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세이부 철도의 통근형 전동차)] ||<-3> [[세이부 철도|[[파일:세이부철도 로고.svg|height=15]]]] {{{#!wiki style="margin: -10px -10px" || {{{#3366cc '''세이부 {{{+1 20000계 전동차}}}'''[br]{{{-1 Seibu}}} 20000 series[br]西武 20000系 電車}}} ||}}} || ||<-3> [[파일:Seibu-Series20000_20008.jpg|width=100%]] || ||<-3> '''차량 정보''' || || '''용도''' ||<-2> 광역철도 입선용 통근형 전동차 || || '''구동방식''' ||<-2> 전기 [[동력분산식]] 열차 || || '''편성''' ||<-2> 8, 10량 1편성 || || '''운행노선''' ||<-2> [[파일:Seibu-SI.svg|width=16]] [[세이부 이케부쿠로선|{{{#ef7a00 세이부 이케부쿠로선}}}]][* [[세이부 치치부선|치치부선]], [[세이부 사야마선|사야마선]], [[세이부 토시마선|토시마선]] 포함], [[파일:Seibu-SS.svg|width=16]] [[세이부 신주쿠선|{{{#00a6bf 신주쿠선}}}]][* [[세이부 하이지마선|하이지마선]] 포함] || || '''도입시기''' ||<-2> [[1999년]] ~ [[2005년]] || || '''제작사''' ||<-2> [[히타치 제작소 카사도 사업소|[[파일:히타치 제작소 로고.svg|width=130]]]] || || '''소유기관''' ||<|2><-2> [[세이부 철도|[[파일:세이부철도 로고.svg|width=130]]]] || || '''운영기관''' || || '''운행시기''' ||<-2> [[2000년]] ~ 현재 || ||<-3> {{{#000,#ddd '''차량 제원'''}}}[br]{{{#!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3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16px" || '''전장''' ||<-2> 선두차 20,270㎜[br]중간차 20,000㎜ || || '''전폭''' ||<-2> 2,800㎜ || || '''전고''' ||<-2> 4,060㎜[br]팬터그래프 부착차량 4,172㎜ || || '''궤간''' ||<-2> 1,067㎜ || || '''차중''' ||<-2> 23.6 - 33.6t || || '''급전방식''' ||<-2> 직류 1500V [[가공전차선]] 방식 || || '''운전보안장치''' ||<-2> 세이부형 [[열차자동정지장치|ATS]] || || '''제어방식''' ||<-2> [[히타치 제작소|히타치]] [[가변 전압 가변 주파수 제어|VVVF]]-[[IGBT]] || || '''동력장치''' ||<-2> 농형 3상 유도 [[교류전동기]] || || '''기어비''' ||<-2> 16:101 || || '''제동방식''' ||<-2> 회생제동 병용 전기지령식 공기제동[* 순전기제동 포함] || || '''주전동기 출력''' ||<-2> 135kW || ||<|2> '''최고속도''' || 영업 || 105㎞/h || || 설계 || 120㎞/h || || '''가속도''' ||<-2> 3.0㎞/h/s || ||<|2> '''감속도''' || 상용 || 3.5㎞/h/s || || 비상 || 4.5㎞/h/s || || '''MT 비''' ||<-2> 4M4T, 5M5T ||}}}}}} || [목차] [clearfix] == 개요 == [[세이부 철도]]의 주력 통근형 전동차 중 하나이다. 구 세이부 101계 초도차량 104량에 대한 대차용으로서 1999년부터 2005년까지 총 7차례에 걸쳐 매년 2-3편성씩 꾸준히 도입하였다. 도입 당시 고려한 컨셉은 「단순&친환경(Green)」이다. == 설계 및 운용상의 특징 == [[A-train(히타치)|A-train]] 기술의 '''전신'''이라고도 할 수 있는 부품 모듈화 기술을 채용하였다. 즉 히타치제 차량이지만 A-train 기술을 사용하지 않았다는 것. 그리고 이전작인 [[세이부 6000계 전동차|6050계]]의 측면과 같이 알루미늄 차체[* 단, 전두부는 사고 시에 지적되는 알루미늄의 허약한 내구성 문제로 인해 보통강 재질로 만들어졌다.]를 사용한 덕분에 측면은 군더더기 없는 민짜 차체로 되어 있어, 덕분에 매우 깔끔한 느낌을 준다. 이와 비슷한 느낌을 주는 차량들은 6050계를 제외하고 [[도부 50000계 전동차|도부 50000계 시리즈]]나 [[코레일 331000호대 전동차]]가 있다. 8량과 10량으로 나누어져 있지만, 정지형 인버터(SIV)의 용량이 10량차가 180kVA, 8량차가 140kVA급으로 다른 것을 제외하면 두 차량 간 사양의 차이는 전혀 없다. 2014년 10월 현재 10량 편성 차량 8편성 80량[* 20101F ~ 20108F], 8량 편성 차량 8편성 64량[* 20151F ~ 20158F] 총합 144량이 재적중이며, 두 차량은 량수의 구분 없이 [[세이부 이케부쿠로선|이케부쿠로선]](7편성)과 [[세이부 신주쿠선|신주쿠선]](9편성)에 고루고루 흩어져 배속되어 있고 8량 편성은 2xx50F, 10량 편성은 2xx00F로 구분한다. 그리고 8량과 10량으로 고정된 편성이기 때문에 [[세이부 타마코선]][* 임시로 하기야마 - 타마코 구간을 운행하기는 한다.], [[세이부 세이부엔선|세이부엔선]], [[세이부 코쿠분지선|코쿠분지선]] 등의 일부 지선에 입선하는 것은 불가능하며, 이케부쿠로선의 곁다리 취급을 받는 [[세이부 치치부선]]까지는 입선이 가능하다. 또한 본 차량은 세이부선 전용 차량으로[* 이 차량 말고도 [[세이부 101계 전동차]], [[세이부 2000계 전동차]], [[세이부 9000계 전동차]], [[세이부 30000계 전동차]]가 이에 해당한다. ] 후쿠토신선 문턱에도 들어가지 않기 때문에[* 즉 [[네리마역]]에서 갈아타지 않아도 된다는 소리다!] [[킨테츠 특급|편안하게 렘 수면을 취할 수 있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 렘 수면 드립은 [[킨키 일본 철도|킨테츠]]가 자사의 [[https://www.youtube.com/watch?v=7cd3Go5NNBU|특급열차를 광고]]할 때 써먹었던 광고 카피이다.](...) 구동음은 이쪽. [[https://youtu.be/UHpro8vCT_k|#]] 등장 당시에는 더블암 스킨 설계와 맞물려 가장 조용한 구동음을 자랑했다고 한다. [[세이부 철도]]의 이전 차량들과는 달리 지하 입선 및 중련 연결을 고려하지 않은 관계로 전두부의 관통문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대신 운전실 유리창이 매우 크게 설계되었기 때문에 운전실에서의 전면 시야는 매우 좋은 편이며 이 설계는 이후 30000계로 이어진다. 운전대는 지금까지와는 달리 왼손으로 잡는 방식이며, 원핸들의 ㄱ자 형태로 되어 있다. 이는[* 이전작인 6000계는 이 시기에는 투핸들 마스콘을 채용하고 있었다. 6000계가 도큐식 원핸들 T자형으로 개수된 것은 [[후쿠토신선]] 직통운전 대비개조 이후의 일이다.][[http://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5/51/Seibu20000cab.jpg|#]] [[E231계 전동차|E231계]]나[[http://blogs.yahoo.co.jp/notbonito/34488787.html|#]] [[E233계 전동차|E233계]][[http://rail.hobidas.com/blog/natori09/090530n05-thumb.jpg|#]] 등에서도 유사한 형태로 채용한 구조이다. 하지만 그다지 재미를 못 본 것인지, [[세이부 30000계 전동차|30000계]][[http://blogs.c.yimg.jp/res/blog-e5-92/mitotaku0829/folder/1529002/65/41979665/img_6?1207405713|#]] 에서 다시 도큐식 원핸들 T자 형태로 그 모습이 바뀌게 되며, ATI[* 도시바의 TGIS와 같은 역할을 하는 물건이다. [[http://www.hitachi-rail.com/products/on-board/ati/|참고]]][* 여기서 재미를 제대로 본 건 [[도부 철도]]이다. 신형 차량은 전부 ATI를 탑재하고 있다.]라고 불리는 열차 종합 제어 시스템이 탑재되어 있다. == 여담 == * 본 계열은 6000계에서 시도된 도색 변경, 즉 무도장에 파란색 줄무늬만 긋는 형태의 도색을 그대로 승계하였다. * 초기 제작분인 1, 2차차의 차량유리는 '''[[한국]]'''의 한화화학(現 [[한화솔루션]])이 만든 제품을 사용했지만, 이후 제작분은 모두 [[일본]]제를 사용한다.[* [[ITX-새마을]] 역시 차량 유리에 '''[[중국]]산''' 제품이 사용되고 있다.(...)] 어찌보면 일본 철도 차량 중 최초로 한국산 부품이 사용된 셈.[* 해외로 중고 수출된 차량까지 범위를 넓혀보면 [[인도네시아]]에서 MG를 [[다원시스]]산 SIV로 교체한 [[도쿄메트로 6000계 전동차]], [[205계 전동차]]도 있다. [[http://krl.ldblog.jp/archives/31472850.html|6000계]][[http://krl.ldblog.jp/archives/35731290.html|205계]]] * [[도부 50000계 전동차|도부 철도 50000계]]의 차량 디자인에 직접적인 모티브가 되었다는 이야기가 있다. 사실 두 차량은 전조등 위치나 측창의 형태를 제외하면 외양이 상당히 비슷하다. * 디자인과 헤드라이트가 특이해서 나온 별명이 '''전기 콘센트'''이다. 길쭉한 직사각형 모양의 헤드라이트가 '''110V''' 전용 콘센트와 닮아서 위의 별명으로 불려지기도 한다. == 관련 문서 == * [[일본 철도 정보]] * [[일본의 철도 차량 목록]] * [[세이부 철도]] * [[전동차]] [[분류:일본의 철도차량]][[분류:전동차]][[분류:1999년 출시]][[분류:2005년 단종]][[분류:세이부 철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