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유희왕/OCG/드래곤족]][[분류:유희왕/OCG/싱크로 소환]] [[유희왕/OCG]]의 최상급 싱크로 몬스터 카드. || [[파일:星態龍.jpg|width=100%]] || [[파일:attachment/StarEaterGhost.jpg|width=100%]] || || 일판 노멀 || 북미판 [[홀로그래픽 레어]] ||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싱크로=, 한글판명칭=성태룡, 일어판명칭=星態龍(せいたいりゅう), 영어판명칭=Star Eater, 속성=빛, 레벨=11, 공격력=3200, 수비력=2800, 종족=드래곤족, 소재=튜너 + 튜너 이외의 몬스터 1장 이상, 효과외1=이 카드는 싱크로 소환으로밖에 특수 소환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의 싱크로 소환은 무효화되지 않는다., 효과2=②: 이 카드의 싱크로 소환 성공시에는\, 마법 / 함정 / 몬스터의 효과는 발동할 수 없다., 효과3=③: 이 카드는 공격할 경우\, 데미지 스텝 종료시까지 이 카드 이외의 카드의 효과를 받지 않는다.)] 최초로 나온 레벨 11 싱크로 몬스터. 이 카드가 나옴으로서, 드래곤족과 빛 속성에서 모든 레벨이 다 모였다. 카드명은 "별의 모양을 한 용"이라는 의미인데, 영미판에서는 "별을 먹는 자"라는 이름으로 번역되었다. [[저지먼트 오브 더 라이트]]에서 등장한 싱크로 몬스터. 싱크로 소환을 무효로 할 수 없고 [[싱크로 소환]] 후에는 서로 효과를 발동할 수 없다는 [[삼환신]]급의 매우 강력한 소환 내성을 가지고 있으며, 공격할 경우 다른 카드의 효과를 받지 않는 효과를 지녔다. 사실상 소환을 막을 수 없는 내성에 더불어 공격시에도 공격 반응형 카드 효과를 전혀 받지 않기 때문에 높은 공격력을 안정적으로 살릴 수 있다. 다만 소환에서부터 공격 선언 이전까지는 내성이 전무하기 때문에 [[강제 탈출 장치]]를 비롯한 프리 체인 제거 효과에 취약하며, 상대 턴에는 내성이 전혀 없다는 치명적인 단점이 있다. 공격력이 높은 편이긴 하나 한 방에 게임을 끝낼 정도로 위협적이지는 않기 때문에 보통은 높은 타점으로 한 번 공격하고 제거당하는 것이 고작이다. 또한 자신이 효과를 받지 않을 뿐 상대의 효과 발동 자체를 틀어막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SNo.39 유토피아 더 라이트닝]]을 비롯하여 효과로 공격력이 상승하는 몬스터에게는 대책이 없다. 일단 공격한 후에야 내성이 적용되므로 [[평화의 사자]] 등 공격 선언 자체가 불가능한 경우에는 이 카드 역시 공격할 수 없다. 효과나 스테이터스 면에서는 아쉬운 점이 많지만, 이 카드의 가장 큰 장점은 싱크로 소재 제약이 아주 널널하다는 점이다. 보통 고 레벨 싱크로 몬스터의 소재는 튜너 이외의 몬스터를 2장 이상 요구하는 경우가 많다는 점을 생각하면 꽤나 파격적인 조건으로, 덕분에 특수 소환이 쉬우면서 레벨은 높은 몬스터들을 쉽게 활용할 수 있다. [[성각]]에서는 [[래브라도라이드래곤]]을 통해 손쉽게 소환할 수 있고 [[메타파이즈]]도 라그나로크와 다이달로스를 통해 쉽게 소환이 가능하다. 이 카드의 소환도 어렵지 않다. [[섀도르]]는 레벨 2 튜너인 섀도르 팔콘에 레벨 9인 섀도르츠를 사용하는 것으로 쉽게 소환할 수 있다. ZEXAL 분기에 등장한 고 레벨 몬스터들은 소환이 쉬운 대신 엑시즈 소재로 사용되는 데에 제약이 걸리는 카드가 많은데, 이런 카드에 저 레벨 튜너를 더하는 것으로 성태룡을 싱크로 소환할 수도 있다. [[룡성]] 덱에서도 [[더 듀얼리스트 어드벤트]] 출신 5장의 하급 룡성을 레벨 조정 없이 전부 사용해서 싱크로 소환이 가능한데,[* 염룡성-순게이(레벨 4) + 지룡성-헤이칸(레벨 3) + 수룡성-비시키(레벨 2) + 풍룡성-호로우(레벨 1) + 광룡성-리훈(레벨 1, 튜너) = 레벨 11.] 이렇게 룡성 5단합체가 성공적으로 완수되면 공격력 3700/수비력 3300, 마법 / 함정 / 전투 파괴 내성을 지닌 괴물이 탄생한다. 강력한 효과와 높은 레벨, 거대한 [[항성|별]]을 휘감고 있는 웅장한 일러스트까지 여러모로 싱크로 몬스터의 부활을 알리는 팩에 매우 어울리는 몬스터라는 평가가 많다. 이러한 [[간지폭풍]]이 마음에 들어서인지 TCG판에서는 기본 레어도까지 [[시크릿 레어]]로 올랐고, [[CNo.39 유토피아 레이 빅토리]] 대신 [[홀로그래픽 레어]]의 자리를 차지하면서 '''부스터 팩 커버 몬스터가 아닌 카드가 홀로그래픽 레어로 지정되는 2번째 사례'''가 되었다.[* 최초는 [[환영의 어둠]]에서의 [[레인보우 네오스]].] [[유희왕 듀얼링크스]], [[유희왕 마스터 듀얼]]에도 SR로 등장했다. 범용 11 싱크로가 가능한 덱에서 자주 사용되었으나, 마스터 듀얼에선 [[사이코 엔드 퍼니셔]]가 2023년 2월에 등장한 이후론 그쪽이 좀 더 자주 쓰이고 있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저지먼트 오브 더 라이트]] || JOTL-KR047 || [[울트라 레어]][br][[얼티미트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수록 || || [[어드밴스드 이벤트 팩]] 2015 vol.1|| AE07-KR003 || [[시크릿 레어]] || [[한국]] || 대회 증정팩 || || [[저지먼트 오브 더 라이트|JUDGMENT OF THE LIGHT]] || JOTL-JP047 || [[울트라 레어]][br][[얼티미트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수록 || || [[골드 시리즈|GOLD PACK]] 2016 || GP16-JP012 || [[골드 레어]][br]골드 [[시크릿 레어]] || [[일본]] || || || [[저지먼트 오브 더 라이트|Judgment of the Light]] || JOTL-EN047 || [[시크릿 레어]][br][[얼티미트 레어]][br][[홀로그래픽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수록 || || 2014 Mega-Tin Mega Pack || MP14-EN096 || [[시크릿 레어]] || [[미국]]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