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세종대학교/학부)] [include(틀:다른 뜻1, other1=창의소프트학부(디자인이노베이션 전공·만화애니메이션텍 전공), rd1=세종대학교/학부/소프트웨어융합대학)] [include(틀:세종대학교)] [include(틀:세종대학교/학부)] [목차] == 개요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812324, #B93234, #B93234,#B93234, #B93234, #812324)" [[세종대학교|[[파일:세종대학교 엠블럼.svg|width=30¢er]]]] {{{+1 {{{#ffffff '''세종대학교 예체능대학'''}}}}}} ^^{{{#FFFFFF College of Arts and Physical Education}}}^^ }}}|| ||<:>학과||<:>전공|| ||<|2><:>[[세종대학교/학부/예체능대학#회화과|회화과]] {{{-1 [include(틀:표시, other1=#D3D3D3, other2=#FFFFFF, other3=교직)]}}}||<:>한국화전공|| ||<:>서양화전공|| ||<:>[[세종대학교/학부/예체능대학#패션디자인학과|패션디자인학과]] {{{-1 [include(틀:표시, other1=#D3D3D3, other2=#FFFFFF, other3=교직)]}}}||<:>-|| ||<|4><:>[[세종대학교/학부/예체능대학#음악과|음악과]] {{{-1 [include(틀:표시, other1=#D3D3D3, other2=#FFFFFF, other3=교직)]}}}||<:>피아노전공|| ||<:>관현악전공|| ||<:>성악전공|| ||<:>실용음악전공|| ||<:>[[세종대학교/학부/예체능대학#체육학과|체육학과]] {{{-1 [include(틀:표시, other1=#D3D3D3, other2=#FFFFFF, other3=교직)]}}}||<:>-|| ||<:>[[세종대학교/학부/예체능대학#무용과|무용과]] {{{-1 [include(틀:표시, other1=#D3D3D3, other2=#FFFFFF, other3=교직)]}}}||<:>-|| ||<|2><:>[[세종대학교/학부/예체능대학#영화예술학과|영화예술학과]] {{{-1 [include(틀:표시, other1=#D3D3D3, other2=#FFFFFF, other3=교직)]}}}||<:>연출·제작전공|| ||<:>연기예술전공|| ||<-2><:>[include(틀:표시, other1=#D3D3D3, other2=#000000, other3=FM: -)]|| ||<-2><:>연혁[* [[http://www.sejong.ac.kr/sejong/catalog.html?menu_id=2.1#none|2022년도 세종요람 - 연혁, 학사학위수여자현황]]]|| ||<-2><:>{{{#!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연도||<:>단과대학|| ||<:>1964||<(>수도여자사범대학(4년제) 예술학부, 체육학부[*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64012400329207032&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64-01-24&officeId=00032&pageNo=7&printNo=5617&publishType=00020|경향신문 - 수도여자사범대학 1964학년도 학생모집]]]|| ||<:>1966||<(>수도여자사범대학 예능학부[*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65122900239102029&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65-12-29&officeId=00023&pageNo=2&printNo=13748&publishType=00010|조선일보 - 수도여자사범대학 1966학년도 학생모집]]]|| ||<:>1967||<(>수도여자사범대학 예능부문[*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66121500329202031&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66-12-15&officeId=00032&pageNo=2&printNo=6515&publishType=00020|경향신문 - 수도여자사범대학 1967학년도 학생모집]]]|| ||<:>1970||<(>수도여자사범대학 예능학부[*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69123100239101030&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69-12-31&officeId=00023&pageNo=1&printNo=14990&publishType=00010|조선일보 - 수도여자사범대학 1970학년도 학생모집]]]|| ||<:>1974||<(>수도여자사범대학 예능학부, 체능학부[*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73122300239108020&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73-12-23&officeId=00023&pageNo=8&printNo=16222&publishType=00010|조선일보 - 수도여자사범대학 1974학년도 학생모집]]]|| ||<:>1975||<(>수도여자사범대학 미술학부, 음악학부, 체육학부[*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75010600329203010&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75-01-06&officeId=00032&pageNo=3&printNo=9008&publishType=00020|경향신문 - 수도여자사범대학 1975학년도 학생모집]]]|| ||<:>1978||<(>세종대학(4년제) 미술학부, 음악학부, 체육학부[*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78120500239101002&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78-12-05&officeId=00023&pageNo=1&printNo=17741&publishType=00010|조선일보 - 세종대학 신입생모집]]]|| ||<:>1979||<(>세종대학 미술계열, 음악계열, 체육계열[*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78120500239101002&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78-12-05&officeId=00023&pageNo=1&printNo=17741&publishType=00010|조선일보 - 1979학년도 신입생모집]]]|| ||<:>1982||<(>세종대학 예체능계[*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82010100239108021&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82-01-01&officeId=00023&pageNo=8&printNo=18690&publishType=00010|조선일보 - 1982학년도 신입생모집]]]|| ||<:>1983||<(>세종대학 예·체능계[*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83010600239105008&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83-01-06&officeId=00023&pageNo=5&printNo=19000&publishType=00010|조선일보 - 1983학년도 신입생모집]]]|| ||<:>1987||<(>세종대학교 예체능대학[*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87112200239108007&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87-11-22&officeId=00023&pageNo=8&printNo=20503&publishType=00010|조선일보 - 세종대학교 1988학년도 신입생모집(전기)]]]|| }}}}}}}}}|| ||<-2><:>단과대학 평가|| ||<-2><:>{{{#!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연도||<:>평가기관||<:>평가|| ||<:>2017||<:>[[QS 세계 대학 랭킹|QS]]||<(>세계대학평가 공연예술학 국내 4위[* [[http://news.joins.com/article/21359195|중앙일보 - 세종대 QS세계대학평가 호텔분야 국내1위, 세계 26위에 올라]]]|| }}}}}}}}}|| ||<-2><:>소개 영상|| ||<-2><:>{{{#!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youtube(KNZXLnigMLE, width=100%, height=250, end=594)] }}}}}}}}}|| ||<-2><:>홈페이지 · SNS|| ||<-2><:>[[http://www.sejong.ac.kr/college/arts.html|[[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0]]]] [[https://www.instagram.com/official__areum/|[[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 학과 == === 회화과 === ||
<(>{{{#ffffff {{{+1 '''회화과'''}}} ^^Dept. of Fine Art[* [[http://www.sejong.ac.kr/sejong/catalog.html?menu_id=2.1#none|2017년도 세종요람]]에는 회화과의 영문명이 Dept. of Painting으로 표기되어 있다. 그러나 회화과 학생들이 학과의 영문명으로 Dept. of Fine Art를 사용하고 있는 것을 반영하여 본 문서에서는 회화과의 영문명을 Dept. of Fine Art로 표기하고 있다.]^^}}}|| ||<:>[[파일:세종대학교회화과1.jpg|width=175&align=center]]|| ||<(>한국화 전공 ^^Korean Painting^^|| ||<(>서양화 전공 ^^Western Painting^^|| ||<(>[include(틀:표시, other1=#D3D3D3, other2=#000000, other3=학위명: 미술학사)][include(틀:표시, other1=#D3D3D3, other2=#000000, other3=교직이수)][include(틀:표시, other1=#D3D3D3, other2=#000000, other3=FM: 불광불성(不狂不成) 절대회화)]|| ||<-2><:>연혁[* [[http://www.sejong.ac.kr/sejong/catalog.html?menu_id=2.1#none|2022년도 세종요람 - 연혁, 학사학위수여자현황]]]|| ||<-2><:>{{{#!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연도'''||<:>'''학과'''|| ||<:>1956||<(>수도여자사범대학(2년제) 미술과^^{{{-2 신설}}}^^[*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56022900209203016&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56-02-29&officeId=00020&pageNo=3&printNo=10193&publishType=00020|동아일보 - 首都女子大(수도여자대)에 美術學科新設(미술학과신설)]]]|| ||<:>1961||<(>수도여자사범대학(4년제) 미술학과|| ||<:>1964||<(>수도여자사범대학 미술학과[*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64012400329207032&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64-01-24&officeId=00032&pageNo=7&printNo=5617&publishType=00020|경향신문 - 수도여자사범대학 1964학년도 학생모집]]]|| ||<:>1969||<(>수도여자사범대학 회화학과[*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68122800209208035&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68-12-28&officeId=00020&pageNo=8&printNo=14529&publishType=00020|동아일보 - 수도여자사범대학 1969학년도 학생모집]]]|| ||<:>1976||<(>수도여자사범대학 회화과[*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76010600239106019&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76-01-06&officeId=00023&pageNo=6&printNo=16845&publishType=00010|조선일보 - 수도여자사범대학 - 1976학년도 학생모집]]]|| ||<:>1978||<(>세종대학(4년제) 회화과[*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view.naver?editNo=2&printCount=&publishDate=1978-10-27&officeId=00020&pageNo=7&printNo=17557&publishType=00020&articleId=&serviceStartYear=1920&serviceEndYear=1999|동아일보 - —수도여자사범대학 개편— 세종대학 교수초빙]]]|| ||<:>1982||<(>세종대학 미술계열 (회화과)[*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82010100239108021&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82-01-01&officeId=00023&pageNo=8&printNo=18690&publishType=00010|조선일보 - 1982학년도 신입생모집]]]|| ||<:>1983||<(>세종대학 회화과[*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83010600239105008&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83-01-06&officeId=00023&pageNo=5&printNo=19000&publishType=00010|조선일보 - 1983학년도 신입생모집]]]|| ||<:>1987||<(>세종대학교 회화과[*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87112200239108007&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87-11-22&officeId=00023&pageNo=8&printNo=20503&publishType=00010|조선일보 - 세종대학교 1988학년도 신입생모집(전기)]]]|| ||<:>1995||<(>세종대학교 회화·산업디자인학부 (회화 전공)[*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95122900239139017&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95-12-29&officeId=00023&pageNo=39&printNo=23242&publishType=00010|조선일보 - 세종대학교 1996학년도 신입생모집]]]|| ||<:>1996||<(>세종대학교 조형학부 (회화 전공)[*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96121600239125010&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96-12-16&officeId=00023&pageNo=25&printNo=23571&publishType=00010|조선일보 - 세종대학교 97학년도 신입생 모집(“다”군)]]]|| ||<:>1997||<(>세종대학교 회화과[*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97122900239103006&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97-12-29&officeId=00023&pageNo=3&printNo=23925&publishType=00010|조선일보 - 세종대학교 1998학년도 신입생모집(정시“라”군)]]]|| }}}}}}}}}|| ||<:>소개 영상||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youtube(MDA4v7XQF8U,width=100%,height=250)] [youtube(shGIuSGWrCk,width=100%,height=250)] }}}}}}}}}|| ||<:>홈페이지 · SNS|| ||<:>[[https://home.sejong.ac.kr/~picdpt/|[[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0]]]] [[https://instagram.com/sejong_univ_fineart/|[[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https://www.facebook.com/people/%EC%84%B8%EC%A2%85%EB%8C%80-%ED%9A%8C%ED%99%94%EA%B3%BC-%ED%95%99%EC%83%9D%ED%9A%8C/100065463372326/|[[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0]]]]|| 회화과는 [[한국화]] 전공과 [[서양화과|서양화 전공]]으로 구성된 학과이며, 전공별로 특성화된 커리큘럼을 운영하여 실기와 미술이론을 병행하여 창의적이고 개성있는 미술 전문인을 양성하는데 목표를 두고 있다.[* [[https://ipsi.sejong.ac.kr/sub_page/sub1/0101.asp?tab1=1&m_year=2023|2023학년도 세종대학교 수시모집요강 9p]]] 실기 과목은 전공에 따라 다르다. 한국화 전공에서는 채색화, 수묵화, 인물화, 드로잉 등을 배우며 서양화 전공에서는 수채화, 유화, 조형연구, 드로잉 등을 배운다. 그밖에 실기 전공선택 과목으로는 서예, 판화, 조소 등이 있다. 미술이론 과목으로는 조형적 창작활동의 밑바탕이 되는 동양미술사, 서양미술사, 한국미술사 등 미술사와 미학, 현대미술론, 미술비평 등 미술철학이 있다.[* [[http://www.sejong.ac.kr/college/arts_01_1.html?menu_id=1.9|세종대학교 홈페이지 - 회화과 소개]]] 한국화 전공은 전통 아카데미 교육의 선두적 지위를 유지하면서 독창적인 창의력을 바탕으로 한국의 문화유산을 핵심자원으로 하여 세계로 향한 높은 수준의 미술 인재를 양성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서양화 전공은 다양한 회화 기법과 조형 이론을 바탕으로 현대회화의 매체와 표현방식들을 탐구하여 개인의 창의력과 잠재력을 계발, 확장시키는 것을 주된 교육 목표로 두고 있다.[* [[https://ipsi.sejong.ac.kr/sub_page/sub1/0101.asp?tab1=1&m_year=2023|2023학년도 세종대학교 수시모집요강 9p]]] 졸업생들은 한국 미술사, 동·서양미술사, 미학, 예술학 또는 큐레이터, 아트디렉터, 대학강의, 미술관, 화랑 및 그와 관련된 여러 직종에 근무, 개인전을 개최, 미술 관련 공모전에 응모하거나 기획전에 참가하여 전업 작가로서 순수회화의 목적을 키워나가고 있다. 그 밖에도 미술연계 분야의 전문직, 교수, 평론가, 미술관 관장 등 미술계에서 여러 직종으로 나뉘어 그 전문성과 역량을 보여주며 자리매김을 하고 있다.[* [[https://ipsi.sejong.ac.kr/sub_page/sub1/0101.asp?tab1=1&m_year=2023|2023학년도 세종대학교 수시모집요강 9p]]] === 패션디자인학과 === ||
<(>{{{#ffffff {{{+1 '''패션디자인학과'''}}} ^^Dept. of Fashion Design^^}}}|| ||<:>[[파일:세종대학교패션디자인학과로고1.png|width=175&align=center]]|| ||<(>[include(틀:표시, other1=#D3D3D3, other2=#000000, other3=학위명: 미술학사)][include(틀:표시, other1=#D3D3D3, other2=#000000, other3=교직이수)][include(틀:표시, other1=#D3D3D3, other2=#000000, other3=FM: -)]|| ||<-2><:>연혁[* [[http://www.sejong.ac.kr/sejong/catalog.html?menu_id=2.1#none|2022년도 세종요람 - 연혁, 학사학위수여자현황]]]|| ||<-2><:>{{{#!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연도'''||<:>'''학과'''|| ||<:>1947||<(>서울여자전문학관 양재수예과^^{{{-2 신설}}}^^[* 양재수예과(洋裁手藝科)는 양복을 재단하고 재봉하는 양재(洋裁)와 자수, 뜨개질 등 손재주를 의미하는 수예(手藝)를 배우는 학과이다.][*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47051000239102008&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47-05-10&officeId=00023&pageNo=2&printNo=7351&publishType=00010|조선일보 - 女子專問學(여자전문학) 館正式認可(관정식인가) ]],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47051500209202021&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47-05-15&officeId=00020&pageNo=2&printNo=7279&publishType=00020|동아일보 - 女子專門學館(여자전문학관) ◇二十日頃開學(20일경 개학)◇]]]|| ||<:>1948||<(>서울가정보육사범학교(2년제) 가정과[* 소설 <김약국의 딸들>, <[[토지(소설)|토지(土地)]]>를 집필한 [[박경리]] 작가가 서울가정보육사범학교 가정과 제1회 졸업생이다.][*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48091100329201023&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48-09-11&officeId=00032&pageNo=1&printNo=601&publishType=00020|경향신문 - 서울가정보육사범학교 가정과 보육과 사범학생 모집]]]|| ||<:>1954||<(>수도여자사범대학(2년제) 가정과[* [[http://www.sejong.ac.kr/sejong/catalog.html?menu_id=2.1#none|2022년도 세종요람 - 학사학위수여자현황 (986p), 1956년 3월 17일 최초의 수도여자사범대학 가정과 학사학위 수여]]]|| ||<:>1961||<(>수도여자사범대학(4년제) 가정학과|| ||<:>1975||<(>수도여자사범대학 가정교육과[*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75010600329203010&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75-01-06&officeId=00032&pageNo=3&printNo=9008&publishType=00020|경향신문 - 수도여자사범대학 1975학년도 학생모집]]]|| ||<:>1978||<(>세종대학(4년제) 가정학과[*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78120500239101002&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78-12-05&officeId=00023&pageNo=1&printNo=17741&publishType=00010|조선일보 - 1979학년도 신입생모집]]]|| ||<:>1987||<(>세종대학교 가정학과[*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87112200239108007&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87-11-22&officeId=00023&pageNo=8&printNo=20503&publishType=00010|조선일보 - 세종대학교 1988학년도 신입생모집(전기)]]]|| ||<:>1997||<(>세종대학교 생활과학부 (의상학 전공)[*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64012400329207032&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64-01-24&officeId=00032&pageNo=7&printNo=5617&publishType=00020|수도여자사범대학 1964학년도 학생모집]]에서도 알 수 있듯이, 가정학과는 의상학, 영양학, 생활과학을 배우는 학과였다. 자연과학대학 가정학과는 1998학년도부터 자연과학대학 생활과학부 (의상학, 영양조리과학 전공)로 변경되었다.][*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97122900239103006&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97-12-29&officeId=00023&pageNo=3&printNo=23925&publishType=00010|조선일보 - 세종대학교 1998학년도 신입생모집(정시“라”군)]]]|| ||<:>1998||<(>세종대학교 생활과학부 (패션디자인 전공)[*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98121400209102018&editNo=45&printCount=1&publishDate=1998-12-14&officeId=00020&pageNo=2&printNo=24065&publishType=00010|동아일보 - 창립 52주년 전통의 세종대학교가 지식혁명을 주도할 인재를 찾습니다]]]|| ||<:>1999||<(>세종대학교 패션디자인학과[* 자연과학대학 생활과학부 (패션디자인 전공)는 2000학년도부터 예체능대학 패션디자인학과로 변경되었다.][*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99122700239106002&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99-12-27&officeId=00023&pageNo=6&printNo=24563&publishType=00010|조선일보 - 세종대학교 2000학년도 신입생 모집(정시“나”군)]]]|| }}}}}}}}}|| ||<:>소개 영상||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youtube(dek-vJnW684,width=100%,height=250)] [youtube(cDiVSNksXQQ,width=100%,height=250)] }}}}}}}}}|| ||<:>홈페이지 · SNS|| ||<:>[[https://home.sejong.ac.kr/~fasdpt/|[[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0]]]] [[https://www.youtube.com/@sjfdsejongfashiondesign1420|[[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https://www.instagram.com/sejong_fashion/|[[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의류의상학과|패션디자인학과]]는 의류 디자인과 의류 마케팅을 배우는 학과이다. 패션디자인학과의 기존 교육과정은 평면재단, 패션디자인, 패션일러스트레이션, 컴퓨터그래픽, 텍스타일디자인 등 기초 조형 원리 및 이론을 바탕으로 하여 패션디자인 1·2, 기성복디자인, 입체재단과 의복구성, 패션CAD, 패션마케팅 등 의류를 제작하고 판매하기까지의 전과정을 배우는 것이었다.[* [[http://www.sejong.ac.kr/college/arts_03_1.html?menu_id=1.9|세종대학교 홈페이지 - 패션디자인학과 소개]]] 패션디자인학과는 디지털 패션 분야로의 확대를 위하여 기존의 교육과정을 개편하고 새로운 미래 환경에서의 패션전문가 양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본 전공과 연계 전공의 경계 없는 학습이 가능하도록 설계된 교육과정은 패션디자인학과의 차별화된 경쟁력이다. 패션디자인학과는 전통적인 패션디자인 전공교육을 바탕으로 ES(entertainment software)와 LBD(luxury brand design) 융합 전공을 운영하고 있으며, 패션디자인 전공 외 연계전공을 선택할 수 있다. 패션디자인학과 전공자는 졸업 후 국내 패션기업, 브랜드 디자이너, 에디터, 인플루언서, NFT 아티스트 외 혁신적인 창업을 통하여 사업을 성공적으로 확장하고 있다.[* [[https://ipsi.sejong.ac.kr/sub_page/sub1/0101.asp?tab1=1&m_year=2023|2023학년도 세종대학교 수시모집요강 9p]]] ||
<:>'''패션디자인학과 패션쇼'''|| ||<:>2021 온라인 패션쇼||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SdzoqFKGo68,width=100%,height=250)]}}}|| [[유튜브]]에 '세종대학교 패션디자인학과'를 검색하면 패션디자인학과의 [[패션쇼]] 영상들을 볼 수 있다. === 음악과 === ||
<(>{{{#ffffff {{{+1 '''음악과'''}}} ^^Dept. of Music^^}}}|| ||<(>피아노 전공 ^^Piano^^|| ||<(>관현악 전공 ^^Orchestra^^|| ||<(>성악 전공 ^^Vocal^^|| ||<(>실용음악 전공 ^^Practical Music^^|| ||<(>[include(틀:표시, other1=#D3D3D3, other2=#000000, other3=학위명: 음악학사)][include(틀:표시, other1=#D3D3D3, other2=#000000, other3=교직이수)][include(틀:표시, other1=#D3D3D3, other2=#000000, other3=FM: 절대예술 세종음악)]|| ||<-2><:>연혁[* [[http://www.sejong.ac.kr/sejong/catalog.html?menu_id=2.1#none|2022년도 세종요람 - 연혁, 학사학위수여자현황]]]|| ||<-2><:>{{{#!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연도'''||<:>'''학과'''|| ||<:>1956||<(>수도여자사범대학(2년제) 음악과^^{{{-2 신설}}}^^[* [[http://www.sejong.ac.kr/sejong/catalog.html?menu_id=2.1#none|2022년도 세종요람 - 학사학위수여자현황 (986p), 1958년 3월 15일 최초의 음악과 학사학위 수여]]]|| ||<:>1961||<(>수도여자사범대학(4년제) 음악학과 (성악, 기악 전공)|| ||<:>1964||<(>수도여자사범대학 음악학과 (성악, 기악 전공)[*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64012400329207032&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64-01-24&officeId=00032&pageNo=7&printNo=5617&publishType=00020|경향신문 - 수도여자사범대학 1964학년도 학생모집]]]|| ||<:>1965||<(>수도여자사범대학 성악학과, 기악학과[*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65011000239104017&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65-01-10&officeId=00023&pageNo=4&printNo=13447&publishType=00010|조선일보 - 수도여자사범대학 1965학년도 학생모집]]]|| ||<:>1975||<(>수도여자사범대학 성악과, 기악과[*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75010600329203010&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75-01-06&officeId=00032&pageNo=3&printNo=9008&publishType=00020|경향신문 - 수도여자사범대학 1975학년도 학생모집]]]|| ||<:>1978||<(>세종대학(4년제) 음악과[*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78120500239101002&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78-12-05&officeId=00023&pageNo=1&printNo=17741&publishType=00010|조선일보 - 신입생모집 세종대학]]]|| ||<:>1982||<(>세종대학 음악계열 (음악과)[*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82010100239108021&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82-01-01&officeId=00023&pageNo=8&printNo=18690&publishType=00010|조선일보 - 1982학년도 신입생모집]]]|| ||<:>1983||<(>세종대학 음악과[*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83010600239105008&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83-01-06&officeId=00023&pageNo=5&printNo=19000&publishType=00010|조선일보 - 1983학년도 신입생모집]]]|| ||<:>1987||<(>세종대학교 음악과[*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87112200239108007&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87-11-22&officeId=00023&pageNo=8&printNo=20503&publishType=00010|조선일보 - 세종대학교 1988학년도 신입생모집(전기)]]]|| }}}}}}}}}|| ||<)>,,▼음악과 오페라 정기공연 - 피가로의 결혼,,||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youtube(objgpuoW4WU,width=100%,height=250)] }}}}}}}}}|| ||<:>홈페이지 · SNS|| ||<:>[[https://home.sejong.ac.kr/~musicdpt/|[[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0]]]] [[https://instagram.com/sejong_classic/|[[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https://ko-kr.facebook.com/sejongmusic/|[[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0]]]]|| [[음악과]]는 전공 실기 및 다양한 음악 이론 수업을 통해 학생이 훌륭한 음악인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도하고, 교양과목 및 예술 일반에 관한 지식을 습득하여 폭넓은 시야를 지닌 전문 예술인으로서의 자질을 갖추도록 함을 목표로 하는 학과이다. 전공 과정은 피아노 전공, 관현악 전공, 성악 전공, 실용음악 전공으로 나누어지며, 시대의 흐름에 맞게 K-POP을 위한 실용음악 수업인 컴퓨터음악, 레코딩 실습, DJing 등 다양한 음악 분야를 위한 강의도 준비되어 있다.[* [[https://ipsi.sejong.ac.kr/sub_page/sub1/0101.asp?tab1=1&m_year=2023|2023학년도 세종대학교 수시모집요강 9p]]] 음악과 재학생은 매년 열리는 기악 전공 중심의 정기 연주회[* 협주곡의 밤, 교향곡의 밤]와 성악 전공 중심의 오페라 공연을 비롯하여 매학기 열리는 실용음악 정기공연, 오디션 형식으로 이뤄지는 신입생 연주회와 전공별 연주회[* 관악 연주회, 피아노 앙상블 연주, 합창 발표회 등]에 참여함으로써 다양한 연주 경험을 쌓을 수 있다. 또한 학교에서 주최하는 Music Camp를 통해 실기에 일정기간 집중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음악 실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http://www.sejong.ac.kr/college/arts_04_1.html?menu_id=1.9|세종대학교 홈페이지 - 음악과 소개]]] 음악과 졸업생은 대학원 진학이나 해외 유학 등을 통해 자신의 기량을 더욱 향상시켜 전문 연주가로서 활동할 수 있다. 또한 음악 단체나 음악 전문 기자 또는 음악경영자, 음악 기획자, 음악프로듀서, 대중음악 가수, 보컬 트레이너, 오디오PD, DJ, 오페라 코치, 발성 코치, 전문오케스트라, 전문합창단, 음향 전문가 등 음악과 관련된 다양한 전문 분야에 종사할 수 있다.[* [[https://ipsi.sejong.ac.kr/sub_page/sub1/0101.asp?tab1=1&m_year=2023|2023학년도 세종대학교 수시모집요강 9p]]] === 체육학과 === ||
<(>{{{#ffffff {{{+1 '''체육학과'''}}} ^^Dept. of Physical Education^^}}}|| ||<(>[include(틀:표시, other1=#D3D3D3, other2=#000000, other3=학위명: 체육학사)][include(틀:표시, other1=#D3D3D3, other2=#000000, other3=교직이수)][include(틀:표시, other1=#D3D3D3, other2=#000000, other3=FM: 막강체육)]|| ||<-2><:>연혁[* [[http://www.sejong.ac.kr/sejong/catalog.html?menu_id=2.1#none|2022년도 세종요람 - 연혁, 학사학위수여자현황]]]|| ||<-2><:>{{{#!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연도'''||<:>'''학과'''|| ||<:>1956||<(>수도여자사범대학(2년제) 체육과^^{{{-2 신설}}}^^[* [[http://www.sejong.ac.kr/sejong/catalog.html?menu_id=2.1#none|2022년도 세종요람 - 학사학위수여자현황 (986p), 1958년 3월 15일 최초의 체육과 학사학위 수여]]]|| ||<:>1961||<(>수도여자사범대학(4년제) 체육학과 (체육 전공)|| ||<:>1964||<(>수도여자사범대학 체육학과 (체육 전공)[*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64012400329207032&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64-01-24&officeId=00032&pageNo=7&printNo=5617&publishType=00020|경향신문 - 수도여자사범대학 1964학년도 학생모집]]]|| ||<:>1965||<(>수도여자사범대학 체육학과[*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65011000239104017&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65-01-10&officeId=00023&pageNo=4&printNo=13447&publishType=00010|조선일보 - 수도여자사범대학 1965학년도 학생모집]]]|| ||<:>1969||<(>수도여자사범대학 체육교육학과[*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68122800209208035&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68-12-28&officeId=00020&pageNo=8&printNo=14529&publishType=00020|동아일보 - 수도여자사범대학 1969학년도 학생모집]]]|| ||<:>1974||<(>수도여자사범대학 체육교육과[*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73122300239108020&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73-12-23&officeId=00023&pageNo=8&printNo=16222&publishType=00010|조선일보 - 수도여자사범대학 1974학년도 학생모집]]]|| ||<:>1978||<(>세종대학(4년제) 체육과[*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view.naver?editNo=2&printCount=&publishDate=1978-10-27&officeId=00020&pageNo=7&printNo=17557&publishType=00020&articleId=&serviceStartYear=1920&serviceEndYear=1999|동아일보 - —수도여자사범대학 개편— 세종대학 교수초빙]]]|| ||<:>1981||<(>세종대학 체육학과[*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81011500329208019&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81-01-15&officeId=00032&pageNo=8&printNo=10859&publishType=00020|경향신문 - 세종대학 신입생모집]]]|| ||<:>1982||<(>세종대학 체육계열 (체육학과)[*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82010100239108021&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82-01-01&officeId=00023&pageNo=8&printNo=18690&publishType=00010|조선일보 - 1982학년도 신입생모집]]]|| ||<:>1983||<(>세종대학 체육학과[*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83010600239105008&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83-01-06&officeId=00023&pageNo=5&printNo=19000&publishType=00010|조선일보 - 1983학년도 신입생모집]]]|| ||<:>1987||<(>세종대학교 체육학과[*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87112200239108007&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87-11-22&officeId=00023&pageNo=8&printNo=20503&publishType=00010|조선일보 - 세종대학교 1988학년도 신입생모집(전기)]]]|| }}}}}}}}}|| ||<:>소개 영상||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youtube(FLa7sYip6K0,width=100%,height=250)] }}}}}}}}}|| ||<:>홈페이지 · SNS|| ||<:>[[https://home.sejong.ac.kr/~pedpt/|[[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0]]]] [[https://instagram.com/sejong.univ_p.e/|[[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체육학과]]는 체육과 체육 관련 이론에 대해 배우는 학과이다. 체육학과의 교육과정은 실기과정과 이론과정으로 나뉜다. 실기과정에서는 체조[* 리듬체조 포함], 육상, 배구, 농구, 테니스, 축구, 수영, 유도, 골프, 배드민턴 등 다양한 스포츠를 배운다. 이론과정에서는 체육원리, 체육사, 체육심리, 기능학, 코치학, 체육학 연구법, 트레이닝 방법론, 운동생리학, 스포츠마케팅 등 체육과 관련된 다양한 이론들을 배운다. 현재 체육학과 전공자는 졸업 후 스포츠 선수, 체육교사·교수, 대한체육회 및 산하기관 행정담당자, 트레이너, 스포츠 지도자 등 다양한 분야로 진출하고 있다.[* [[http://www.sejong.ac.kr/college/arts_05_1.html?menu_id=1.9|세종대학교 홈페이지 - 체육학과 소개]]] 체육학과는 국내 리듬체조의 산실(産室)이다. 체육학과는 1956년 설립된 수도여자사범대학[* 現 세종대학교] 체육과를 시초로 하는 역사와 전통이 깊은 학과이며 [[신수지]], [[김윤희]] 등 대부분의 리듬체조 국가대표 선수들은 세종대학교 체육학과 출신이기 때문이다.[* [include(틀:다른 뜻1, other1=세종대학교 체육학과 출신 인물, rd1=세종대학교/출신 인물)]] 또한 세종대학교는 국내 대학 중 리듬체조를 위한 인프라가 잘 갖춰진 학교 중 하나이다. 때문에 많은 리듬체조 선수 지망생들은 자신의 꿈을 이루기 위해 리듬체조로 유명한 [[서울세종고등학교]][* 세종대학교와 같은 학교법인 소속 고등학교] - 세종대학교 체육학과 루트를 밟고 있다. === 무용과 === ||
<(>{{{#ffffff {{{+1 '''무용과'''}}} ^^Dept. of Dance^^}}}|| ||<(>[include(틀:표시, other1=#D3D3D3, other2=#000000, other3=학위명: 무용학사)][include(틀:표시, other1=#D3D3D3, other2=#000000, other3=교직이수)][include(틀:표시, other1=#D3D3D3, other2=#000000, other3=FM: -)]|| ||<-2><:>연혁[* [[http://www.sejong.ac.kr/sejong/catalog.html?menu_id=2.1#none|2022년도 세종요람 - 연혁, 학사학위수여자현황]]]|| ||<-2><:>{{{#!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연도'''||<:>'''학과'''|| ||<:>1964||<(>수도여자사범대학(4년제) 체육학과 (무용 전공^^{{{-2 신설}}}^^)[*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64012400329207032&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64-01-24&officeId=00032&pageNo=7&printNo=5617&publishType=00020|경향신문 - 수도여자사범대학 1964학년도 학생모집]]]|| ||<:>1965||<(>수도여자사범대학 무용학과[*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65011000239104017&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65-01-10&officeId=00023&pageNo=4&printNo=13447&publishType=00010|조선일보 - 수도여자사범대학 1965학년도 학생모집]]]|| ||<:>1975||<(>수도여자사범대학 무용교육과[*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75010600329203010&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75-01-06&officeId=00032&pageNo=3&printNo=9008&publishType=00020|경향신문 - 수도여자사범대학 1975학년도 학생모집]]]|| ||<:>1978||<(>세종대학(4년제) 무용과[*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view.naver?editNo=2&printCount=&publishDate=1978-10-27&officeId=00020&pageNo=7&printNo=17557&publishType=00020&articleId=&serviceStartYear=1920&serviceEndYear=1999|동아일보 - —수도여자사범대학 개편— 세종대학 교수초빙]]]|| ||<:>1982||<(>세종대학 체육계열 (무용과)[*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82010100239108021&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82-01-01&officeId=00023&pageNo=8&printNo=18690&publishType=00010|조선일보 - 1982학년도 신입생모집]]]|| ||<:>1983||<(>세종대학 무용과[*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83010600239105008&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83-01-06&officeId=00023&pageNo=5&printNo=19000&publishType=00010|조선일보 - 1983학년도 신입생모집]]]|| ||<:>1987||<(>세종대학교 무용과[*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87112200239108007&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87-11-22&officeId=00023&pageNo=8&printNo=20503&publishType=00010|조선일보 - 세종대학교 1988학년도 신입생모집(전기)]]]|| }}}}}}}}}|| ||<:>소개 영상||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youtube(HGzdhwQfLZ0,width=100%,height=250)] [youtube(4Pt9CXTd4uI,width=100%,height=250)] }}}}}}}}}|| ||<:>홈페이지 · SNS|| ||<:>[[https://home.sejong.ac.kr/~dancedpt/|[[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0]]]] [[https://www.facebook.com/sejong.univ.dance/?locale=ko_KR|[[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0]]]]|| 한국무용, 현대무용 그리고 [[발레]] 전공으로 이루어진 무용과는 무용과 무용 관련 이론을 배우는 학과이다. 무용과의 교육과정은 실기과정과 이론과정으로 나뉜다. 실기과정에서는 한국무용, 발레, 현대무용을 배운다. 한국무용과 관련된 과목으로는 한국무용기본, 한국전통무용기교훈련, 한국무용표현법 등이 있다. 발레와 관련된 과목으로는 발레기초, 발레레파토리, 발레테크닉 등이 있다. 현대무용과 관련된 과목으로는 모던댄스, 고급현대무용 등이 있다. 이론과정에서는 한국무용사, 발레사 등 무용의 역사와 무용비평, 무용사회학 등 무용과 관련된 여러 이론들을 배운다.[* [[http://www.sejong.ac.kr/sejong/catalog.html?menu_id=2.1#none|세종대학교 홈페이지 - 2017년도 세종요람]]] 무용교육에 대한 교직 이수도 가능하여 교사로의 진로 또한 열려있다. 세종대학교 무용과는 깊은 역사와 함께 국내 인지도와 실력에서 높은 수준을 자랑하고 있으며, 수많은 인재를 배출하였다. 세종대 출신 무용가들은 국내외로 활발히 활동하며, 오랫동안 유명 무용콩쿨 등에서 수많은 입상자들을 배출하였다. 유명 국공립 무용단의 단장과 예술 감독들을 꾸준히 배출하였으며, 주역과 수많은 전문 무용수들을 배출하였다. 또한 국내 유수의 예술 중, 고등학교에서 많은 졸업생들이 강사로 활동하고 있다. 그뿐만 아니라 무용과 인접한 분야인 공연기획자, 무용의상, 무용음악, 무용영상 등 공연의 기획 및 경영 분야에서도 활동하고 있다.[* [[http://www.sejong.ac.kr/college/arts_06_1.html?menu_id=1.9|세종대학교 홈페이지 - 무용과 소개]]] === 영화예술학과 === ||
<(>{{{#ffffff {{{+1 '''영화예술학과'''}}} ^^Dept. of Film Art^^}}}|| ||<:>[[파일:sjufilm1.jpg|width=175&align=center]]|| ||<(>연출·제작 전공 ^^Film Directing^^|| ||<(>연기예술 전공 ^^Acting^^|| ||<(>[include(틀:표시, other1=#D3D3D3, other2=#000000, other3=학위명: 문학사)][include(틀:표시, other1=#D3D3D3, other2=#000000, other3=교직이수)][include(틀:표시, other1=#D3D3D3, other2=#000000, other3=FM: 창조미학 영화예술)]|| ||<-2><:>연혁[* [[http://www.sejong.ac.kr/sejong/catalog.html?menu_id=2.1#none|2022년도 세종요람 - 연혁, 학사학위수여자현황]]]|| ||<-2><:>{{{#!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연도'''||<:>'''학과'''|| ||<:>1997||<(>세종대학교 영화예술학과^^{{{-2 신설}}}^^[*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97122900239103006&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97-12-29&officeId=00023&pageNo=3&printNo=23925&publishType=00010|조선일보 - 세종대학교 1998학년도 신입생모집(정시“라”군)]]]|| }}}}}}}}}|| ||<:>소개 영상||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youtube(wZzsXtNPyV8,width=100%,height=250)] [youtube(FJVZHtlpuxs,width=100%,height=250)] [youtube(zehKUKk1c1k,width=100%,height=250)] }}}}}}}}}|| ||<:>홈페이지 · SNS|| ||<:>[[https://home.sejong.ac.kr/~moviedpt/|[[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0]]]] [[https://www.youtube.com/@user-qe9op2qi4w|[[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https://www.instagram.com/sejong_film_art/|[[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https://www.facebook.com/sejongfilmart1/?locale=ko_KR|[[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0]]]]|| [[영화영상학과|영화예술학과]]는 연출·제작 전공과 연기예술 전공으로 구성된 학과이다. 1·2학년 과정에서는 기초적인 예술소양 교육을 받게 되며 연출 및 연기를 배운다. 3·4학년 과정은 연출·제작 전공과 연기예술 전공으로 나뉜다. 연출·제작 전공에서는 영화 연출과 제작, 시나리오 창작, 촬영, 편집, 음향 등을 배운다. 연기예술 전공에서는 실기 위주의 연기 훈련을 통해 연기를 집중적으로 배운다. 연출·제작 전공자는 졸업 후 영화 현장에서 연출, 촬영, 제작, 기획을 맡거나 방송, CF, 뮤직비디오와 관련된 영상 분야로 진출한다. 연기예술 전공자는 연극, TV, 뮤지컬, 영화 등에서 배우로 활동한다. 영화예술학과 졸업생 중에서는 [[공효진]], [[유연석]], [[한지혜]] 등 유명 배우들이 많다.[* [include(틀:다른 뜻1, other1=세종대학교 영화예술학과 출신 배우, rd1=세종대학교/출신 인물)]] 하나의 드라마 또는 영화에서 세종대학교 영화예술학과 출신 배우들이 두 명 이상 출연하는 경우가 있을 정도다. 또한 영화예술학과는 영국의 글로벌 대학평가 기관인 QS(Quacquarelli Symonds)가 2017년 3월 7일 발표한 ‘2017 세계대학평가 학과별 순위’에서 공연예술학 국내 4위에 올라 그 수준을 인정 받은 바 있다.[* [[http://news.joins.com/article/21359195|중앙일보 - 세종대 QS세계대학평가 호텔분야 국내1위, 세계 26위에 올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세종대학교/학부, version=494)] [[분류:세종대학교/학부]][[분류:예술대학]][[분류:체육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