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FIBA 유럽 회원국)] ||<-2><:> [[파일:KSS.png]] || ||||<:><#DD1E26> {{{+2 {{{#FFFFFF '''세르비아''' }}} }}} || ||||<:><#233E85> '''{{{#!html SRBIJA }}}''' || ||<:> '''연맹''' ||<:> [[FIBA 유럽]] || ||<:> '''협회''' ||<:> [[세르비아 농구 연맹]] (KSS) || ||<:> '''[[FIBA]] 랭킹''' ||<:> 5위 || ||<:> '''감독''' ||<:> 알렉산다르 조르제비치 || ||<:> '''[[FIBA 농구 월드컵|월드컵]]''' ||<:> 출전 6회, 우승 2회 (1998, 2002) || ||<:> '''[[올림픽]]''' ||<:> 출전 4회, 은메달 2회 (1994, 2016) || ||<:> '''[[유로바스켓]]''' ||<:> 출전 12회, 우승 3회 (1995, 1997, 2001) || ||<:> '''용품 스폰서''' ||<:> [[피크]] || [목차] [clearfix] == 개요 == [[세르비아]]의 [[농구]] [[국가대표]]팀. 과거 최강팀 중 한팀이었던 [[유고슬라비아 농구 국가대표팀|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의 후신으로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농구 국가대표팀|유고슬라비아 연방공화국 / 세르비아 몬테네그로]]에서 [[몬테네그로 농구 국가대표팀]]이 분리된 이후로도 과거의 위상을 이어가고 있는 중이다. 기록 승계는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시절은 되지 않고, 유고슬라비아 연방공화국 /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시절부터 이어진다. 주요 선수들로는 [[니콜라 요키치]], [[밀로스 테오도시치]], [[미로슬라브 라둘리차]], [[보그단 보그다노비치]], [[보반 마르야노비치]] 등이 있다. == 역대 성적 == === [[FIBA 농구 월드컵]] === ==== [[2023 FIBA 농구 월드컵 필리핀-일본-인도네시아]] ==== 대회 전부터 전망이 상당히 암울한데, 센터인 [[니콜라 요키치]]와 가드인 [[바실리예 미치치]]가 대회 불참을 선언했다. 둘 다 공식 이유는 언급하지 않았지만 요키치는 파이널까지 치른 몸상태와 일정 때문에 차기 시즌 전까지 최대한 가족과 많은 시간을 보내기 위해서, 미치치는 오클라호마로 이적하면서 새 팀에서 빠르게 적응을 해야 하는 이유 때문으로 추정 중이다. 1차전 중국 경기는 105-63으로 대승했다. 4강에서 우승후보 캐나다를 잡고 다시 결승에 올랐으나 독일에게 분패하며 준우승에 머물러야 했다. === [[올림픽]] === === [[유로바스켓]] === === [[지중해 게임]] === [[분류:유럽의 농구 국가대표팀]][[분류:세르비아의 농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