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북한의 유적지)] [include(틀:일제강점기 불교 31본산)] || {{{#white {{{+3 성불사 }}}}}} || || [include(틀:지도, 장소=북한 사리원시 성불사, 높이=250px, 너비=100%)] || || [[파일:황해황주 성불사 전경.jpg|width=60%]] || || [[일제강점기]] 성불사 전경[* [[https://www.museum.go.kr/site/main/relic/search/view?relicId=55531|출처는 국립중앙박물관. 이 링크에서 사진 다운로드 가능.]]] || [목차] == 개요 == {{{+1 成佛寺 }}} [[황해북도]] [[황주군]] 정방산에 위치한 [[불교]] [[절(불교)|사찰]]. 광복 당시 행정구역으로는 황해도 황주군 주남면이었다. 사찰 자체의 규모는 적지만 경치가 아름답고 문화재와 유물이 많아 황해도 제일의 경승지로, 황주8경의 하나로 꼽혔다. 또한 절문 입구에 7백여 미터 정도 늘어선 [[살구나무]]숲은 봄이 되면 살구 향기가 은은하여 평양·서울 등지에서 많은 상춘객(嘗春客)들이 몰려들기도 했다.[[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81050900329209008&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81-05-09&officeId=00032&pageNo=9&printNo=10955&publishType=00020|#]] == 노래 == * 성불사의 밤: [[1930년대]]에 지어진 성불사를 배경으로 한 가곡이다. 1931년 8월 19일 밤 성불사를 찾은 [[이은상(시인)|이은상]]이 시상을 써내려가 가사를 완성한 것을 [[홍난파]]가 작곡했다. ||성불사 깊은 밤에 그윽한 풍경 소리 주승은 잠이 들고 객이 홀로 듣는구나 저 손아 마저 잠들어 혼자 울게 하여라 댕그렁 울릴 제면 또 울릴까 맘 졸이고 끊일 젠 또 들리라 소리나기 기다려져 새도록 풍경소리 데리고 잠 못 이뤄 하노라 || == 관련 링크 == 1.[[https://ko.wikipedia.org/wiki/%EC%84%B1%EB%B6%88%EC%82%AC_(%ED%99%A9%ED%95%B4%EB%8F%84)|위키백과]] 2.[[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112580&cid=40942&categoryId=39872|두산백과]] 3.[[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854143&cid=58028&categoryId=58036|조선향토대백과]] 4.[[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692536&cid=50763&categoryId=50782|북한의 전통사찰]] 5.[[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29345|한국민족문화대백과]] [[분류:북한의 절]][[분류:황주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