때 세종예고 학생인지 여쭤보는 기사님이 한 분 계신데, 맞다고 하면 본인 피셜 대단한 비밀을 알려주신다. * [[세종 버스 204|지선 204번]]: [[공정거래위원회]]~[[정부세종청사]]~[[다정동]]~[[새롬동]]~[[한솔동]]~[[세종예술고등학교]]~[[공정거래위원회]], 평일에만 세종예술고등학교를 경유한다. 6분마다 10분 간격으로 온다. 학교 정류장에서 학교까지 제법 거리가 있는 편이라, 기사님따라 멀리서 뛰어오는 학생들을 받아주기도 하고 쌩 지나쳐가는 경우도 있다. == 출신 인물 == ||[[가나다순]]으로 정렬해주시기 바랍니다.|| ||[[나무위키]]에 등재될 정도의 저명성 있는 인물만 기록 가능합니다.|| * [[구승현]]^^(공연예술과 / 3기)^^ == 기타 == * 설립 시기가 늦어 역대 재학생들의 나이도 많이 어린 편이다. 1기가 2018년에 입학한 2002년생이며, 2023년 입학한 현재 1학년인 6기가 2007년생이다. 이 때문에 전국 예고들 중 역대 재학생들 중 20세기 출생자가 단 한 기수도 없는 몇 안 되는 학교 중 하나다. * 세종예술고등학교가 설립된 이후 세종시 내의 예술고 지망생들은 대부분 여기로 진학한다. 충남, 충북권 학생들은 기존대로 충남예고나 충북예고로 많이 가는 편. * 개교한 지 5년도 안 된 새 학교다 보니, 시설적인 면에서 퀄리티가 좋다. 실용음악과 학생들에게 개인연습실이 제공되는 것은 물론, 전문적인 녹음 스튜디오까지 갖추고 있다. 학교 규모도 예고들 중 가장 큰 편에 속한다. == 사건 사고 == * 등록지는 연기면이 맞는데, 동 소재로 착각한 행정적 실수로 수업료 3300만원을 더 걷는 사태가 발생했다.[[http://cc.newdaily.co.kr/site/data/html/2020/06/09/2020060900251.html|기사]] 당연히 환불은 이루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