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세계대전)] * [[제1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 전후로 있었던 사건들을 시간순으로 정리한 연표입니다. * 이전 시대의 정보들은 [[빅토리아 시대/연표]], 이어지는 시대 정보들은 [[냉전]] 문서 참고할 것. [목차] == 제1차 세계 대전 이전 == 1901년 이전까지는 [[빅토리아 시대]] 참고 * 1901년 * 1월 22일 * [[대영제국]]의 [[빅토리아 여왕]] 서거(재위기간: 63년 216일) * [[대영제국]]의 [[에드워드 7세]] 즉위(재위기간: 9년 104일) * 1902년 * 1903년 * 일자미상: [[러시아 제국]], 용암포 사건 일으킴: 압록강 국경지대의 용암포를 무단으로 점령 후, 해군 기지를 건설하기 시작함. * 일자미상: [[러시아 제국]]의 [[상트페테르부르크]]에 [[그리고리 라스푸틴]] 등장. * 6월 16일: [[미국]]의 [[헨리 포드]], 미시건 주에서 [[포드(자동차)]] 회사 설립 === [[러일전쟁]](1904 ~ 1905) 시작 === * 1904년 * 2월 7일: 일본 연합함대의 대규모 무력군단을 본 러시아 제국의 포함인 코리에츠는 여순항에 지원 요청을 보냄 * 2월 8일 * 이른 아침, 코리에츠함이 일본의 순양함 지요다구를 발견하고 포를 쏨, 지요다구는 어뢰대응, 양측 화재발생, * 이후, 일본의 우류제독이 경순양함, 어뢰정 10여척을 이끌고 3000명의 군사들을 제물포에 상륙시킴 * 이후, 서울과 대한제국의 나머지 부분을 점령 * 2월 9일 * 오후까지 일본군과 러시아군이 전투를 벌여 일본군이 러시아군의 승조원을 학살함, 이후 러시아 군은 전함 두 대를 자침시킴. * 일본 함대가 제물포 항구에 5만명의 병력을 상륙시킴 * 2월 12일 * 러시아공사가 철수함. * 대한제국과 러시아는 국교가 단절됨, * 침몰한 러시아의 함정은 인양되어 일본군 함정으로 개조됨. * 2월: 뤼순에 러시아 제국의 해군 중장, '오시포비치 마카로프' 임명 * 3월: 뤼순에 러시아 제국의 해군 중장, '오시포비치 마카로프' 부임 * 4월 13일: 러시아 제국의 해군 중장, '오시포비치 마카로프'가 탄 기함이 기뢰에 피격, 격침되고 제독 자신도 전사. * 4월 30일: 러시아 제국군과 일본 제국군 사이에 신의주 주변에서 '압록강 전투' 발생 * 6월: 중순, 노기 마레스케 대장을 지휘관으로 하는 일본군 제3군 다롄에서 편성 완료 * 7월 12일: 일본군 제3군, 공식적인 일본 해군의 요청을 받고 즉시 뤼순 공략에 착수 * 8월 1일: [[뤼순 공방전]] 시작 * 8월 19일: 뤼순 공방전 1차 총공세 시작 * 8월 24일: 뤼순 공방전 1차 총공세 종료 * 9월 19일: 뤼순 공방전 2차 총공세 시작 * 9월 22일: 뤼순 공방전 2차 총공세 종료 * 10월 26일: 뤼순 공방전 3차 총공세 시작 * 10월 30일: 뤼순 공방전 3차 총공세 종료 * 11월 초: [[러시아 제국]]의 제2태평양함대가 인도양에 도착했다는 정보를 입수 * 11월 26일: 뤼순 공방전 4차 총공세, [[203고지]] 시작 * 12월 6일: 뤼순 공방전 4차 총공세, 203고지 종료: 러시아 측 사상자 6천여명, 일본측 사상자 1만6천여명. ==== 1905, [[쓰시마 해전]] ==== === [[러일전쟁]](1904 ~ 1905) 끝 === ==== 1905, [[을사조약]] ==== * 1905년 * 1월 4일: [[뤼순 공방전]] 끝 * 1월 22일: [[러시아 제국]]의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피의 일요일 사건(러시아)|피의 일요일 사건]] 발생 * 2월 27일: [[봉천 전투]]에서 [[일본 제국]]군이 전면공격 시작 * 3월 9일: [[봉천 전투]]에서 [[러시아 제국]]군의 총 퇴각 * 3월: 미국 26대 대통령 [[시어도어 루즈벨트]] 29기 공화당 임기종료 * 3월: 미국 26대 대통령 시어도어 루즈벨트 30기 공화당 임기시작 * 5월 27일: [[쓰시마 해전]] 시작 * 5월 28일: [[쓰시마 해전]] 종료, [[일본 제국]]의 압도적 승리. * 11월 17일: [[대한제국]]과 [[러일전쟁]]에서 승리한 [[일본 제국]] 사이에 '''제2차 한일 협약''' 또는 [[을사조약]], 을사늑약 체결: 외교권 양도 조약 * 1906년 * 1907년 * 7월 19일 * 대한제국 1대 황제, 고종 폐위(재위기간: 9년 9개월 8일, 3568일) * 대한제국 2대 황제, 순종 즉위(재위기간: 3년 1개월 9일, 1137일) ==== 1908, 미국 [[FBI]], BOI(Bureau of Investigation)로 탄생 ==== * 1908년 * 일자미상: [[포드(자동차)]] 회사에서 [[포드 모델 T]]를 생산하기 시작. 한시간에 한 대 생산. * 1909년 * 3월: 미국 26대 대통령 [[시어도어 루즈벨트]] 30기 공화당 임기종료 * 3월: 미국 27대 대통령 [[윌리엄 하워드 태프트]] 31기 공화당 임기시작 * 12월 17일: [[벨기에]]의 2대 국왕 [[레오폴드 2세]] 사망 * 12월 23일: [[벨기에]]의 3대 국왕 [[알베르 1세]] 즉위 ==== 1910, [[대한제국]]의 멸망 ==== * 1910년 * 일자미상: [[벨기에]]의 3대 국왕 [[알베르 1세]], 참모제 도입. * 5월 6일 * [[대영제국]]의 [[에드워드 7세]] 서거(재위기간: 9년 104일) * [[대영제국]]의 [[조지 5세]] 즉위(재위기간: 25년 259일) * 8월 29일 * [[한일합방조약]]으로 [[대한제국]] 멸망. [[일본 제국]]의 [[조선]]지방으로 됨 * 대한제국 2대 황제, 순종 퇴위. * 1911년 ==== 1912, [[RMS 타이타닉]]호 침몰 ==== * 1912년 * 일자미상: 토머스 인스, [[할리우드|인스빌(후에 헐리우드가 됨)]]이라는 마을을 만듦. * 4월 14일: 밤 11시 40분, [[RMS 타이타닉]]호 빙산과 충돌, 이후 침몰. * 7월 30일: * 일본 제국의 122대 천황 [[메이지 덴노]] 사망 * 일본 제국의 123대 천황 [[다이쇼 덴노]] 즉위 * 9월 13일: [[노기 마레스케]] 할복 * 1913년 * 일자미상: [[포드(자동차)]], 컨베이어 벨트 생산 방식을 만듦, [[포드 모델 T]]의 생산속도를 비약적으로 높이고, 저렴한 가격으로 판매를 시작. 이후 1926년까지 13년간 일대 폭풍을 몰아치며 시장을 접수하기 시작함. * 일자미상: [[벨기에]]에서 [[징병제]] 도입. * 3월: 미국 27대 대통령 [[윌리엄 하워드 태프트]] 31기 공화당 임기종료 * 3월: 미국 28대 대통령 [[우드로 윌슨]] 32기 민주당 임기시작 == 제1차 세계 대전(1914 ~ 1918, 5년간) == === 1914 === ==== 1914, [[사라예보 사건]] ==== ==== 1914,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전쟁 선포 ==== ==== 1914, [[독일 제국]], [[벨기에]] 침공 ==== ==== 1914, [[독일 제국]], [[국경 전투]]에서 [[프랑스]]군에 승리 ==== ==== 1914, [[독일 제국]], [[탄넨베르크 전투]]에서 [[러시아 제국]]군에 승리 ==== ==== 1914, [[독일 제국]], [[마른 전투]]에서 발목이 잡힘 ==== ==== 1914, [[참호전]]의 시작(소모전) ==== * 1914년 * 일자미상: [[포드(자동차)]] 회사의 국민 모델 [[포드 모델 T]], 24초당 한 대의 제조 속도 기록 * 6월 28일: [[사라예보 사건]] 발생: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황태자, [[프란츠 페르디난트]] 대공과 그의 부인이 [[세르비아]]의 [[민족주의]] 조직 대학생 [[가브릴로 프린치프]]에게 암살된 사건 * 7월: [[영국]]에서 [[오스만 제국]]의 요청으로 제작중이던 [[애진코트|전함 두 척]]을 압류하는 사건 발생. * 7월 7일: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에서 제국 내각이 소집됨 * 7월 19일: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통첩문 완성 * 7월 23일: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통첩문 발송 * 세르비아의 주권을 침해하는 조항이 담겨짐 * 반오스트리아 교육의 금지 * 사라예보 사건에 연루된 세르비아 관리들의 체포 및 심문 * 오스트리아 관리가 직접 세르비아 영토에 들어가 수사에 참여할 것 * 48시간 안에 통첩에 대한 답문 요구 * 7월 25일: [[세르비아 왕국|세르비아]], 최후통첩중 하나를 거부하고 나머지는 수용하는 결정을 통보하려 했으나 거부당함 * 7월 28일: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세르비아]]에게 전쟁 선포 * 7월 31일: [[러시아 제국]], 세르비아의 독립을 보호할 것을 선언한 후, '총동원령'을 내림. * 8월: [[독일 제국]], [[오스만 제국]]에게 전함 두 척을 양도하고 군사적 지원을 해줌. * 8월 1일: [[독일 제국]], [[러시아 제국]]에 대해 선전포고, 총동원령을 내림. * 8월 2일: [[독일 제국]], [[룩셈부르크]] 점령 * 8월 3일: [[독일 제국]], [[프랑스]]에게도 선전포고를 함. * 8월 4일: [[독일 제국]], [[벨기에]] 침공 * 8월 12일: [[독일 제국]]의 [[중포]], '리에주의 퐁티스 요새'에 도착 * 8월 13일 * 12:30분경, [[독일 제국]], [[벨기에]]의 퐁티스 요새 파괴시킴 * 17:30분경, [[독일 제국]], [[벨기에]]의 앙부르 요새 파괴시킴 * 8월 14일 * [[독일 제국]], [[벨기에]]의 쇼드퐁텐 요새 파괴시킴 * [[독일 제국]], [[벨기에]]의 리에르 요새 파괴시킴 * [[독일 제국]], [[벨기에]]의 플레롱 요새 파괴시킴 * '아미엥'에 '존 프렌치'의 '영국원정군' 도착 * 8월 15일 * [[독일 제국]], [[벨기에]]의 봉셀 요새 파괴시킴 * [[독일 제국]], [[벨기에]]의 랑탱 요새 파괴시킴 * 8월 16일 * [[독일 제국]], [[벨기에]]의 올로뉴 요새 파괴시킴 * [[독일 제국]], [[벨기에]]의 플레말 요새 파괴시킴 * 프랑스, 총동원령 완성: 1,865,000명(186만명)의 전투병 모집 성공 → 21개 군단과 25개의 예비사단으로 편성. * 8월 20일: [[국경 전투]]의 '로렌 공세'중 '모르주 전투' 발생: 프랑스 10000명의 사상자 발생, 독일제국의 승리. * 8월 22일: [[국경 전투]]의 '아르덴 공세': 프랑스 하루에 27000명의 사상자. 이후의 프랑스의 대후퇴. * 8월 28일: [[일본 제국]], 독일 제국에 선전포고 * 9월 5일: 프랑스 사령부, 센 강가의 샤틸롱쉬르센으로 옮김. * 9월 6일: [[마른 전투]] 시작 * 9월 10일: [[마른 전투]] 끝. * 10월: [[독일 제국]]이 [[오스만 제국]]에게 제공한 두 척의 전함으로 [[러시아 제국]]의 [[세바스토폴]] 항구를 기습공격함. 이로서 [[오스만 제국]]도 얼떨결에 대전에 참여. * 12월 8일: [[포클랜드 해전]]: 독일 해군의 궤멸 * 12월 25일: [[서부전선]]에서 대치하던 연합군과 동맹국은 암묵적으로 휴전한 채 각자의 참호에서 축하행사를 가짐. [[크리스마스 정전]] === 1915 === ==== 1915, [[무제한 잠수함 작전]] ==== ==== 1915, [[다르다넬스 해전]] ==== ==== [[갈리폴리 상륙작전]](1915 ~ 1916)의 시작 ==== * 1915년 * 1월: [[오스만 제국]]과 [[독일 제국]], [[수에즈 운하]]를 공격해서 영국과 인도의 연결을 끊으려 했지만 실패 * 2월: [[독일 제국]]의 [[무제한 잠수함 작전]] 실행: 연합국의 상선등을 무차별적으로 격침시킴 * 2월 19일: [[다르다넬스 해전]] 시작 * 3월: [[다르다넬스 해협]]에서 영국군이 4개의 요새를 파괴함. * 3월 18일: 3척의 영국 전함이 침몰됨. 처칠은 [[갈리폴리 상륙작전]]을 입안함. * 4월: [[삼국 동맹]]의 [[이탈리아 왕국]], 동맹을 배신한 후, 연합국에 가담 * 4월 25일: [[갈리폴리 상륙작전]] 시작. * 5월: [[이탈리아 왕국]],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에게 선전포고 * 5월 7일: [[영국]]의 여객선 [[루시타니아 호]]가 [[무제한 잠수함 작전]]에 희생됨: 미국인 1000여명이 사망. 이후 독일은 미국에게 사과하고 작전을 중단함. * 10월: [[불가리아 왕국]]이 동맹국으로 참전, 세르비아 방면의 전투가 동맹국에게 유리하게 전개 === 1916 === ==== [[갈리폴리 상륙작전]](1915 ~ 1916)의 끝 ==== ==== 1916, [[베르됭 전투]] ==== ==== 1916, [[솜 전투]] ==== * 1916년 * 일자미상: 금속 [[헬멧]], 철모의 등장 * 1월: [[갈리폴리 상륙작전]] 실패후, 퇴각함:연합군의 총병력 57만명중 30만명이 전사 혹은 부상. 오스만군 32만명의 병력중 25만명의 사상자 발생. * 2월: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세르비아]] 점령. * 2월 21일: [[베르됭 전투]] 시작 * 5월: [[유틀란트 해전]] * 6월: [[러시아 제국]], [[브루실로프 공세]]로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에게 큰 피해를 입힘. * 6월: [[오스만 제국]]의 [[아랍]] 부족들이 [[영국]]의 지원으로 반란을 일으킴. * 7월: [[솜 전투]] 시작 * 9월: [[솜 전투]]에서 첫 [[전차]]인 영국의 [[Mk 시리즈|마크 1]] 실전등장 * 11월: [[솜 전투]] 끝: 연합군 측 사상자 62만명, 독일제국의 사상자 52만명 * 12월 20일: [[베르됭 전투]] 끝: 독일 제국의 사상자 40여만명, 프랑스의 사상자 37만명 * 12월 30일: [[러시아 제국]]의 괴승 [[그리고리 라스푸틴]] 사망. === 1917 === ==== 1917, 2차 [[무제한 잠수함 작전]] ==== ==== 1917, [[러시아 제국]]의 멸망, [[소련]] 탄생 ==== * 일자미상: [[미국]]의 주 중 2/3이상이 [[금주법]]을 실행중 * 1917년 * 2월: [[독일 제국]], 2번째 [[무제한 잠수함 작전]]을 시작. * 3월 8일: 구력 2월 23일, '세계 여성의 날'을 맞아 비보로크의 방직공업 여성 노동자들과 푸틸로프 공장의 노동자들이 파업을 시작함. * 3월 10일: 페트로그라드 전 도시의 총파업이 발생 * 3월 12일 * 볼린스키 연대의 병사들이 혁명 편에 가담함. * 저녁, 타브리다 궁전에서 공장과 군대에서 선출된 대표가 모여 '페트로그라드 노동자 병사 대표소비에트'결성. 사회혁명당과 멘셰비키가 주로 구성됨. * 3월 15일: [[러시아 제국]]의 마지막 황제 [[니콜라이 2세]] 강제퇴위 * 3월 17일: 황태자 알렉세이, 남동생 미하일 대공 모두 황제직 불가능 상태로 판단, [[러시아 제국]]은 없어지며 러시아 공화국이 선포됨. * 3월: [[영국]]군, [[오스만 제국]]의 [[바그다드]] 점령 * 3월: 미국 28대 대통령 [[우드로 윌슨]] 32기 민주당 임기종료 * 3월: 미국 28대 대통령 [[우드로 윌슨]] 33기 민주당 임기시작 * 3월: [[치머만 전보 사건]] 공개 * 4월: [[미국]]이 [[독일 제국]]에 선전포고를 함 * 4월: [[독일 제국]], [[레닌]]을 기차에 태워 [[러시아]]로 귀국시킴. 이후, '게오르기 르보프'의 임시정부를 무너트리려고 '4월 테제'를 발표 * 6월: [[미군]]이 프랑스에 도착. * 7월: [[러시아 제국|러시아]]로 귀국한 [[블라디미르 레닌]], 봉기실패. * 7월: [[파스샹달 전투]] * 8월 1일: [[미국]]의 금주법안인 '볼스티드 법(Volstead Act)' 제출됨 * 10월: [[카포레토 전투]], 독일 제국은 이탈리아를 상대로 대승을 거둠. * 10월: [[러시아 제국|러시아]]에서 [[10월 혁명]] * 11월 7일: [[러시아 공화국]],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으로 변화, 이후 독일과 강화. [[러시아 내전]] 시작. === 1918 === ==== 1918, [[우드로 윌슨]], [[민족자결주의]] 선언 ==== ==== 1918, [[미군]]의 본격적 병력 투입 ==== ==== 1918, [[백일전투]]의 승리 ==== * 1918년 * 일자미상: [[영국]]에서 세계 최초로 [[공군]]이 결성됨. * 1월: [[미국]] 대통령, [[우드로 윌슨]], 평화 14개조를 발표, [[민족자결주의]] 발표. * 1월: 전러시아 소비에트 대회에서 국호를 '러시아 소비에트 공화국'으로 정함. * 3월: [[독일 제국]], [[루덴도르프 공세]] 펼치나 큰 소득이 없음. * 5월: [[미국]]이 독일 제국을 상대로한 첫 승리. * 6월: [[러시아 내전]]중 [[레프 트로츠키]], 빈농에 대한 강제징병 실시, 5백만에 달하는 병력을 편성함. * 7월 8일: [[어니스트 헤밍웨이]], [[이탈리아]] 전선의 포살타디피아브에서 종군기자로 일하던 중 부상당함. * 7월 10일: '러시아 소비에트 공화국', '소비에트 러시아 헌법' 제정 * 7월 17일: [[니콜라이 2세]] 사망. * 8월: [[미군]]이 하루에 만 명씩 프랑스로 들어옴. 이후 90만의 미군과 연합군, [[백일 전투]]를 펼쳐 전선을 밀어냄 * 9월: [[불가리아 왕국|불가리아]]가 연합국과 휴전 * 10월: [[오스만 제국]]이 연합국에 항복 * 11월: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이 연합국에 항복 * 11월: [[독일 제국]], [[11월 혁명]]으로 정부가 무너짐, 이후 연합국에 항복 == 전간기 == === 1919, [[3.1 운동]], [[5.4 운동]] === * 1919년 * 3월 1일: 식민지 조선에서 [[3.1 운동]] 일어남. * 5월 4일: [[중국]]에서 [[5.4 운동]] 일어남. * 6월: [[베르사유 조약]] 체결. === 광란의 [[1920년대]](1919 ~ 1929) 시작 === ==== 금주법 기간(1920 ~ 1933) 시작 ==== * 1920년 * 1월: 첫 [[국제연맹]] 회의, [[런던]]에서 개최, 공식적인 제1차 세계 대전의 종결. * 2월 7일: [[러시아 내전]]에서 [[백군]]의 군사령관 [[알렉산드르 콜차크]] 사망. * 1921년 * 3월: 미국 28대 대통령 [[우드로 윌슨]] 32기 민주당 임기종료 * 3월: 미국 29대 대통령 [[워런 G. 하딩]] 34기 공화당 임기시작 * 11월 25일: [[일본 제국]]의 [[히로히토]] 황태자, 아버지를 대신해 섭정을 맡음. * 1922년[* [[위대한 개츠비]]의 시작 시점.] * 일자미상: 미국의 '[[포드(자동차)|포드 모터 컴퍼니]]', 8백만 달라에 럭셔리 브랜드 '[[링컨(자동차)|링컨 모터 컴퍼니]]' 인수. * 일자미상: '프리드리히 무르나우'의 영화 [[노스페라투(1922)]] 개봉. * 12월 30일: [[소비에트 연방]] 결성됨. ===== 1923, [[관동 대지진]] 발생 ===== * 1923년 * 4월: [[박열]]과 [[가네코 후미코]], '불령사' 조직 * 5월 27일: '불령사' 첫 모임. * 8월: 미국 29대 대통령 [[워런 G. 하딩]] 34기 공화당 임기종료 * 8월: 미국 30대 대통령 [[캘빈 쿨리지]] 34기 공화당 임기시작 * 9월 1일: [[일본 제국]]에서 [[관동 대지진]] 발생. * [[박열]]과 [[가네코 후미코]], 예비검속을 핑계로 경찰에 연행된 후, 폭탄이 입수되어 기소당함. ===== 1924, [[이오시프 스탈린]], 권력투쟁 승리 ===== * 1924년 * 1월 21일: [[블라디미르 레닌]] 사망. [[이오시프 스탈린]]이 권력을 잡음. * 1925년 * 일자미상: [[포드(자동차)]], 200만대 이상이 생산됨. * 일자미상: [[이탈리아]]의 [[베니토 무솔리니]], [[시칠리아]]에서의 정부세력을 강화시키려고 검찰과 경찰, 군까지 동원 철저한 [[마피아]] 탄압을 실시 * 일자미상: [[프랜시스 스콧 피츠제럴드]]의 [[위대한 개츠비]] 출판 * 3월: 미국 30대 대통령 [[캘빈 쿨리지]] 34기 공화당 임기종료 * 3월: 미국 30대 대통령 [[캘빈 쿨리지]] 35기 공화당 임기시작 * 1926년 * 2월 26일: 도쿄지방재판소에서 [[박열]]과 [[가네코 후미코]]에 대한 첫 공개 공판 열림. * 3월 26일: 도쿄지방재판소에서 [[박열]]과 [[가네코 후미코]]에 대한 최종 공판 열림: 사형 언도 * 4월 5일: [[다이쇼 덴노]]에 의해 [[박열]]과 [[가네코 후미코]] 무기징역으로 감형됨. * 7월 23일: [[가네코 후미코]], 우쓰노미야 형무소로 이감되어 복역중 의문사. * 12월 25일 * [[일본 제국]]의 123대 천황 [[다이쇼 덴노]] 사망. * [[일본 제국]]의 124대 천황 [[쇼와 덴노]] 즉위. * 1927년 * 일자미상: [[일본 제국]]의 '스에츠쿠 노부마사' 당시 해군소장은 해군대학교 강의에서 [[점감요격작전]]이 사실상 실현가능성이 없음을 시인. * 일자미상: [[포드(자동차)]] 회사의 [[포드 모델 T]] 생산 종료. 이 해 처음으로 [[쉐보레]]가 포드의 판매량을 추월함. * 일자미상: [[레프 트로츠키]], 당에서 추방됨. * 1928년 === 광란의 [[1920년대]](1919 ~ 1929) 끝 === === [[대공황|세계 대공황]](1929 ~ 1939)의 시작 === * 1929년 * 일자미상: [[레프 트로츠키]], [[소련]]에서 추방당해 [[튀르키예]]로 감. * 3월: 미국 30대 대통령 [[캘빈 쿨리지]] 35기 공화당 임기종료 * 3월: 미국 31대 대통령 [[허버트 후버]] 36기 공화당 임기시작 * 9월: [[어니스트 헤밍웨이]], [[무기여 잘 있거라]] 출판. * 9월 3일: 다우 존스 공업 평균지수, 381.17의 신기록을 세움. * 10월 24일([[검은 목요일 사건]]): 미국 월스트리트의 주가가 급작스럽게 폭락, 다우지수 299.47로 20%이상 하락. * 10월 29일('검은 화요일'): 미국 월스트리트의 주가가 급작스럽게 또다시 폭락, 다우지수 230.07 * 1930년 * 일자미상: 마피아 세력간에 카스텔람마레 전쟁이 벌어져 50명 이상이 사망함. ==== 1931, [[만주사변]] ==== * 1931년 * 일자미상: [[뉴욕]]의 [[마피아]] [[러키 루치아노]], 뉴욕을 장악함. * 일자미상: [[할리우드]]에서 토드 브라우닝 감독의 [[드라큘라(1931)]] 개봉. * 9월 18일: [[만주사변]] 발생 * 1932년 * 7월 8일: 다우지수 41.22를 기록. 바닥 중의 바닥. ==== 금주법 기간(1920 ~ 1933) 끝 ==== * 1933년 * 일자미상: 독일유산학술협회, [[아넨에르베]], 민간기구로 설립 * 일자미상: 미국 연방 수사국, 'DOI'로 이름 변경 * 3월: 미국 31대 대통령 [[허버트 후버]] 36기 공화당 임기종료 * 3월: 미국 32대 대통령 [[프랭클린 D. 루스벨트]] 37기 민주당 임기시작 * 3월 22일: [[하인리히 힘러]], 다카우 근처에 나치 수용소를 설립 ===== 1934, [[아돌프 히틀러]]의 등장 ===== * 1934년 * 일자미상: [[폭스바겐]]의 시작. * 일자미상: [[아돌프 히틀러]] 독일에서 권력을 잡음 * 1월: [[존 딜린저]], 인디애나 주 이스트시카고의 퍼스트 내셔널 뱅크를 텀. * 3월 30일: [[존 딜린저]], 애인 프래챗과 FBI의 수사에서 도망침 * 4월 3일: [[존 딜린저]]를 도운 그린, FBI의 습격을 받고 사살됨. * 7월 22일: [[존 딜린저]], 새로운 애인 폴리 해밀턴, 그리고 배신자 쿰파나슈는 영화관에 갔다가 사살당함. * 1935년[* [[인디아나 존스 시리즈]]중 2편, '템플 오브 둠'에서 묘사되는 시점.] * 일자미상: 독일유산학술협회, [[아넨에르베]], [[나치스]]당 하부기관으로 됨. * 일자미상: 미국 연방 수사국, [[FBI]]로 이름 변경 * 일자미상: [[레프 트로츠키]], [[튀르키예]]에서 [[노르웨이]]로 감. * 3월 16일: 독일, [[베르사유 조약]] 파기 및 재군비 선언 ===== 1936, [[일본 제국]]에서 [[2.26 사건]] 발생 ===== * 1936년[* [[인디아나 존스 시리즈]]중 1편, '레이더스'에서 묘사되는 시점.] * 1월 20일 * [[대영제국]]의 [[조지 5세]] 서거(재위기간: 25년 259일) * [[대영제국]]의 [[에드워드 8세]] 즉위(재위기간: 327일) * 2월 26일: [[일본 제국]]에서 [[2.26 사건]] 발생: 육군의 황도파 청년장교들이 반란을 일으킴. * 친미영파로 지목되어 [[사이토 마코토]] 살해 * 3월 7일: 독일, [[라인란트 재무장]] * 7월 17일: [[스페인 내전]](1936 ~ 1939) 시작 * 8월 14일: [[2.26 사건]]의 배후자로 [[기타 잇키]] 사형 선고. * 8월 19일: [[2.26 사건]]의 배후자로 [[기타 잇키]] 총살됨. * 12월 11일 * [[대영제국]]의 [[에드워드 8세]] 퇴위(재위기간: 327일) * [[대영제국]]의 [[조지 6세]] 즉위(재위기간: 15년 61일)[* [[킹스 스피치]]에서 묘사되는 시기] ==== [[중일전쟁]](1937 ~ 1945) 시작 ==== * 1937년 * 일자미상: [[레프 트로츠키]], [[노르웨이]]에서 [[미국]]행에 실패하고 [[디에고 리베라]]를 통해 [[멕시코]]로 감. * 1월: 미국 32대 대통령 [[프랭클린 D. 루스벨트]] 37기 민주당 임기종료 * 1월: 미국 32대 대통령 [[프랭클린 D. 루스벨트]] 38기 민주당 임기시작 * 1938년[* [[인디아나 존스 시리즈]] 3편, 최후의 성배에서 묘사되는 시점.] * 4월 10일: 독일, [[오스트리아 병합]]. * 7월 29일: [[하산 호 전투]] === [[대공황|세계 대공황]](1929 ~ 1939)의 끝 === == [[제2차 세계 대전]] == === 1939 === ==== 1939, 독일의 [[폴란드 침공]] ==== * 1939년 * 일자미상: 독일유산학술협회, [[아넨에르베]], [[하인리히 힘러]]가 [[슈츠슈타펠|SS]]로 흡수해 친위대 정규조직 아넨에르베SS가 됨. * 일자미상: [[오즈의 마법사]] 영화 개봉 * 3월 15일: 독일, [[체코슬로바키아]] 병합 * 5월 11일: [[할힌골 전투]] 시작[* [[무지갯빛 트로츠키]]에 묘사된 시점.] * 8월 23일: [[독소 불가침조약]] * 9월 1일: 독일의 [[폴란드 침공]] * 9월 16일: [[할힌골 전투]] 종료 ==== 1939, 소련의 [[겨울전쟁|핀란드 침공]] ==== * 1939년 *배경: 핀란드, 소련의 요구 거부 * 11월 26일: 소비에트사회주의공화국동맹, 마이닐라에서 핀란드군이 소련군을 폭격한 것을 명분으로 선전포고. 사실 소련의 [[자작극]]이었다(...) === 1940 === ==== 1940, 독일의 [[프랑스 침공]] ==== * 1940년 * 2월 16일: [[알트마르크 나포]] * 4월 8일: [[베저위붕 작전]] 시작 * 5월 10일: [[프랑스 침공]] 시작 * 5월 26일: [[됭케르크 철수작전]][* [[덩케르크(영화)]]에서 묘사되는 시점.] * 6월: [[베저위붕 작전]] 종료 * 6월 25일: [[프랑스 침공]] 종료 * 7월 3일: [[캐터펄트 작전]] * 7월 9일: [[영국 본토 항공전]] * 8월 20일: [[레프 트로츠키]], 암살당함. * 11월 11일: [[타란토 공습]] === 1941 === ==== 1941, 일본의 미국 침공: [[진주만 공습]] ==== ==== 독소전쟁(1941 ~ 1945)의 시작 ==== ===== 1941, 독일의 소련 침공: [[바르바로사 작전]] ===== * 1941년 * 1월: 미국 32대 대통령 [[프랭클린 D. 루스벨트]] 38기 민주당 임기종료 * 1월: 미국 32대 대통령 [[프랭클린 D. 루스벨트]] 39기 민주당 임기시작 * 5월: [[크레타 섬 전투]] * 5월 1일: [[시민 케인]] 영화 개봉 * 6월 22일: [[바르바로사 작전]]: [[독일]]의 [[소련]] 침공 * 10월 30일: [[세바스토폴 공방전]] 시작 * 12월 7일: [[진주만 공습]] * 12월 8일: [[싱가포르 전투]] 시작 * 12월 25일: [[하인츠 구데리안]]이 [[아돌프 히틀러]]에게 직언을 한 후, 지휘권 박탈. === 1942 === ==== 1942, 미해군의 일본 해군 섬멸: [[미드웨이 해전]] ==== ==== 1942, 소련의 주도권 전환: [[스탈린그라드 전투]] ==== * 1942년 * 1월: [[르제프 공방전]] 시작 * 2월 15일: [[싱가포르 전투]] 종료 * 3월 22일: [[르제프 공방전]] 종료 * 6월 4일: [[미드웨이 해전]] 시작 * 6월 7일: [[미드웨이 해전]] 종료 * 6월 30일: [[엘 알라메인 전투]] * 7월 4일: [[세바스토폴 공방전]] 종료 * 8월 7일: [[과달카날 전투]]중 [[사보섬 해전]] 시작 * 8월 10일: [[과달카날 전투]]중 [[사보섬 해전]] 종료 * 8월 24일: [[과달카날 전투]]중 [[동부 솔로몬 해전]] 시작 * 8월 25일: [[과달카날 전투]]중 [[동부 솔로몬 해전]] 종료 * 9월 13일: [[스탈린그라드 전투]][* [[에너미 앳 더 게이트]]에서 묘사되는 시점.] * 9월 23일: [[레닌그라드 공방전]]에서 [[6호 전차 티거]], 첫등장. * 10월 25일: [[과달카날 전투]]중 [[산타크루즈 해전]] 시작 * 10월 27일: [[과달카날 전투]]중 [[산타크루즈 해전]] 종료 * 11월 30일: [[과달카날 전투]]중 [[타사파롱가 해전]] 종료 * 12월 12일: [[겨울폭풍 작전]] 시작 * 12월 23일: [[겨울폭풍 작전]] 종료 === 1943 === ==== 1943, 소련의 우위 확인: [[쿠르스크 전투]] ==== ==== 1943, [[임팔 작전]] ==== * 1943년 * 1월 14일: [[카사블랑카 회담]] 시작 * 1월 26일: [[카사블랑카 회담]] 종료 * 2월 9일: [[과달카날 전투]] 종료 * 2월 19일: [[제3차 하르코프 공방전]] 시작 * 3월 1일: [[하인츠 구데리안]], 기갑총감으로 임명되며 귀환. * 3월 8일: [[임팔 작전]] 시작[* [[여명의 눈동자]]의 '최대치'가 참전] * 3월 14일: [[제3차 하르코프 공방전]] 종료 * 7월 5일: [[쿠르스크 전투]] 시작 * 7월 15일: [[쿠르스크 전투]] 종료 * 11월 22일: [[카이로 회담]] 시작 * 11월 26일: [[카이로 회담]] 종료 === 1944 === ==== 1944, 유럽해방: [[노르망디 상륙작전]] ==== ==== 1944, 브레튼우즈 체제([[금본위제도]]) ==== ==== 1944, [[바그라티온 작전]], 소련군의 반격 ==== ==== [[아르덴 대공세]](1944 ~ 1945) 시작 ==== * 1944년 * 6월 6일: [[노르망디 상륙작전]][* [[라이언 일병 구하기]]에서 묘사된 시점] * 6월 19일: [[필리핀 해 해전]] * 6월 22일: [[바그라티온 작전]] * 7월 20일: [[히틀러 암살 미수 사건]] 및 [[발키리 작전]][* [[작전명 발키리]]에서 묘사된 시점] * 8월 23일: [[루마니아 왕국|루마니아]]가 항복하고 추축국에서 이탈 * 9월 8일: [[불가리아 왕국|불가리아]]가 항복하고 추축국에서 이탈 * 10월 23일: [[레이테 만 해전]] * 12월 16일: [[아르덴 대공세]] 시작 === 1945 === ==== [[아르덴 대공세]](1944 ~ 1945) 끝: 독일 공군 전멸 ==== ===== 1945, [[프랭클린 D. 루스벨트]] 사망 ===== ===== 1945, [[베를린 전투]]: 독일의 항복 ===== ===== 1945, [[아돌프 히틀러]]의 자살 ===== ===== 1945, [[히로시마·나가사키 원자폭탄 투하]]: 일본의 항복 ===== ==== 독소전쟁(1941 ~ 1945)의 끝 ==== ==== [[중일전쟁]](1937 ~ 1945) 종료 ==== * 1945년 * 1월: 미국 32대 대통령 [[프랭클린 D. 루스벨트]] 39기 민주당 임기종료 * 1월: 미국 32대 대통령 [[프랭클린 D. 루스벨트]] 40기 민주당 임기시작 * 1월 12일: [[윈스턴 처칠]]이 소련군에게 동부전선에서 독일군을 공격해 달라고 요청, 이에 소련군 독일로 진격, [[비스와-오데르 대공세]] 시작. * 1월 13일: 소련군, 동프로이센 영토로 진격 * 1월 25일: [[아르덴 대공세]] 종료: [[독일]]의 회심의 반격 실패, 공군 전멸, 패망 6개월 앞당김. * 1월 28일: 소련군, '메멜' 탈취. * 2월 15일: 독일군 소련군에 대한 공세 시작. * 2월 18일: 독일군 사령관의 부상으로 독일군 공세 중단 * 2월 19일: 소련군 사령관 [[게오르기 주코프]] 원수가 반격 개시 * 2월 18일: [[이오지마 전투]][* [[아버지의 깃발]], [[이오지마에서 온 편지]]가 묘사하는 시점] * 2월 19일: [[람리 섬 전투]] * 2월 24일: 독일군 참패후, 후퇴. * 3월 9일: [[도쿄 대공습]] 시작 * 3월 10일: [[도쿄 대공습]] 종료 * 3월 28일 * 폴란드의 [[단치히]], 소련군에 함락. * [[하인츠 구데리안]] 독일국 [[육군참모총장]], [[아돌프 히틀러]]에 의해 해임당함. * 4월[* [[퓨리(영화)]]에서 묘사된 시점] * 4월 1일: [[오키나와 전투]] * 4월 9일: 독일의 [[쾨니히스베르크]] 방어군 소련군에 항복. 이후 [[칼리닌그라드]]로 이름이 바뀜 * 4월 12일: 미국 32대 대통령 [[프랭클린 D. 루스벨트]] 40기 민주당 뇌출혈로 사망 * 4월 12일: 미국 33대 대통령 [[해리 S. 트루먼]] 40기 민주당 임기시작 * 4월 16일: [[베를린 공방전]]중, '젤로 고지'전투 시작 [* 영화, [[다운폴]]이 시작시하는 시점] * 4월 19일: [[베를린 공방전]]중, '젤로 고지'전투 끝: 소련군 돌파. [[게오르기 주코프]]가 베를린 공략의 주공을 맡게 됨. * 4월 21일: [[게오르기 주코프]] 휘하의 제1벨라루스 전선군 포병, 베를린 무차별 포격시작. * 4월 23일 * '펠릭스 슈타이너' 무장친위대 대장, [[아돌프 히틀러]]의 명령을 무시. * [[아돌프 히틀러]], [[헬무트 바이틀링]] 대장을 베를린 수비 사령관으로 임명. * 4월 24일: '펠릭스 슈타이너' 무장친위대 대장의 배신을 알아챈 [[아돌프 히틀러]], "나는 전쟁에서 졌다!"라고 소리치며 자살을 결심. * 4월 28일: [[베니토 무솔리니]], 게릴라에게 잡혀 총살당함. * 4월 29일 * [[아돌프 히틀러]], 총통 직책을 다시 두 개로 나눠 대통령은 [[칼 되니츠]]에게, 총리 지위는 [[파울 요제프 괴벨스]]에게 분배하고, [[페르디난트 쇠르너]]에게는 육군최고사령관 직위를 나누는 유서 작성. * [[아돌프 히틀러]], [[에바 브라운]]과 결혼식 * 4월 30일 * 소련군, [[베를린]]의 [[제국의사당]] 함락. * [[아돌프 히틀러]] 자살. * 5월 8일: 독일 정부, 서방 연합군에 항복 * 5월 9일: 독일 정부, 소련을 포함한 전체 연합군에 항복 * 8월 6일: [[히로시마·나가사키 원자폭탄 투하|히로시마 원자폭탄 투하]] * 8월 9일: [[히로시마·나가사키 원자폭탄 투하|나가사키 원자폭탄 투하]] * 8월 15일: [[옥음방송]]을 통해 [[일본]]의 [[천황]] 종전 결정 ==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냉전]]의 시작 == * 1946년 * 일자미상: [[럭키 루치아노]] 복역중 가석방으로 풀려나 이탈리아로 추방됨. * 3월 31일: 중국, 제2차 [[국공내전]] 발발 * 1947년 * 8월 15일: 영국의 인도 독립 승인, [[인도 공화국]] 성립. * 1948년 * 1949년 * 1월: 미국 33대 대통령 [[해리 S. 트루먼]] 40기 민주당 임기종료 * 1월: 미국 33대 대통령 [[해리 S. 트루먼]] 41기 민주당 임기시작 * 10월 1일: [[중화인민공화국]] 성립. * 1950년 * 5월 1일: 국공내전, [[중화인민공화국]]의 승리로 종결. * 6월 25일: [[6.25 전쟁]] 발발 * 1951년 * 1952년 * 2월 6일 * [[영국]]의 [[조지 6세]] 서거(재위기간: 15년 61일) * [[영국]]의 [[엘리자베스 2세]] 즉위(재위기간: 70년 214일) * 1953년 * 1월: 미국 33대 대통령 [[해리 S. 트루먼]] 41기 민주당 임기종료 * 1월: 미국 34대 대통령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42기 공화당 임기시작 * 7월 27일: 6.25 전쟁 휴전. [[분류:연표]][[분류:세계 대전]][[분류:조지 5세 시대]][[분류:조지 6세 시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