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a40000, #D40000 20%, #D40000 80%, #a40000)" '''{{{#ffe400,#ffe300 소비에트 연방 제14대 공군 총참모장[br]{{{+1 세르게이 알렉산드로비치 후댜코프}}}[br]Серге́й Алекса́ндрович Худяко́в[* [[아르메니아]] 미들네임: 알렉산드리(Ալեքսանդրի)][br]Sergei Alexandrovich Khudyakov}}}'''}}}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세르게이 후댜코프 원수.jpg|width=100%]]}}} || || '''{{{#ffd700 출생명}}}''' ||아르메낙 아르테미 한페랸츠[br]Արմենակ Արտեմի Խանփերյանց[br]Armenak Artemi Khanferiants || ||<|2> '''{{{#ffd700 출생}}}''' ||[[1902년]] [[1월 7일]][* 율리우스력 기준 [[12월 25일]]] || ||[[러시아 제국]] 엘리자베트폴 현 메츠 타게르 마을[br](現 [[아제르바이잔 공화국]] 호자벤트 구) || ||<|2> '''{{{#ffd700 사망}}}''' ||[[1950년]] [[4월 18일]] (향년 48세) || ||[[소련]]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러시아 SFSR]] [[모스크바]] || || '''{{{#ffd700 안장}}}''' ||돈스코이 묘지 || ||<|2> '''{{{#ffd700 재임 기간}}}''' ||제14대 공군 총참모장 || ||[[1943년]] [[5월]] ~ [[1945년]] [[4월]] || ||<^|1><-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부모''' ||아버지 아르툠 한페랸츠[br]어머니 귤랴하눔 한페랸츠 || || '''형제''' ||형 아바크 한페랸츠[br]남동생 아르타셰스 한페랸츠 || || '''배우자''' ||바바라 페트로브나 후댜코바[* 혼전 성은 렐랴크 (Леляк)] || || '''아들''' ||장남 빅토르 후댜코프[br]차남 세르게이 후댜코프 || ||<|2> '''복무''' ||[[소련 공군]] || ||[[1918년]] ~ [[1945년]] || || '''최종 계급''' ||항공상원수 (Маршал авиации) || || '''주요 참전''' ||[[러시아 내전]][br][[제2차 세계 대전]] || || '''주요 서훈''' ||[[수보로프 훈장]] 1등급[br]수보로프 훈장 2등급[br][[적기훈장]] (2회)[br][[적성훈장]][br]쿠투조프 훈장 1등급 ||}}}}}}}}} || [목차] [clearfix] == 개요 == [[소련 공군]]의 [[군인]]. == 생애 == 아버지의 이른 사망 때문에 15세에 집을 떠나 [[바쿠]]에서 전화교환원으로 근무하다 1918년 2월 [[노농적군]]에 입대했다. === [[러시아 내전]] === [[소대장]]으로서 [[차리친]]을 성공적으로 지켜낸 뒤, 남캅카스 군관구 직할부대 [[중대장]]을 역임하다 종전을 맞이했다. 1936년 주콥스키 적군공군사관학교를 수료한 뒤 [[소령]]으로 진급해 벨로루시 군관구로 파견돼 공군본부 병기참모를 역임했다. === [[제2차 세계 대전]] === ==== [[독소전쟁]] ==== [[게오르기 주코프]]의 명령에 따라 [[모스크바 공방전]]에 참전했다. 이후 [[쿠르스크 전투]], [[드네프르 강 전투]]에서 항공 작전을 지휘했다. 후댜코프는 그 어떠한 고난 속에서도 방향 감각을 잃지 않고 신속하게 결단을 내리는 [[파일럿]]으로 유명했다. [[장군]]으로 진급했음에도 불구하고 꾸준히 [[전투기]]를 몰고 [[독일 공군(나치 독일)|나치 독일 공군]]과 싸웠다. 판단은 물론 비행 능력도 우수했다. 한 번 지난 항로는 절대 잊지 않았다. 실전을 치르면서도 [[미국 공군]]으로부터 받은 [[P-63 킹코브라]] 전투기를 개인적으로 연구했다. 1944년 8월, [[소련 최고회의]] 법령에 따라 항공상원수로 진급했다. 이후 1945년 3월, [[이오시프 스탈린]]의 명령에 따라 제12공군 사령관으로 임명돼 [[일본 제국군]]을 궤멸시켰다. 후댜코프는 [[만주국]]의 유일한 [[황제]]인 [[선통제]]를 포로로 잡은 것으로 유명하다. === 몰락 === 1945년 만주국의 금광을 점거해서 다량의 금을 탈취했다. 총 2기의 항공기가 동원돼 [[모스크바]]로 가는 중이었는데, 이중 하나가 금과 함께 항로에서 사라졌다. 결국 1945년 12월 후댜코프는 [[치타(러시아)|치타]]에서 체포돼 모스크바로 끌려갔다. 재판은 약 4년 동안 진행됐으며, 1950년 4월 재산 몰수 및 사형을 선고받았다. 1951년 1월, 배우자와 아들들은 글린나야 마을로 추방당했다. === 사후복위 === 1953년 3월 소련 최고회의 법령에 따라 후댜코프를 포함한 가족들은 전원 사면돼 모스크바로 돌아올 수 있었다. 1954년 8월, 해당 검찰청은 사건수사기록 제100384호 자료에 대해 재수사에 착수했다. 출처가 불확실한 증거와 증언이 후댜코프를 억울한 죽음으로 몰아넣었다는 것을 밝혀내 무죄를 선고했다. 그는 다시 항공상원수 계급을 달 수 있게 됐으며, 육해군인민위원회 역시 후댜코프를 다시 당원에 포함시켰다. == 평가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ffd700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아르메니아계 러시아인 영웅 우표}}}'''}}}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아르메니아계 러시아인 영웅들.jpg|width=100%]]}}} || || '''{{{#ffd700 왼쪽부터 [[이반 바그라먄|{{{#ffd700 이반 바그라먄}}}]], [[이반 이사코프|{{{#ffd700 이반 이사코프}}}]], [[아마자습 바바자니안|{{{#ffd700 아마자습 바바자니안}}}]], 세르게이 후댜코프}}}''' || 누명 때문에 죽음을 맞이했지만, 엄연히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최고의 [[아르메니아계 러시아인]] 원수 4인방 중 하나로 꼽힌다. [[분류:1902년 출생]][[분류:1950년 출생]][[분류:아르메니아계 러시아인]][[분류:소련의 군인]][[분류:러시아 내전/군인]][[분류:제2차 세계 대전/군인]][[분류:독소전쟁/군인]][[분류:교수형된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