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오산시의 고등학교]][[분류:2012년 개교]][[분류:나무위키 교육기관 프로젝트]] [include(틀:교육기관)] [include(틀:경기도 오산시의 고등학교)] || [[파일:세교고 드론샷.jpg|width=100%]] || || 학교 전경 || ||<-2><:> '''{{{#white {{{+1 세교고등학교}}}[br]細橋髙等學校[br]Segyo High School}}}'''|| ||<-2> [[파일:세교고 logo.jpg|width=100%]] || ||<-2> [include(틀:지도, 장소= 세교고등학교, 너비=100%, 높이=100%)] || || {{{#white '''개교''' }}} || [[2012년]] [[1월 12일]] || || {{{#white '''유형''' }}} || [[일반계 고등학교]] || || {{{#white '''운영형태''' }}} || [[공립]] || || {{{#white '''성별''' }}} || [[남녀공학]] || || {{{#white '''학생 수''' }}} || 902명[br](2023년 3월 기준) || || {{{#white '''교직원 수''' }}} || 74명[br](2023년 3월 기준) || || {{{#white '''교목''' }}} || 오죽 || || {{{#white '''교화''' }}} || 모란 || || {{{#white '''교조''' }}} || 독수리 || || {{{#white '''관할 교육청''' }}} || [[경기도교육청]] || || {{{#white '''소재지''' }}} || [[경기도]] [[오산시]] 수청로 112 || || {{{#white '''웹 사이트''' }}} || [[http://www.segyo.hs.kr/|[[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목차] [clearfix] == 개요 == > 知仁勇 [br] 지혜, 인성, 용기를 갖춘 창의 융합형 인재 육성 >---- >교육지표 >신념있는 행동 [br] 창의적인 사고 >---- >교훈 세교고등학교는 [[경기도]] [[오산시]]에 위치한 일반계 고등학교이다. 학교 교목은 오죽, 교화는 모란, 교조는 독수리이다. 2023년 12기 신입생을 맞이하였다. == 학교 연혁 == * '''2012''' 2012. 01. 12. 세교고등학교 설립인가 2012. 03. 01. 초대 교장 취임 2012. 03. 05. 제1회 1학년 391명 입학 * '''2013''' 2013. 03. 04. 제2회 1학년 390명 입학 2013. 09. 01. 제2대 교장 취임 * '''2014''' 2014. 03. 03. 제3회 1학년 360명 입학 * '''2015''' 2015. 02. 12. 제1회 졸업식 (345명) 2015. 03. 02. 제4회 1학년 386명 입학 * '''2016''' 2016. 02. 04. 제2회 졸업식 (386명) (누계731명) 2016. 03. 02. 제5회 1학년 392명 입학 * '''2017''' 2017. 02. 09. 제3회 졸업식(346명) (누계1077명) 2017. 03. 02. 제6회 1학년 355명 입학 * '''2018''' 2018. 01. 10. 제4회 졸업식(381명) (누계1458명) 2018. 03. 02. 제7회 1학년 292명 입학 * '''2019''' 2019. 01. 03. 제5회 졸업식(381명) (누계1839명) 2019. 03. 01. 제3대 교장 취임 2019. 03. 04. 제8회 1학년 311명 입학 * '''2020''' 2020. 01. 10. 제6회 졸업식(352명) (누계2191명) 2020. 03. 02. 제9회 1학년 312명 입학 2020. 09. 01. 제4대 교장 취임 * '''2021''' 2021. 01. 08. 제7회 졸업식(280명) (누계2471명) 2021. 03. 02. 제10회 1학년 292명 입학 * '''2022''' 2022. 01. 05. 제8회 졸업식(312명)(누계2783명) 2022. 03. 02. 제11회 1학년 292명 입학 * '''2023''' 2023. 01. 04. 제9회 졸업식(314명)(누계3097명) 2023. 03. 01. 제5대 어윤열교장 취임 2023. 03. 02. 제12회 1학년 331명 입학 == 교훈 및 상징 == === 교가 === || [[파일:세교고 교가.jpg]] || > [br] 1. 삼미의 아름다운 너른 들판에 [br] 창조와 화합의 열매 맺어서 [br] 푸른 꿈 깊은 열정 한 뜻 모으니 [br] 희망찬 꿈을 품고 여기 모였다 [br][br] 2. 물향기 맑은 기운 널리 퍼지니 [br] 진리와 정의의 이상 세워서 [br] 배움의 높은 기상 한마음으로 [br] 찬란한 햇살 품고 여기 모였다 [br][br] (후렴) 지혜와 사랑으로 나라의 기둥되는 [br] 우리 세교고 그 이름 영원 영원히 [br][br] == 학교 특징 == === 방과 후 학교 === 각 과목별로 교사들이 방과후 프로그램을 계획하고, 학생들을 모집한 뒤 일정 인원이 차면 방과후학교 프로그램으로 개설된다. 교과 수업과 관련된 방과후 외에도 자기소개서 작성 방법 등에 대해 가르쳐주는 방과후학교가 개설되기도 한다. === 고교학점제 선도학교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고교학점제)] === 인공지능 융합교육과정 === 2021학년도부터 인공지능 융합 교육과정을 실시한다. 4차 산업혁명 관련 분야에 소질, 적성이 있는 학생이 특화된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관련 교과목을 다양하게 개설, 운영하고 고교학점제 활성화를 위한 공동 교육과정 운영의 거점, 중심 역할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다. === 인문 특성화 프로그램 === * '''Humanitas & Idea 인문학 교실'''[* H.I 인문학 교실] * '''인.나.비.특강'''[* 인문학에 나를 비추다] * '''나를 찾아 떠나는 인문학 기행''' === 자연 특성화 프로그램 === * '''STEAM-MAKER 창의융합인재 프로그램(1학년)'''[* SM 프로그램이라고 불린다.] STEAM-MAKER 융합 탐구프로그램은 과학과 융합된 학문들의 내용을 학습한다. 과학-인문학, 과학-예술 융합 등. * 이수기준[* 2020학년도 기준] - 출석률 100% - 인문학・과학 독서기록장 각각 1편 이상 제출 - 포트폴리오 제출(수업 중에 활동한 활동지, 최종 소감문) * '''과학-수학 창의융합인재 연구 프로그램(2학년)'''[* MS(Math and Science) 프로그램이라고 불린다.] 각종 실험들 혹은 활동들을 통해 수학, 과학 지식을 키울 수 있는 프로그램이다. 2학년 때 활동할 수 있다. 2020년도에는 코로나로 인해 축소하여 3번 수업을 진행했다. 평소에는 10회 활동한다. * 이수기준[* 2019학년도 기준] - 출석률 100% - 수학・과학 독서기록장 각각 5편 이상 제출 - 포트폴리오 제출(수업 중에 활동한 활동지, 최종 소감문) * '''과학-공학 창의융합인재 프로그램(3학년)'''[* ES(Engineering and Science) 프로그램이라고 불린다.] 공학계열로 진출하고자 하는 학생들을 위해 2020년 신설된 프로그램이다. 3학년 때 활동할 수 있다. * 이수기준[* 2020학년도 기준. 코로나19로 인해 이수기준이 낮아진 것으로 보인다.] - 출석률 100% - 과학 독서기록장 2편 이상 제출 - 포트폴리오 제출(수업 중에 활동한 활동지, 최종 소감문) * '''수학탐구전''' 매년 학생 몇 명을 모집하여 선생님들이 활동에 대해 설명하고, 설명을 들은 학생들이 교내 강당에서 수학 탐구전에 참가한 학생들에게 활동에 관련된 수학 지식과 활동 방법에 대해 설명해주는 프로그램이다. === 복장 === 2023년 기준 파란색 띠 체육복이 3학년, 노란색 띠 체육복이 2학년, 흰색 띠 체육복이 1학년이다. == 학교 생활 == 점심시간이 끝나기 10분 전 교가가 나오는 것이 특징이다. === 일과 === ||<-2> {{{#white '''시간표'''}}} || || '''아침 조회''' || 8시 40분 ~ 8시 50분 || || '''1교시''' || 9시 ~ 9시 50분 || || '''2교시''' || 10시 ~ 10시 50분 || || '''3교시''' || 11시 ~ 11시 50분 || || '''4교시''' || 12시 ~ 12시 50분 || || '''점심시간''' || 12시 50분 ~ 2시 || || '''5교시''' || 2시 ~ 2시 50분 || || '''6교시''' || 3시 ~ 3시 50분 || || '''7교시''' || 4시 ~ 4시 50분 || ||<-2> 이후 선택사항 || || '''8교시[*야자1 방과후학습 및 야간자율학습]''' || 5시 10분 ~ 6시 || || '''저녁시간[* 학교 안에서 저녁식사가 제공되지 않으며 인근의 편의점이나 식당에서 끼니를 해결해야 한다.]''' || 6시~7시 || || '''9교시[*야자1]''' || 7시 ~ 8시 20분 || || '''10교시[*야자 야간자율학습]''' || 8시 30분 ~ 9시 50분 || === 야간자율학습 === 야간자율학습의 경우 강제성은 일절 없다. 지인용실[* 학교 시설 문단 참조]이라는 독서실 책상(1인용 책상)을 설치해둔 교실에서 실시한다. 지인용실은 신청을 받아 모집하는데, 지인용실에 들어가지 못한 학생들도 일반 교실에서 얼마든지 자습할 수 있다. 일반 교실에서는 칠판 사용도 가능하나 뒷처리는 필수. === 교내 행사 === * '''체육한마당축제'''[*체육대회] 1학기 중간고사 이후 열린다. * '''하모니페스티벌'''[*합창대회] 반/학년별로 한 곡 또는 두 곡을 선정하여 안무, 화음 등을 직접 짜고, 연습하여 공연하는 대회이다. 시상은 3위까지 하며 차등적으로 상품권을 수여한다. 체육 한마당 축제, 하모니 페스티벌에서 모은 돈으로 반끼리 단합하는 경우가 많은 편. * '''청람제''' 2학기 기말고사 이후 열리는 학교 축제이다. == 학교 시설 == ||층||본관||후관||별관|| ||5||3학년 1~5반, 3학년 교무실|| || || ||4||2학년 1~5반, 1학년 교무실||3학년 6~10반, 3학년 지인용실, 음악실, 미술실|| || ||3||1학년 1~5반, 2학년 교무실||2학년 6~10반, 서고, 물리지학실, 생물화학실|| || ||2||본교무실, 방송실, 본교무실||1학년 6~10반, 다목적실, 기술실, 스마트융합실, 오픈클래스|| 체육관/강당|| ||1||행정실, 교장실, 보건실||컴퓨터실, AI lab(알랩), 도서관, 시청각실||급식실|| * '''교실''' 한 학년에 10개 반으로 2, 3학년은 1반부터 문과반, 이후 이과반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나, 2015 개정 교육과정이 적용된 이후로 2, 3학년은 선택교과과목에 따라서 반이 구성된다. 처음 교육과정을 적용받은 2019년 당시의 고2 학생들은 예체능 중 미술, 음악, 중국어, 일본어를 어떻게 선택하느냐에 따라서 반이 구성되었다.[* 미술 중국어반, 미술 일본어반, 음악 중국어반, 음악 일본어반로 구성되었다.] 2015 개정 교육과정이 적용된 이후로 생기는 선택 과목이 매년 달라지는 탓에 매년 반의 기준이 달라지는 듯 하다. 2023년 기준 1학년이 2,3층, 2학년이 3,4층, 3학년이 4,5층에 위치한다. * '''지인용실'''[* 지인용 : 知仁勇] 정기적으로 자습하고자 하는 학생들이 자습할 수 있는 공간이다. 주 4회 혹은 5회 자습하는 경우에만 이곳에서 공부할 수 있으며, 점심시간 출입은 자유롭다. 칠판이 존재하나 공부를 위한 칠판보다는 공지용 칠판이다. 또한 컴퓨터가 설치되어 있어 태블릿pc가 없더라도 인터넷 강의를 들을 수 있다.[* 이어폰이나 헤드셋은 필수. 블루투스 이어폰으로는 들을 수 없다.]2022학년도 기준 지인용실은 3학년만 있다.[* 2021년 까지는 각 학년마다 지인용실이 있었다.] * '''급식실''' 강당 아래, 도서관 바로 뒤에 위치해있다. 정문으로 들어오자마자 왼쪽에 보이는 건물. 급식실이 학생 수에 비해 작다보니 학생들 수용에 문제가 있다. 때문에 한번에 급식실에 몰리는 인원을 해결할 수 없기에 점심시간(12시 50분)부터 3분마다 2개 반씩 내려오도록 하여 문제를 해결하고 있다. 항상 상위 학년부터 내려오며, 동급 학년에서는 1학기에는 1~10반, 2학기에는 10~1반 순서로 내려온다. * '''운동장''' 인공 모래 운동장이다. 운동장 옆에 농구장이 있다.[* 위 전경 사진에서 오른쪽에 위치한다.] ==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 [[세마역]]에서 도보 20분, [[오산대역]]에서 도보 30분 가량 소요된다. === 버스 === * '''[필봉초교. 신장동 주민센터. 세교고 (죽미마을 10단지 방면)]''' * [[오산 버스 8]] - 오산교통갈곶영업소 ↔ 서천마을 3단지 * [[오산 버스 9]] - 지곶동대림아파트 ↔ 동탄역(동측) * --[[오산 버스 123]] - 금암마을 3단지 ↔ 오산대학-- * [[오산 버스 C2]] - 세교신도시 ↔ 오산대역후문 * '''[필봉초교. 11.12단지. 세교고 (금암 제 2공원. 12단지 방면)]''' * [[오산 버스 8]] - 오산교통갈곶영업소 ↔ 서천마을 3단지 * [[오산 버스 9]] - 지곶동대림아파트 ↔ 동탄역(동측) * --[[오산 버스 123]] - 금암마을 3단지 ↔ 오산대학-- === 철도 === [[수도권 전철 1호선]]의 [[세마역]], [[오산대역]] 중간에 세교고등학교가 있다. 둘 다 학교까지의 거리가 꽤 되는 편이므로 역에서 내려 버스로 환승해야 한다.[* 세마역에서 [[오산 버스 8]], [[오산 버스 9]]번을 타고 오면 편리하다.] == 출신 인물 == * [[빕어]] * [[요즐리]] == 기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