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성소수자)] [목차] == 개요 == [[이반]]이라는 구한말시대의 유행어처럼, 한국의 [[성소수자]] 커뮤니티 내에는 [[은어(언어학)|은어]]들이 존재한다. 물론 지금도 널리 쓰이고 있는 것들이기 때문에, 어디 가서 함부로 사용하면 낭패를 볼 지도 모른다. 특히 소수자 커뮤니티의 특성상, 아래의 은어들을 [[일반인]]이 사용한다는 것은 성소수자에 대한 굉장한 실례로 인식되는 상황이라, '''자신이 [[성소수자]]가 아니라면''' 쓰지 않는 것을 권한다. 이 중 일부는 성소수자라도 친한 사이가 아니라면 실례가 되는 표현도 있다. 사실 대부분의 비성소수자 입장에선 항목까지 참고하며 성소수자들의 은어를 안다는 일이 흥미 내지는 호기심의 영역을 벗어나지 못하겠지만, 서로 폐를 끼치지 않는다는 전제 하에 더불어 사는 사회에서 성소수자들의 단면을 어느 정도 알아 두는 것도 그리 나쁜 일은 아닐 것이다. == 성소수자 전반 == * [[이반]] : 사회의 일반(一般)과 다르다는 뜻으로 7, 80년대 종로 등지의 [[게이]] 커뮤니티에서 처음 사용하기 시작했다. 처음엔 二般으로 표기했으나 현재는 異般. 뜻이 확대되어 [[게이]]뿐만 아니라 성소수자 전반을 뜻하게 되었다. 2000년대 대학가를 중심으로 한 성소수자 인권운동이 확산되며 널리 쓰였던 말이나 현재는 잘 사용되지 않는다. '추억의 단어'같은 느낌. 단 이반업소라는 말은 아직 많이 쓰이는 편이다. * 탈반 : '탈(脫)이반'의 준말로, 이반의 [[성 정체성]]에서 벗어나서 일반으로 '[[전향]]'한다는 의미의 단어. 물론 [[동성애자]]에서 [[이성애자]]로의 '[[전향]]'은 불가능하다. [[동성애]]도 일반적인 사랑이기 때문이다. --길가는 [[이성애자]]보고 동성을 좋아하라고 해봐라. 바뀌나..-- 잘 사귀던 퀴어 커플이 갑자기 느닷없는 이별을 통보하며 이유를 갖다붙여야겠다 싶을 때 탈반 핑계를 꺼내들기도 한다. ~~물론 그렇게 애인 차면 한 달 안에 클럽이나 동아리에서 마주친다더라..~~ 성소수자를 대상으로 한 매체가 구리거나 할 때 "탈반해야겠네"라며 농담을 하기도 한다. *[[스트레이트#s-4|스트레이트]] : [[이성애자]]. *헤테로[* heterosexual이라는 뜻. 영어로 이성애자라는 뜻이다.] : [[이성애자]]. == 게이 == * [[게이/은어]] 항목 참고 == 레즈비언 == * '띵' 혹은 '띵동' : 청소년 [[레즈비언]]들이 스스로를 칭할 때 쓰는 말 중 하나였다. 아마 현재 80년대 후반~90년대 초반 출생 레즈비언들은 이 단어를 10대 성소수자들이 많이 모이는 커뮤니티에서 한 번 이상은 들어보았을 것이다. 그러나 2015년 기준 사장된 용어로 봐도 무관할 정도로 사용되지 않고 있다. 다만 청소년 성소수자 인권단체([[청소년성소수자위기지원센터 띵동]])의 이름으로 쓰이기 때문에 은어가 아닌 고유명사로서는 여전히 성소수자들의 입에 오르내리고 있다. * [[전천]] : 전천후(全天候. [[날씨]]에 상관 없이 제 역할을 다할 수 있다는 말)에서 온 말. 일반적으로도 [[잠자리(동음이의어)#s-2.1|잠자리]] 용어로도 [[부치]]와 [[펨]]의 포지션을 둘 다 할 수 있는 사람을 이르는 말이다. [[게이]]들의 "올"에 해당. * 무성향 : 1970년대 중반 [[레즈비언]] 사회의 대거 [[세대교체]]로 스스로를 무성향이라고 표현하는 [[레즈비언]]들이 급증하였다. 표현 그대로 성향을 나누지 않으며, 스스로의 외관이 포지션에 의한 게 아니라는 사실을 명백히 밝힌다. 잠자리에 있어서도 특정한 포지션을 취하지 않는다. 2015년 기준 10대 후반~20대 초반에 대부분이 분포하고 있다고 짐작된다. 포지션을 나누는 것을 남-녀 관계에서 따온 [[부치]]-[[펨]] [[롤플레잉]] 관계라 칭하며 비판하는 무성향들과 무성향의 존재를 레즈비언 사회에 대한 내재된 [[자기혐오]]의 결과라 말하는 기성 [[레즈비언]]들 간의 갈등이 문제가 되고 있다. * 일틱, 일스 : 일반st 또는 일반스트(일스)라고도 한다. 말 그대로 일반스러운 스타일을 가진 [[레즈비언]]을 이르는 말. 만남 위주의 [[레즈비언]] 커뮤니티에서는 일틱을 꽤나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반대로, 트위터나 기타 다른 만남 어플에서는 머리짧은 스타일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스타일에 대한 선호는 커뮤나 어플에 따라 다르며, 근래에는 [[페미니즘]] 대두로 인해 단순 머리길이, 스타일 등으로 나누는 것을 지양하고 있다. * 23/34 : 삽입 [[성교]] 시 선호하는 손 동작을 간략히 칭하는 말. [[검지]]와 [[중지]]를 이용하는 이는 23, [[중지]]와 [[약지]]를 이용하는 이는 34라 칭하며, 파트너를 찾을 때는 사용되지 않고, [[레즈비언]]들 사이의 섹스토크 시에 주로 [[농담]]조로 사용된다. 위생과 건강, 만족감 등에 있어 34 사용이 더 낫다는 이야기가 있다. * 머짧 : 머리가 짧은 스타일을 가진 경우를 의미한다. 티부와는 의미가 다르며, 부치와 펨 성향이 드러나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 * 깁텍(기브앤테이크, give & take) : 깁앤텍이라고도 한다. 성관계에서 서로 주고 받는 것을 의미한다. * 온텍 : 성관계에서 받기만 하는 것을 의미한다. * 온깁 : 성관계에서 주기만 하는 것을 의미한다. == 트랜스젠더 == * 여장해제/남장해제 : [[성 지정|지정된 성]]대로 차려 입는 걸 그만하는 상황을 가리키는 말. == 무성애자 == * Ace: [[무성애자]]의 영문 명칭이 [[A]]sexual인데서 따와 [[무성애자]]를 [[에이스]]라고 칭하기도 한다. * Asexy: [[무성애자]]가 누군가에게 끌릴 때 성적으로는 끌리지 않기 때문에 에이[[섹시]]하다 라고 표현하는 경우가 있다. 지적인 사람에게 끌린다거나 말투에 끌린다거나 하는 경우. 애초에 이러한 끌림은 연애적 끌림으로서 충분히 느낄 수 있으며 에이로맨틱 에이섹슈얼이 아니면 [[무성애자]]도 연애적 끌림이 존재하기 때문에 쓰이는 단어이다. [[http://news.donga.com/3/all/20160611/78604050/1|이 기사를 보면 이해가 쉽다.]] ~~물론, 편견을 가중시키기도 하지...~~ == 같이 보기 == * [[성소수자]] * [[은어(언어학)|은어]] [[분류:성소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