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관련 문서, top1=성북구/정치)] [include(틀:제22대 국회의원/서울특별시)] ||<-4>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height=15]]]] {{{#fff [[대한민국|{{{#fff 대한민국}}}]]의 [[대한민국 국회|{{{#fff 국회}}}]][[선거구|{{{#fff 선거구}}}]]}}}'''[br]{{{#!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 {{{#!wiki style="margin: -5px 0" [[대한민국 국회|[[파일:국회휘장.svg|height=70]]]]}}}|| {{{#!wiki style="margin: -5px 0" '''{{{+2 {{{#fff 성북구 을}}}}}}'''[br]{{{-1 {{{#fff [[돈암동|{{{#fff 돈암1동}}}]], [[길음동|{{{#fff 길음2동}}}]], [[종암동|{{{#fff 종암동}}}]], [[석관동|{{{#fff 석관동}}}]] 등[br]城北區 乙[br]Seongbuk B}}}}}}}}} ||}}} || ||<-4>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국회선거구 성북구 을.svg|width=100%]]}}} || ||<-2> '''선거인 수''' ||<-2> 178,667명 (2024) || ||<-2> '''상위 행정구역''' ||<-2> [[서울특별시]] || ||<-2> '''관할 구역''' ||<-2>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성북구|{{{#373a3c,#ddd 성북구}}}]] 일부''' 돈암1동, 길음2동, 종암동, 석관동, 장위1동, 장위2동, 장위3동, 월곡1동, 월곡2동 }}} || ||<-2> '''신설년도''' ||<-2> [[제13대 국회의원 선거|1988년]] || ||<-2> '''국회의원'''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김남근]] || [목차] [clearfix] == 개요 == [[서울특별시]] [[성북구]] 종암경찰서 관할 구역을 포함하는 선거구다. 현 국회의원은 [[더불어민주당]] 소속의 [[김남근]] 의원이다. 이 지역은 민주당계가 강세를 띄고 있다. == 역대 국회의원 목록 == * 편의상 성북구가 신설(1949년)된 이후의 국회의원부터 서술한다. || '''총선''' || '''당선인''' || '''당적''' || '''임기''' || '''선거구''' || || 제2대 || [[조소앙]] || [include(틀:사회당(1948년))] || [[1950년]] [[5월 31일]] ~ [[1950년]] [[6월 30일]][* [[한국전쟁]]에 휘말려 납북됨.] ||<|4> '''성북구''' || || 제3대 || [[김일(정치인)|김일]] || [include(틀:자유당(1951년))] || [[1954년]] [[5월 31일]] ~ [[1958년]] [[5월 30일]] || || 제4대 ||<|5> [[서범석(1902)|서범석]] ||<|2> [include(틀:민주당(1955년))] || [[1958년]] [[5월 31일]] ~ [[1960년]] [[7월 28일]] || || 제5대 || [[1960년]] [[7월 29일]] ~ [[1961년]] [[5월 16일]] || || 제6대 || [include(틀:민정당)] || [[1963년]] [[12월 27일]] ~ [[1967년]] [[6월 30일]] ||<|2> '''성북구 을'''[* 성북구 '''돈암동, 종암동, 상월곡동, 하월곡동''', 미아동, '''장위동, 석관동''', 번동, 우이동, 수유동, 창동, 월계동, 쌍문동, 공릉동, 하계동, 중계동, 상계동, 도봉동, 방학동] || || 제7대 ||<|4> [include(틀:신민당(1967년))] || [[1967년]] [[7월 1일]] ~ [[1971년]] [[6월 30일]] || || 제8대 || [[1971년]] [[7월 1일]] ~ [[1972년]] [[10월 17일]] || '''성북구 을'''[* 성북구 '''종암동, 길음동''', 인수동, 송천동, 삼양1동, 삼양2동, 화계동] || || 제8대 ||<|2> [[고흥문]] || [[1971년]] [[7월 1일]] ~ [[1972년]] [[10월 17일]] || '''성북구 병'''[* 성북구 '''월곡동''', 장석동, 창동, 태릉동, 노원동, 도봉동] || ||<|2> 제9대 || [[1973년]] [[3월 12일]] ~ [[1979년]] [[3월 11일]] ||<|8> '''성북구''' || || [[정래혁]] || [include(틀:민주공화당)] || [[1973년]] [[3월 12일]] ~ [[1979년]] [[3월 11일]] || ||<|2> 제10대 || [[조세형(정치인)|조세형]] || [include(틀:신민당(1967년))] ||<|2> [[1979년]] [[3월 12일]] ~ [[1980년]] [[10월 27일]] || || [[정래혁]] || [include(틀:민주공화당)] || ||<|2> 제11대 || [[김정례]] || [include(틀:민주정의당(1981~1987))] ||<|2> [[1981년]] [[4월 11일]] ~ [[1985년]] [[4월 10일]] || || [[조순형]] || [include(틀:무소속)] || ||<|2> 제12대 || [[이철]] || [include(틀:신한민주당)] ||<|2> [[1985년]] [[4월 11일]] ~ [[1988년]] [[5월 29일]] || || [[김정례]] || [include(틀:민주정의당(1981~1987))] || || 제13대 || [[조윤형]] || [include(틀: 평화민주당)] || 1988년 5월 30일 ~ 1992년 5월 29일 ||<|10> '''성북구 을''' || || 제14대 || [[신계륜]] || [include(틀: 민주당(1991년))] || 1992년 5월 30일 ~ 1996년 5월 29일 || || 제15대 || [[강성재(정치인)|강성재]] || [include(틀: 신한국당)] || 1996년 5월 30일 ~ 2000년 5월 29일 || || 제16대 ||<|2> [[신계륜]] || [include(틀: 새천년민주당)] || 2000년 5월 30일 ~ 2004년 5월 29일 || ||<|2> 제17대 || [include(틀: 열린우리당)] || 2004년 5월 30일 ~ 2006년 2월 10일[* 공직선거법 위반으로 인한 의원직 상실.] || || [[조순형]] || [include(틀: 민주당(2005년))] || 2006년 7월 27일 ~ 2008년 5월 29일 || || 제18대 || [[김효재]] || [include(틀: 한나라당)] || 2008년 5월 30일 ~ 2011년 8월 4일[* 청와대 정무수석 임명으로 인한 사퇴] || || 제19대 || [[신계륜]] || [include(틀: 민주통합당)] || 2012년 5월 30일 ~ 2016년 5월 29일 || || 제20대 ||<|2> [[기동민]] ||<|2> [include(틀:더불어민주당(2015~2024))] || 2016년 5월 30일 ~ 2020년 5월 29일 || || 제21대 || 2020년 5월 30일 ~ 2024년 5월 29일 || || 제22대 || [[김남근]] || [include(틀: 더불어민주당)] || 2024년 5월 30일 ~ 현재 || === [[제13대 국회의원 선거]] === ||<-4> [[성북구 을|{{{#000 {{{+1 '''성북구 을'''}}}}}}]][br]{{{#000 돈암1동, 길음3동, 종암1동, 종암2동, 월곡1동, 월곡2동,[br]월곡3동, 월곡4동, 상월곡동, 장위1동, 장위2동, 장위3동,[br]석관1동, 석관2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 {{{+5 '''1'''}}}}}} || [[강성재(정치인)|{{{#373a3c,#ddd 강성재}}}]](姜聲才) || 30,771 || 2위 || || [[민주정의당|[include(틀:민주정의당)]]] || 23.59% || 낙선 || ||<|2> {{{#fff {{{+5 '''2'''}}}}}} || [[현승일|{{{#373a3c,#ddd 현승일}}}]](玄勝一) || 30,600 || 3위 || || [[통일민주당|[include(틀:통일민주당)]]] || 23.46% || 낙선 || ||<|2> {{{#000 {{{+5 '''3'''}}}}}} || '''[[조윤형|{{{#373a3c,#ddd 조윤형}}}]](趙尹衡)''' || '''50,310''' || '''1위''' || || '''[include(틀: 평화민주당)]''' || '''38.57%''' || '''당선''' || ||<|2> {{{#fff {{{+5 '''4'''}}}}}} || 김유(金裕) || 16,833 || 4위 || || [[신민주공화당|[include(틀:신민주공화당)]]] || 12.90% || 낙선 || ||<|2> {{{#fff {{{+5 '''5'''}}}}}} || [[임태백|{{{#373a3c,#ddd 임태백}}}]](林太伯) || 1,904 || 5위 || || [[한겨레민주당|[include(틀:한겨레민주당)]]] || 1.45%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90,003 ||<|3> '''투표율'''[br]69.14% || || '''투표 수''' || 131,365 || || '''무효표 수''' || 947 || === [[제14대 국회의원 선거]] === ||<-4> [[성북구 을|{{{#fff {{{+1 '''성북구 을'''}}}}}}]][br]{{{#fff 돈암1동, 길음3동, 종암1동, 종암2동, 월곡1동, 월곡2동,[br]월곡3동, 월곡4동, 상월곡동, 장위1동, 장위2동, 장위3동,[br]석관1동, 석관2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 {{{+5 '''1'''}}}}}} || [[강성재(정치인)|{{{#373a3c,#ddd 강성재}}}]](姜聲才) || 44,999 || 2위 || || [include(틀: 민주자유당)] || 35.42% || 낙선 || ||<|2> {{{#fff {{{+5 '''2'''}}}}}} || '''[[신계륜|{{{#373a3c,#ddd 신계륜}}}]](申溪輪)''' || '''52,935''' || '''1위''' || || [[민주당(1991년)|[include(틀:민주당(1991년))]]] || '''41.67%''' || '''당선''' || ||<|2> {{{#fff {{{+5 '''3'''}}}}}} || [[이필선(정치인)|{{{#373a3c,#ddd 이필선}}}]](李必善) || 25,661 || 3위 || || [[통일국민당|[include(틀:통일국민당)]]] || 20.02% || 낙선 || ||<|2> {{{#fff {{{+5 '''4'''}}}}}} || 송수강(宋壽康) || 3,423 || 4위 || || [[신정치개혁당|[include(틀:신정치개혁당)]]] || 2.69%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87,639 ||<|3> '''투표율'''[br]68.48% || || '''투표 수''' || 128,486 || || '''무효표 수''' || 1,468 || === [[제15대 국회의원 선거]] === ||<-4> [[성북구 을|{{{#fff {{{+1 '''성북구 을'''}}}}}}]][br]{{{#fff 돈암1동, 길음3동, 종암1동, 종암2동, 월곡1동, 월곡2동,[br]월곡3동, 월곡4동, 상월곡동, 장위1동, 장위2동, 장위3동,[br]석관1동, 석관2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 {{{+5 '''1'''}}}}}} || '''[[강성재(정치인)|{{{#373a3c,#ddd 강성재}}}]](姜聲才)''' || '''45,025''' || '''1위''' || || [include(틀: 신한국당)] || '''42.50%''' || '''당선''' || ||<|2> {{{#fff {{{+5 '''2'''}}}}}} || [[신계륜|{{{#373a3c,#ddd 신계륜}}}]](申溪輪) || 41,487 || 2위 || || [include(틀: 새정치국민회의)] || 39.16% || 낙선 || ||<|2> {{{#fff {{{+5 '''3'''}}}}}} || [[황호산|{{{#373a3c,#ddd 황호산}}}]](黃鎬山) || 7,211 || 4위 || || [include(틀: 통합민주당(1995년))] || 6.80% || 낙선 || ||<|2> {{{#fff {{{+5 '''4'''}}}}}} || 최갑수(崔甲洙) || 12,209 || 3위 || || [include(틀: 자유민주연합)] || 11.52%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79,811 ||<|3> '''투표율'''[br]59.74% || || '''투표 수''' || 107,417 || || '''무효표 수''' || 1,485 || === [[제16대 국회의원 선거]] === ||<-4> [[성북구 을|{{{#fff {{{+1 '''성북구 을'''}}}}}}]][br]{{{#fff 돈암1동, 길음3동, 종암1동, 종암2동, 월곡1동, 월곡2동,[br]월곡3동월곡4동, 상월곡동, 장위1동, 장위2동, 장위3동,[br]석관1동, 석관2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 {{{+5 '''1'''}}}}}} || [[강성재(정치인)|{{{#373a3c,#ddd 강성재}}}]](姜聲才) || 38,818 || 2위 || || [include(틀:한나라당(1997~2004))] || 40.02% || 낙선 || ||<|2> {{{#fff {{{+5 '''2'''}}}}}} || '''[[신계륜|{{{#373a3c,#ddd 신계륜}}}]](申溪輪)''' || '''50,644''' || '''1위''' || || [include(틀: 새천년민주당)] || '''52.21%''' || '''당선''' || ||<|2> {{{#fff {{{+5 '''3'''}}}}}} || 김지운(金知雲) || 3,335 || 4위 || || [include(틀: 자유민주연합)] || 3.43% || 낙선 || ||<|2> {{{#fff {{{+5 '''4'''}}}}}} || 목지영(睦知映) || 4,198 || 3위 || || [include(틀: 청년진보당(1998년))] || 4.32%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76,192 ||<|3> '''투표율'''[br]55.52% || || '''투표 수''' || 97,826 || || '''무효표 수''' || 831 || ===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 ||<-4> [[성북구 을|{{{#000 {{{+1 '''성북구 을'''}}}}}}]][br]{{{#000 돈암1동, 길음3동, 종암1동, 종암2동, 월곡1동, 월곡2동,[br]월곡3동월곡4동, 상월곡동, 장위1동, 장위2동, 장위3동,[br]석관1동, 석관2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 {{{+5 '''1'''}}}}}} || [[최수영(정치인)|{{{#373a3c,#ddd 최수영}}}]](崔秀英) || 42,101 || 2위 || || [include(틀: 한나라당)] || 39.05% || 낙선 || ||<|2> {{{#fff {{{+5 '''2'''}}}}}} || [[박찬희(1959)|{{{#373a3c,#ddd 박찬희}}}]](朴贊熙) || 10,728 || 3위 || || [include(틀: 새천년민주당)] || 9.95% || 낙선 || ||<|2> {{{#000 {{{+5 '''3'''}}}}}} || '''[[신계륜|{{{#373a3c,#ddd 신계륜}}}]](申溪輪)''' || '''54,979''' || '''1위''' || || [include(틀: 열린우리당)] || '''50.99%''' || '''당선''' || ||<|3> '''계''' || '''선거인 수''' || 182,346 ||<|3> '''투표율'''[br]59.92% || || '''투표 수''' || 109,268 || || '''무효표 수''' || 1,460 || 현역 의원은 [[열린우리당]] [[신계륜]] 의원이다. 14대, 16대에 당선된 2선 의원으로 3선에 도전한다. 서울특별시 부시장을 지내기도 했으며, 노무현 대통령 비서실장, 정몽준 후보와의 후보 단일화 협상 단장 등 노무현 대통령의 당선에 크게 기여한 측근으로 평가받는다. 여기에 [[한나라당]]은 전문경영인 출신의 최수영 후보가 도전했다. 이 지역구에서 15대 국회의원을 역임한 한나라당 출신 [[강성재(정치인)|강성재]] 의원은 2002년 숙환으로 별세했다. 신계륜 후보가 현역 재선 의원이면서 노무현 대통령의 측근인 만큼 [[2004년 노무현 대통령 탄핵 사태|탄핵]] 정국에서 압승할 것으로 예상했으나, 대통령비서실장 시절 대출업체 굿머니에서 불법 정치자금을 받은 의혹이 제기되었다. 그러나 이런 악재에도 불구하고 최수영 후보를 11.94% 차이로 크게 누르고 당선되었다. === [[2006년 재보궐선거]] === ||<-4> {{{#fff {{{+1 '''성북구 을'''}}}}}}[br]{{{#fff 돈암1동, 길음3동, 종암1동, 종암2동, 월곡1동, 월곡2동,[br]월곡3동, 월곡4동, 상월곡동, 장위1동, 장위2동, 장위3동,[br]석관1동, 석관2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000 {{{+5 '''1'''}}}}}} || [[조재희|{{{#373a3c,#ddd 조재희}}}]](趙在喜) || 5,276 || 3위 || || [include(틀: 열린우리당)] || 10.00%[* [[반올림]]한 값으로 실제로는 득표율 10%에 단 3표가 모자라서 선거비용 반액 보전에 실패했다.] || 낙선 || ||<|2> {{{#fff {{{+5 '''2'''}}}}}} || [[최수영(정치인)|{{{#373a3c,#ddd 최수영}}}]](崔秀英) || 21,149 || 2위 || || [include(틀: 한나라당)] || 40.07% || 낙선 || ||<|2> {{{#fff {{{+5 '''3'''}}}}}} || '''[[조순형|{{{#373a3c,#ddd 조순형}}}]](趙舜衡)''' || '''23,382''' || '''1위''' || || [include(틀: 민주당(2005년))] || '''44.30%''' || '''당선''' || ||<|2> {{{#fff {{{+5 '''4'''}}}}}} || [[박창완|{{{#373a3c,#ddd 박창완}}}]](朴昶完) || 2,975 || 4위 || || [include(틀: 민주노동당)] || 5.64%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83,174 ||<|3> '''투표율'''[br]28.89% || || '''투표 수''' || 52,923 || || '''무효표 수''' || 141 || 현역인 [[신계륜]] 의원이 불법 정치자금 수수 혐의가 대법원에서 형 확정을 받아 의원직을 상실했고 이로 인해 재보궐선거가 치러지게 되었다. 이 자리에 [[민주당(2005년)|민주당]] [[조순형]] 후보가 출마했고, [[한나라당]]은 17대 총선에서 패했던 최수영 후보가 도전했다. 조순형 후보는 노무현 대통령의 탄핵을 주도했던 인물이지만, 당시 열린우리당에 실망하고 한나라당에 기대를 접은 유권자들이 새로운 정계 개편에 대한 기대를 나타냈고, 결국 조순형 후보가 최수영 후보를 2,233표 차이로 제치고 승리했다. 이 승리로 민주당이 수도권에서 당선자를 배출했고, 정계개편 과정에서 민주당의 입지를 강화하는 효과를 가져오고 열린우리당의 고민은 더욱 깊어갔다. 여담으로 이때 [[전여옥]] 당시 국회의원의 '[[너 노사모지]]'라는 발언이 아주 화제가 되었다. === [[제18대 국회의원 선거]] === ||<-4> [[성북구 을|{{{#fff {{{+1 '''성북구 을'''}}}}}}]][br]{{{#fff 돈암1동, 길음2동, 월곡1동, 월곡2동[br]종암동, 석관동, 장위1동, 장위2동, 장위3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 {{{+5 '''1'''}}}}}} || [[박찬희(1959)|{{{#373a3c,#ddd 박찬희}}}]](朴贊熙) || 14,293 || 3위 || || [include(틀: 통합민주당(2008년))] || 17.62% || 낙선 || ||<|2> {{{#fff {{{+5 '''2'''}}}}}} || '''[[김효재|{{{#373a3c,#ddd 김효재}}}]](金孝在)''' || '''38,322''' || '''1위''' || || '''[include(틀: 한나라당)]''' || '''47.25%''' || '''당선''' || ||<|2> {{{#fff {{{+5 '''6'''}}}}}} || [[박창완|{{{#373a3c,#ddd 박창완}}}]](朴昶完) || 4,266 || 4위 || || [include(틀: 진보신당)] || 5.26% || 낙선 || ||<|2> {{{#fff {{{+5 '''7'''}}}}}} || 정종수(鄭鍾洙) || 638 || 5위 || || [include(틀: 평화통일가정당)] || 0.78% || 낙선 || ||<|2> {{{#fff {{{+5 '''8'''}}}}}} || [[신계륜|{{{#373a3c,#ddd 신계륜}}}]](申溪輪) || 23,577 || 2위 || || [include(틀: 무소속)] || 29.07%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85,356 ||<|3> '''투표율'''[br]44.23% || || '''투표 수''' || 81,992 || || '''무효표 수''' || 896 || [[신계륜]] 전 의원은 의원직 상실 후 통합민주당 사무총장을 역임하였다. 법원에서 유죄 판결을 받았지만, 개인적 비리가 아니라 당을 위해 희생됐던 측면이 크다는 점을 당에서 인정해주었다. 하지만 금고형 이상 확정자는 공천하지 않는다는 [[통합민주당(2008년)|통합민주당]] 공천배제 기준으로 인해 공천을 받지 못하게 된다. 이에 신계륜 전 의원은 인간적 신의를 저버린 행위라며 반드시 당선돼 인간의 얼굴을 한 정치가 복원되도록 하겠다는 의지로 탈당해 무소속으로 출마하게 된다. 신계륜 후보는 당이 아닌 사람을 보고 뽑아 달라며 이번 선거에서 인간적 신의를 깬 사람들을 반성케 하기 위해서라도 죽을 각오로 싸울 것이라고 밝혔으며, 성북 발전을 위해 [[장위뉴타운]] 건설의 신속 추진과 뉴타운 경전철 완공 등을 공약으로 내세웠다. 신계륜 후보를 대신할 통합민주당 후보는 박찬희 후보로 결정되었다. 국민일보 정치부장 출신으로 민주당 대변인, 통합민주당 정책위부의장을 지냈다. 성북구에서 태어나 초·중·고교를 모두 이 곳에서 다닌 토박이였다. 공천이 늦어지고 신계륜 후보의 출마로 표가 분산되었지만, 한나라당 독주를 막고, 많은 대학이 산재한 성북을 교육특구로 만들고, 강북특별법을 개정해 재개발·재건축 시 고층 제한을 완화하며, 공원 등 시민 편의시설을 확충하겠다고 호소했다. [[한나라당]]에서는 [[조선일보]] 편집부국장과 논설위원을 거쳐 18대 대선에서 이명박 후보의 언론특보로 활동했고,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상임자문위원을 지냈던 [[김효재]] 후보가 나섰다. 그는 [[장위뉴타운]], 석관뉴타운 기반시설 문제 등을 신속하고 합리적으로 풀어내고, 교통문제를 해소해 시민 불편을 최소화하겠다고 주장했다. 선거 결과 김효재 후보가 47.25%의 득표를 얻어 무소속 신계륜 후보를 18% 차이로 크게 눌렀다. 박찬희 후보와 신계륜 후보 표를 합쳐도 약간 모자랐지만, 표가 갈리지 않았다면 김효재 후보의 당선은 쉽지 않았을 것이다. 김효재 후보의 당선으로 성북구는 모두 한나라당 소속이 차지하게 되었다. ===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 ||<-4> [[성북구 을|{{{#3AB34A {{{+1 '''성북구 을'''}}}}}}]][br]{{{#3AB34A 돈암1동, 길음2동, 월곡1동, 월곡2동[br]종암동, 석관동, 장위1동, 장위2동, 장위3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 {{{+5 '''1'''}}}}}} || [[서찬교|{{{#373a3c,#ddd 서찬교}}}]](徐贊敎) || 47,879 || 2위 || || [include(틀: 새누리당(2012년))] || 46.01% || 낙선 || ||<|2> {{{#3AB34A {{{+5 '''2'''}}}}}} || '''[[신계륜|{{{#373a3c,#ddd 신계륜}}}]](申溪輪)''' || '''56,177''' || '''1위''' || || '''[include(틀: 민주통합당)]''' || '''53.98%''' || '''당선''' || ||<|3> '''계''' || '''선거인 수''' || 195,678 ||<|3> '''투표율'''[br]53.78% || || '''투표 수''' || 105,239 || || '''무효표 수''' || 1,183 || 18대 총선에서 공천 불복으로 무소속으로 출마했던 [[신계륜]] 전 사무총장은 선거가 끝나고 [[통합민주당(2008년)|통합민주당]]으로 복당했다. 그리고 19대 총선에서 단수추천으로 공천되었는데 이로 인해 논란이 되었다. 당을 위해서였지만 비리 전력이 있고 공천에 대한 반박으로 탈당했던 인사가 [[한명숙]] 대표 캠프 상황 실장을 맡은 이유로 공천되었다는 것이었다. 그러나 공천심사위원회 관계자는 피해(공천 배제)를 봤던 부분이 인정된 것이라고 말했다. [[새누리당]]은 성북구청장을 지낸 서찬교 후보가 공천되었다. 신계륜 후보가 불법 정치자금 수수 전력이 있지만, 서찬교 후보 역시 2006년 지방선거에서 시의원에게 금품을 건넨 혐의로 기소돼 벌금 90만원의 확정 판결을 받은 전력이 있다. 이로 인해 '친박 묻지마 공천'의 의혹을 받았고, 고령으로 소집 면제 처분을 받은 점도 논란이 되었다. 두 후보의 양자대결은 신계륜 후보가 7.97% 차이로 승리했다. ===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 ||<-4> [[성북구 을|{{{#fff {{{+1 '''성북구 을'''}}}}}}]][br]{{{#fff 돈암1동, 길음2동, 월곡1동, 월곡2동[br]종암동, 석관동, 장위1동, 장위2동, 장위3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 {{{+5 '''1'''}}}}}} || [[김효재|{{{#373a3c,#ddd 김효재}}}]](金孝在) || 33,681 || 2위 || || [include(틀: 새누리당(2012년))] || 32.45% || 낙선 || ||<|2> {{{#fff {{{+5 '''2'''}}}}}} || '''[[기동민|{{{#373a3c,#ddd 기동민}}}]](奇東旻)''' || '''40,934''' || '''1위''' || || '''[include(틀: 더불어민주당(2015~2024))]''' || '''39.34%''' || '''당선''' || ||<|2> {{{#fff {{{+5 '''3'''}}}}}} || [[김인원|{{{#373a3c,#ddd 김인원}}}]](金仁垣) || 22,392 || 3위 || || [include(틀: 국민의당(2016년))] || 21.57% || 낙선 || ||<|2> {{{#000 {{{+5 '''4'''}}}}}} || [[박창완|{{{#373a3c,#ddd 박창완}}}]](朴昶完) || 2,218 || 5위 || || [include(틀: 정의당(2013~2021))] || 2.13% || 낙선 || ||<|2> {{{#fff {{{+5 '''5'''}}}}}} || 이경애(李敬愛) || 3,434 || 4위 || || [include(틀: 무소속)] || 3.30% || 낙선 || ||<|2> {{{#fff {{{+5 '''6'''}}}}}} || 양규현(梁圭鉉) || 1,234 || 6위 || || [include(틀: 무소속)] || 1.18%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82,174 ||<|3> '''투표율'''[br]57.5% || || '''투표 수''' || 104,820 || || '''무효표 수''' || 1,027 || 현역인 [[더불어민주당]] [[신계륜]] 의원은 서울종합예술실용학교 입법 로비로 기소되어 1심 재판부에서 징역 2년의 실형이 선고되었고, 이로 인해 컷오프되었다. 대신 [[기동민]] 전 [[서울특별시]] 정무부시장이 동작구 을과 광주 광산구 공천을 뒤로하고 성북구 을로 와서 단수추천으로 공천되었다.[* 기동민은 신계륜이 서울시 정무부시장이었을 때 비서로 일한 적이 있다.] [[국민의당(2016년)|국민의당]]은 [[김인원]] 전 법무법인 서울센트럴 대표가 공천되었다. [[새누리당]]은 18대 총선 당시 당선된 [[김효재]] 전 청와대 정무[[수석비서관]]이 공천되었다. 선거 양상은 기동민 후보가 앞서나가고 김효재 후보가 이를 뒤따라가는 모양새였다. 결국 기동민 후보가 여유롭게 김효재 후보를 제치고 당선되었다. ===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 ||<-4> [[성북구 을|{{{#fff {{{+1 '''성북구 을'''}}}}}}]][br]{{{#fff 돈암1동, 길음2동, 월곡1동, 월곡2동[br]종암동, 석관동, 장위1동, 장위2동, 장위3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 {{{+5 '''1'''}}}}}} || '''[[기동민|{{{#373a3c,#ddd 기동민}}}]](奇東旻)''' || '''70,740''' || '''1위''' || || '''[include(틀: 더불어민주당(2015~2024))]''' || '''59.35%''' || '''당선''' || ||<|2> {{{#fff {{{+5 '''2'''}}}}}} || [[정태근|{{{#373a3c,#ddd 정태근}}}]](鄭泰根) || 45,543 || 2위 || || [include(틀: 미래통합당)] || 38.21% || 낙선 || ||<|2> {{{#fff {{{+5 '''7'''}}}}}} || 편재승(片在承) || 2,060 || 3위 || || [include(틀: 민중당)] || 1.72% || 낙선 || ||<|2> {{{#fff {{{+5 '''8'''}}}}}} || 임경호(林京虎) || 829 || 4위 || || [include(틀: 국가혁명배당금당)] || 0.69%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80,743 ||<|3> '''투표율'''[br]66.7% || || '''투표 수''' || 120,606 || || '''무효표 수''' || 1,434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5> {{{#fff '''21대 총선 서울 성북구 을 개표 결과'''}}} || || '''정당''' || [[더불어민주당|{{{#fff '''더불어민주당'''}}}]] || [[미래통합당|{{{#fff '''미래통합당'''}}}]] ||<|2> 격차[br](1위/2위) ||<|2> 투표율[br](선거인/표수) || || '''후보''' || [[기동민|{{{#fff '''기동민'''}}}]] || [[정태근|{{{#fff '''정태근'''}}}]] || || '''득표수[br](득표율)''' || {{{#fff '''70,740[br](59.35%)'''}}} || '''45,543[br](38.21%)''' || '''+ 25,197[br](△21.14)''' || '''120,606 [br] (66.72%)''' || || '''돈암1동''' || {{{#004ea2 56.39%}}} || 40.91% || △15.48 || '''69.88''' || || '''길음2동''' || {{{#004ea2 57.44%}}} || 39.97% || △17.47 || 65.52 || || '''종암동''' || {{{#004ea2 59.55%}}} || 38.17% || △21.37 || 67.13 || || '''월곡1동''' || {{{#004ea2 '''64.14%'''}}} || {{{#696969 33.58%}}} || '''△30.56''' || 66.28 || || '''월곡2동''' || {{{#004ea2 59.72%}}} || 37.80% || △21.92 || 65.59 || || '''장위1동''' || {{{#004ea2 59.63%}}} || 37.82% || △21.81 || {{{#696969 58.31}}} || || '''장위2동''' || {{{#4169e1 53.54%}}} || '''44.05%''' || {{{#696969 △9.49}}} || 59.27 || || '''장위3동''' || {{{#004ea2 55.08%}}} || 43.01% || △12.07 || 65.05 || || '''석관동''' || {{{#004ea2 56.17%}}} || 41.58% || △14.59 || 61.73 || || '''후보''' || [[기동민|{{{#fff '''기동민'''}}}]] || [[정태근|{{{#fff '''정태근'''}}}]] ||<-2> 격차 || || '''거소·선상투표''' || {{{#004ea2 58.46%}}} || 34.42% ||<-2> △24.04 || || '''관외사전투표''' || {{{#004ea2 67.10%}}} || 29.87% ||<-2> △37.23 || || '''재외투표''' || {{{#004ea2 76.88%}}} || 21.22% ||<-2> △55.66 ||}}}현역 [[기동민]]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예비후보로 등록했다. 이변이 없으면 이대로 본선에 나올 것으로 보인다. [[미래통합당]]에선 [[민병웅]] [[국민대학교]] 정치대학원 특임교수가 예비후보로 등록했으나 [[정태근]] 전 의원이 지역구를 갑에서 을로 바꾸어 공천되었다. 마침 정태근도 서울시 정무부시장을 맡았던 지라 정무부시장 vs 정무부시장 대결이 성사되었다. [[민중당(2017년)|민중당]]에선 편재승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건설노조]] 서울지부 교육위원이 예비후보로 등록했다. 선거결과 [[기동민]] 의원이 21%차로 압도적으로 이겼다. 이로써 기동민 의원의 재선이 확정되었다. ===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 ||<-4> {{{#fff {{{+1 '''성북구 을'''}}}}}}[br]{{{#fff 돈암1동, 길음2동, 월곡1동, 월곡2동,[br]종암동, 석관동, 장위1동, 장위2동, 장위3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 {{{+5 '''1'''}}}}}} || '''[[김남근|{{{#373a3c,#ddd 김남근}}}]](金南槿)''' || '''68,872''' || '''1위'''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56.82%''' || '''당선''' || ||<|2> {{{#fff {{{+5 '''2'''}}}}}} || [[이상규(1976)|{{{#373a3c,#ddd 이상규}}}]](李相圭) || 52,328 || 2위 || || [include(틀:국민의힘)] || 43.17%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78,667 ||<|3> '''투표율'''[br]68.97% || || '''투표 수''' || 123,239 || || '''무효표 수''' || 2,039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5> {{{#fff '''22대 총선 서울 성북구 을 개표 결과'''}}} || || '''정당''' || [[더불어민주당|{{{#fff '''더불어민주당'''}}}]] || [[국민의힘|{{{#fff '''국민의힘'''}}}]] ||<|2> 격차[br](1위/2위) ||<|2> 투표율[br](선거인/표수) || || '''후보''' || [[김남근|{{{#fff '''김남근'''}}}]] || [[이상규(1976)|{{{#fff '''이상규'''}}}]] || || '''득표수[br](득표율)''' || {{{#fff '''68,872 [br](56.82%)'''}}} || '''52,328 [br](43.18%)''' || '''+16,549 [br](△13.42)''' || '''123,239 [br](68.98%)''' || || '''돈암1동''' || {{{#152484,#003c96 53.00%}}} || 47.00% || △ 6.01 || 68.93 || || '''길음2동''' || {{{#152484,#003c96 53.42%}}} || 46.58% || △ 6.84 || '''69.01''' || || '''종암동''' || {{{#152484,#003c96 56.76%}}} || 43.24% || △13.51 || 68.35 || || '''월곡1동''' || '''{{{#152484,#003c96 60.30%}}}''' || {{{#696969 39.70%}}} || '''△20.60''' || 68.02 || || '''월곡2동''' || {{{#152484,#003c96 56.99%}}} || 43.01% || △13.97 || 65.82 || || '''장위1동''' || {{{#152484,#003c96 56.39%}}} || 43.61% || △12.79 || {{{#696969 61.30}}} || || '''장위2동''' || {{{#4269e1 52.64%}}} || '''47.46%''' || {{{#696969 △5.28}}} || 62.36 || || '''장위3동''' || {{{#152484,#003c96 53.31%}}} || 46.69% || △6.62 || 68.17 || || '''석관동''' || {{{#152484,#003c96 53.90%}}} || 46.10% || △7.80 || 62.49 || || '''후보''' || [[김남근|{{{#fff '''김남근'''}}}]] || [[이상규(1976)|{{{#fff '''이상규'''}}}]] ||<-2> 격차 || || '''거소·선상투표''' || 44.56% || {{{#E61E2B 55.44%}}} ||<-2> ▼10.88 || || '''관외사전투표''' || {{{#152484,#003c96 64.80%}}} || 35.20% ||<-2> △29.60 || || '''재외투표''' || {{{#152484,#003c96 78.31%}}} || 21.69% ||<-2> △56.62 ||}}} ||<-4> [[파일:지상파 방송3사 출구조사 로고.svg|width=200]] || || '''후보''' || [[김남근|{{{#fff '''김남근'''}}}]] || [[이상규(1976)|{{{#fff '''이상규'''}}}]] || '''격차''' || || 전체 || '''{{{#152484,#003c96 57.9%}}}''' || 42.2% || 15.7%p || [[더불어민주당]]은 현역 [[기동민]] 의원을 컷오프하고 그 자리에 최근 인재로 영입한 인사이기도 한 [[참여연대]] 출신의 [[김남근]][* 원래는 [[인재근]] 의원이 불출마한 [[도봉구 갑]] 전략공천이 검토됐었다가 [[안귀령]]이 공천되자 없던 일이 되었다.] 변호사를 이 지역구로 전략 공천했다. [[국민의힘]]에서는 [[민병웅]] 당협위원장, [[이상규(국민의힘 정치인)|이상규]] 경희대 객원교수, [[이진수(1976)|이진수]] 전 최재형 의원실 보좌관이 출마를 선언했다. 민병웅 당협위원장은 컷오프되었고 이상규, 이진수 후보가 경선을 치렀다. 경선 결과 이상규 경희대 객원교수가 공천을 받게 되었다. 개표결과 월곡1동 에서 몰표가 나온 [[더불어민주당]] [[김남근]] 후보가 13%가 넘는 큰 득표율차로 승리해 당선되었다. [[분류:선거구/대한민국]][[분류:서울특별시의 정치]][[분류:성북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