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JRA 현창마)] [include(틀:JRA 삼관마)] [include(틀:드림 호스 2000)] ||<-3> '''1941년 일본 중앙 경마 클래식 삼관마'''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tLite1.jpg|width=100%]]}}} || ||<-2> 이름 || セントライト[br]St. Lite || ||<-2> 출생 || [[1938년]] [[4월 2일]] || ||<-2> 죽음 || [[1965년]] [[2월 1일]] (27세)[* 당시 기준으로 28세.] || ||<-2> 성별 || 수컷 || ||<-2> 털색 || 흑갈색 (黒鹿毛,쿠로카게) || ||<-2> 아비 || 다이올라이트(Diolite) || ||<-2> 어미 || 플리펀시(Flippancy) || ||<-2> 외조부 || 플램보이언트(Flamboyant) || ||<-2> 생산자 || [[코이와이 농장]] || ||<-2> 마주 || 카토 유사쿠 || ||<-2> 조교사 || 타나카 와이치로 (도쿄) || ||<-2> 성적 || 12전 9승 || ||<-2> 총상금 || 8만 7400엔 || ||<|2> 주요[br]우승 || 클래식 || {{{#!folding [ 1941년 트리플 크라운 ] [[사츠키상]](1941)[br][[일본 더비]](1941)[br][[킷카상]](1941)}}} || || 중상 || 요코하마 농림성 상전 4·5세 호마(1941) || ||<-2> 주요 자마 || 올라이트(オーライト,1943)[br]뉴 재팬(ニユージヤパン, 1943)[br]오언스(オーエンス,1946)[br]세인트 오(セントオー, 1949) || ||<-2> 상세 정보 || [[https://db.netkeiba.com/horse/000a0008a9/|[[파일:netkeiba_logo.png|width=85]]]] | [[https://www.jbis.or.jp/horse/0000333076/|JBIS]] || [목차] [clearfix] == 개요 == 일본의 경주마. 최초로 트리플 크라운 경주를 모두 제패한 삼관마이다. == 혈통 == || 1대 || 2대 || 3대 || ||<|4>'''Diolite'''[br]{{{-2 1927}}} [[영국|[[파일:영국 국기.svg|width=25px]]]]||<|2>Diophon[br]{{{-2 1921}}} [[영국|[[파일:영국 국기.svg|width=25px]]]]||Grand Parade|| ||Donnetta|| ||<|2>Needle Rock[br]{{{-2 1915}}} [[영국|[[파일:영국 국기.svg|width=25px]]]]||Rock Sand|| ||Needlepoint || ||<|4>Flippancy[br]{{{-2 1924}}} [[영국|[[파일:영국 국기.svg|width=25px]]]]||<|2>Flamboyant[br]{{{-2 1918}}} [[영국|[[파일:영국 국기.svg|width=25px]]]]||Tracery|| ||Simonath|| ||<|2>Slip[br]{{{-2 1909}}} [[영국|[[파일:영국 국기.svg|width=25px]]]]||Robert Le Diable|| ||Snip|| ||<-3>* Rock Sand 3×4 18.75%[br]* Donovan 4×4 12.50%[br]* [[세인트 사이먼|St.Simon]] 5×4 9.375%[br]* Galopin 5×5×5 9.375%[br]* Orme 5x5 6.25% || || 반형제 [* 중상마만 서술, 볼드 표시는 '''팔대경주''' 우승마.] ||<-2> '''타이호'''^^(1929년생, 반형제)^^[br]'''쿠리 히카리'''^^(1939년생, 반형제)^^[br]'''[[토사 미도리]]'''^^(1946년생, 반형제)^^ || 아비인 다이올라이트는 1930년 영국 2000 기니 우승마로, 일본에 처음으로 수입된 영국 클래식 우승마다. 1941년~1943년, 1946년 일본 리딩 사이어를 차지했다.[* 중간의 1944년과 1945년은 2차대전(정확히는 태평양과 CBI 전구에서 일본의 패망이 짙어졌을 때) 때문에 집계되지 않았으므로 만약 전쟁이 일어나지 않았으면 더 차지했을 가능성도 있었다.] 어미인 플리펀시는 일본에서 유일하게 8대 경주 우승마 4마리를 배출한 암말이며, 자마 8대 경주 총합 8승은 사상 최대 기록이다. * 타이호 (大鵬, 父 : 시안모어) - 1934년 제실어상전[* [[천황상]]의 전신] (요코하마), 메구로 기념(봄) 우승마 * 쿠리 히카리 (クリヒカリ, 父 : 시안모어) - 1942년 [[사츠키상|요코하마 농림성상전 4세 호마]], 1943년 [[천황상 (가을)|제실어상전(가을)]] 우승마. 현역 13전 9승.[* 쿠리 히카리의 원래 이름은 아르바이트(アルバイト)였다. [[도쿄 우준|도쿄우준경주]]에서는 2착, [[킷카상|교토 농림성상전 4세 호마]]에서는 3착을 기록했다.] * [[토사 미도리]] (トサミドリ, 父 : 프리메로) - 1949년 [[사츠키상]], [[킷카상]] 우승마. 현역 31전 21승.[* [[도쿄 우준]]에서는 7착을 기록했다.] == 생애 == 1938년 [[미쓰비시 그룹|미쓰비시 재벌]]이 경영하는 [[코이와이 농장]]에서 태어났다. 원래는 4월에 데뷔를 시키려고 해서 클래식 첫 경주인 사츠키상[* 당시 명칭 요코하마 농림성 상전 4세 호마.]에는 출전하지 못할 뻔했지만, 마주인 카토 유사쿠가 조교 중에 먼저 데뷔하려했던 브랜드 솔[* 그해 나카야마 3세 암말 특별(현 오카상)을 우승했다.]을 이기는 모습을 보고 생각을 바꿔 세인트 라이트를 먼저 데뷔시켰다. 데뷔전에선 7번 인기를 받았지만 2착과 5마신차로 승리했다. 그리고 바로 2주 후에 사츠키상에 출전하여 미나미 모어를 3마신차로 꺾고 승리했다. 도쿄 유슌(일본 더비)에서는 미나미 모어에게 1번 인기를 뺏기고 2번 인기였으나, 2착마 스테이츠에 8마신 차이로 압승을 거두고 2관을 달성했다.[* 현재도 1955년 더비 우승마인 오토키츠와 함께 더비 최다 마신차 승리 기록이다.] 더비 우승 이후 세인트 라이트에 부과된 근량은 본격적으로 증가하기 시작했다. 요코하마에서 열린 핸디캡 경주에선 66kg을[* 훗날의 [[텐 포인트]]가 경기 중에 부상당하고 결국 안락사되었을 때 근량이 66.5kg이었다.] 짊어지고 경기하여 3착하여 커리어 중 유일하게 연대에 실패했으며, 일주일 후 같은 무게를 짊어지고 우승을 차지했다. [[킷카상]][* 당시 명칭 교토 농림성 상전 4세 호마.] 전초전에선 68kg을 짊어지고 2착하기도 했다. [[킷카상]]에선 1번 인기로 출전하여 미나미 모어를 2 1/2마신 차이로 꺾고 일본 최초의 삼관마가 되었다. 하지만 당시에는 3관이라는 개념이 지금처럼 널리 알려지지 않았고,[* 삼관 경주 중 마지막으로 생긴 사츠키상이 2년 전인 1939년에 생겼다.] [[중일전쟁]]으로 인해 전운이 감도는 긴박한 상황이었기 때문에[* 당장 2달 뒤에 [[진주만 공습]]이 일어나 [[태평양 전쟁]]이 발발한다.] 더비 우승 때 만큼의 관심은 받지 못했다고 한다. 상금 또한 현금이 아닌 국채로 발행되었고, 이후 일본이 [[제2차 세계대전]]에서 패하면서 휴지조각이 되었다. 어찌됐든 카토 마주는 여기서 만족하지 않고 천황상[* 당시 명칭 제실어상전.]을 목표로 나카야마의 핸디캡 경주에 출주시키려고 했으나, 이 경주에서 '''72kg'''이라는 말도 안되는 근량을 감당해야한다는 사실을 알게 되자 미련없이 포기하고 바로 은퇴시켰다. 이 때문에 카토는 자신에게 경마를 알려주기도 했던 작가 키쿠치 칸에게 '상금을 벌려면 더 뛰게 할 수 있는 것을 욕심부리지 않고 은퇴시켰다'고 좋은 평가를 받았다. 하지만 카토는 1945년 5월 26일에 미군의 공습으로 사망하고 말았다. === 종마 생활 === 은퇴 후 세인트 라이트는 코이와이 농장에서 종마 생활을 했다. 1947년에는 자마 올라이트가 세인트 라이트가 출전하지 못한 천황상 봄 대회[* 당시 명칭 평화상]을 우승했다. 그러나 [[GHQ]]에 의해 미쓰비시 재벌이 해체되고 코이와이 농장에서 경주마 생산이 금지되자 1949년 이와테 축산 시험장으로 옮겨졌다. 이후에도 오언스나 세인트 오 같은 팔대경주 승리마를 배출했다. 1947년부터 나카야마 경마장[* 초창기에는 도쿄 경마장에서 열렸으나 이후 변경되었다.]에서 G2 경주인 [[세인트 라이트 기념]]이 열리고 있으며, 1995년에는 [[킷카상]] 트라이얼로 지정되었다. [[신잔]]이 두번째 삼관마가 된 다음해인 1965년에 노환으로 죽었다. 자마로 [[천황상]] 우승마 올라이트와 오언스, 1952년 킷카상 우승마 세인트 오 등이 있으며, 현재는 부계, 모계 모두 대가 끊겼다. == 여담 == * 세인트 라이트가 데뷔했을 당시에 일본경마회[* [[일본중앙경마회]]의 전신.] 경주에 체고[* 앞발바닥에서 목과 등의 경계까지의 길이.] 164cm 이상의 말은 등록이 불가능했다.[* 이 당시의 경마는 군마를 양성한다는 목적도 있었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체고 166cm였던 세인트 라이트는 몰래 앞발 밑의 바닥을 파서 통과됐다는 이야기가 있다.[* 다만 해당 제도는 세인트 라이트가 데뷔하기 전에 이미 폐지되었었다는 이야기도 존재한다.] * 역대 삼관마 중에 유일하게 1년만 뛰고 은퇴한 경주마다. 이당시엔 2세 경주가 존재하지 않았으며, 데뷔 이후 최단기 3관 달성 기록(225일)도 가지고 있다. 2세 데뷔가 보편화된 지금은 달성하기 매우 힘든 기록이다. * 1942년에는 같은 어미를 둔 반동생 쿠리 히카리 (옛 이름 : 아르바이트가), 1949년에는 또다른 반동생 [[토사 미도리]]가 사츠키상을 우승하면서 현재까지도 유일한 3형제 사츠키상 제패를 이뤄냈다. 이중 토사 미도리는 종마 성적을 인정받아[* 종마로서의 평가만 보면 세인트 라이트를 아득하게 뛰어넘는다.] 세인트 라이트와 같이 현창마에 선정되었다. * [[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한글판에선 명칭이 '센트라이트'로 명명되었다. == 경주 성적 == {{{#!wiki style="word-break:keep-all;" ||경주일 || 경마장 || 경기명 || 트랙 || 인기 || 착순 || 기수 || 1착마[br](2착마) || ||<-8> 1941년 {{{-1 (4세, 현 3세)}}} || || 3.15 || 요코하마 || 신호마[* 호마(呼馬)는 개인 마주에게 우선적으로 판매된 말을 뜻한다.JRA 등 경마 단체에서 사들여서 추첨을 통해 마주에게 매각하는 추첨마와 구분된다.] || 잔디 1700m || 7 || '''{{{#red 1착}}}''' ||<|3> 코니시 키조 || (오오토모) || || 3.30 || 요코하마 || '''[[사츠키상|요코하마 농림성 상전 4세 호마]]'''[* 현 사츠키상.] || 잔디 1850m || 1 || '''{{{#red 1착}}}''' || (미나미 모어) || || 4.5 || 나카야마 || 호마 || 잔디 2000m || 1 || '''{{{#red 1착}}}''' || (카미와카) || || 4.27 || 나카야마 || 호마 || 잔디 2200m || 1 || '''{{{#red 1착}}}''' || 아베 쇼타로 || (패스트 라이트) || || 5.3 || 도쿄 || 고호마 특수 핸디캡 || 잔디 2300m ||<#c88d0d> 3 || 2착 ||<|8> 코니시 키조 || 시지리다케 || || 5.10 || 도쿄 || 고호마 || 잔디 2300m || 1 || '''{{{#red 1착}}}''' || (에스테이츠) || || 5.18 || 도쿄 || '''[[도쿄 우준]]''' || 잔디 2400m || 2 || '''{{{#red 1착}}}''' || (스테이츠) || || 9.27 || 요코하마 || 고호마 특수 핸디캡 || 잔디 2200m || 2 ||<#c88d0d> 3착 || 스테이츠 || || 10.5 || 요코하마 || 고호마 || 잔디 2200m || 2 || '''{{{#red 1착}}}''' || (에스테이츠) || || 10.12 || 요코하마 || 요코하마 농림성 상전 4·5세 호마 || 잔디 2800m || 1 || '''{{{#red 1착}}}''' || (미스 미나미) || || 10.18 || 교토 || 고호마 || 잔디 2400m || 1 || 2착 || 코쿠초 || || 10.26 || 교토 || '''[[킷카상|교토 농림성 상전 4세 호마]]'''[* 현 [[킷카상]].] || 잔디 3000m || 1 || '''{{{#red 1착}}}''' || (미나미 모어) ||}}} [include(틀:사츠키상)] [include(틀:일본 더비)] [include(틀:킷카상)] [[분류:경주마/일본 생산]][[분류:경주마/일본 조교]][[분류:종마/일본]][[분류:죽은 경주마]][[분류:1938년 출생/경주마]][[분류:1965년 죽은 동물]][[분류:옴계]][[분류:삼관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