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from=7공주\, 칠공주, other1=걸그룹, rd1=컬러링 베이비 7공주, other2=KBS에서 방영했던 드라마, rd2=소문난 칠공주, other3=과거 인천 흥국생명 핑크스파이더스의 7명의 선수, rd3=인천 흥국생명 핑크스파이더스/V-리그)] [목차] == 어원 == 아래 목록들의 공통 어원은 [[그리스 신화]]에서 나오는 7명의 [[플레이아데스]]에서 나온 것으로, 동양에서 7과 관련된 것을 [[북두칠성]]에 빗대어 표현하는 것과 비슷한 맥락이다. 한국에서는 '''7공주'''로 관용적 속어화 되었다. == [[영국]]에 위치한 명승지 == [[파일:attachment/img_4679-_stakkato.jpg|width=500]] ||한국어|| 세븐 시스터즈 || ||영어|| Seven Sisters Cliffs || ||<-2>[include(틀:지도, 장소=Seven Sisters Cliffs, 높이=224px, 너비=100%)]|| === 소개 === [[파일:attachment/299890_37174_104.jpg|width=500]] 영국 남동부 이스트 서식스(East Sussex)에 소재한 아름다운 해안절벽. 영국 브라이튼과 이스트본 사이에 있는 기다란 해안절벽이다. 이름의 유래는 언덕 7개가 있다는 것인데, 실제로는 언덕이 10개 정도 된다고 한다. [[https://earth.google.com/web/@50.74586118,0.1921488,-0.26990968a,882.42646302d,35y,100.73314997h,79.27302404t,360r|구글 어스]] ~~텐 시스터즈~~ [[파일:attachment/299890_37176_1119.jpg|width=500]] 지대가 석회암으로 이루어져 지금도 바람 때문에 깎여나가는 중이다. 해안 풀코스는 이스트본 시내에서 시포드까지인데, 하루 종일 걸어야 다 돌 수 있다고 한다. 바람이 많이 부는 때에 가면 자신이 날아간다는 느낌을 온몸으로 받는다. 바닷바람도 엄청나게 불어서 나무도 죄다 휘어졌다. [[파일:attachment/TREEEEEEE.png|width=500]] 이렇게(...)--보지만 말고 살려줘 인간놈들아-- [[파일:attachment/DSCN0782.jpg|width=500]] 자연 상태 그대로 보존하느라 '''난간을 일절 설치하지 않았다.''' 누군가 떠밀거나 발을 헛디디면 추락사할 수 있으니 반드시 조심해야 한다. 높이가 60 m가 넘으므로 무조건 사망한다. 실제로 가끔씩 사망사고가 나온다. 2017년 6월에는 한국인 유학생이 이곳 절벽에서 아찔한 기념사진을 찍으려다 사망했다. 10월에 보도된 바에 의하면, [[인증샷]]을 찍으려고 절벽 가장자리서 여러번 점프하다 착지할 때 발을 헛딛어 추락사했다고 한다. 현지 구조대가 머리를 크게 다친 시신을 수습했다. 사진을 찍어주던 다른 관광객이 든 (사망자의) 휴대폰에는 현장에서 점프하는 사진 여러장이 담겨 있었다고. SNS 인증샷을 영정으로 쓰고 싶지 않거든 자제하자. 바로 앞 해변에는 모래가 아니라 자갈이 잔뜩 모였다. 언덕 말고도 풀밭에서 풀을 유유자적하게 뜯고 있는 양이나 소들도 큰 볼거리이다. 다만 실수로 소똥~~혹은 양똥~~을 밟으면 기분이 영 좋지 못하므로 주의하자 === 찾아가는 길 === [[파일:attachment/make_1315373415580.jpg|width=500]] [[런던]]에서 세븐 시스터즈까지 가는 길은 간단하다. 대다수의 여행자들이 런던-[[브라이튼]]-세븐 시스터즈, 3개 지역을 지나가는 버스를 이용해서 가는 경우가 많다. 브릿레일 패스가 있다면 기차를 타고 가는 편이 훨씬 이득인데 [[런던 빅토리아 역]] 에서 브라이튼까지 [[개트윅 익스프레스|기차]]를 타고 가서 브라이튼 기차역 앞에서 이스트본행 12,13번 버스를 타고 이동해도 된다. 다만 브라이튼보단 이스트본에서 훨씬 가까운 관계로 빅토리아 역에서 이스트본으로 가는 것도 나쁘지 않은 방법. 버스 노선은 동일하다. 런던에서 [[브라이튼]]까지 1시간 30분이 소요되며 브라이튼에서 세븐 시스터즈까지 40분의 시간이 소요된다. 이스트본에서는 약 10~20분 정도로 생각하면 좋다. 아무튼 버스를 타고 가다 세븐 시스터즈 정류장(진짜 정류장 이름이 세븐 시스터즈다.)에서 내리는 경우가 많지만 이스트 딘에서 내린 다음 벌링갭 쪽으로 걸어 나가는 게 더 낫다. [[파일:attachment/make_1315373416520.jpg|width=500]] 사진에 보이는 Seven Sisters Country Park가 바로 세븐 시스터즈다. 정류장에서 내린 후 해변가 쪽으로 20~40분만 걸어가도 쉽게 닿는다. [[http://www.sevensisters.org.uk/|세븐시스터즈 공식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sharemyjoy&logNo=70101039552&categoryNo=55&viewDate=¤tPage=1&listtype=0|가는 길을 자세히 알고 싶으면 이곳을 참조]] === 기타 === 영화 "윔블던"이 근처 브라이튼에서 촬영해서 유명하기도 하다. 영화 [[잉여들의 히치하이킹]] 후반부에도 등장한다. 영화 [[28주 후]]의 마지막에서 헬기로 영국을 탈출하는 장면에서 이곳을 배경으로 시리즈의 ost가 깔리는데 꽤 명장면이다. 1996~1999년 사이 [[BBC]] 제1텔레비전의 방송ID(ident)[* 프로그램 타이틀 송출 직전 방송국 국명을 고지하는 화면. 한국에서 유명한 MBC의 "만나면 좋은 친구~ MBC 문화방송" BGM이 나오는 화면 생각하면 된다.] 화면으로 활용되기도 했다. 극장판 영화 [[케이온(영화)|더 무비 케이온]]의 엔딩곡 [[Singing!]]이 나올 때 뒤에 깔리는 배경으로 등장한다. [[맨 오브 스틸]]에서도 [[슈퍼맨]]이 각성후 날라다니는 장면에서 잠깐 등장한다. [[워썬더]] 영국 본토 항공전 맵에서도 볼 수 있다. 영화 [[어톤먼트]]의 마지막 장면도 여기서 촬영되었다 === 관련 문서 === * [[비경]] * [[영국]] * [[영국/관광]] == [[세계]] 7대 거대 [[정유사]] == [include(틀:정유업계 슈퍼메이저)] 이탈리아 [[에니]]의 초대 회장인 엔리코 마테이가 처음 언급한 용어로, [[미국]] 석유 매출의 90%를 차지하던 [[존 데이비슨 록펠러]]의 [[스탠더드 오일]]이 [[반독점법]]으로 인해 강제로 해체된 이후 새로이 확립된 [[20세기]] 초의 [[석유]] 산업을 지배했던 일곱 개의 [[정유사]]들을 일컫는 말이다. 각 기업들의 이름은 다음과 같다. 스탠더드 오일 계열 정유사는 '''굵은 글씨'''로 표기. * '''엑슨(Exxon)'''[* Standard Oil of New Jersey. 후에 모빌을 병합하여 [[엑슨모빌]]로 거듭난다.] * '''소칼(SoCal)'''[* Standard Oil of California. 후에 걸프(Gulf) 오일을 병합하였고 사명을 자사의 휘발유 브랜드인 [[쉐브론]](Chevron)으로 변경한다. 이후 텍사코를 병합하여 쉐브론텍사코가 되었으나 이후에 쉐브론으로 명칭 재변경.] * '''소코니(Socony)'''[* Standard Oil Co. of New York. 모빌(Mobil)이라고 알려진 그 회사이다. 나중에 엑슨에게 병합되어 [[엑슨모빌]]이 된다.] * 걸프 오일[* 1984년 소칼에 병합.] * 텍사코(Texaco)[* 2001년에 [[쉐브론]]에 병합. 사실 병합 이전에도 1930년대에 소칼(쉐브론)과의 합작회사인 칼텍스(Caltex)를 세운 일이 있다.] * [[BP plc|앵글로 페르시안 오일]] * [[로열 더치 쉘]] [[1980년대]] 이후 다수의 인수합병을 거쳐서 현재는 다음과 같이 정리되었으며, '''슈퍼메이저'''(supermajors), '''석유 메이저'''(Oil Majors) 등의 이름으로 불린다. * [[엑슨모빌]]([[미국]]) * [[쉐브론]]([[미국]]) * [[BP plc]]([[영국]]) * [[로열 더치 쉘]]([[영국]] 및 [[네덜란드]]) * [[토탈에너지스]]([[프랑스]]) * [[코노코필립스]]([[미국]]) * [[에니]]([[이탈리아]])[* 에니는 [[공기업]]으로 시작했고 현재도 [[정부]] 지분이 높은(약 30%) 반 공기업이기에 제외되기도 한다. 이 리스트의 나머지 기업은 다 사기업.] 이 회사들은 [[서구권]] 국가들의 [[제국주의]] 물결을 타고 전세계의 석유 자원을 들쑤시고 다녔다. 심지어 [[국가]]들이 [[영토]] 싸움을 하듯 석유 매장지를 둘러싸고 협정과 분할을 하기도 했다. [[OPEC]]이 결성되기 전까지는 세계 [[원유(연료)|원유]]의 공시가격을 마음대로 컨트롤했을 정도로 무시무시한 [[회사]]들이었다. [[https://m.blog.naver.com/knoc3/221105725354|#]] 다만 슈퍼메이저 중 토탈에너지스와 에니는 상대적 후발주자로 1970년대 이전에는 기존의 세븐 시스터즈를 견제하는 위치였으며, 반서방 국가들의 여론을 교묘하게 이용해서[* 토탈에너지스는 프랑스 회사답게 BP의 갑질 때문에 생긴 이란의 반영감정을 적절하게 이용했고, 에니는 [[이집트]]의 [[수에즈 운하]] 및 석유 시설 국유화를 노려서 채굴권을 획득했다.] 지금의 위치로 성장했다.[[https://gscaltexmediahub.com/energy/column-middle-east-investment-strategy-2019-04/|#]] 서방권의 슈퍼메이저 정유업체들은 1970~80년대 2차례의 [[오일 쇼크|석유 파동]] 이후 [[아랍]] [[산유국]]들의 산유 회사 국유화로 인해 이전과 같은 절대적인 영향력을 상실했다. 그러나 지금도 가장 거대한 기업들 하면 빠지지 않고 등장한다. 가령 위의 엑슨과 모빌이 합쳐진 [[엑슨모빌]]은 시총으로나 순수익으로나 전 세계 [[증권거래소]]에 공개된 기업들 중 자본 규모가 큰 기업들 중 하나이다. === 신흥 거대 정유사 === [include(틀:정유업계 뉴 세븐 시스터즈)] 1970~[[80년대]] 2차례 석유 파동 이후 영향력이 커진 상술한 석유 메이저 이외의 7개의 석유 회사를 '''뉴 세븐 시스터즈'''라고 부르고 있다. 이 일곱 회사의 석유, 가스 매장량은 '''전 세계의 90%를 차지하고 있다.''' 뉴 세븐 시스터즈 전부 [[국가]]가 소유한 국영 회사이며 석유 메이저들의 자국 내 사업권 매각을 종용해 인수 받아 성장했다는 공통점이 있다. * [[페트로차이나]][* 정확히는 페트로차이나를 소유한 기업인 [[중국 석유 천연가스 공사]](CNPC)]([[중국]]) * [[페트로나스]]([[말레이시아]])[* [[페트로나스 트윈 타워]]의 그 페트로나스이다.] * [[사우디 아람코]]([[사우디아라비아]]) * [[PDVSA]]([[베네수엘라]]) * [[NIOC]][* 이란국영석유공사, National Iran Oil Company]([[이란]]) * [[가스프롬]]([[러시아]]) * [[페트로브라스]]([[브라질]]) 이 용어는 [[2007년]] [[3월 13일]] [[파이낸셜 타임즈]]의 기사에서 탄생했다.[[https://www.ft.com/content/471ae1b8-d001-11db-94cb-000b5df10621|#]] 현재는 저 기사와 상황이 많이 바뀐 관계로 [[이란]]국영석유공사와 [[말레이시아]]의 페트로나스 대신 [[중국]]의 [[중국석유화공집단공사]](Sinopec)와 [[멕시코]]의 [[페멕스(에너지 기업)|페멕스]](Pemex)를 언급하기도 한다. === 같이보기 === * [[OPEC]] * [[정유사]] == 미국 북동부에 위치한 7개의 [[여자대학교]] == * [[마운트 홀리요크 칼리지]](Mount Holyoke College) * [[바사 칼리지]](Vassar College - 현재는 남녀공학[* 소설 [[키다리 아저씨]]의 작가 진 웹스터의 모교이며, 소설의 주인공 제루샤가 다니는 여대의 모델이기도 하다.] * [[웰즐리 칼리지]](Wellesley College)[* [[줄리아 로버츠]]와 [[커스틴 던스트]] 주연의 영화 <모나리자 스마일>이 이 학교를 배경으로 하고 있다.] * [[스미스 칼리지]](Smith College) * 래드클리프 칼리지(Radcliffe College) - [[하버드 대학교]]에 흡수되어 현재는 [[하버드 대학교]]의 래드클리프 고등연구소. 해당 문서 참고. * [[브린마 칼리지]](Bryn Mawr College) * 바너드 칼리지(Barnard College) - [[컬럼비아 대학교]]와 연관이 깊다. 해당 문서 참고. [[http://translate.google.co.kr/translate?hl=ko&langpair=en%7Cko&u=http://en.wikipedia.org/wiki/Seven_Sisters_(colleges)|영문 위키백과]] == [[이탈리아]]의 [[축구]] 리그 [[세리에 A]]의 최전성기 [[7공주(축구)|7대 강팀]] == 1990년대에 세계 최강의 리그로서 당대를 호령했던 세리에 A 내에서도 특히 [[강호]]로 군림하며 유럽 전역에 그 위명을 떨쳤으며, 세계 최고의 선수들을 다수 보유하고 있던 일곱 구단을 가리킨다. * [[유벤투스 FC]] * [[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 * [[AC 밀란]] * [[AS 로마]] * [[SS 라치오]] * [[파르마 FC]] * [[ACF 피오렌티나]] [[7공주(축구)]] 문서 참조. == [[소련]] [[스탈린]] 시기 건설된 [[모스크바]] 7대 [[마천루]] == [[1950년대]] [[스탈린]]의 지시 하에 건설된 7채의 외부는 브루탈리즘, 내부는 [[아르데코]] 양식의 [[마천루]]를 칭한다. 이 당시 소련은 경제성장에 따른 선전용 마천루를 대규모로 건설했었고, 이 일곱 건물은 그 필두로 위압적인 [[스카이라인]]을 형성했다. 다만 [[제2차 세계대전]]으로 인한 후유증이 컸기 때문에 마천루 건설계획이 힘을 발휘하지 못했고, 전후수습이 되었을때는 [[스푸트니크]] 계획이 대박을 치면서 우주개발쪽에 지원이 집중되었다. 그래서 7자매 중 하나인 [[모스크바 국립대학교|모스크바 국립대]]가 [[오스탄키노 탑]] 같은 타워를 제외하면 소련이 망할때 까지 소련 내에서 가장 높은 건물이었다. 세간의 설에 따르면 [[미국]]의 상징적 [[도시]]인 [[뉴욕]]의 있는 수 많은 브루탈리즘 스타일의 [[마천루]]를 본 [[스탈린]]이 '''"뉴욕에는 하늘을 찌르는 수많은 마천루가 있는데 [[모스크바]]의 하늘은 왜이래 허전하냐"''' 라는 얘기를 했었다고 한다. 당시 [[소련]]과 [[미국]]은 모든 분야에서 [[대립]]하고 있었다. 그래서 뉴욕과 [[경쟁]]하기 위해 모스크바 곳곳에 마천루 건설을 지시하였다고 [[카더라|한다]]. [[폴란드]] [[바르샤바]]에도 스탈린이 '[[선물]]'로 지어준, 이들과 비슷하게 생긴 [[문화과학궁전]](Pałac Kultury i Nauki, 속칭 PKiN)이란 마천루가 있다. 공산주의 소련이 망하고 자본주의 러시아 연방이 들어서자 이러한 공산주의적인 건물은 더 이상 짓지 않고 [[모스크바 시티]] 같은 신도심지에 [[커튼 월]] 방식의 대형 [[마천루]]들이 들어서고 있다. 사실 2000년대 중반 '''승리의 궁전''' 이라고 스탈린식 건축 방식으로 만들고 이름도 공산주의틱하게 만든 260m 짜리 거대한 아파트[* 2006년 잠시 모스크바 빌딩 중 높이 1위를 차지했다. 후에 [[커튼 월]] 방식의 초고층 아파트가 모스크바에 들어서기 전까지 유럽 최고 높이의 거주용 아파트이기도 했다.]가 있었는데, 건설업체에서 스탈린의 8자매라고 광고하며 공산주의 소련의 향수를 자극하려 했었다. 물론 공산주의 소련에 압제에서 해방된지 10여년 뿐이 지나지 않았던 시점이라 러시아 사람들이 불쾌하게 생각해서 이러한 광고는 없어졌다고 한다. === 목록 === * [[모스크바 국립대학교]] * 러시아 외무성 청사 * 레드게이트 빌딩 - 행정부 청사 * 우크라이나 호텔 * 레닌그라드스카야 호텔 - [[힐튼|힐튼 호텔]]이 인수함. * 코텔리체스카야 제방 아파트 * 쿠드린스카야 광장 아파트 - 예술인 거주지 ※ 승리의 궁전 아파트 - 공산주의 소련이 망하고 자본주의 러시아 연방시절 만들어진 건물, 스탈린 양식의 거대한 아파트(비공식 8자매) == [[인도]] 동북부 7개 주 == 서벵골 주 동쪽에 위치한 7개 주를 지칭한다. * [[나갈랜드]] * [[마니푸르]] * [[메갈라야]] * [[미조람]] * [[아삼]] * [[트리푸라]] * [[아루나찰프라데시]] == [[포가튼 렐름]] 세계관의 단체 == [[세븐 시스터즈(던전 앤 드래곤 시리즈)]] 항목 참조. [각주] [[분류:동음이의어]][[분류:미국의 여자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