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유희왕/OCG/마법사족]] [목차] == 개요 == [[유희왕]]의 하급 몬스터 카드. == 설명 == === [[유희왕 듀얼몬스터즈(게임)|유희왕 듀얼몬스터즈]] === || [[파일:MagicianofFaith-DM2-JP-VG.png|width=100%]] || [[파일:MagicianofFaith-DM4-JP-VG.png|width=100%]] || ||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II 암계결투기]] ||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4 최강결투자전기]] || ||<#F8F8A0> {{{#000 한글판 명칭}}} ||<-4>'''성스러운 마술사''' (비공식 번역명)|| ||<#F8F8A0> {{{#000 일어판 명칭}}} ||<-4>'''[ruby(聖なる魔術師, ruby=セイント・マジシャン)]'''|| ||<#F8F8A0> {{{#000 영어판 명칭}}} ||<-4>'''Magician of Faith'''|| ||<-5><#F8F8A0> {{{#000 일반 몬스터}}} || || 레벨 || 소환마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1[*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4 최강결투자전기]]에서는 2.] || 백마족 || 마법사족 || 300 || 400 || ||<-5>미숙하여 힘은 약하지만 성스러운 마법으로 어둠을 지워 없앤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II 암계결투기]]에서부터 등장. [[포니테일]]로 그려지는 후속 시리즈들과는 달리 인게임 일러스트에서는 [[트윈테일]]로 그려져 있다.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 === [[파일:聖なる魔術師.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리버스=, 한글판명칭=성스러운 마술사, 일어판명칭=聖なる魔術師(セイント・マジシャン), 영어판명칭=Magician of Faith, 속성=빛, 레벨=1, 공격력=300, 수비력=400, 종족=마법사족, 효과1=①: 이 카드가 리버스했을 경우\, 자신 묘지의 마법 카드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한다. 그 카드를 패에 넣는다.)] 리버스했을 경우에 마법 카드를 샐비지하는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룰/효과#유발 효과|유발 효과]]를 가진 [[리버스(유희왕)|리버스]] 효과 몬스터. 일본판 카드명의 루비는 "성스러운 마술사"라 쓰고, "세인트 매지션"으로 읽는다. 1기 때부터 존재하던 카드로, 같은 시기의 등장한 함정 샐비지 카드인 [[암흑의 가면]]이 존재한다. 묘지의 마법 카드를 패에 넣는다는 간단한 효과지만 금지카드가 없던 시절(2003년까지)엔 강력한 마법 카드가 넘쳐났기에, 마법 카드를 재활용하게 해주는 이 카드는 거의 [[필카]] 취급을 받았다. 그야말로 모든 덱에서 쓴다고 할만큼 범용성도 효과도 뛰어났기에 OCG 기준 2006/03/01부터 준제한, 2006/09/01부터 2007/03/01까지 제한, 2007/03/01부터 09/01까지는 금지 카드로 올라섰고 잠깐 제한으로 풀렸다가 2008/03/01부터 2016/10/01까지 금지 카드로 남았다. 그 와중에 [[쓰쿠요미(유희왕)|쓰쿠요미]]와의 콤보가 주목되기도 했고, [[견습 마술사]]로 쉽게 필드에 세트시킬 수 있어 쓰기 편해지기도 했다. 하지만 싱크로/엑시즈 소환 추가 이후 듀얼 환경이 급속하게 변하면서 세트시켜 리버스로 효과를 발동하는 리버스 몬스터들은 속도가 느리다는 평가를 받게 됐다. 이 카드가 한창 활약할 때만 해도 강력하면서도 제한이라서 쓰기 힘든 마법 카드를 '''아무렇지도 않게 재활용할 수 있다'''란 말을 들었지만, 지금은 리버스 몬스터란 이유로 그만한 수고로움을 거쳐야 하는 카드로 전락하게 됐다. TCG에선 2014년 1월에 이 카드의 금지를 풀고 제한 카드로 내려보냈다. [[죽은 자의 소생]], [[태풍(유희왕)|태풍]] 같은 강력한 마법 카드를 미리 금지시킨 건 이 카드의 금지 해제를 경계해서인 듯하다. 사실 현 환경에서 속도가 느려질 수밖에 없는 모든 리버스 몬스터가 거의 묻히고 있다는 것과, 과거와는 달리 강력한 마법 카드 대부분이 금지를 먹고, 몬스터 카드 위주로 돌아가고 있는 상황과 [[굿 스터프]]가 활약했던 이 카드의 전성기와는 다르게 콤보와 시너지가 강한 카드군들이 득세하며 웬만한 덱들이 자기 카드군 내 필요한 마법 카드를 어떻게든 조달해 굳이 이 카드를 넣을 필요가 없다는 것을 생각하면 별로 놀랍진 않다. 결국 2014년 7월 14일자로 북미에선 다시 준제한으로, 이후엔 무제한으로 풀렸다. 근데 정작 OCG에서의 금지제한은 계속 됐는데, 딱히 어울리는 카드군이 있는 것도 아니고 제한을 받을만한 다른 카드와 콤보가 있는 것도 아닌 이 카드가 계속 금지를 받는것에 의문을 가진 사람이 많았다. 이후 2016년 10월에서야 제한으로 내려오면서 무려 '''8년 7개월'''(전에 금지된 기간까지 합하면 '''9년 1개월''')이란 금지 카드 생활을 마감하게 됐다. 이후 2017년 1월에 준제한, 2017년 4월에 무제한이 됐다. 금지 해제와 [[어리석은 부장]]의 발매가 겹치면서 어리석은 부장으로 마법 카드를 묘지로 보내고 성스러운 마술사로 패로 가져오는 연계가 주목 받기도 했으나, 역시 서치 속도가 느리고 마법 카드 한 장을 얻기 위해 두 장을 투입하고 한 턴을 거의 날릴만큼 가치가 있는가를 생각하면 성스러운 마술사를 최대한으로 활용할 수 있는 리버스 관련 덱을 빼면 실용성 있는 연계로 보기엔 무리가 있다. 2015년 4월 마법 카드 회수 효과를 지닌 [[혼돈의 흑마술사]]는 에라타를 먹고 금지가 풀렸는데 당시 이 카드는 풀리지 않아 논란이 되기도 했다. 에라타된 혼돈의 흑마술사의 효과가 여전히 이 카드보다도 훨씬 막강했기 때문. 이 카드의 성장판/리메이크 카드로 보이는 [[성스러운 해주사]]가 있다. [[마력 카운터]]를 사용해 필드 위의 마법 카드를 패로 되돌리는 효과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에서는 [[유희왕 듀얼몬스터즈/듀얼리스트 킹덤 편|듀얼리스트 킹덤 편]]에서 [[마자키 안즈]]가 사용하는 것으로 처음 등장한다. [[듀얼리스트 킹덤]]에서 유우기 일행이 [[바쿠라 료]]를 만나게 되어 듀얼에 들어가기 전에 각자의 페이버릿 카드를 고르는 장면이 있는데, 이 때 안즈가 고른 카드가 이것. 때문에 죠노우치한테 이미지에 안 맞게 고상한 카드 좋아한다는 디스를 듣기도 했다. 그 영향으로 [[어둠의 바쿠라]]가 나타나 어둠의 듀얼을 하게 되었을 때, 일행들의 혼이 페이버릿 카드에 들어가게 되면서 본의 아니게 안즈가 성스러운 마술사 코스프레를 하게 된다.[* 이는 원작의 몬스터 월드 편에서 안즈가 엘프 마법사 클래스의 게임 말이 된 것을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졸지에 공격력이 500도 안되는 잡몹이 되는 바람에 소환되자마자 대경실색한 화염의 검사 죠노우치와 커맨더 혼다가 등 뒤에 숨기려 들었으나 바쿠라가 이미 알아보는 바람에 소용은 없었고, 자신의 효과로 묘지에서 [[죽은 자의 소생]]을 회수해 [[승천의 뿔피리]]의 코스트로 릴리스된 [[화염의 검사]]를 소생시키는데 기여했다. 이후로도 사이에 낀 오리지널 에피소드에서 안즈가 [[쿠자크 마이]]와 듀얼할 때도 등장해 [[종족 장착 마법#은화살|은화살]]을 패로 가져왔다. 한국 [[SBS]]에서 1기를 더빙 방영할 당시에는 OCG의 성스러운 마술사가 아닌 루비를 읽은 '세인트 매지션'으로 번역되었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노아 편|노아 편]]에서는 [[빅5(유희왕)|빅5]]의 재도전 듀얼에서 [[오오타키 슈조]]가 사용. 죠노우치가 발동한 [[해피의 깃털]]로 파괴된 [[전설의 도시 아틀란티스]]를 샐비지했으나, 재사용할 기회도 없이 [[어둠의 유우기]]가 발동한 [[카드 파괴]]에 의해 다시 버려야 하는 상황이 되었다. [[유희왕 월드 챔피언십 2007]]에서는 '마법 카드를 10번 이상 발동하여 승리하라'라는 테마 듀얼의 대전 상대로 등장. 대사 포맷은 [[령사#수령사 에리아|수령사 에리아]]와 같은데, 이로 인해 어째 말투에서 위화감이 느껴지는 편이다. [[유희왕 듀얼링크스]]에서는 무려 메인팩 UR로 해금되었다. 다만 오프라인과는 상황이 다른데, 당시에는 [[욕망의 항아리]], [[죽은 자의 소생]], [[해피의 깃털]], [[번개(유희왕)|번개]] 등 개사기 마법이 많았기에 이 성스러운 마술사도 개사기였지만 듀링은 그때처럼 마법 한장으로 필드가 뒤집히는 환경이 아니라 큰 힘을 발휘할 수는 없을 것으로 보인다. ==== 수록 팩 일람 ==== ||수록 시리즈 || ||<(> 1999-07-22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 | '''[[볼륨(유희왕)|Vol.4]]'''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R)] || ||<(> 2000-10-26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RB-36 | 暗黒魔竜復活 - Revival Of BlackDemons Dragon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R)] || ||<(> 2002-03-21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PE-17 | [[스트럭처 덱(유희왕)|STRUCTURE DECK-ペガサス・J・クロフォード編-]]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2-08-22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DL2-123 | DUELIST LEGACY Volume 2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R)] || ||<(> 2003-05-22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SY2-017 | [[스트럭처 덱(유희왕)|ストラクチャーデッキ - 遊戯編 - Volume 2]]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3-12-11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SK2-049 | [[스트럭처 덱(유희왕)|ストラクチャーデッキ - 海馬編 - Volume 2]]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4-06-24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BE1-JP163 | [[비기너즈 팩|BEGINNER'S EDITION 1]]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R)] || ||<(> 2005-09-22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SD6-JP005 | [[마법사의 심판|ストラクチャーデッキ - 魔法使いの裁き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6-03-23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YSD-JP012 | [[스타터 덱|STARTER DECK 2006]]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11-05-14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BE01-JP137 | [[비기너즈 팩|BEGINNER'S EDITION 1(第7期)]]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R)] || ||<(> 2016-12-17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20AP-JP013 | [[애니버서리 팩|20th ANNIVERSARY PACK 1st WAVE]]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P] || ||<(> 2017-06-17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SD32-JP018 | [[사이버스 링크|ストラクチャーデッキ - サイバース・リンク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19-03-09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SR08-JP020 | [[매지션의 패왕|ストラクチャーデッキR-ロード・オブ・マジシャン-]]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21-07-10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DR01-JPA16 | デュエルロワイヤル デッキセットEX[ ブラック・マジシャン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2-06-26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MRD-036 | '''[[강철의 습격자|METAL RAIDERS]]'''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R)] || ||<(> 2003-03-30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SDJ-017 | [[스타터 덱|STARTER DECK JOEY]]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4-10-12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DB1-EN163 | [[비기너즈 팩|DARK BEGINNING 1]]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R)] || ||<(> 2006-01-18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SD6-EN005 | [[마법사의 심판|STRUCTURE DECK SPELLCASTER'S JUDGMENT]]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6-03-23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YSD-EN012 | [[스타터 덱|STARTER DECK 2006]]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7-02-06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CP02-EN003 | CHAMPION PACK GAME TWO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R)] || ||<(> 2008-07-08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RP01-EN033 | RETRO PACK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R)] || ||<(> 2008-11-21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DLG1-EN034 | DARK LEGENDS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R)] || ||<(> 2013-06-28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BP02-EN005 | BATTLE PACK 2 WAR OF THE GIANTS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R)][include(틀:유희왕 레어도/MR)] || ||<(> 2017-03-31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DUSA-EN044 | DUELIST SAGA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R)] || ||<(> 2017-11-03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SDCL-EN019 | [[사이버스 링크|STRUCTURE DECK : CYBERSE LINK]]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19-04-19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SR08-EN020 | [[매지션의 패왕|STRUCTURE DECK: ORDER OF THE SPELLCASTERS]]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19-05-31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SBAD-EN001 | SPEED DUEL: ATTACK FROM THE DEEP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R)] || ||<(> 2020-05-15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SS04-ENA14 | SPEED DUEL STARTER DECKS: MATCH OF THE MILLENNIUM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4-03-09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MRD-K036 | '''[[강철의 습격자]]'''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R)] || ||<(> 2004-08-16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SDJ-KR017 | [[스타터 덱|스타터 덱 - 조이 편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6-04-11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BP1-KR163 | [[비기너즈 팩|비기너즈 팩 Vol.1]]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R)] || ||<(> 2007-06-16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SD6-KR005 | [[마법사의 심판|스트럭처 덱 - 마법사의 심판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8-09-10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ESP1-KR041 | [[익스팬션 팩|익스팬션 팩 Vol.1]]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R)] || ||<(> 2017-04-18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20AP-KR013 | [[애니버서리 팩|크로니클 팩 1st WAVE]]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P)] || ||<(> 2017-09-14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SD32-KR018 | [[사이버스 링크|스트럭처 덱 - 사이버스 링크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19-06-19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SR08-KR020 | [[매지션의 패왕|스트럭처 덱 R - 로드 오브 매지션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관련 카드 == === [[암흑의 가면]] === === [[성스러운 해주사]] === === 신성스러운 마술사 === [include(틀:유희왕/OCG/V점프 동봉 카드/2023년)] [[파일:神聖なる魔術師.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리버스=, 한글판명칭=신성스러운 마술사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일어판명칭=神聖なる魔術師(セインクレッド・マジシャン), 영어판명칭= Magician of Faithfulness, 속성=빛, 레벨=5, 공격력=600, 수비력=800, 종족=마법사족, 효과외1=이 카드명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가 리버스했을 경우\, 자신 묘지의 마법 카드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카드를 패에 넣는다. 그 후\, 덱에서 "성스러운 마술사" 또는 "신성스러운 마술사" 1장을 뒷면 수비 표시로 특수 소환할 수 있다.)] [[V점프]] 동봉으로 수록되는 카드. 일본판 카드명 루비는 "신성스러운 마술사"라 쓰고, "세인크레드 매지션"으로 읽는다. [[식인 곤충#사도 식충|사도 식충]], [[하늘하늘(유희왕)#하데 하네|하데 하네]]처럼 고대의 하급 리버스 몬스터를 레벨 5의 상급 리버스로 리메이크한 카드. 마찬가지로 능력치도 원본의 두 배다. 효과 범위가 2장으로 늘어난 위 둘과는 달리 샐비지 하는 마법은 원본처럼 1장밖에 할 수 없으며 대신 덱에서 성스러운 마술사나 동명의 카드를 추가로 리쿠르트할 수 있는 효과를 가져 간접적으로 2장 샐비지 느낌으로 만들었다. 성능은 원본보다 좋지 않다는 평이 많다. 저레벨이라 [[견습 마술사]] 등의 서포트도 받을 수 있던 원본에 비해 이 카드는 레벨이 5나 돼서 저레벨 서포트도 못 받고 패말림의 요소가 되기 쉬우며 효과를 쓰려면 몬스터 1장을 릴리스하고 세트해야한다. 리버스 서포트를 이용하면 덱에서 세트하는 것도 가능하나 그건 원본도 똑같이 받을 수 있으며 덱에서 특수소환하는 효과가 추가돼서 원본은 맞지 않던 [[하루 우라라(유희왕)|하루 우라라]]까지 맞는다. 그나마 [[점술공주|점술공주 코인노마]]가 레벨 3 이상을 지정하기에 원본과는 차별화되는 점이 위안거리. 그냥 [[식인 곤충#사도 식충|사도 식충]]이나 [[하늘하늘(유희왕)#하데 하네|하데 하네]]처럼 평범하게 샐비지 매수를 2장으로 늘렸다면 원본과도 차별화되고 우라라도 피해갈 수 있었을 텐데 아쉬운 카드. ||수록 시리즈 || ||<(> 2023-02-21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VJMP-JP230 | '''[[V점프|Vジャンプ(2023年4月号) 付属カード]]'''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R)] || ||<(> 2023-07-28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DUNE-EN098 | '''[[듀얼리스트 넥서스|DUELIST NEXUS]]'''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