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ffffff {{{+2 Сяргей Лазніца}}} }}}''' [br] '''{{{#ffffff 세르게이 로즈니차|Сергій Володимирович Лозниця }}}''' || ||<-3>{{{#!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ergei Loznitsa.jpg|width=100%]]}}} || || '''이름''' ||<-2>세르히 로즈니챠[* 기존에 국내에서 알려진 이름 표기는 '세르게이 로즈니차'였으나,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이 벌어진 시점 이후로 키예프가 키이우로, 리보프가 르비우로 수정되었듯이 2022년 [[전주국제영화제]]에서도 기존의 감독명 표기를 수정하였다.] || ||<|2> '''출생''' ||<-2>[[1964년]] [[11월 5일]]([age(1964-11-05)]세) || ||<-2>[[소련]] [[벨로루시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소비에트 벨로루시]] 브레스트 주 바란노비치[* 現 [[벨라루스]]] || ||<-2> '''학력''' ||[[키이우 공과대학교]] {{{-2 ([[응용수학과|응용수학]])}}} ^^(1981 - 1987)^^ [br]Gerasimov Institute of Cinematography ^^(1991 - 1997)^^ || [목차] [clearfix] == 개요 == 우크라이나의[* 출생은 소련령 벨라루스였으나 어렸을적 우크라이나에서 이주해 최종적으로 우크라이나인이다. 벨라루스계 우크라이나인인 셈.] [[영화 감독]]. 다큐멘터리과 극 영화를 병행하고 있다. 원래 [[키이우 공과대학교]]에서 수학을 전공한 인공지능 개발 연구원이었는데, 소련 붕괴 후 갑자기 나나 조르자제 밑에서 영화 공부를 해 감독이 된 특이한 이력의 소유자다. 주로 다큐멘터리를 찍다가 2010년 나의 기쁨My Joy으로 극영화 데뷔했으며 데뷔작으로 [[칸 영화제]] 경쟁 부문에 초청받으면서 유명세를 탔다. 키라 무라토바가 현직에서 물러난 이후 우크라이나 영화를 대표하는 감독이 되었다. 극영화 감독으로는 키라 무라토바처럼 무뚝뚝하고 냉소적인 슬라브식 블랙코미디를 구사하는 감독. 반 러시아-친 서방/민주주의 성향의 감독이라 러시아 비판하는 영화와 다큐멘터리를 많이 내, 러시아 쪽에서는 탐탁지 않게 보고 있는 감독이다.[* 극영화 나의 기쁨 역시 러시아의 어두운 면을 가감없이 비판해 러시아를 비롯한 슬라브 계열 국가들에서 상당히 논란이 된적이 있다. [[화이트 타이거: 최강 전차군단]]로 유명한 카렌 샤크나자로프는 러시아인들은 로즈니차를 쏴죽이고 싶을 것이라고 비난했지만, 반대로 [[안드레이 즈비아긴체프]]는 이 영화를 지지했다.] [[유로마이단]] 입장에서 만든 다큐멘터리와 영화를 내놓았다.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당시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과 푸틴에 대해서는 맹규탄하면서도, 러시아 영화를 금지하는 것에 대해 반대해[* 참고로 당시 발언을 보면, 민족주의에도 비판적인 이상주의 성향으로 보인다.] 우크라이나 영화 위원회에서 추방당했다는 뉴스가 나왔다. 이후 촬영지였던 [[리투아니아]]에 체류하고 있다고 한다. 또, 제79회 베니스 국제영화제 참석 중에 소련이 저지른 전쟁범죄에 대해서도 심판이 이뤄져야 한다고 주장했다.[[https://m.yna.co.kr/view/AKR20220905056200009?section=international/all|#]] [[분류:우크라이나의 다큐멘터리 감독]][[분류:우크라이나의 영화 감독]][[분류:2010년 데뷔]][[분류:1964년 출생]][[분류:벨라루스계 우크라이나인]][[분류:키이우 공과대학교 출신]][[분류:브레스트 주 출신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