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유희왕/OCG/기계족]] [include(틀:관련 문서, top1=세리온즈)] [목차] == 개요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의 최상급 효과 몬스터 카드. == 설명 == [[파일:セリオンズ“キング”レギュラス.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세리온즈 "킹" 레귤러스, 일어판명칭=セリオンズ“キング”レギュラス, 영어판명칭=Therion "King" Regulus, 속성=땅, 레벨=8, 공격력=2800, 수비력=1600, 종족=기계족, 효과1=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2=①: 자신 묘지의\, "세리온즈" 몬스터 또는 기계족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패에서 특수 소환하고\, 대상 몬스터를 장착 카드로 취급하여 이 카드에 장착한다., 효과3=②: 상대가 카드의 효과를 발동했을 때\, 자신의 패 / 필드에서 "세리온즈" 몬스터 카드 1장을 묘지로 보내고 발동할 수 있다. 그 효과를 무효로 한다., 효과4=③: 이 카드를 장착한 "세리온즈" 몬스터는\, 공격력을 700 올리고\, 이 카드명의 ②의 효과를 얻는다.)] [[디멘션 포스]]에 데뷔한 종족 지원 테마 [[세리온즈]]의 에이스. 이 카드는 [[기계족]]을 지원한다. 대응하는 별자리는 [[사자자리]]. 이름은 사자자리의 알파성 "레굴루스(Regulus)"에서 따온 것으로 추정된다. === 성능 === ①의 효과는 묘지의 세리온즈/자신의 종족 몬스터를 장착하며 특수 소환되는 세리온즈의 공통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룰/효과#기동 효과|기동 효과]]로, 킹은 [[기계족]]이므로 묘지의 기계족 몬스터를 장착하며 특수 소환할 수 있다. 기계족 몬스터 중에서는 장착된 자신을 바로 특수 소환할 수 있게 하는 [[유니온(유희왕)|유니온]] 몬스터들이 많아서 유용한데, 이 기계족 유니온 몬스터 중에서는 '''[[ABC(유희왕)|ABC]]'''로 대표되는 강력한 몬스터들이 존재하며, 이 경우 [[ABC(유희왕)#B-버스터 드레이크|B-버스터 드레이크]]나 [[머시너즈]] 기어프레임 같이 특수소환이 가능한 유니온 몬스터를 장착하고, 특수 소환하여 링크 소재로 쓰면 추가 서치가 가능하다. 굳이 유니온을 활용하지 않더라도, 기본적인 타점과 ②의 효과가 강력하여 일단 소환해두면 당연히 이득이기 때문에 수많은 기계족 테마가 킹과 조합이 잘 맞는다. 앞에서 설명한 ABC를 포함하여 [[열차(유희왕)|열차]]/[[무한기동]]/[[머시너즈]]/[[섬도희]] 등등이 그 예이다. 이중 섬도희를 제외한 다른 세 카드군과 특징을 공유하는 땅 속성/기계족이니 [[무한기동#무한기동 리바스톰|무한기동 리바스톰]]으로 서치할 수 있다는 것 또한 매력적이다. 물론 다른 세리온즈 몬스터들 또한 장착할 수 있으며, 다른 종족의 덱에서도 그 종족의 세리온즈 몬스터들을 채용했다면 같이 넣어볼 수 있다. 대표적으로 [[세리온즈#세리온즈 "릴리" 보레아|세리온즈 "릴리" 보레아]]가 지원하는 식물족. 릴리는 마법/함정을 서치하는데, 이를 통해 자기를 파괴하고 [[세리온즈#원반투기장 세리온즈 링|원반투기장 세리온즈 링]]을 서치하고 발동하여 이 카드를 서치, 바로 릴리를 장착하고 킹이 튀어나올 수 있다. [[펑크세리온즈]]를 포함하는 세리온즈 중심 구축 덱에서도 릴리를 덤핑하고 다른 세리온즈를 특소, 릴리의 효과를 얻은 세리온즈가 링을 서치하고 링으로 킹을 서치하여 특수 소환할 수 있다. 소환할 때 지정한 묘지의 몬스터가 상대의 체인으로 묘지를 벗어나더라도, 장착은 하지 못하지만 이 카드의 특수 소환 자체는 무효화되지 않는다. ②의 효과는 패 / 필드의 세리온즈 몬스터를 묘지로 보내고 상대의 카드 효과 발동을 무효로 하는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룰/효과#유발 효과|유발 효과]]. 킹의 핵심 효과로, 묘지로 보내는 카드를 "세리온즈 몬스터 카드"로 지정하고 있으므로 장착된 세리온즈 몬스터도 코스트로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당연히 '''자기 자신'''도 해당되는데, 이를 통해 킹을 [[다이너레슬러 판크라톱스]]처럼 1회용 퍼미션 용도로 세울 수 있다. 당연히 매우 강력한 퍼미션 효과다. 당연히 패에 세리온즈가 있으면 그 세리온즈를 묘지로 보내어 다른 세리온즈의 장착 트리거로도 쓰는 용도로도 쓸 수 있다. ③의 효과는 장착한 몬스터에게 공격력을 올리고 ②의 효과를 부여하는 세리온즈 몬스터들의 공통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룰/효과#지속 효과|지속 효과]]. 킹을 장착한 세리온즈 몬스터들도 퍼미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종합하자면 타점도 강력하고, 퍼미션 효과도 달려 있는 다재다능하며 강력한 카드다. 세리온즈의 목적인 다종족 지원답게 이 카드가 속한 [[기계족]] 덱에서 추가적으로 퍼미션을 얻어내는 등 온갖 시너지가 존재하고, 세리온즈 중심 구축이더라도 에이스 역할을 톡톡히 해내는 카드. 최근엔 순수 세리온즈가 아닌 용병축 목적으로 가장 많이 쓰는 카드군은 속성/종족이 겹치고 자체 서치도 되는 [[무한기동]]이나, 무한기동을 넣고 구축하는 [[Earth Machine]] 덱으로, 퍼미션이 없다는 해당 테마의 단점을 이 카드가 메꾸기 때문에 3장을 풀로 쑤셔넣는 경우가 흔하다. === 설정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FJCy2SjVQAMqMeQ.jpg|width=100%]]}}} || || [[https://twitter.com/YuGiOh_OCG_INFO/status/1481963053952294914|설정화]] || 설정화의 설명문에 적힌 정보는 다음과 같다. * 사자의 머리를 가진 수인형 사이보그 * 갈기는 튜브 형태의 파츠(※이펙트가 아님) * 과거 배틀로 파괴된 부분은 다른 로봇의 파츠로 보충하고 있어 전체적으로 좌우 비대칭적인 형태, 컬러링이 되어 있다. * (손은) 복싱의 붉은 글러브스럽게 표현 * 망토(전투 시에 벗음) * 고대 로마의 검투사와 격투가 두 가지를 섞은 디자인 [[알버스의 낙윤]]/[[순백의 성녀 에클레시아]]/[[트라이브리게이드]]/[[상검]]/[[히스이(유희왕)|히스이]]가 [[상검대사-칠성용연]]/[[신염룡 루벨리온]]/[[데스피아]]와 처절한 격전을 벌이는 사이, [[트라이브리게이드 키트|키트]]와 [[스프리건즈]]들은 이들을 지원하기 위해 성흔의 힘을 억제할 수 있는 에너지탄의 근원을 찾아 철의 나라에 방문한다. 여기에 위치한 원형투기장은 철괴의 전사 세리온즈들이 서로의 무기와 장비를 쟁탈해 자신을 강화하는 투쟁의 나날을 지속하는 곳인데, 세리온즈 "킹" 레귤러스는 이 세리온즈에서 손꼽히는 강자다. 투쟁의 민족답게 성흔의 힘을 억제하는 힘에 대한 도움을 받기 위해선 전통대로 세리온즈들을 격파해야 한다는 얘기를 듣고, [[스프리건즈#스프리건즈 캡틴 사르가스|스프리건즈 캡틴 사르가스]]가 나서서 다른 세리온즈들을 격파하고 드디어 킹에게 도전장을 내민다. 캡틴 사르가스와 킹 레귤러스는 서로 [[세리온즈#세리온즈 크로스|크로스 카운터]]까지 날리고 [[세리온즈#세리온즈 스탠덥|쌍방 다운]]까지 당하는 격전을 벌인 끝에 마침내 사르가스에게 패배한다. 그런데 에너지를 얻으러 키트 일행이 [[세리온즈#무진기관 아르기로 시스템|아르기로 시스템]] 앞에 서자 시스템이 갑작스레 [[스프라이트(유희왕)|스프라이트]]를 불러내더니 레귤러스에게 에너지를 과다 주입하여 [[세리온즈#세리온즈 이레귤러|세리온즈 이레귤러]]로 폭주시킨다. 하지만 원래 모습으로 돌아오는 데 성공했으며[* 정황상 키트 역시 홀의 힘을 다룰 수 있다는 것을 생각하면 키트가 구해 줬을 가능성이 높다.], 서로 마음이 통한 사르가스와 함께 기간틱 스프라이트에게 래리어트~~라 쓰고 [[크로스 봄버]]~~를 날려 쓰러트린다. 이후 스프라이트 에너지를 이용해 사르가스와 합체, [[기간틱 "챔피언" 사르가스]]가 된다. === 기타 === > 철나라 투기장에서 계속 싸우는 사자기계 인간이 디자인된 프로텍터. > "킹"의 이름을 걸고 정점으로 나아가려 정진하는 당신에게. > ---- > 유희왕 마스터 듀얼 세리온즈 "킹" 레귤러스 프로텍터 설명 [[파일:유희왕 마스터 듀얼 새리온즈 킹 레귤러스 소환 연출.gif|width=700]] 유희왕 마스터 듀얼에서 Live2D 연출, 프로텍터, 셀렉션 팩 표지를 독식하는 기염을 토했다. 특히 프로텍터의 설명은 미묘하게 [[잭 아틀라스]]를 떠올리게 하는 플레이버 텍스트가 붙어있다. 카드 일러스트도 하늘을 향해 검지를 치켜드는 잭의 시그니처 포즈를 연상시킨다. ~~의외로 검지를 치켜들지 않고 그냥 주먹쥔 줄 아는 사람들이 있다~~ == 수록 팩 일람 ==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디멘션 포스|DIMENSION FORCE]] || DIFO-JP007 || [[울트라 레어]][br][[얼티미트 레어]][br][[시크릿 레어]][br][[프리즈마틱 시크릿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디멘션 포스]] || DIFO-KR007 || [[울트라 레어]][br][[얼티미트 레어]][br][[시크릿 레어]][br][[프리즈마틱 시크릿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디멘션 포스|Dimension Force]] || DIFO-EN007 || [[시크릿 레어]][br][[프리즈마틱 시크릿 레어|스타라이트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세리온즈, version=2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