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유고슬라비아 구성국)] ||<-6> [[세르비아/역사|세르비아의 역사]] || || [[세르비아 군정청]],,[[세르비아 구국정부]],, || {{{+1 →}}} || '''세르비아 사회주의 공화국''' || {{{+1 →}}} || [[세르비아 공화국]] || ||<-3><:>'''{{{#fff {{{+1 세르비아 인민 공화국}}} (1944~1963)[br] ''People's Republic of Serbia [br] Народна Република Србија [br] Narodna Republika Srbija''}}}''' || ||<-3> '''{{{#fff {{{+1 세르비아 사회주의 공화국}}} (1963~1990)[br] ''Socialist Republic of Serbia [br] Социјалистичка Република Србија [br] Socijalistička Republika Srbija''}}}''' || ||<-3> '''{{{#fff {{{+1 세르비아 공화국}}} (1990~1992)[br] ''Republic of Serbia [br] Република Србија [br] Republika Srbija''}}}''' || ||<-3><:>{{{#ffd700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ffd700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의 구성 공화국}}} || ||<:><-2>[[파일:세르비아 사회주의 공화국 국기.svg|width=100%]] ||<:>[[파일:세르비아 국장(1947-2004).svg|width=50%]] || ||<-2><:>'''{{{#ffd700 국기}}}'''[* [[몬테네그로 사회주의 공화국]]과 국기가 같다.] ||<:>'''{{{#ffd700 국장}}}'''[* 전통적인 세르비아 국장에서 [[십자가]]를 뺐다.] || ||<:><-3>[[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px-Locator_map_Serbia_in_Yugoslavia.svg.png|width=250]] || ||<:><-3>'''{{{#fff [[1945년|{{{#fff 1945년}}}]] ~ [[1992년|{{{#fff 1992년}}}]]}}}''' || ||<:><-2>'''{{{#ffd700 성립 이전}}}''' ||<:>'''{{{#ffd700 유고슬라비아 전쟁 이후}}}''' || ||<:><-2>'''[[세르비아 군정청|{{{#d00 세르비아 군정청}}}]]''' ||<:><|2>'''[[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fff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br],,,[[세르비아 공화국|{{{#fff 세르비아 공화국}}}]],,,''' || ||<:><-2>'''[[세르비아 구국정부|{{{#fff 세르비아 구국정부}}}]]''' || ||<:>'''{{{#fff 위치}}}''' ||<-2> [[세르비아]] || ||<:>'''[[수도(행정구역)|{{{#fff 수도}}}]]''' ||<-2> [[베오그라드]] || ||<:>'''{{{#fff 정치체제}}}''' ||<-2> [[공산주의]] || ||<:>'''{{{#ffd700 국가원수}}}''' ||<-2> 대통령 || ||<:>'''[[언어|{{{#ffd700 언어}}}]]''' ||<-2> [[세르비아어]] || ||<:>'''[[민족|{{{#ffd700 민족}}}]]''' ||<-2> [[세르비아인]] || ||<:>'''[[종교|{{{#000 종교}}}]]''' ||<-2> [[세르비아 정교회]] || ||<:>'''{{{#000 주요사건}}}''' ||<-2> 1945년 건국[br]1992년 [[유고슬라비아 전쟁|유고 내전]] || ||<:>'''{{{#000 통화}}}''' ||<-2> [[유고슬라비아 디나르]] || [목차] [clearfix] == 개요 == 현 세르비아의 전신으로,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의 소속국 중 하나. 비유하자면 [[소련]] 안의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과 비슷한 위상이었다. [[유고슬라비아]] 연방 내에서 가장 넓은 면적과 가장 많은 인구를 보유하고 있는 공화국이었으며, 1963년까지는 세르비아 인민 공화국으로 불렸다. == 역사 == 1974년 개혁 때 [[보이보디나 자치주|보이보디나 사회주의 자치주]]와 [[코소보 자치주|코소보 사회주의 자치주]]가 실질적으로 분리되었다. 그전까지는 명목상 자치주였지만, 그 이후 이 두 자치주는 다른 공화국들과 거의 비슷한 지위를 누렸다. 세르비아 사회주의 공화국은 존속한 기간의 대부분 동안, 유고 연방 정부에 충실하고 일반적으로는 종속적인 입장을 취했다.그러나 [[요시프 브로즈 티토]]가 1980년에 사망하고 [[코소보]]에서 세르비아인, 알바니아인 두 민족의 민족주의가 확산되자 그것에 대한 대처법을 둘러싼 공산주의자 연맹에도 균열이 생겼다. 1988년에서 1989년까지 [[슬로보단 밀로셰비치]]가 이끄는 일파가 세르비아와 [[몬테네그로]]의 지배권을 획득하는 것에 성공하자 세르비아 민족주의자의 지지를 얻고 코소보 및 보이보디나의 자치권을 박탈했다.[* 물론 밀로셰비치가 실각한 이후에는 다시 자치권이 부여됐다.] 1989년, 밀로셰비치는 세르비아 사회주의 공화국의 대통령이 되었다. 밀로셰비치는 코소보에 유고슬라비아 인민군(JNA)을 파견함으로써 연방이 코소보에서 세르비아의 이익을 위해 행동하도록 요구했다~~억지~~. 이런 움직임에 대한 다른 연방을 구성하는 각 공화국의 반발과 세르비아 측이 요구했던 [[유고슬라비아 공산주의 동맹]](공산당)에서의 당원 1인1표 제도(이에 의해서 수적으로 다수인 세르비아인이 지배권을 쥘 수 있었다.)에 대한 반발로 유고슬라비아 내에서 민족 간 긴장이 고조되면서 유고슬라비아 공산주의 동맹의 붕괴, 그리고 1991년의 유고슬라비아 붕괴로 이어졌다. 1990년에 국명이 [[세르비아 공화국]](Republika Srbija)으로 개정되고, 1992년 이후에는 세르비아 공화국과 몬테네그로 공화국의 2국으로만 이루어지는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신유고연방. 2003년 이후 [[세르비아 몬테네그로]])으로 이행했다. 2006년에 몬테네그로가 독립한 결과, 연방은 해체되면서 세르비아 공화국도 단독 국가가 되었다. == 기타 == [[세르비아 왕국(1882년~1918년)|세르비아 왕국]] 때는 [[마케도니아]] 북부도 영토로 가지고 있었지만 유고슬라비아의 지도자 [[요시프 브로즈 티토]]가 이를 [[마케도니아 사회주의 공화국]]으로 독립시켰다.~~1차너프~~ 이 일 덕분에 [[북마케도니아|마케도니아]]는 주변국들에게 티토스탄이라고 까이기도 한다. == 둘러보기 == [include(틀:발칸의 역사/현대)] [include(틀:세르비아의 역사)] [[분류:세르비아의 역사]][[분류:유고슬라비아 구성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