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유럽축구연맹 소속 국가대표팀 감독)]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29348e 100%, #FFFFFF)" {{{+1 [[몰도바 축구 국가대표팀|{{{#f4bb1f '''몰도바 축구 국가대표팀'''}}}]]}}}}}} || ||<-3> {{{#29348e '''Echipa națională de fotbal a Moldovei'''}}}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세르게이 클레슈첸코.png|width=100%]]}}} || ||<-2> {{{#f4bb1f ''' 이름 ''' }}} || '''{{{+1 세르게이 클레슈첸코}}}[br]Serghei Cleșcenco''' || ||<-2> {{{#f4bb1f ''' 본명 ''' }}} ||세르게이 클레슈첸코[br]Serghei Cleșcenco || ||<-2><|2> {{{#f4bb1f '''출생 ''' }}} ||[[1972년]] [[5월 20일]] ([age(1972-05-20)]세) || ||[[소련]] [[몰도바 SSR]] 크리울레니 || ||<-2> {{{#f4bb1f '''국적 ''' }}} ||[include(틀:국기, 국명=몰도바)] || ||<-2> {{{#f4bb1f '''직업''' }}} ||[[축구선수]] (스트라이커 / ^^은퇴^^)[br][[코치(스포츠)|축구감독]] || ||<|2> {{{#f4bb1f '''소속''' }}} || '''선수''' ||FC 오욜 (1990)[br][[FC 짐브루 키시너우]] (1990~1996)[br][[고 어헤드 이글스]] (1996~1997)[br]'''[[FC 짐브루 키시너우]]''' (1997~1998)[br][[FC 제니트 상트페테르부르크]] (1998)[br][[FC 짐브루 키시너우]] (1998~1999)[br]'''[[마카비 하이파 FC]]''' (1999~2001)[br][[하포엘 텔아비브 FC]] (2001~2003)[br][[FC 체르노모레츠 노보로시스크]] (2003)[br]브네이 예후다 텔아비브 FC (2003~2004)[br][[FC 짐브루 키시너우]] (2004~2005)[br]FC 시비르 노보시비르스크 (2005~2006)[br]FC 노보쿠즈네츠크 (2007~2008) || || '''감독''' ||[[FC 밀사미 오르헤이]] (2011~2012)[br][[FC 밀사미 오르헤이]] (2012 / ^^수석코치^^)[br][[FC 짐브루 키시너우]] (2013 / ^^단장^^)[br][[FC 짐브루 키시너우]] (2013)[br][[FC 짐브루 키시너우]] (2013~2015 / ^^단장^^)[br][[UD 레이리아]] (2015~2017 / ^^수석코치^^)[br][[UD 레이리아]] (2017 / ^^테크니컬 디렉터^^)[br][[FC 로스토프]] (2017 / ^^수석코치^^)[br]몰도바 U-21 (2019~2020)[br][[몰도바 축구 국가대표팀|몰도바 대표팀]] (2019~2021 / ^^수석코치^^)[br]몰도바 U-21 (2021 / ^^테크니컬 디렉터^^)[br]'''[[몰도바 축구 국가대표팀|몰도바 대표팀]]''' (2021~) || ||<-2> {{{#f4bb1f '''국가대표''' }}} ||69경기 11골[* [[몰도바 축구 국가대표팀]] 역대 최다 출장 5위, 최다 득점 2위] ^^([[몰도바 축구 국가대표팀|몰도바]] / 1991~2006)^^ || [목차] [clearfix] == 개요 == [[몰도바 축구 국가대표팀]]의 감독 == 클럽 경력 == 1990년 러시아 클럽인 FC 오욜에서 성인 무대에 데뷔하였다. 이후 자국의 클럽인 [[FC 짐브루 키시너우]]에서 7년간 154경기 41골을 기록하면서 주목을 받게된다. 이를 바탕으로 이적한 [[고 어헤드 이글스]]에서는 62경기 9골이라는 기대에 못미치는 성적을 거두면서 [[FC 짐브루 키시너우]]로 복귀하였다. 복귀한 [[몰도바]]에서 '''20경기 25골'''을 기록하면서 [[FC 제니트 상트페테르부르크]]로 이적하지만 이번에는 기회조차 잡지 못하며 복귀하였다. 이때 [[EFL 챔피언십]] 승격을 앞둔 [[왓포드 FC]]로 이적할 기회가 생겼으나 비자 문제로 실패하였고 결국 1999년 [[잉글랜드]]가 아닌 [[이스라엘]]의 [[마카비 하이파 FC]]로 이적하게된다. 이적한 첫 시즌에는 38경기 '''22골 10어시'''라는 뛰어난 성적을 거두었고 2003년까지 꾸준히 좋은 성적을 기록하였다. 2003년 다시 [[러시아]] 무대에 도전했지만 실패하였고 이후에도 좋지 못한 성적을 거두며 하락세에 접어들었고 결국 2008년 선수에서 은퇴하였다. 선수 경력을 통틀어 본다면 한 눈에 띄겠지만 엄청난 저니맨이었다. == 국가대표 경력 == 1991년 7월 2일 [[조지아 축구 국가대표팀|조지아]]를 상대로 A매치 데뷔를 하였다. 이 경기는 몰도바 대표팀의 출범 첫 경기로, 그는 몰도바 대표팀 원년 멤버로써 이후에도 꾸준히 대표팀의 중추 역할을 담당한다. 1994년 [[아제르바이잔 축구 국가대표팀|아제르바이잔]]을 상대로 A매치 데뷔골이자 멀티골을 기록하였고 몰도바 대표팀 주포로 A매치 69경기 11골을 기록했다. 상대적 약체인 몰도바의 전력을 생각한다면 꽤 준수한 기록이다. 2006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축구 국가대표팀|보스니아]] 전을 마지막으로 국가대표에서 은퇴하였다. == 감독 경력 == 2011년부터 코치 경력을 시작했으나 좋은 성적을 기록하지는 못하였다. 몰도바 리그의 밀사미 오르헤이, 짐브루 키시너우를 지휘하기도 했으나 전부 두 시즌 이상을 가지 못하고 자리에서 내려왔다. 이후 포르투갈과 러시아 프로팀에서 코치 생활을 하다가 2019년 몰도바 U-21 대표팀 감독에 선임되며 다시 고국으로 돌아왔다. 이후 2021년 [[몰도바 축구 국가대표팀|몰도바 대표팀]] 감독으로 선임되었으나 초반 A매치 8연패를 기록하는 모습을 보이며 불안한 모습을 보였다. 그러나 [[UEFA 네이션스 리그/2022-23 시즌/리그 D#s-3.1|2022-23 네이션스 리그]]에서 반등하더니 [[UEFA 유로 2024/예선/E조|유로 예선]]에서 [[폴란드 축구 국가대표팀|폴란드]]를 상대로 '''1승 1무'''를 거두는 이변을 보여주었다. 이후에도 쉽게 지지 않는 팀 컬러를 구축하는데 성공하며 최약체라는 평가를 딛고 유로 예선에서 본선 진출 경쟁을 하는 등 선전하고 있다. [[분류:1972년 출생]][[분류:1990년 데뷔]][[분류:2008년 은퇴]][[분류:크리울레니 구 출신 인물]][[분류:몰도바의 남자 축구 선수]][[분류:몰도바의 남자 축구 감독]][[분류:스트라이커]][[분류:FC 짐브루 키시너우/은퇴, 이적]][[분류:고 어헤드 이글스/은퇴, 이적]][[분류:FC 제니트 상트페테르부르크/은퇴, 이적]][[분류:마카비 하이파 FC/은퇴, 이적]][[분류:하포엘 텔아비브 FC/은퇴, 이적]][[분류:FC 체르노모레츠 노보로시스크/은퇴, 이적]][[분류:브네이 예후다 텔아비브 FC/은퇴, 이적]][[분류:FC 시비리 노보시비르스크/은퇴, 이적]][[분류:FC 밀사미 오르헤이/역대 감독]][[분류:몰도바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