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from=삼원, other1=교통카드 단말기 회사, rd1=삼원FA)]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350px-NikkoNoEvil4902.jpg]] [[일본]] [[도치기현]] [[닛코시]]에 있는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무덤인 [[닛코 동조궁]]의 정문에 있는 [[상]]이다. > 非禮勿視, 非禮勿聽, 非禮勿言, 非禮勿動. > 예가 아닌것은 보지도 말고, 듣지도 말고, 말하지도 말고, 행하지도 말라. >---- > <[[논어]], [[안연이 공자에게 인을 물었다|안연편]]> - [[공자]] [목차] == 개요 == '삼원(三猿)'이라고도 한다. 세 마리 [[원숭이]]가 각각 눈, 귀, 입을 가리고 있는 모양을 하고 있다. == 설명 == 세 원숭이가 각각 [[안구|눈]], [[귀]], [[입]]을 가리고 있는 이유는 '사악한 것은 보지도, 듣지도, 말하지도 말라'는 인류의 보편적 가르침에서 유래했다는 해석이 지배적이다. 위의 논어에 나오는 격언 외에도, [[마하트마 간디]] 역시 비슷한 이야기를 했으며 간디가 [[힌두교]] 극단주의자 나투람 고드세의 총에 맞아 타계하기 전 남긴 유품 중 하나로 세 원숭이 조각이 있었다. 한국에서는 원숭이라는 상징은 없이, 삼불원(三不願)이라는 단어가 보기 싫은 것, 듣기 싫은 것, 말하기 싫은 것이라는 바라지 않는 세 가지를 의미한다. 논어를 통해 알려진 만큼 아시아 전반에서 인지도가 있는 개념인데, 원숭이와 연결되는 것은 일본의 말장난에서 나온 개념이다. 세 원숭이들은 일본에서는 '~ざる'로 독음하는데, 이는 '~원숭이'라는 뜻과 '~하지 않다'라는 2가지 의미를 갖고 있다. 눈을 가린 원숭이는 미자루(見ざる:보지 않는다), 귀를 가린 원숭이는 키카자루(聞かざる:듣지 않는다), 입을 가린 원숭이는 이와자루(言わざる:말하지 않는다)이다. 그래서인지 주로 일본 창작물에서 이를 모티브로 삼는 경우가 많다. 오늘날에는 옛날의 해석과는 달리 [[표현의 자유]]에 대한 억압으로--더러 [[백수|아무것도 안보고]], [[잉여|안듣고]], [[퇴사|말하지 않으며]] [[프리랜서|아무것도 하고 싶지 않다]]는 뜻으로-- 세 원숭이를 활용하는 경향도 있다. [[며느리]]가 시집을 가면 3년 간은 보지 말고, 다음 3년 간은 듣지 말고, 다음 3년 간은 말하지 말라는 이야기도 있다. 원숭이와는 관련 없지만 설화와는 관련이 있는 듯하다. 최소한 3년이 3번이나 언급되고, 하지 말라는 것도 세 원숭이와 비슷하니 아는 사람이 보면 연상케 되는 것은 사실이다. 영어 숙어로도 있는데, 'See No Evil, Hear No Evil, Speak No Evil'이라고 쓴다. 할리우드 영화나 게임에도 써지는 문구이니 한번 귀 기울여보자. 일본의 세 원숭이 신앙을 칭할 때는 보통 [[https://en.wikipedia.org/wiki/Three_wise_monkeys|'Three Wise Monkeys']]라고 한다. == 다양한 매체에서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Religulous_poster.jpg]] 2008년작 미국의 다큐멘터리 영화 Religulous(한국 제목은 신은 없다)의 포스터로도 쓰였다. 보시다시피 유태교와 기독교, 이슬람교를 상징하는 세 마리의 [[침팬지]]가 있는데 눈감은 유태교, 귀를 막은 기독교, 입을 막은 이슬람교. 제3대 종교들의 단점들에 대하여 독설을 퍼부으며 비판하며 공교롭게도 이 셋은 하나의 유일신을 섬기는 [[아브라함 계통 종교]]이다. 미국 정치 코미디언인 [[빌 마허]][* 이 사람은 유태계 미국인이지만 유태교에 대하여 부정적이고 무신론자였다.]를 주인공으로 3대 종교를 비난한다. 250만 달러로 만들어져 1400만 달러를 벌어들이며 흥행은 성공했다. [[Grand Theft Auto V/이스터 에그#s-9|GTA 5]] 스토리모드에서 간접적으로 묘사된다. [[SCP 재단]]에서 기동특무부대 에타-10 으로[* 비례물시 한정] 나오고 SCP-KO 목록에도 있다. [[SCP-894]]도 여기서 모티브를 따왔다. [[돌격 남자훈련소]]의 간다라 3보성 중 1명이 이 원숭이들을 패러디한 기술을 선보였다. [[대한민국]]의 [[공익광고]] 중 이 세 원숭이를 연상시키는 '안 보고, 안 듣고, 안 말하고' 편이 있다. 물론 한국에 잘알려지지 않은 원숭이들 보다는 공자의 말을 인용했을 가능성이 크지만. [[마다가스카의 펭귄]] 에피소드중 울렁울렁 대작전에서 리코가 토하려고 할때 프라이빗, 스키퍼, 코왈스키가 세 원숭이 포즈를 지은적이 있다. [[파일:파크라이 삼불원.png]] [[파 크라이 6]]의 [[DLC]] 캐릭터들이자 [[파 크라이 시리즈|전작들의]] 주요 [[빌런]]인 [[조셉 시드]], [[바스 몬테네그로]], [[페이건 민]]이 패러디 했다.[[조셉 시드]]가 [[사이비]] [[교주]]로서 마을 밖으로 [[소문]]이 퍼져 나가는 것을 막았고, [[바스 몬테네그로]]는 상관 [[호이트 볼커]]와 [[여동생 ]][[시트라 타룩마이]]를 제외하면 남의말 안듣는 [[미친놈]], [[페이건 민]]은 은 [[키라트]]의 비참한 현실을 무시한다는 점에서 참 잘어울린다고 볼 수 있다. [[마녀를 잡아라]]의 2020년 리메이크 버전 포스터에서도 쥐들이 포즈를 취한다. [[파일:모드하임의 형제들.png]] [[워해머 판타지]]의 [[모드하임]]홍보 만화에서 등장한 '''[[지그마]]의 셋이자 하나인 형제'''들은 각각 죄를 듣지도, 말하지도, 보지도 못하지만 그런 약점 때문에 간단하게 주인공들에게 척살당한다. 듣지 못하는 형제를 [[기습]]으로 처리하고 그걸 보더라도 말을 못하는 말하지 못하는 형제를 원거리에서 처리,이후 눈먼 장인인 보지 못하는 형제를 간단히 처리했다. 스마트폰 탈출게임인 'strange house'에도 등장한다. 영화 [[혹성탈출]]에서는, 주인공 인간을 둘러싼 원숭이들의 심리(審理) 현장에서 주인공을 편드는 원숭이들의 변론을 거부하는 재판관 [[오랑우탄]] 3명이 각자 눈, 귀, 입을 막으며 세 원숭이 포즈를 취하는 장면이 나온다. 플래시게임 [[Steppenwolf: The X-Creatures Project|스테판울프]] [[Steppenwolf: The X-Creatures Project/스토리#s-1.2|챕터 1-2]] 에서 조각상으로 등장한다. 공포 플래시게임 [[그레텔과 헨젤]]에도 비슷한 것이 등장한다. [[롤러코스터 타이쿤]]에도 이 설화를 모티브로 하여 제작된 [[롤러코스터 타이쿤/시나리오#s-3.2|시나리오]]가 있다.[* 여기에 설치된 스틸 롤러코스터 이름이 각각 Hear No Evil, See No Evil, Speak No Evil이다.] [[Perfume]]의 곡인 [[Spending all my time]]의 안무 중에도 비슷한 동작이 있다. [[파일:external/cdn.makeagif.com/BDcezV.gif]] [[팀 포트리스 2]] Two Cities 업데이트 홍보 영상에서도 나왔다. [[파이로(팀 포트리스 2)|파이로]]가 미자루, [[스카웃(팀 포트리스 2)|스카웃]]이 이와자루, [[헤비(팀 포트리스 2)|헤비]]가 키카자루의 역할. ~~그 와중에 홀로 영 좋지 않은 곳을 사수하려는 깨알 같은 [[솔저(팀 포트리스 2)|민간인 아저씨]]~~[* 이는 사실 잘 알려지지 않은 네 번째 원숭이(나쁜 것은 행하지도 마라.)를 나타낸 것이라고 텀블러쪽에서 퍼지기도 했다. --논어 고증 충실. 사악한 것과는 [[섹스|하지도]] 말아라?--] 누리 빌게 세일란의 영화 쓰리 멍키즈는 이 속담에서 제목을 따왔다. [[동방구문구수]]에 수록된 [[토요사토미미노 미코]]의 기사에서도 언급된다. 여기서는 사원(四猿)이라고 하여 추가로 '놓치지 않는' 원숭이도 있다. 무엇을 놓치지 않느냐면 인간에게는 삼시(三尸)라는 벌레가 살며 그 벌레가 밤에 빠져나가 인간이 행한 악행을 전해 수명을 줄인다고 하는데 바로 이 벌레를 놓치지 않는다는 것. 이것을 상으로 만들어 파는 듯 한데 가격은 결코 싸지 않다고. [[헐크와 스매쉬군단]] 2기 14화에서도 레드헐크가 악당이 다루는 원숭이 세 마리에게 감마 폭탄을 던지자 그들이 이것을 시전한다. [[비스티 보이즈]]의 Check Your Head [[앨범 아트]]는 이 속담을 차용했다. [[이모지]]에도 세 원숭이 이모티콘이 있다. 🙈🙉🙊 만화 [[신이 말하는 대로]]에서도 게임의 집행위원으로 나온다. 원숭이 인형이 머리에 붙어서 입이나 눈, 귀를 가리고 각각 털실뜨기, 모래뺏기, 의자앉기를 진행한다. 만화 [[원피스(만화)|원피스]]에 등장하는 [[볼사리노|키자루]]의 테마곡인 [[https://www.youtube.com/watch?v=ywUPZ-f342U|黄猿/ボルサリーノ ~YELLOW LIGHT~]]에서 볼사리노와 그의 어께 위에 앉은 두 원숭이들이 이들을 따라한다. 여기서 볼사리노가 따라한 원숭이는 이와자루. [[포켓몬스터]]에 등장하는 원숭이 포켓몬 [[야나키]], [[바오키]], [[앗차키]]는 성비와 타입 등 컨셉이 [[스타팅 포켓몬]]과 같아 셋이 한 쌍을 이루고 있는 모습인데, 각각 진화 전 단계에 해당하는 야나프는 입을 벌리고 있어 이와자루, 바오프는 귀를 만지고 있어 키카자루, 앗차프는 실눈을 뜨고 있어 미자루에 해당한다. 한편 애니메이션 [[포켓몬스터W]]에서 야생 망키 세마리가 각각 자신의 귀, 입, 눈을 가리는 장면이 나온다. [[휴 잭맨]]의 트위터에서도 비슷한 포즈의 사진이 게시되었다. 웹툰 [[이런 영웅은 싫어]]에서 스푼의 직원들 중 각자 눈, 코, 귀를 막고 특기도 각자 신체부위와 연관된 세쌍둥이 직원들이 나온다. 단, 이쪽은 원숭이는 아니고 개다. 해당 직원들이 스푼 정문의 경비를 맡고 있다는 점을 보면 [[케르베로스]]와 세 원숭이를 조합한 듯.[* 사실 이쪽은 세 원숭이가 모티브가 아닐 가능성도 충분한데, 일단 작가 본인이 그다지 고증을 잘 신경쓰는 편이 아니고, 초능력과 이종족이 넘쳐나는 이 세계관에서, 초인기관의 총경비를 맡으려면 오감을 전부 초월적인 수준으로 감지해야 한다. 그리고 시각장애인이 후각과 촉각이 발달하듯, 하나의 감각을 강화하는 대신 하나의 감각을 포기하는 형태의 이능력자는 아주 흔하게 쓰인다. 세 원숭이를 의식하지 않고 시각 후각 청각에 특화된 감지계 능력자들이 본진을 지킨다는 컨셉으로 만들었을 수도 있다.] [[배트맨: 아캄 시티]]에서 펭귄이 점거한 박물관에 해골로 세 원숭이를 재현한 전시물이 있다. 리들러가 내는 수수께끼 중 하나. [[가면라이더 히비키]] 9화에서 일반인들이 [[마화망]]에게 습격당하는 것을 보고 눈과 입을 가리는 데 이때 세 원숭이 상이 교차되어 나온다. [[강철의 연금술사 FULLMETAL ALCHEMIST]] 51화 [[아이캐치]]에서 [[인형 병사]]들이 각각 눈, 입, 귀를 막은 상태로 나온다. [[십이대전]]에서 [[샤류]]를 가르친 세 명의 원숭이 모습을 한 선인들의 이름이 이들과 비슷해보이는데, 이 원숭이들을 모티브로 한 것으로 보인다. [[쏘우 시리즈]]의 [[쏘우 3D|7편]]에 [[쏘우 시리즈/트랩#s-9|이걸 모티브로 삼은 세가지 트랩]]이 등장한다. 애니메이션 [[라스트 피리어드]]에서 주인공 일행과 대립하는 수수께끼의 조직 와이즈맨의 3인방이 모티브로 삼았다. 이름도 그대로 사용했고 3명이서 포즈를 취할때도 위에 나온 모습처럼 각자 해당하는 부위를 가리는데 평상시에는 물건으로 가리고 있다.[* 미자루는 비니(비니에 눈무늬가 있어서 포즈를 취할땐 무늬를 가린다.), 키카자루는 헤드셋(그래도 소리는 들리는지 의사소통엔 문제가 없다.), 이와자루는 복면(우우 거릴뿐 아예 말을 안한다. 엔딩에서 노래를 부를땐 말을 한다.).] 거기다 같이 다니는 생물도 원숭이와 흡사하게 생겼다. [[환세취호전]]에서는 중간보스 격 몬스터로 '견원이, 문원이, 언원이' 가 삼인조로 등장하는데[* 7장, 암각권도장입구에 있는 죽림] 각각 見, 聞, 言이라는 한자가 들어간다. 견원이는 선글라스를, 문원이는 헤드셋을, 언원이는 마스크를 쓰고 있다. 애니메이션 [[도사의 무녀]]의 황혼 무나카타 삼여신이 세 원숭이처럼 어딘가를 가리고 있는데 [[타기츠히메]]는 귀[* 다만 보통은 후드를 쓰고 있어서 눈에 띄진 않는다. 귀를 가리고 있어도 들리는지 의사소통에는 문제가 없다.] [[타키리히메]]는 눈[* 타기츠히메와 최후의 싸움에서 패배할때 눈을 덮고 있던 안대가 부서진다. 다른 두 여신과는 다르게 보이지 않았는지 [[네네(도사의 무녀)|네네]]를 만져보고 안대가 부서져서야 [[에토 카나미]]가 어떻게 생겼는지 이제야 알겠다는 말을 했다.] [[이치키시마히메]]는 입[* 마스크로 입을 가리고 있지만 말은 할 수 있어서 대화는 가능하다. 이후 [[오리가미 유카리]]를 구하기 위해 [[쥬죠 히요리]]에게 도움을 청할때 마스크를 벗는다.]을 가리고 있다. [[Wake Up, Girls!]]의 [[혼다 마이코]] 레어+ 일러스트에서 마이코의 안경을 빼앗는 4마리의 원숭이들 중 아기 원숭이를 제외한 나머지 3마리가 각각 자신의 눈, 입, 귀를 가리고 있다. 짱구는 못말려 극장판 [[폭풍을 부르는 정글]]에서도 나왔다. 액션가면이 사람들에게 응원을 받고 [[파라다이스 킹]]을 압도할때 작중에 나온 긴팔 원숭이 세마리가 세 원숭이 포즈를 취한채 놀란 모습으로 지나간다. [[도쿄 구울]]의 [[쿠인쿠스]]가 단행본 표지에서 각각 이 포즈를 취했다. 10권에서 [[우리에 쿠키]]가 입을, 11권에서 [[무츠키 토오루]]가 눈을, 12권에서 [[요네바야시 사이코]]가 귀를. [[슈렉 2]]의 아기 돼지 삼형제가 슈렉의 집에 있던 TV..아니, 마법의 거울을 보다가 슈렉이 잡혀있는 걸 보고 눈, 귀, 입을 각각 가렸다. [[세키로: 섀도우 다이 트와이스]]에서 하나의 보스로 나오는데, 말 그대로 원숭이이지만 살짝 어레인지되어서 신비로운 느낌이 가미되었다. [[보는 원숭이, 듣는 원숭이, 말하는 원숭이,]] 참고. [[재키찬 어드벤처]] 시즌 2에서 나오는 동상으로 달랑 웡이 훔쳐서 사람들이 청각, 시각, 언어장애가 걸리게 된다. 재키찬은 말도 못하고 토루는 장님이 되고 제이드는 소리가 안 들린다. 하지만 재키찬이 극복한 탓에 달랑 웡이 당하고 어디론가 넘어진다. [[하얀고양이 프로젝트]]에서는 오브젝트와 고릴라 몬스터로 등장. 몬스터는 눈가리개, 귀마개, 마스크 고릴라가 나오며 오브젝트는 플레이어에게 각각 암흑, 봉인 상태이상, 부여효과 삭제를 건다. [[워너 브라더스]]에서 2차 대전때 제작한 프로파간다 애니메이션에 초반부에 등장한 편지에 추축국의 세 지도자들이 세 원숭이를 따라하고 있다. [[https://youtu.be/qy_MQkaJ5WE?t=59|#]] [[이두호]] 화백이 1986~87년까지 [[소년중앙]]에 연재하던 <개똥벌레 장독대>에서 나온 왜인 자객이 저렇다. 정확히는 주인공 장독대를 죽이러 온 자객이 방실이 꿈에 나와 입을 가리고 눈을 가리고 귀를 가린 원숭이 3마리가 독대를 죽인다고 한 것. 그 꿈 이야기를 듣고 독대는 자객에 대해서 알아차렸다. 삿갓 3개를 쓰고 온 자객은 꿈처럼 말도 못하고 귀도 못 듣고 앞을 못 봄에도 앞서 온 두 자객인 삿갓 하나와 삿갓 두 개보다 압도적으로 강했다. [[와타나베 다이스케]]의 만화 [[선악의 쓰레기]] 4화에서는 주인공 카모가 이지메 사건 피해자의 할머니의 복수 의뢰를 받아들여 가해자 학생 3인조와 방관한 담임교사를 납치하고 '''보지 않고, 말하지 않고, 듣지 않는 원숭이 세 마리'''에 대해 언급하면서 그 말처럼 '''4명의 안구를 불로 그을리고 성대와 귓속의 반고리관을 도려내서 볼 수도, 말할 수도, 들을 수도 없는 상태로 만들어버렸다.''' 힙합 그룹 [[에픽하이]]의 곡 [[Map The Soul#s-2|Map The Soul]] [[https://www.youtube.com/watch?v=MZbxsM9RUtU&t=92s|뮤비]]에서 세 원숭이가 잠깐 나온다. 인디게임 [[Library of Ruina]]의 보스전 [[Library of Ruina/접대/우는 아이|우는 아이 접대]]에서 등장하는 <눈을 가린 아이, 귀를 막은 아이, 입을 감싼 아이>와 해당 접대의 테마곡 [[And Then is Heard No More]]의 모티브가 세 원숭이다. >나를 해하려는 모든 것에는 눈을 가려라. 나를 잘못된 곳으로 이끌 말은 듣지 마라. 불필요한 악을 입에 담지 마라. 그리고 마지막, 행하지 마라. 그렇게 나를 행복하게 만들어라. > >이제 나는 그 무엇도 들을 수 없었다. >---- ><[[Library of Ruina/책장/우는 아이|불안정한 우는 아이의 책장]]> 中 게임 [[아가사 나이프]]의 동물원 속에 세 원숭이가 있다. 미국 헤비메탈 밴드 [[메가데스]]의 마스코트 빅 래틀헤드(Vic Rattlehead)가 세 원숭이에게서 영감을 받아 만들어졌다. [[My Life as a Teenage Robot]]에 에피소드 두 개인 See No Evil과 Speak No Evil이 있다. [[닥터 후]]의 악당 외계인 [[우는 천사]]를 눈 가린 원숭이에서 모티브를 따 온 것으로 오해하는 경우도 있으나, 입을 가리거나 귀를 가린 짝이 없는 것으로 보아 아닐 가능성이 높다. 본래 서양 묘지에서는 묘비에 울며 슬퍼하는 천사 조각상(angel of grief 혹은 mourning angel)을 새기는 경우가 종종 있는데, 세 원숭이보다는 이쪽일 것이다. [[범죄도시 4]]에서 [[백창기]]의 스틸컷이 처음으로 유출되었다. 스틸컷에선 상반신에 3개의 해골 문신이 새겨져 있는데 해골들이 세 원숭이 포즈를 취한 모습이다. [[다크 디셉션]]의 첫번째 챕터인 "Monkey buisness"의 시작 지점에 걸려있는 액자 중 하나에 살인 원숭이 세마리가 해당 포즈를 취하고 있는 그림이 있다. [[분류:설화]][[분류:명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