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WBSC 산하 대륙별 연맹)] ||<-2> [[파일:WBSC 로고.svg|width=350]] || || '''공식 명칭''' || World Baseball Softball Confederation || || '''설립일''' || 2013년 4월 15일 || || '''본부''' || [[스위스]] [[로잔]] || || '''가입국''' || 134개 국가, 9개 리그 준회원[* [[호주 야구 리그]], [[일본프로야구]], [[KBO 리그]], [[대만 프로야구 리그]] 등 9개 리그.] || || '''공용어''' || 영어, 스페인어 || || '''회장''' || 리카르도 프리카리(초대) || || '''링크''' || [[http://www.wbsc.org/|[[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https://www.facebook.com/WBSC/|[[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5]]]]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wbsc, 크기=25)] [[https://www.youtube.com/user/WBSCo|[[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 || [목차] == 개요 == [[국제야구연맹]]과 국제소프트볼연맹이 통합해 만든 국제 야구 기구. [[국제올림픽위원회|IOC]] 가입 기구 중 [[야구]]와 [[소프트볼]], [[베이스볼 5]]를 담당하는 기구이다. 현재 국제야구연맹과 국제소프트볼연맹은 세계야구소프트볼 총연맹 산하 기구가 되어 있다. == 역사 == [[2008 베이징 올림픽]] 이후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MLB]]와 [[국제올림픽위원회|IOC]]간의 메이저리거 차출을 놓고 알력 다툼으로 인해 [[올림픽]] 정식 종목에서 야구가 퇴출당했다. 다시 재진입을 위해[* 오늘날 IOC는 올림픽 종목의 남녀평등을 매우 중요하게 여긴다. [[리듬체조]] 같이 세부종목 단위로 들어가면 1개 성별만 참여하는 올림픽 종목은 있지만, 세부 종목을 포괄하는 상위 종목 단위로 봤을 때 1개 성별만 참여하는 올림픽 종목은 없다. 때문에 남자 야구와 여자 소프트볼을 따로 두지 말고 야구-소프트볼 통합 종목 산하에 남자 야구와 여자 소프트볼 세부 종목을 두는 형태로 올림픽 재진입을 시도하고 있는 것.] 국제야구연맹과 국제소프트볼연맹과의 통합이 필요하다는 의견에 따라 2013년 4월 14일, 도쿄에서 협약을 체결하며 공식적으로 출범하게 되었다. ||[[파일:external/65.media.tumblr.com/tumblr_oc1xcsf5qv1sqk8veo8_r3_1280.png|width=300]]|| || 통합출범 당시 로고 || 2014년 5월 13일 IBAF 회장이었던 리카르도 프리카리가 WBSC 초대 회장직을 맡게 되었다. 2022년 7월 5일 총회에서 144표 중 100표를 얻으며 재선에 성공했다. == 위상 == 야구계에서 '''일단은''' 국제단체 중 최상위 야구 관리기구이기는 하나, 실제로는 IBAF때와 마찬가지로 아마야구계를 제외하곤 별로 위상이 높지 않은 기구다.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에 참가하곤 있지만 메이저리그, 메이저리그 선수노조뿐 아니라 [[일본프로야구]]보다도 수익배분이 낮다.[* 세계야구소프트볼 연맹은 WBC 수익의 5%를 받는다.] [[WBSC 프리미어 12]]의 성공 여부에 따라 달라질지 모르지만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측에서 선수 차출에 대해 호의적이지 않았다. 대회는 나름 성공을 거두었다고 자평. 그래도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메이저 리그]] 사무국이 [[중국]], [[호주]], [[유럽]] 등 큰 시장에 야구를 꾸준히 확대하려는 움직임을 보이는 반면, [[세계야구소프트볼연맹]]은 [[아시아]], [[남아메리카|남미]], [[아프리카]]등 제3세계 지역들에 야구 보급에 중점을 둔다는 차이점이 있다. 대표적으로 별다른 장비 없이 즐길 수 있는 [[베이스볼 5]]를 만들고 밀어주는 곳도 세계야구소프트볼연맹. 이는 회장 리카르도 본인이 야구 불모지인 유럽 이탈리아 출신인 것도 한 몫 하는 것으로 보인다. == 가입국 == === 가맹 연맹·협회 === [include(틀:WBSC 산하 대륙별 연맹)] ==== 아프리카 ==== * [[아프리카 야구 소프트볼 협회]](ABSA) ==== 미주 ==== * [[팬아메리칸 야구 연맹]](COPABE) * 팬아메리칸 소프트볼 연맹(CONPASA) * 중앙 아메리카 및 카리브(CONCACAS) ==== 아시아 ==== * [[아시아 야구 연맹]](BFA) * 소프트볼 연맹 아시아(SCA) ==== 유럽 ==== * [[유럽 야구 연맹]](CEB) * 유럽 소프트볼 연맹(ESF) ==== 오세아니아 ==== * [[오세아니아 야구 연맹]](BCO) * 오세아니아 소프트볼 연맹(OSC) ==== 준회원 ==== * [[KBO 리그]] * [[일본프로야구]] * [[대만 프로야구 리그]] * [[호주 야구 리그]] == 주관 대회 == [include(틀:WBSC 주관 대회)] == WBSC 랭킹 == 남자 야구 랭킹과 여자 야구 랭킹, 여자 소프트볼 랭킹과 남자 소프트볼 랭킹, 베이스볼5 랭킹이 있다. 이 중에 당연히 남자 야구 랭킹에 대한 관심도가 가장 높다. 그런데 축구의 [[FIFA 랭킹]]이 현실적인 축구 국가대표팀들간의 실력을 순위로 잘 반영 못 하여 대부분의 축구팬들이 불신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WBSC 랭킹도 산정 방식의 문제 때문에 야구대표팀들간의 전력차 현실을 반영하지 못 하기 때문에 정말 아무 짝에도 쓸모 없고 명목상 있는 랭킹이라는 비판을 많이 받고 있다. 우선, 프리미어 12에 배정된 점수가 너무 높다. 현존하는 야구대회들 중에 가장 권위 있고 관심도도 높은 '''세계 최고 야구대회'''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WBC]] 우승 시 획득점수는 1150점인 데에 비해, 프리미어12 우승 시 획득점수는 1380점이나 된다. 특히 프리미어12는 메이저 리거 40인 엔트리 내 차출 금지로 야구 강국들인 아메리카, 카리브 해 국가들 전력의 대부분이 빠지는, '''반쪽짜리도 안 되는 대회'''라서 사실상 한국, 일본, 대만만이 자국 내 리거 최정예로 임하는 대회이며 이들조차 MLB 멤버까지 끌어올 순 없다는 것을 생각하면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WBC]]에 비해 수준이 어쩔 수 없이 떨어짐에도 불구하고 WBC보다 무려 230점이나 높은 것이다. 230점은 결코 작은 점수가 아닌 게 230점 만으로도 WBSC 랭킹 32위가 될 수 있다.[* 32위 필리핀이 215점] 세계최고 무대인 메이저리그 선수들을 많이 보유할 수록 국가대항전에서 좋은 성적을 거둘 '''확률'''이 훨씬 높아지는 셈인데(마찬가지로 축구에서도 유럽 4대리그에서 뛰는 선수들이 국가대표팀에 많을 수록 더 수준 높은 축구를 구사하고 대회를 우승할 확률이 높다고 여겨진다.) 오히려 메이저리그 선수들이 절대적으로 부족하고 자국리그 출신들이 국가대표의 대다수를 차지하는(=아메리카 국가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수준이 떨어지는) 일본, 한국, 대만에게 지나치게 유리한 것도 모자라 WBC에서 같은 성적을 받은 팀에 비해 더 높은 포인트를 가져가게 되는 모순이 발생하는 것이다.[* NPB의 수준이 높고 일본의 WBC 성적이 항상 좋았기에 일본은 한국, 대만과 달리 중남미 국가들의 메이저리거들이 프리미어 12에 나오지 못한다고 해도 딱히 상관없다고 생각할 지도 모르겠으나 객관적인 전력에서 일본야구대표팀은 도미니카, 베네수엘라, 푸에르토리코, 쿠바보다 항상 별로 였던 것은 사실이고 실제 세계 도박사들의 WBC 우승확률 배팅에서 이러한 국가들보다 후순위에 위치했었다. 즉, 아메리카 대륙의 국가들이 WBC, 프리미어 12, 올림픽에 최정예 선수들을 모집하지 못한 것에 따른 반사이익을 받아 성적에서 수혜를 본 것도 분명하다.] 이렇게까지 WBSC에서 프리미어 12의 권위를 비상식적일 정도로 강제로(?) 올리려 하는 이유는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WBC]] 운영 주체인 MLB 사무국에 대한 견제를 하기 위함으로 여겨진다. === 남자 야구 === 2023년 11월 2일 발표 기준, 편의상 20위까지 기재했다. || '''{{{#002387 랭킹}}}''' || '''{{{#002387 국가}}}''' || '''{{{#002387 점수}}}''' || || 1 || [[일본 야구 국가대표팀|일본]] || 5572 || || 2 || [[멕시코 야구 국가대표팀|멕시코]] || 4709 || || 3 || [[미국 야구 국가대표팀|미국]] || 4492 || || 4 ||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대한민국]] || 4186 || || 5 || [[대만 야구 국가대표팀|중화민국]] || 3974 || || 6 || [[베네수엘라 야구 국가대표팀|베네수엘라]] || 3877 || || 7 || [[네덜란드 야구 국가대표팀|네덜란드]] || 3288 || || 8 || [[쿠바 야구 국가대표팀|쿠바]] || 3044 || || 9 || [[도미니카 공화국 야구 국가대표팀|도미니카 공화국]] || 2623 || || 10 || [[파나마 야구 국가대표팀|파나마]] || 2468 || || 11 || [[호주 야구 국가대표팀|호주]] || 2331 || || 12 || [[푸에르토리코 야구 국가대표팀|푸에르토리코]] || 2267 || || 13 || [[콜롬비아 야구 국가대표팀|콜롬비아]] || 1985 || || 14 || [[이탈리아 야구 국가대표팀|이탈리아]] || 1939 || || 15 || [[체코 야구 국가대표팀|체코]] || 1900 || || 16 || [[캐나다 야구 국가대표팀|캐나다]] || 1397 || || 17 || [[독일 야구 국가대표팀|독일]] || 1223 || || 18 || [[영국 야구 국가대표팀|영국]] || 1142 || || 19 || [[이스라엘 야구 국가대표팀|이스라엘]] || 1086 || || 20 || [[니카라과 야구 국가대표팀|니카라과]] || 912 || ||<-3> 20위 아래의 국가는 [[https://rankings.wbsc.org/list/baseball/men|여기]] 참조. || ==== 점수 산정 ==== [[IBAF]] 랭킹을 그대로 계승하고 있으나 계산법은 바뀌었다. 과거 계산법에서는 등수에 따른 포인트를 대회 중요도에 따른 배율을 곱하는 방식이었다. 아래는 당시의 가산 배수이다. ||<-2> '''대회별 점수 가산 배수''' || ||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WBSC 프리미어 12]][* 야구 월드컵이 2011년 폐지된 대신에 2015년부터 개최된 국제대회이다.] || 6배 || || 21U 야구 월드컵, 18U 야구 월드컵 || 2배 || || 15U 야구 월드컵, 12U 야구 월드컵 || 1배 || || WBC 예선 || 1배 || || 대륙별 챔피언십 || 1배~0.25배[* 랭킹 10위 이내 국가가 얼마나 참여하는지에 따라 배수가 달라진다.] || 다만, 현재도 대회 중요도에 따라 배정되는 점수가 다르다. 현재는 경기에 따라 우승부터 순위에 따라 점수가 차등 배정되며 우승 시 획득 점수는 다음과 같다. ||<-2> 대회별 우승 시 획득 점수 || || WBSC 프리미어 12 || 1380 || ||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 1150 || || U-23 야구 월드컵 || 690 || || U-18 야구 월드컵 || 575 || || U-15 야구 월드컵 || 460 || || U-12 야구 월드컵 || 345 || || 대륙별 챔피언십 및 기타 || 다양[* 예를 들어, 팬아메리칸 게임 야구의 1등은 500점, 아시안 게임 야구 1등이 300점이고 중미·카리브해 게임 야구 1등이 50점이다. 기존처럼 상위 랭커국 참가 수 등이 고려되는 듯.] || === 여자 야구 === [[https://rankings.wbsc.org/list/baseball/women|WBSC World Rankings]] === 여자 소프트볼 === [[https://rankings.wbsc.org/list/softball/women|WBSC World Rankings]] === 남자 소프트볼 === [[https://rankings.wbsc.org/list/softball/men|WBSC World Rankings]] === 베이스볼5 === [[https://rankings.wbsc.org/list/baseball5/coed|WBSC World Rankings]] == 논란 == [[2019 WBSC 프리미어 12]] 2019년 11월 7일 기준으로 보면 서울 대회 때 허술한 대처가 도마 위에 올랐다. 대한민국 : 캐나다전인 경우로 보면 2회때 경기 도중 심판이 파울 타구에 맞은 뒤, 대기심을 구하지 못해 3심으로 경기를 운영하다 부랴부랴 경기 운영 관계자를 심판으로 투입하는 촌극을 빚었다. '[[야구 월드컵]]'을 표방하면서 야구의 국제화를 주도하겠다는 야심찬 명분으로 출발한 대회임에도 관련 규정조차 제대로 갖추지 못한 민낱이 드러나면서 야구 관계자들을 한숨 짓게 만들었다. [[https://sports.news.naver.com/news.nhn?oid=076&aid=0003493822|문제는 이후 대응이었다. 당연히 멘도사 주심의 역할을 이어 받을 것으로 보였던 대기심이 나타나지 않았다]]. 2회말 수비를 준비하던 투수 김광현(SK 와이번스)을 비롯해 한국 선수들은 영문을 모른 채 그라운드를 서성일 수밖에 없었다. 결국 양팀 선수들이 더그아웃으로 물러난 가운데 WBSC 관계자가 양팀 더그아웃으로 향했다. WBSC를 현장 지원 중인 KBO는 "대기심 준비가 필요해 심판위원회, 기술위원회 상의 하에 2회말만 3심제로 소화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11분 만에 다시 마운드에 오른 김광현은 2루심이 없는 가운데 진행된 2회말 수비에서 세 타자 연속 삼진을 잡으면서 이닝을 마무리 지었다. [br] 대기심은 3회초가 되어서야 모습을 드러냈다. 그러나 2루심으로 급히 투입된 심판은 당초 이날 그라운드 진행과는 관련이 없었다. KBO 관계자는 "프리미어12에 대기심 관련 규정은 없다. 1명의 주심과 3명의 루심, 심판 자격이 있는 클락(시계) 오퍼레이터(CO)와 비디오판독원 각각 1명씩 총 6명이 경기를 담당한다"고 전했다. 멘도사 주심을 대신해 투입된 심판은 이날 CO를 맡은 대만 출신 인원이었다. == 관련 문서 == * [[야구]] * [[국제야구연맹]] [[분류:세계야구소프트볼연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