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관련 문서, top1=성북구/정치)] [include(틀:제21대 국회의원/서울특별시)] ||<-4>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height=15]]]] {{{#fff [[대한민국|{{{#fff 대한민국}}}]]의 [[대한민국 국회|{{{#fff 국회}}}]][[선거구|{{{#fff 선거구}}}]]}}}'''[br]{{{#!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 {{{#!wiki style="margin: -5px 0" [[대한민국 국회|[[파일:국회휘장.svg|height=70]]]]}}}|| {{{#!wiki style="margin: -5px 0" '''{{{+2 {{{#fff 성북구 갑}}}}}}'''[br]{{{-1 {{{#fff [[길음동|{{{#fff 길음1동}}}]], [[돈암동|{{{#fff 돈암2동}}}]], [[안암동|{{{#fff 안암동}}}]], [[보문동|{{{#fff 보문동}}}]] 등[br]城北區 甲[br]Seongbuk A}}}}}}}}} ||}}} || ||<-4>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국회선거구 성북구 갑.svg|width=100%]]}}} || ||<-2> '''선거인 수''' ||<-2> 202,294명 (2020) || ||<-2> '''상위 행정구역''' ||<-2> [[서울특별시]] || ||<-2> '''관할 구역''' ||<-2>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성북구|{{{#373a3c,#ddd 성북구}}}]] 일부''' 길음1동, 돈암2동, 안암동, 보문동, 정릉1동, 정릉2동, 정릉3동, 정릉4동, 성북동, 삼선동, 동선동 }}} || ||<-2> '''신설년도''' ||<-2> [[제13대 국회의원 선거|1988년]] || ||<-2> '''국회의원'''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김영배(1967)|김영배]] || [목차] [clearfix] == 개요 == [[서울특별시]] [[성북구]] 성북경찰서 관할 구역을 포함하는 선거구다. [[독립운동가]]이자 [[대한민국 임시정부|대한민국]] [[외교부장관|외무장관]], [[대한민국 국회의장|임시의정원 의장]], [[한국독립당]] 대표를 역임한 [[조소앙]] 선생의 지역구였다. 현 국회의원은 전 성북구청장인 [[더불어민주당]] 소속의 [[김영배(1967)|김영배]] 의원이다. 전통적으로 신민당 시절부터 민주당 절대 우세 지역으로, [[소선거구제]]로 복귀한 88년 이후 보수가 이 지역에서 이겼던 것은 [[이명박]] 서울 시장의 정무 부시장이었던 [[정태근]]이 당시 이명박 시장의 인기와 성북고(현 홍대부고) 동문회를 등에 업고 당선된 게 다이다. 2012년 이후 [[유승희]] [[민주당]] 의원이 내리 2선을 했고, 21대 총선에서 특히 김영배 후보가 [[한상학]] [[미래통합당]] 후보를 더블 스코어 가까이 눌렀다. 10년이 넘는 기간 민주당 지지세와 지역 장악도는 매우 높은 편으로 보수 후보들에게 험지로 평가된다.[* 인기가 떨어진 문재인 대통령 임기말 치러진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서울을 보수가 석권할 때조차 성북구청장 등을 민주당이 이겼다.] == 역대 국회의원 목록 및 역대 선거 결과 == * 편의상 성북구가 신설(1949년)된 이후의 국회의원부터 서술한다. || 대수 || 의원명 || 당적 || 임기 || 선거구 || || 제2대 || [[조소앙]] || [include(틀:사회당(1948년))] || [[1950년]] [[5월 31일]] ~ [[1950년]] [[6월 30일]][* [[한국전쟁]]에 휘말려 납북됨.] ||<|4> '''성북구''' || || 제3대 || [[김일(정치인)|김일]] || [include(틀:자유당)] || [[1954년]] [[5월 31일]] ~ [[1958년]] [[5월 30일]] || || 제4대 ||<|2> [[서범석(1902)|서범석]] ||<|2> [include(틀:민주당(1955년))] || [[1958년]] [[5월 31일]] ~ [[1960년]] [[7월 28일]] || || 제5대 || [[1960년]] [[7월 29일]] ~ [[1961년]] [[5월 16일]] || || 제6대 ||<|3> [[조윤형]] || [include(틀:민정당)] || [[1963년]] [[12월 27일]] ~ [[1967년]] [[6월 30일]] ||<|3> '''성북구 갑''' || || 제7대 ||<|2> [include(틀:신민당(1967년))] || [[1967년]] [[7월 1일]] ~ [[1971년]] [[6월 30일]] || || 제8대 || [[1971년]] [[7월 1일]] ~ [[1972년]] [[10월 17일]] || ||<|2> 제9대 || [[고흥문]] || [include(틀:신민당(1967년))] || [[1973년]] [[3월 12일]] ~ [[1979년]] [[3월 11일]] ||<|8> '''성북구''' || || [[정래혁]] || [include(틀:민주공화당)] || [[1973년]] [[3월 12일]] ~ [[1979년]] [[3월 11일]] || ||<|2> 제10대 || [[조세형(정치인)|조세형]] || [include(틀:신민당(1967년))] ||<|2> [[1979년]] [[3월 12일]] ~ [[1980년]] [[10월 27일]] || || [[정래혁]] || [include(틀:민주공화당)] || ||<|2> 제11대 || [[김정례]] || [include(틀:민주정의당(1981~1987))] ||<|2> [[1981년]] [[4월 11일]] ~ [[1985년]] [[4월 10일]] || || [[조순형]] || [include(틀:무소속)] || ||<|2> 제12대 || [[이철]] || [include(틀:신한민주당)] ||<|2> [[1985년]] [[4월 11일]] ~ [[1988년]] [[5월 29일]] || || [[김정례]] || [include(틀:민주정의당(1981~1987))] || || 제13대 ||<|2> [[이철]] || [include(틀: 무소속)] || 1988년 5월 30일 ~ 1992년 5월 29일 ||<|9> '''성북구 갑''' || || 제14대 || [include(틀: 민주당(1991년))] || 1992년 5월 30일 ~ 1996년 5월 29일 || || 제15대 ||<|3> [[유재건]] || [include(틀: 새정치국민회의)] || 1996년 5월 30일 ~ 2000년 5월 29일 || || 제16대 || [include(틀: 새천년민주당)] || 2000년 5월 30일 ~ 2004년 5월 29일 || || 제17대 || [include(틀: 열린우리당)] || 2004년 5월 30일 ~ 2008년 5월 29일 || || 제18대 || [[정태근]] || [include(틀: 한나라당)] || 2008년 5월 30일 ~ 2012년 5월 29일 || || 제19대 ||<|2> [[유승희(정치인)|유승희]] || [include(틀: 민주통합당)] || 2012년 5월 30일 ~ 2016년 5월 29일 || || 제20대 ||<|2> [include(틀: 더불어민주당)] || 2016년 5월 30일 ~ 2020년 5월 29일 || || 제21대 || [[김영배(1967)|김영배]] || 2020년 5월 30일 ~ || === [[제13대 국회의원 선거]] === ||<-4> [[성북구 갑|{{{#ffffff {{{+1 '''성북구 갑'''}}}}}}]][br]{{{#ffffff 성북1동, 성북2동, 동소문동, 삼선1동, 삼선2동, 동선1동, 동선2동, 돈암2동, 안암동, 보문동, 정릉1동, 정릉2동, 정릉3동, 정릉4동, 길음1동, 길음2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김정례|{{{#373a3c,#dddddd 김정례}}}]](金正禮) || 30,603 || 2위 || || [[민주정의당|[include(틀:민주정의당)]]] || 23.45% || 낙선 || ||<|2> {{{#ffffff {{{+5 '''2'''}}}}}} || 고인순(高寅淳) || 10,578 || 5위 || || [[통일민주당|[include(틀:통일민주당)]]] || 8.10% || 낙선 || ||<|2> {{{#000000 {{{+5 '''3'''}}}}}} || [[설훈|{{{#373a3c,#dddddd 설훈}}}]](薛勳) || 29,482 || 3위 || || [include(틀: 평화민주당)] || 22.59% || 낙선 || ||<|2> {{{#ffffff {{{+5 '''4'''}}}}}} || 최재우(崔在羽) || 16,326 || 4위 || || [[신민주공화당|[include(틀:신민주공화당)]]] || 12.51% || 낙선 || ||<|2> {{{#ffffff {{{+5 '''5'''}}}}}} || 김현식(金鉉植) || 953 || 6위 || || [[한겨레민주당|[include(틀:한겨레민주당)]]] || 0.73% || 낙선 || ||<|2> {{{#ffffff {{{+5 '''6'''}}}}}} || 송영기(宋榮起) || 1,882 || 5위 || || [[사회민주당(1985년)|[include(틀:사회민주당(1985년))]]] || 1.44% || 낙선 || ||<|2> {{{#ffffff {{{+5 '''7'''}}}}}} || '''[[이철|{{{#373a3c,#dddddd 이철}}}]](李哲)''' || '''40,652''' || '''1위''' || || [[무소속|[include(틀:무소속)]]] || '''31.15%''' || '''{{{#373a3c 당선}}}''' || ||<|3> '''계''' || '''선거인 수''' || 191,086 ||<|3> '''투표율'''[br]68.83% || || '''투표 수''' || 131,515 || || '''무효표 수''' || 1,039 || === [[제14대 국회의원 선거]] === ||<-4> {{{#ffffff {{{+1 '''성북구 갑'''}}}}}}[br]{{{#ffffff 성북1동, 성북2동, 동소문동, 삼선1동, 삼선2동, 동선1동, 동선2동, 돈암2동, 안암동, 보문동, 정릉1동, 정릉2동, 정릉3동, 정릉4동, 길음1동, 길음2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김정례|{{{#373a3c,#dddddd 김정례}}}]](金正禮) || 43,846 || 2위 || || [include(틀: 민주자유당)] || 35.31% || 낙선 || ||<|2> {{{#ffffff {{{+5 '''2'''}}}}}} || '''[[이철|{{{#373a3c,#dddddd 이철}}}]](李哲)''' || '''61,719''' || '''1위''' || || [[민주당(1991년)|[include(틀:민주당(1991년))]]] || '''49.70%''' || '''당선''' || ||<|2> {{{#ffffff {{{+5 '''3'''}}}}}} || 유인현(劉仁鉉) || 14,243 || 3위 || || [[통일국민당|[include(틀:통일국민당)]]] || 11.47% || 낙선 || ||<|2> {{{#ffffff {{{+5 '''4'''}}}}}} || 송영기(宋榮起) || 4,354 || 4위 || || [[신정치개혁당|[include(틀:신정치개혁당)]]] || 3.50%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86,008 ||<|3> '''투표율'''[br]67.46% || || '''투표 수''' || 125,490 || || '''무효표 수''' || 1,328 || === [[제15대 국회의원 선거]] === ||<-4> {{{#ffffff {{{+1 '''성북구 갑'''}}}}}}[br]{{{#ffffff 성북1동, 성북2동, 동소문동, 삼선1동, 삼선2동, 동선1동, 동선2동, 돈암2동, 안암동, 보문동, 정릉1동, 정릉2동, 정릉3동, 정릉4동, 길음1동, 길음2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심의석]](沈宜錫) || 22,695 || 3위 || || [include(틀: 신한국당)] || 20.89% || 낙선 || ||<|2> {{{#ffffff {{{+5 '''2'''}}}}}} || '''[[유재건|{{{#373a3c,#dddddd 유재건}}}]](柳在建)''' || '''39,159''' || '''1위''' || || '''[include(틀: 새정치국민회의)]''' || '''36.06%''' || '''당선''' || ||<|2> {{{#ffffff {{{+5 '''3'''}}}}}} || [[이철|{{{#373a3c,#dddddd 이철}}}]](李哲) || 34,555 || 2위 || || [include(틀: 통합민주당(1995년))] || 31.82% || 낙선 || ||<|2> {{{#ffffff {{{+5 '''4'''}}}}}} || 채수호(蔡洙琥) || 8,042 || 4위 || || [include(틀: 자유민주연합)] || 7.40% || 낙선 || ||<|2> {{{#ffffff {{{+5 '''5'''}}}}}} || 송영기(宋榮起) || 1,440 || 6위 || || [include(틀: 무당파국민연합)] || 1.32% || 낙선 || ||<|2> {{{#ffffff {{{+5 '''6'''}}}}}} || 김세현(金世鉉) || 1,728 || 5위 || || [include(틀: 무소속)] || 1.59% || 낙선 || ||<|2> {{{#ffffff {{{+5 '''7'''}}}}}} || [[임태백]](林太伯) || 971 || 7위 || || [include(틀: 무소속)] || 0.89%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81,721 ||<|3> '''투표율'''[br]60.44% || || '''투표 수''' || 109,833 || || '''무효표 수''' || 1,243 || === [[제16대 국회의원 선거]] === ||<-4> {{{#ffffff {{{+1 '''성북구 갑'''}}}}}}[br]{{{#ffffff 성북1동, 성북2동, 동소문동, 삼선1동, 삼선2동, 동선1동, 동선2동, 돈암2동, 안암동, 보문동, 정릉1동, 정릉2동, 정릉3동, 정릉4동, 길음1동, 길음2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정태근|{{{#373a3c,#dddddd 정태근}}}]](鄭泰根) || 42,296 || 2위 || || [[한나라당|[include(틀:한나라당(1997~2004))]]] || 45.12% || 낙선 || ||<|2> {{{#ffffff {{{+5 '''2'''}}}}}} || '''[[유재건|{{{#373a3c,#dddddd 유재건}}}]](柳在建)''' || '''44,845''' || '''1위''' || || [[새천년민주당|[include(틀:새천년민주당)]]] || '''47.93%''' || '''{{{#191919 당선}}}''' || ||<|2> {{{#ffffff {{{+5 '''4'''}}}}}} || 전제웅(全濟雄) || 1,528 || 4위 || || [[민주국민당(2000년)|[include(틀:민주국민당(2000년))]]] || 1.63% || 낙선 || ||<|2> {{{#ffffff {{{+5 '''5'''}}}}}} || 정회진(丁會眞) || 4,881 || 3위 || || [[사회당(1998년)|[include(틀:청년진보당)]]] || 5.21%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78,403 ||<|3> '''투표율'''[br]53.03% || || '''투표 수''' || 94,599 || || '''무효표 수''' || 1,049 || ||<:><-5> {{{#FFFFFF '''16대 총선 서울 성북구 갑 개표 결과'''}}} || || '''정당''' ||<:> [include(틀:한나라당(1997~2004))] ||<:> [include(틀:새천년민주당)] ||<:> 격차 ||<:> 투표율 || || '''후보''' ||<:> [[정태근|{{{#FFFFFF '''정태근'''}}}]] ||<:> [[유재건|{{{#ffffff '''유재건'''}}}]] ||<:> (1위/2위) ||<:> (선거인/표수) || || '''득표수[br](득표율)''' ||<:> '''42,296 [br] (45.12%)''' ||<:> {{{#FFFFFF '''44,845 [br] (47.93%)'''}}} ||<:> '''-2,549[br] (▼4.12)''' ||<:> '''53.03%''' || || '''성북1동''' ||<:> {{{#0000A8 50.18%}}} ||<:> 44.41% ||<:> △5.67 ||<:> 52.03 || || '''성북2동''' ||<:> {{{#0000A8 '''52.14%'''}}} ||<:> 42.07% ||<:> △10.07 ||<:> 53.56 || || '''동소문동''' ||<:> {{{#0000A8 51.72%}}} ||<:> 43.24% ||<:> △8.48 ||<:> 56.93 || || '''삼선1동''' ||<:> 41.79% ||<:> {{{#00AA7B 50.62%}}} ||<:> ▼8.83 ||<:> 50.03 || || '''삼선2동''' ||<:> {{{#0000A8 47.93%}}} ||<:> 45.38% ||<:> △2.55 ||<:> 53.43 || || '''동선1동''' ||<:> 45.55% ||<:> {{{#00AA7B 47.51%}}} ||<:> ▼1.96 ||<:> 50.81 || || '''동선2동''' ||<:> 46.68% ||<:> {{{#00AA7B 46.87%}}} ||<:> ▼0.19 ||<:> 52.64 || || '''돈암2동''' ||<:> {{{#0000A8 47.64%}}} ||<:> 46.22% ||<:> △1.42 ||<:> 55.90 || || '''안암동''' ||<:> {{{#0000A8 46.63%}}} ||<:> 45.32% ||<:> △1.42 ||<:> 49.67 || || '''보문동''' ||<:> 46.49% ||<:> {{{#00AA7B 47.69%}}} ||<:> ▼1.20 ||<:> 50.25 || || '''정릉1동''' ||<:> 43.75% ||<:> {{{#00AA7B 50.11%}}} ||<:> ▼6.36 ||<:> 54.72 || || '''정릉2동''' ||<:> {{{#0000A8 47.72%}}} ||<:> 46.15% ||<:> △1.57 ||<:> 50.22 || || '''정릉3동''' ||<:> {{{#0000A8 48.00%}}} ||<:> 45.51% ||<:> △2.49 ||<:> 52.74 || || '''정릉4동''' ||<:> 42.96% ||<:> {{{#00AA7B 50.31%}}} ||<:> ▼7.35 ||<:> 51.85 || || '''길음1동''' ||<:> 38.67% ||<:> {{{#00AA7B 55.04%}}} ||<:> ▼16.37 ||<:> 52.47 || || '''길음2동''' ||<:> 35.44% ||<:> {{{#00AA7B '''57.64%'''}}} ||<:> ▼22.20 ||<:> 49.04 || || '''후보''' ||<:> [[정태근|{{{#0000A8 '''정태근'''}}}]] ||<:> [[유재건|{{{#00AA7B '''유재건'''}}}]] ||<:> 격차 ||<:> || || '''부재자투표''' ||<:> 36.59% ||<:> {{{#00AA7B 46.20%}}} ||<:> ▼9.61 ||<:> || ===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 16대 총선에서 2.72% 차이로 당락이 결정됐던 두 후보가 다시 맞붙게 되었다. 이번엔 [[열린우리당]] 소속으로 출마한 이 지역 2선 [[유재건]] 의원과 [[한나라당]] [[정태근]] 후보의 리턴매치가 성사된 것이다. 16대 총선과는 달리 민변 출신의 [[새천년민주당]] 임영화 후보, [[민주노동당]] 김준수 후보도 출마하였기 때문에 유재건 후보에게 불리할 수 있었지만, [[2004년 노무현 대통령 탄핵 사태|탄핵]] 정국으로 인해 상황은 유재건 후보에게 유리하게 돌아갔다. 정태근 후보는 성북구 토박이자 386 민주화운동 세대로 한나라당의 개혁에 힘쓰고 있다는 것을 호소하며 탄핵 정국을 돌파하고자 했지만, 개표 결과 유재건 후보가 2.17% 차이로 신승했다. ||<-4> {{{#000000 {{{+1 '''성북구 갑'''}}}}}}[br]{{{#000000 성북1동, 성북2동, 동소문동, 삼선1동, 삼선2동, 동선1동, 동선2동, 돈암2동, 안암동, 보문동, 정릉1동, 정릉2동, 정릉3동, 정릉4동, 길음1동, 길음2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정태근|{{{#373a3c,#dddddd 정태근}}}]](鄭泰根) || 42,280 || 2위 || || [[한나라당|[include(틀:한나라당)]]] || 40.67% || 낙선 || ||<|2> {{{#ffffff {{{+5 '''2'''}}}}}} || 임영화(林榮和) || 8,049 || 3위 || || [[새천년민주당|[include(틀:새천년민주당)]]] || 7.74% || 낙선 || ||<|2> {{{#000000 {{{+5 '''3'''}}}}}} || '''[[유재건|{{{#373a3c,#dddddd 유재건}}}]](柳在建)''' || '''44,531''' || '''1위''' || || [[열린우리당|[include(틀:열린우리당)]]] || '''42.84%''' || '''{{{#191919 당선}}}''' || ||<|2> {{{#ffffff {{{+5 '''4'''}}}}}} || [[성태진]](成泰辰) || 1,090 || 5위 || || [[자유민주연합|[include(틀:자유민주연합)]]] || 1.04% || 낙선 || ||<|2> {{{#ffffff {{{+5 '''5'''}}}}}} || 김준수(金準洙) || 7,282 || 4위 || || [[민주노동당|[include(틀:민주노동당)]]] || 7.00% || 낙선 || ||<|2> {{{#ffffff {{{+5 '''6'''}}}}}} || 배기수(裵基守) || 714 || 6위 || || [[무소속|[include(틀:무소속)]]] || 0.68%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69,441 ||<|3> '''투표율'''[br]61.77% || || '''투표 수''' || 104,657 || || '''무효표 수''' || 711 || === [[제18대 국회의원 선거]] === 이미 70세가 넘은 현역 3선 [[유재건]] 의원은 [[통합민주당(2008년)|통합민주당]] 창당에 참여하지 않고 탈당해 [[자유선진당]]에 합류해 지역구가 아닌 비례대표를 신청했으나 탈락했다. 통합민주당의 후보는 [[새천년민주당]] 17대 비례대표 손봉숙 의원으로 결정되었다. 그 사이 2번 낙선했던 정태근 후보는 2005년 [[서울특별시]] 정무부시장을 거쳐 2007년 [[이명박]] 대통령 후보 수행단장, 선거대책위원회 인터넷본부장으로 활동하며 이명박 대통령 측근이 되었다. 이명박 대통령 당선과 뉴타운 등 여러가지로 정태근 후보에게 유리하게 진행되었고, 정태근 후보는 손봉숙 후보를 18.6% 차이로 크게 누르고 당선되었다. ||<-4> {{{#ffffff {{{+1 '''성북구 갑'''}}}}}}[br]{{{#ffffff 길음1동, 돈암2동, 안암동, 보문동, 삼선동, 동선동,[br]정릉1동, 정릉2동, 정릉3동, 정릉4동, 성북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손봉숙|{{{#373a3c,#dddddd 손봉숙}}}]](孫鳳淑) || 30,736 || 2위 || || [include(틀: 통합민주당(2008년))] || 36.80% || 낙선 || ||<|2> {{{#ffffff {{{+5 '''2'''}}}}}} || '''[[정태근|{{{#373a3c,#dddddd 정태근}}}]](鄭泰根)''' || '''46,260''' || '''1위''' || || [include(틀: 한나라당)] || '''55.39%''' || '''{{{#2d2f34 당선}}}''' || ||<|2> {{{#ffffff {{{+5 '''4'''}}}}}} || [[정태흥|{{{#373a3c,#dddddd 정태흥}}}]](鄭泰興) || 5,127 || 3위 || || [include(틀: 민주노동당)] || 6.13% || 낙선 || ||<|2> {{{#ffffff {{{+5 '''6'''}}}}}} || 김형준(金亨俊) || 1,392 || 4위 || || [include(틀: 평화통일가정당)] || 1.66%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90,021 ||<|3> '''투표율'''[br]44.45% || || '''투표 수''' || 84,458 || || '''무효표 수''' || 943 || ===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 [[한나라당]] 쇄신파로 불리던 이 지역 현역 [[정태근]] 의원은 2011년 12월, 한나라당이 낡은 정치구조를 깨고 새로운 정당으로 재창당해야 한다고 요구하며 탈당한다. [[새누리당]]으로 이름이 바뀐 후 새누리당 비상대책위원회는 탈당한 쇄신파인 [[정태근]], [[김성식(1958)|김성식]]의 지역구에 공천하지 않기로 결정한다. 당선된 후 복당하라는 의미인 것이다. 이로써 정태근 의원은 무소속 후보로 출마했고, 1번 후보는 이 지역에 없게 된다. [[민주통합당]]에서는 여성 공천 15프로 할당제에 힘입어 [[유승희(정치인)|유승희]] 전 의원이 경선없이 출마했다. 유 후보는 학생운동, 노동운동 등에 몸담았으며,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중앙위원, 서울 [[YMCA]] 여성위원 출신으로 17대 국회에 열린우리당 비례대표로 국회에 입성했다. 유승희 후보는 "정태근 후보의 탈당은 위장탈당"이라고 비판했고, 정태근 후보가 이명박 대통령의 측근이었던 만큼, 이명박 정부의 심판론을 강조했다. 캐치프레이즈는 'MB심판, 정권교체, 99% 서민정치실현'이었다 정태근 후보는 함께 탈당한 [[관악구 갑]]의 김성식 후보와 함께 지역 공약보단 경제민주화, 양화 완화, 남북 평화, 정치개혁 등의 정당 급의 정책공약을 내놨다. 결과는 유승희 후보가 정태근 후보를 6.47% 차이로 제치고 당선된다. ||<-4> [[성북구 갑|{{{#3AB34A {{{+1 '''성북구 갑'''}}}}}}]][br]{{{#3AB34A 길음1동, 돈암2동, 안암동, 보문동, 삼선동, 동선동,[br]정릉1동, 정릉2동, 정릉3동, 정릉4동, 성북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3AB34A {{{+5 '''2'''}}}}}} || '''[[유승희(정치인)|{{{#373a3c,#dddddd 유승희}}}]](俞承希)''' || '''54,057''' || '''1위''' || || [include(틀: 민주통합당)] || '''51.26%''' || '''{{{#2d2f34 당선}}}''' || ||<|2> {{{#ffffff {{{+5 '''6'''}}}}}} || 강승규(姜承圭) || 3,067 || 3위 || || [include(틀: 국민생각)] || 2.90% || 낙선 || ||<|2> {{{#ffffff {{{+5 '''7'''}}}}}} || 최덕찬(崔德燦) || 1,095 || 4위 || || [include(틀: 미래연합)] || 1.03% || 낙선 || ||<|2> {{{#ffffff {{{+5 '''8'''}}}}}} || [[정태근|{{{#373a3c,#dddddd 정태근}}}]](鄭泰根) || 47,234 || 2위 || || [include(틀: 무소속)] || 44.79%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200,755 ||<|3> '''투표율'''[br]53.76% || || '''투표 수''' || 107,914 || || '''무효표 수''' || 2,461 || ===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 탈당했던 [[정태근]] 전 의원은 [[김성식(1958)|김성식]]이 [[안철수]]를 돕게 되면서 [[새누리당]]과는 아예 척을 지게 된 것과 달리 [[새누리당]]으로 복당해 경선을 치러 승리해 후보로 결정되었다. 현역 의원인 [[더불어민주당]]의 유승희 의원도 20대 총선 때는 경선을 거쳐 민주당 후보로 선출됐다. [[국민의당(2016년)|국민의당]]은 도천수 전 고대민주동우회 회장이 공천되었다. 결과는 유승희 후보가 정태근 후보에 19대 총선때보다도 더 큰 표차를 벌리며 승리했다. ||<-4> [[성북구 갑|{{{#ffffff {{{+1 '''성북구 갑'''}}}}}}]][br]{{{#ffffff 길음1동, 돈암2동, 안암동, 보문동, 삼선동, 동선동,[br]정릉1동, 정릉2동, 정릉3동, 정릉4동, 성북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정태근|{{{#373a3c,#dddddd 정태근}}}]](鄭泰根) || 43,789 || 2위 || || [include(틀: 새누리당(2012년))] || 36.25% || 낙선 || ||<|2> {{{#ffffff {{{+5 '''2'''}}}}}} || '''[[유승희(정치인)|{{{#373a3c,#dddddd 유승희}}}]](俞承希)''' || '''57,819''' || '''1위''' || || [include(틀: 더불어민주당)] || '''47.87%''' || '''{{{#2d2f34 당선}}}''' || ||<|2> {{{#ffffff {{{+5 '''3'''}}}}}} || 도천수(都泉樹) || 17,883 || 3위 || || [include(틀: 국민의당(2016년))] || 14.80% || 낙선 || ||<|2> {{{#ffffff {{{+5 '''5'''}}}}}} || 박철우(朴哲佑) || 1,273 || 4위 || || [include(틀: 민중연합당)] || 1.05%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201,457 ||<|3> '''투표율'''[br]60.63% || || '''투표 수''' || 122,147 || || '''무효표 수''' || 1,383 || ===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 ||<-4> [[성북구 갑|{{{#ffffff {{{+1 '''성북구 갑'''}}}}}}]][br]{{{#ffffff 길음1동, 돈암2동, 안암동, 보문동, 삼선동, 동선동,[br]정릉1동, 정릉2동, 정릉3동, 정릉4동, 성북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김영배(1967)|{{{#373a3c,#dddddd 김영배}}}]](金永培)''' || '''82,954''' || '''1위''' || || [include(틀: 더불어민주당)] || '''60.90'''% || '''{{{#2d2f34 당선}}}''' || ||<|2> {{{#ffffff {{{+5 '''2'''}}}}}} || [[한상학]](韓相鶴) || 49,727 || 2위 || || [include(틀: 미래통합당)] || 36.50% || 낙선 || ||<|2> {{{#ffffff {{{+5 '''3'''}}}}}} || 박춘림(朴春林) || 2,642 || 3위 || || [include(틀: 민생당)] || 1.93% || 낙선 || ||<|2> {{{#ffffff {{{+5 '''7'''}}}}}} || 최원용(崔源用) || 880 || 4위 || || [include(틀:국가혁명배당금당)] || 0.64%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202,294 ||<|3> '''투표율'''[br]68.31% || || '''투표 수''' || 138,186 || || '''무효표 수''' || 1,983 || ||<-5> {{{#ffffff '''21대 총선 서울 성북구 갑 개표 결과'''}}} || || '''정당''' || [include(틀: 더불어민주당)] || [include(틀: 미래통합당)] || 격차 || 투표율 || || '''후보''' || [[김영배(1967)|{{{#ffffff '''김영배'''}}}]] || {{{#ffffff 한상학}}} || (1위/2위) || (선거인/표수) || || '''득표수[br](득표율)''' || {{{#ffffff '''82,954[br](60.90%)'''}}} || '''49,727[br](36.50%)''' || '''+ 33,227[br](△24.40)''' || '''138,186 [br] (68.30%)''' || || '''성북동''' || {{{#004ea2 58.41%}}} || 39.00% || △19.41 || 67.75 || || '''삼선동''' || {{{#004ea2 62.93%}}} || 34.28% || △28.65 || 64.54 || || '''동선동''' || {{{#004ea2 '''62.94%'''}}} || {{{#696969 33.35%}}} || '''△29.58''' || 63.72 || || '''돈암2동''' || {{{#4169e1 56.85%}}} || '''40.96%''' || {{{#696969 △15.89}}} || 69.84 || || '''안암동'''[* [[고려대학교]]가 있는 동네] || {{{#004ea2 58.35%}}} || 38.47% || △19.88 || 62.51 || || '''보문동''' || {{{#004ea2 61.31%}}} || 36.17% || △25.15 || 61.83 || || '''정릉1동''' || {{{#004ea2 60.25%}}} || 37.61% || △22.64 || 68.92 || || '''정릉2동''' || {{{#004ea2 59.13%}}} || 37.92% || △21.21 || 64.36 || || '''정릉3동''' || {{{#004ea2 58.13%}}} || 39.26% || △18.87 || {{{#696969 58.39}}} || || '''정릉4동''' || {{{#004ea2 60.27%}}} || 37.62% || △22.65 || 64.32 || || '''길음1동''' || {{{#004ea2 60.23%}}} || 37.74% || △22.48 || '''71.35''' || || '''후보''' || [[김영배(1967)|{{{#004ea2 '''김영배'''}}}]] || {{{#ef426f 한상학}}} || 격차 || || || '''거소·선상투표''' || {{{#004ea2 59.92%}}} || 34.73% || △25.19 || || || '''관외사전투표''' || {{{#004ea2 67.98%}}} || 28.99% || △38.99 || || || '''재외투표''' || {{{#004ea2 73.96%}}} || 25.14% || △48.82 || || ||<-4> {{{#ffffff '''성북구 갑 주요 아파트 개표 결과'''}}} || || '''정당'''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include(틀:미래통합당)] || 격차 || || '''후보''' || [[김영배(1967)|{{{#ffffff '''김영배'''}}}]] || {{{#ffffff 한상학}}} || (1위/2위) || || '''길음뉴타운 2단지 푸르지오''' || {{{#004ea2,#5dabff '''58.72%'''}}} || 39.90% || △18.82 || || '''길음뉴타운 4단지 e편한세상''' || {{{#004ea2,#5dabff 58.42%}}} || 39.29% || △19.13 || || '''정릉 풍림아이원''' || {{{#004ea2,#5dabff 58.09%}}} || 40.50% || △17.59 || || '''길음뉴타운 데시앙''' || {{{#004ea2,#5dabff 57.67%}}} || 39.77% || △17.90 || || '''경남''' || {{{#004ea2,#5dabff 57.48%}}} || 40.43% || △17.05 || || '''길음뉴타운 8단지 래미안''' || {{{#004ea2,#5dabff 56.40%}}} || 41.64% || △14.76 || || '''길음뉴타운 1단지 래미안''' || {{{#004ea2,#5dabff 56.40%}}} || 40.86% || △15.54 || || '''정릉 대우''' || {{{#004ea2,#5dabff 53.13%}}} || 44.52% || △8.61 || || '''길음뉴타운 6단지 래미안''' || {{{#004ea2,#5dabff 51.36%}}} || 46.16% || △5.20 || || '''길음뉴타운 9단지 래미안''' || {{{#004ea2,#5dabff 50.87%}}} || 47.07% || △3.80 || || '''한신한진''' || {{{#004ea2,#5dabff 50.30%}}} || '''47.56%''' || △2.74 || [[더불어민주당]]은 총선을 앞두고 현직 유승희 의원과 [[김영배(1967)|김영배]] 전 성북구청장의 경선이 열리게 되었고, 김영배 전 구청장이 공천 확정되었다. 유승희 현 의원은 2020년 2월 27일 경선 결과에 불복하며 당에 이의신청을 했다. 권리당원과 일반시민이 참여한 경선에서 김영배 후보에게 더블로 진 것(권리당원 (62:36), 일반시민(62:38))에 대해 경선 조작 의혹을 제기하고 국회에서 단식농성을 하기도 했다. 이후 3월 25일 경선 결과에 승복하고 농성을 종료하였다. 하지만 유승희 후보가 경선 조작 의혹을 검찰에 고발하여, 공식 선거운동 전날 [[서울북부지방검찰청]]에서는 김영배 후보 사무실을 [[https://news.joins.com/article/23746038|압수수색했다.]] 다만 8월 4일 무혐의로 마무리되었다. [[미래통합당]]에서는 한상학 후보가 성북갑 지역 당협위원장을 지낸 최진규 후보를 꺾고 공천되었다. [[민생당]]에서는 박춘림 후보가 출마한다. 선거결과 김영배 후보가 60.90%라는 압도적인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 ||<-4> {{{#ffffff {{{+1 '''성북구 갑'''}}}}}}[br]{{{#ffffff 길음1동, 돈암2동, 안암동, 보문동, 삼선동, 동선동,[br]정릉1동, 정릉2동, 정릉3동, 정릉4동, 성북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 0 ||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00.00% || || ||<|2> {{{#FFFFFF {{{+5 '''2'''}}}}}} || || 0 || || || [include(틀:국민의힘)] || 00.00% || || ||<|2> {{{#000000 {{{+5 '''3'''}}}}}} || || 0 || || || [include(틀:정의당)] || 00.00% || || ||<|3> '''계''' || '''선거인 수''' || ||<|3> '''투표율'''[br]00.00% || || '''투표 수''' || || || '''무효표 수''' || || [[분류:선거구/대한민국]][[분류:서울특별시의 정치]][[분류:성북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