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소련군/원수)]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a40000, #D40000 20%, #D40000 80%, #a40000)" '''{{{#ffe400,#ffe300 소비에트 연방 제2대 해군 총사령관[br]{{{+1 세르게이 게오르기예비치 고르시코프}}}[br]Серге́й Гео́ргиевич Горшко́в[br]Sergey Georgiyevich Gorshkov}}}'''}}} || ||<-2>{{{#!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D0%90%D0%B4%D0%BC%D0%B8%D1%80%D0%B0%D0%BB_%D0%93%D0%BE%D1%80%D1%88%D0%BA%D0%BE%D0%B2.jpg|width=100%]]}}} || ||<|2> '''출생''' ||[[1910년]] [[2월 26일]]|| ||[[러시아 제국]] 포돌스크현 [[카미야네치포딜스키|카메네츠-포돌츠크]][br](現 [[우크라이나]] [[흐멜니츠키주]] [[카미야네치포딜스키]])|| ||<|2> '''사망''' ||[[1988년]] [[5월 13일]] (향년 78세)|| ||[[소련]]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러시아 SFSR]] [[모스크바]] || || '''묘소''' ||노보데비치 묘지 || ||<|2> '''재임기간''' ||제2대 해군 총사령관|| ||[[1956년]] [[1월 5일]] ~ [[1985년]] [[12월 8일]]||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부모''' ||[[아버지]] 게오르기 미하일로비치 고로시코프 || ||<|2> '''복무''' ||[[소련 해군|소비에트 연방 해군]] || ||[[1927년]] ~ [[1985년]] || || '''최종 계급''' ||[[원수(계급)|소비에트 연방 함대 제독]] {{{-2 (소비에트 연방 해군)}}} || || '''주요 참전''' ||[[제2차 세계 대전]] || || '''주요 서훈''' ||[[소비에트 연방 영웅]] (2회)[br][[10월혁명훈장]][br][[레닌훈장]] (7회)[br]애국전쟁훈장 1등급[br][[우샤코프 훈장]] 1, 2등급[br][[적기훈장]] (4회)[br][[적성훈장]][br]쿠투조프 훈장 ||}}}}}}}}} || [목차] [clearfix] == 개요 == [[소련 해군]]에서 [[니콜라이 쿠즈네초프]], [[이반 이사코프]]와 함께 단 세 명뿐인 소비에트 연방 함대 제독[* 소련 해군의 계급은 초급 부관(Младший лейтенант), 부관(Лейтенант), 선임 부관(Старший лейтенант), 함장 부관(Капитан-лейтенант) / 3급 함장(Капитан 3-го ранга), 2급 함장(Капитан 2-го ранга), 1급 함장(Капитан 1-го ранга) / 반제독(Контр-адмирал), 부제독(Вице-адмирал), 제독(Адмирал), 함대 제독(Адмирал флота), 소비에트 연방 함대 제독(Адмирал флота советского союза) 순서로 이루어져 있으며, 초급 부관에서 함장 부관까지는 [[위관급 장교]], 3급 함장에서 1급 함장까지는 [[영관급 장교]], 반제독부터는 [[장성급 장교]]이며, 소비에트 연방 함대 제독은 타국의 [[원수(계급)|원수]]와 동급이다.]이며, '''[[냉전]] 시기에 29년이라는 긴 시간동안 소련 해군 총사령관을 맡아 [[미합중국 해군|미국 해군]]과 자웅을 겨루던 소련 해군에 결정적인 기여를 한 인물'''이다. 통칭 '''소련 해군의 어머니'''. == 생애 == === 성장 === 고르시코프는 1910년 2월 26일, 카메네츠-포돌츠크에서 태어나, [[모스크바]] 주의 콜롬나에서 자랐다. 1927년 [[소련 해군]]에 입대한 뒤, 1931년 11월에 [[프룬제]] 해군학교를 졸업하고 흑해함대의 [[구축함]] [[데르즈키급 구축함#s-4|프룬제]]의 감시 장교로서 해군 생활을 시작했다. 한 달 뒤에는 프룬제의 항해사가 되었고, 1932년 3월에는 [[러시아 태평양 함대|태평양함대]]로 전속되어 [[기뢰부설함]] [[http://sovnavy-ww2.ho.ua/minelayers/typ_astrahan.htm|톰스크]]에서 복무했다. 1934년 1월, [[기뢰부설함]] 및 [[소해함]] 여단의 [[기함]] 항해사로 승진한 고르시코프는 그 해 11월에 [[경비함]] [[https://en.wikipedia.org/wiki/Uragan-class_guard_ship|부란]]의 함장이 되었다. 1936년 12월부터 1937년 3월까지 구축함 함장 과정을 수료한 고르시코프는 구축함 [[프로젝트 7형 구축함|라쟈시]]의 함장이 되었다. 그 해 10월에는 태평양함대 구축함여단의 참모장이 되었으며, 1938년 5월에는 구축함여단장이 되었다. 이 시기에 고르시코프는 [[하산 호 전투]]에 참전했으며, 1940년 6월에는 [[흑해함대]] 순양함여단장으로 전임된다. === [[제2차 세계 대전]] === [[독소전쟁]]이 발발한 뒤, 1941년 9월에 고르시코프는 31살의 나이에 [[소장(계급)|반제독]]으로 진급한다. 고르시코프는 [[오데사]] 방어전에 참여했다가, 10월에 [[아조프 해|아조프]] 전단장으로 전임된다. 케르치 반도 북부의 상륙작전을 지휘한 고르시코프는, 1942년 8월에 소련군이 노보로시스크로 후퇴하자 아조프 소함대 역시 해산되어, 고르시코프는 노보로시스크 방어구의 해군 부사령관 겸 군사 평의회의 일원이 되었다. 고르시코프는 캅카스 전투 동안 임시로 지역을 방어하던 47군 소속의 병력을 지휘했다. 재편성된 아조프 전단의 전단장으로 복귀한 뒤, 고르시코프는 [[타만 반도]] 상륙작전 등 흑해 일대의 상륙작전을 지휘해 여러 훈장을 수훈받게 된다. 1944년 4월 [[다뉴브 강|다뉴브]] 전단장이 된 고르시코프는 제2차 야시-키시네프 공세에서 제3우크라이나 전선군 소속 병력을 지원했으며, 이후에도 [[베오그라드]]와 [[부다페스트]] 공세를 지원했다. 9월에 [[중장|부제독]]으로 진급한 고르시코프는 흑해함대 전대장으로 이동했으며, 그 직책에서 종전을 맞았다. === 전후 === 고르시코프는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난 뒤인 1948년 11월에 흑해함대 참모장이 되었고, 1951년 8월에는 흑해함대 사령관이 되었으며, 1953년 8월에는 [[대장(계급)|제독]]으로 진급했다. 1955년 7월, 해군 제1부사령관에 임명된 고르시코프는 [[니콜라이 쿠즈네초프]]의 뒤를 이어, 1956년 1월 해군 총사령관 겸 국방차관에 취임한다.[* 당시 소련 국방부는 [[국방장관]] - 제1국방차관 - 국방차관으로 이어지는 지휘체계였다. 제1국방차관은 [[소련군]] 총참모장/[[바르샤바 조약기구]] 통합군 최고사령관/군수산업사령관 세 명이었으며, 그 밑에 육군/해군/공군/방공군/전략로켓군 사령관 다섯 명이 당연직으로 국방차관을 겸임하였다.] === 해군 총사령관 === [[파일:external/img.timeinc.net/1101680223_400.jpg|width=400]] ▲ [[1968년]] [[2월 23일]]자 [[타임(주간지)|타임]]지 표지. 고르시코프는 '''29년이라는 긴 세월 동안''' 해군 총사령관을 지내면서 [[레오니트 브레즈네프]]의 군비 증강 기조에 힘입어, 별 볼일 없던 [[소련 해군]]을 '''세계 2위'''로 만들어놓는다. 고르시코프는 막강한 해군력을 지닌 서방의 [[미국]]과 [[북대서양 조약 기구]]에 대항하기 위한 [[대양해군]]을 양성해야 한다고 주장했으며, [[미사일]]과 [[잠수함]]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해상 어디에서라도 기습의 위험을 피할 수 없다고 생각해 상시 전 세계의 바다에서 우위를 차지한다는 불가능한 목표를 포기하고, 필요한 시기에 필요한 해역을 장악한다는 전략을 세웠다. 간단히 예를 들어 말하자면 >'''"우리가 이제 영국 본토를 탈탈 털껀데 잠시 [[도버 해협]] 앞으로 애들 죄다 모아서 도버 [[제해권]]만 장악하면 되겠지?"''' 이런 개념이다. 이에 따라 고르시코프는 소련 해군의 발전에 힘써 [[킨다급 미사일순양함]], [[크레스타급 순양함]], [[카라급 순양함]] 등 현대식 수상함을 갖추기 시작했고, [[모스크바급 대잠 항공순양함]], [[키예프급 항공 중순양함]]에 이어 1980년대 초반부터는 '''[[키로프급 핵추진 순양함]]'''과 [[슬라바급 순양함]] 같은 막강한 대형 수상함을 취역시켰다. 해군 항공 전력도 현대화되어 수백 대에 달하는 [[Tu-16]], [[Tu-22M]] 폭격기들이 [[Kh-22 부랴|Kh-22]] 초음속 대함미사일을 탑재하고 미국 해군의 항모전단을 겨냥했으며, Ka-25, [[Ka-27]], [[Mi-14]] 헬리콥터가 배치되었다. 정찰 자산도 늘어나 대양 곳곳에는 [[Tu-95#s-5.12|Tu-142]], [[Il-38]] 대잠초계기와 더불어 각종 정보수집함들이 미국 해군을 감시했으며, US-A, US-P 해양정찰위성으로 구성된 르젠다 시스템을 구축해 미국 해군의 동태를 추적했다. 잠수함 전력도 미국 해군을 제외한 북대서양 조약기구 해군 전체를 압도하는 수준으로 발전하여 [[노벰버급 잠수함|노벰버급 원자력 잠수함]]부터 [[빅터급 잠수함|빅터급]], [[알파급 잠수함|알파급]], [[시에라급 잠수함|시에라급]], [[아쿨라급 잠수함|아쿨라급 원자력 잠수함]]과 [[에코급 잠수함|에코급]], 찰리급, [[오스카급 잠수함|오스카급 유도미사일 원자력 잠수함]] 그리고 [[양키급 잠수함|양키급]], [[델타급 잠수함|델타급]], '''[[타이푼급 잠수함|타이푼급 전략 탄도미사일 원자력 잠수함]]'''과 같은 강력한 전력을 갖추었으며, 특히 1972년에 등장한 델타급은 소련의 연안에서도 미국 본토를 타격할 수 있는 강력한 무기 체계였고, 타이푼급은 현재까지도 '''세계에서 가장 큰 잠수함''' 타이틀을 가지고 있다. 이외에도 1970년에는 크반트 연구소를 방문해 해군용 Carat [[컴퓨터]]의 개발을 의뢰하는 등 그야말로 소련 해군을 위해 '''[[신발]]이 닳도록 뛰어다닌''' 고르시코프 덕분에 소련 해군은 서방 세계에서도 주목을 받았으며, 미국 내부에서는 [[1975년 순양함 격차 논쟁]]과 같은 정치적 논쟁까지 벌어졌다. 소련이 붕괴된 이후, 경제도 붕괴되면서 신생 [[러시아 해군|러시아 연방 해군]]은 어쩔 수 없이 고르시코프의 유산 상당 부분을 스크랩해야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끈질기게 살아남은 고르시코프의 유산은 러시아 연방 해군의 전력에 큰 보탬이 되었고, 그 덕에 소련 해군에 비해 규모가 큰 폭으로 축소된 러시아 연방 해군은 [[중국 인민해방군 해군]]의 급격한 팽창 이전까지 한동안 세계 2위의 해군을 유지할 수 있었다. [[파일:sergej-georgievich-gorshkov-561x800.jpg|width=400]] ▲ 해군 군관 정복을 입은 노년의 초상화. 1962년 4월, [[상급대장|함대 제독]]으로 진급한 고르시코프는 1965년 5월에는 [[소비에트 연방 영웅]] 칭호를 받았으며, 1967년 10월에는 [[원수(계급)|소비에트 연방 함대 제독]]으로 진급했다. 1982년 12월에는 두 번째로 소비에트 연방 영웅 칭호를 받았으며, 1985년 12월에 국방부 총감찰단[* 소련군에는 정년이 없기에 은퇴를 원하지 않는 상장 이상의 고위 장성들은 총감찰단으로 이직해 현역 생활을 지속했다.]으로 이직한 뒤 1988년 5월 13일, [[모스크바]]에서 사망했다. == 여담 == 저서도 제법 있는 편인데, 가장 유명한 책으로는 <[[http://www.kyobobook.co.kr/product/detailViewKor.laf?mallGb=KOR&ejkGb=KOR&barcode=9788970131627&orderClick=JA2|국가의 해양력]]>이 있다. 한글 번역도 되었기 때문에, 해군에 관심이 있는 사람이라면 한 번 쯤은 읽어봐도 좋은 책이다. 다만 가짜 전쟁의 개념을 몰라 오역을 하거나, 영문의 문장 구조를 잘못 파악해 독소전쟁 개전 초기 상황에 대한 서술을 엉뚱하게 서술하는 등 곳곳에서 번역이 엉망이기 때문에, 번거롭더라도 역자가 번역한 영역본을 구해 읽는 것을 권한다. [[러시아어]]가 가능하다면 러시아어본을 구해서 읽으면 한역본에서 나타나는 무의미한 용어 구분에서 오는 혼동을 줄일 수 있다. 물론 소련인이 쓴 만큼 [[영국]]과 [[미국]]을 까는 부분이 있긴 하지만, 그렇게 대놓고 까지는 않으며 오히려 지상군 위주의 소련 전략가들을 더 많이 깐다. --적의 해군이 우리 육군보다 가깝게 느껴졌던듯-- 그 외에도 여러가지 저서가 있지만, 일단은 <국가의 해양력>이 가장 유명하며 구하기도 쉽다. 이 책은 1999년에 번역 출판되었으며, 여기저기 도서관에 많이 비치되어있고 2022년 현재도 쉽게 구할 수 있다. 통칭 '''소련 해군의 아버지'''이자 고르시코프의 전임 해군 총사령관이었던 [[니콜라이 쿠즈네초프]] 제독과는 사이가 무척 안좋았으며, 고르시코프는 쿠즈네초프의 소비에트 연방 함대 제독 복권을 강력히 반대해 결국 쿠즈네초프의 생전 복권을 막았다. <국가의 해양력>에서 소련 해군의 활약상을 쓴 부분에도 당시 쿠즈네초프가 해군장관이었지만, 그의 이름은 전혀 언급되지 않는다. --[[부부싸움]] 돋네-- 1982년부터 [[중국 인민해방군 해군]]의 사령원으로 재직하며, 중국 해군력의 발전을 이끌었던 [[류화칭]] 제독이 1954년 소련의 보로실로프 해군사관학교에서 유학했을 당시에 고르시코프의 지도를 받았다. 이 때문인지, 류화칭 제독의 별명은 다름아닌 '''중국의 고르시코프'''다. 소련 해군이 고르시코프의 노력에 힘입어 폭발적으로 성장함에 따라 그 유명세는 미국에도 알려져, 고르시코프는 [[톰 클랜시]]의 출세작인 '''[[붉은 10월]]'''에 등장한다. 극 중의 인물인 [[마르코 라미우스]]가 쓴 잠수함 관련 [[논문]]을 주의깊게 보고, 라미우스의 유능함을 인정해 [[타이푼급|타이푼급 전략 탄도미사일 원자력 잠수함]] 7번 함인 [[붉은 10월함|붉은 10월]]의 [[함장]]으로 임명하는 사람이며, 라미우스가 붉은 10월을 몰고 미국으로 망명하려 하자, 결국 붉은 10월을 격침시키기로 결정한다. [[러시아 해군|러시아 연방 해군]]은 고르시코프를 기리는 의미에서, [[키예프급 항공 중순양함]] 4번 함의 함명을 [[바쿠]]에서 어드미럴 고르시코프로 변경했으나, 해당 함이 [[인도]]로 매각되어 [[인도 해군]]의 [[비크라마디티야(항공모함)|비크라마디티야]]가 되자, [[어드미럴 고르쉬코프급 호위함|어드미럴 고르시코프급 호위함]]에 고르시코프의 이름을 붙였다. == 수훈 목록 == * [[소비에트 연방 영웅]] 2회 수훈 * 1등 우샤코프 훈장 * 1등 쿠투조프 훈장 * 레닌 상 수상 * 소련 국가 포상 * [[세바스토폴]], [[블라디보스톡]] 등 명예 시민 == 관련 문서 == * [[스베들로프급 순양함]] * [[어드미럴 고르쉬코프급 호위함]] [[분류:소련군 원수]][[분류:제2차 세계 대전/군인]][[분류:1910년 출생]][[분류:1988년 사망]][[분류:소비에트 연방 영웅]][[분류:소련 공산당 22기 중앙위원회 위원]][[분류:소련 공산당 23기 중앙위원회 위원]][[분류:소련 공산당 24기 중앙위원회 위원]][[분류:소련 공산당 25기 중앙위원회 위원]][[분류:소련 공산당 26기 중앙위원회 위원]][[분류:소련 공산당 27기 중앙위원회 위원]][[분류:흐멜니츠키주 출신 인물]][[분류:노보데비치 묘지 안장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