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 * 북한 강원선에 있는 동명의 역 - [[성산역(강원선)]] * 경의선에 설치되었던 임시승강장 - [[디지털미디어시티역]] * 병기역명이 '성산'인 서울 지하철 6호선의 역 - [[월드컵경기장역(서울)]] * 경춘선에 있었던 동명의 역 - [[남춘천역]] ||<-3> {{{+2 '''성산역'''}}} || ||<-3> [include(틀:지도, 장소=순천성산역, 너비=100%, 높이=225px)] || ||<-3> '''다른 문자 표기''' || || [[로마자]] ||<-2> Seongsan || || [[한자]] ||<-2> 星山 || || [[간체자]] ||<-2> 星山 || || [[가나(문자)|가나]] ||<-2> [ruby(星山, ruby=ソンサン)] || ||<-3> '''주소''' || ||<-3> [[전라남도]] [[순천시]] [[해룡면]] 남가2길 40[br](舊 남가리 68-1번지) || ||<-3> '''관리역 등급''' || ||<-3> [[무배치간이역]][br]([[순천역]] 관리 / [[한국철도공사]] 광주전남본부) || ||<-3> '''운영 기관''' || || [[전라선]] ||<-2> [[한국철도공사|[[파일:코레일_기본_로고.svg|width=100]]]] || ||<-3> '''개업일''' || || [[전라선]] ||<-2> 1932년 11월 1일 || ||<-3> '''철도거리표''' || || [[익산역|{{{#!html
익산 방면}}}]][[순천역|순 천]][br]← 5.2 ㎞ || '''[[전라선]]'''[br]성 산 || [[여수엑스포역|{{{#!html
여수엑스포 방면}}}]][[율촌역|율 촌]][br]6.2 ㎞ → || || [[평화신호장|{{{#!html
평화 방면}}}]][[평화신호장|평 화]][br]← 3.0 ㎞ || '''[[전경삼각선]]'''[br]성 산 || {{{#!html
종점}}} || {{{+1 星山驛 / Seongsan Station }}} [목차] [[파일:성산역.jpg]] == 개요 == [[전라선]]의 [[철도역]]. [[전라남도]] [[순천시]] [[해룡면]] 남가2길 40 (舊 남가리 68-1번지)에 위치해 있다. == 역사 == 1980년 3월 10일에 역원무배치간이역에서 보통역으로 승격했다.[* [[https://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singleData=N&archiveEventId=0028113283#20|철도청고시 제7호]].] 수요부족으로 인해 [[2004년]] [[7월 16일]]부로 여객영업이 중단되었다. 결국 [[2009년]] 초에 역사 건물도 [[전라선]] 복선전철화 공사 관계로 철거당한 상황. 하지만 여수 방면에서 광양 방면으로 빠지는 전경삼각선이 생기면서 [[2010년]]에 [[신호장]] 형태의 역사를 만들어 두기는 했다. 주변에 신대지구가 발달되어 있고, 바로 옆에 [[모다아울렛 순천점]]이 개장하였으나 인근의 [[평화신호장]]처럼 플랫폼도 없는지라 여객용 역으로 활용되지는 않았다. === [[경전선]] [[순천시|순천]] 우회안 === 그러나 경전선 전철화와 함께 [[KTX 이음]] 운행이 사실상 확정되면서 성산역이 화두로 떠올랐다. [[순천시]]와 순천의 시민단체들은 경전선의 순천 도심 통과를 강하게 반대하고 있고, 2023년 3월 [[윤석열]] 대통령이 순천 우회를 직접 지시하였으며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이 이를 적극 수용하면서 경전선의 순천 도심 우회가 사실상 확정되었다. [[https://www.sedaily.com/NewsView/29N8QHDURI|*]] [[https://www.yna.co.kr/view/AKR20230216078900054|*]] 순천시에서는 몇 가지 대안을 내놓았는데 그 중 하나는 [[해룡면]]에서 [[벌교]] 방향으로 연결선을 만들고 성산역을 증축 혹은 개축하여 정차역으로 활용하는 방안이다. [[https://www.nocutnews.co.kr/news/5821131|*]] 우회안의 경우 (1) 해룡면 쪽으로 우회하면, 연결선을 놓기 위해 선로와 터널을 신설해야 하고 순천역과 이원화가 불가피하지만 (2) 서면 우회안의 경우 선로 길이가 더욱 길어질 뿐만 아니라 [[무안공항역]]과 [[오송역]]을 뛰어넘는 최악의 드리프트 선형이 만들어져서 [[부울경]]과 [[광주광역시|광주]][[전라남도|전남]] 전체가 피해를 볼 수 있기 때문에 해룡면에서 연결선이 만들어지는 것이 유력하다. 다만 정차역의 경우 [[광양역]]이 있어 성산역이 정차역이 될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성산역은 순천역과 가깝고 여수 방향에 위치하고 있어 순천역과 역할이 겹치고, 경전선 거점역 역할에는 적합하지 않은 편이다. [[광양역]]은 역 접근성은 아쉬우나 순천시내와 광양시내에서 그리 멀지 않은 편이며, 경전선 노선에 위치하고 있어 순천역과 역할이 겹치지 않으며 경전선 거점역 역할에 적합하다. [[광양시]] 역시도 광양역 활성화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기도 하다. [[https://www.gynet.co.kr/news/articleView.html?idxno=51380|*]] == 기타 == KTX열차는 이 역에서부터 [[덕양역]]까지 230km/h의 고속주행을 실시한다.[* 성산 ~ 순천 구간은 삼각선 구간이라 곡선반경이 심하게 작아 100km/h 이상으로 주행할 수 없다.] == 둘러보기 == [include(틀:전라선의 역 목록)] [include(틀:전경삼각선의 역 목록)] [[분류:1932년 개업한 철도역]][[분류:대한민국의 철도역]][[분류:전라선]][[분류:나무위키 철도 프로젝트]][[분류:분기역]][[분류:순천시의 철도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