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쩐조 황제)] || '''[[묘호]]''' ||<(> '''[[성종]](聖宗)''' || || '''[[시호]]''' ||<(> 현공성덕인명문무선효황제[br](玄功盛德仁明文武宣孝皇帝) || || '''[[시호#s-1.5|존호]]''' ||<(> 광요효자태상황제[br](光堯慈孝太上皇帝) || || '''[[성씨|성]]''' ||<(> 쩐(Trần, 陳/진) || || '''[[휘]]''' ||<(> 호앙(Hoảng, 晃/황) || || '''생몰기간''' ||<(> 1240년 10월 12일 ~ 1290년 7월 3일 || || '''재위기간''' ||<(> 1258년 ~ 1278년 || [목차] [clearfix] == 개요 == [[베트남]] [[대월]] [[쩐 왕조]]의 제2대 황제. 묘호는 성종(聖宗), 시호는 현공성덕인명문무선효황제(玄功盛德仁明文武宣孝皇帝). 휘는 진황(陳晃). 《[[원사(역사책)|원사]]》(元史)에는 이름이 진일훤(陳日烜) 혹은 진위황(陳威晃)으로 기록되어 있다. [[태종(쩐)|진 태종]] 진경(쩐까인)과 순천황후(順天皇后)[* 태종 쩐까인의 처형이자 형수였다. 태종의 원래 부인은 [[리 왕조]]의 마지막 황제인 [[소제(리)|소제]]여서 황위 찬탈의 발판이었지만 자식을 낳지 못해 내치고는, 형 진류(陳柳)의 부인, 즉 형수을 빼앗은 것이었다.]의 아들이었다. == 생애 == 1258년, 부황 태종의 양위로 인해서 진황이 황제로 즉위했다. 즉위 초반에는 태상황이 된 태종이 실권을 잡고 있었기에 성종은 실권이 없었다. 태종이 붕어한 뒤에야 실권을 행사할 수 있었다. 성종의 재위 기간때, [[원나라]]의 황제 [[쿠빌라이 칸]]으로부터 복속 요구를 받았으나, 성종은 요구를 거부하고 원나라에 대항했으며, 1272년, 태종 시대에 진행되고 있었던 역사서인 《대월사기》(大越史記)를 완성했다. 1278년, 아들 인종(仁宗)에게 양위하고, 성종은 [[태상황]]이 되었다. 그리고 '광요효자태상황제'(光堯慈孝太上皇帝)라는 존호를 받았다. 1282년, 원나라가 대월을 침입하자, 성종이 직접 군대를 이끌고 지휘했다. 1290년 7월 3일, 성종이 49세의 나이로 붕어하자, 아들인 인종으로부터 묘호와 시호를 추존받았고, 능호를 유릉(裕陵)이라 했다. [[분류:대월 황제]][[분류:1240년 출생]][[분류:1290년 사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