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대한민국의 천연기념물 391~420호)] || [[파일:정부상징.svg|width=28]] '''[[대한민국의 천연기념물|{{{#f39100 대한민국의 천연기념물}}}]]''' '''{{{#f39100 제403호}}}''' || || {{{+1 {{{#fff '''성주 경산리 성밖숲'''}}}}}} {{{-1 {{{#fff 星州 京山里 城밖숲[br]Seongbaksup Forest in Gyeongsan-ri, Seongju}}}}}} {{{-1 {{{#fff }}}}}} || || {{{#!wiki style="margin: 0 -12px; border-right: 2px solid transparent; border-left: 2px solid transparent"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5px" || '''{{{#fff 소재지}}}''' || 경북 성주군 성주읍 경산리 446-1번지 || || '''{{{#fff 분류}}}''' || 자연유산 / 천연기념물 / 문화역사기념물 / 민속 || || '''{{{#fff 수량}}}''' || 59주 || || '''{{{#fff 지정일}}}''' || 1999년 4월 6일 || || '''{{{#fff 시대}}}''' || 1380년대(추정) || ||<-2> '''{{{#fff 위치}}}''' || [include(틀:지도, 장소=경북 성주군 성주읍 경산리 446-1번지, 너비=360)]}}}}}}}}} || [[파일:26F897CBC2264540A5DCAE310CAF8FB4.jpg]] [목차] 성밖숲(城밖숲) == 개요 == [[경상북도]] [[성주군]] 성주읍 경산리에 위치한 성주읍성 서문 밖에 만들어진 숲. 1999년 4월 6일 [[대한민국의 천연기념물|천연기념물]] 제403호 '성주 경산리 성밖숲'으로 지정되었다. 현재 나이가 300∼500년 정도로 추정되는 [[버드나무|왕버들]] 59그루가 있다. [[성주군|성주]]의 중심지인 성주읍에서도 중심부에 있기 때문에 관광객 뿐만 아니라 인근 주민들에게 휴식처를 제공하고 있으며[* 특히 [[맥문동]]이 피는 7월말~8월달에 가장 인기가 많다.] 2017년 올해의 가장 아름다운 숲에 선정되기도 했다. 또한 성주를 대표하는 랜드마크이기 때문에 성주생명문화축제를 비롯한 성주의 각종 행사들이 대부분 성밖숲에서 열린다. == 역사 == 조선 중기에 성주의 지세를 흥하게 한다는 [[풍수지리]] 사상에 따라 조성되었다. 경산지(京山誌) 및 성산지(星山誌)에는 조선 중기에 성주성 서문 밖 마을의 소년들이 아무 이유 없이 죽는 등 흉사가 이어졌는데, 그 이유가 마을의 족두리바위와 탕건바위가 서로 마주보고 있기 때문이라 하여 중간 지점에 숲을 조성하면 재앙을 막을 수 있다는 지관(地官)의 말에 따라 성주성의 서문 밖 이천변에 [[밤나무]]숲을 조성했다고 한다. 그러다가 [[임진왜란]] 후 마을의 기강이 해이해지고 민심이 흉흉해지자 밤나무를 베어내고 왕버들로 다시 조성하였다. == 가치 == 성주 성밖숲은 왕버들 나무로만 이루어진 숲으로 생물학적 자료로서의 가치가 있을 뿐만 아니라 마을의 풍수지리, 역사, 문화, 신앙에 따라 만들어진 전통적인 마을 숲으로 향토성, 민속성, 역사성 등의 가치가 높아 천연기념물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다. == 기타 == * 성밖숲을 방문한 사람 중 성은 어디 있고 숲만 있는지 의문을 표하는 사람도 있는데 성주성의 성곽은 일제강점기 때 철거되었다가 현재 성주읍 예산리 일대에 성주성의 북문과 북쪽 성곽은 복원되었다. 성밖숲에서 멀지 않은 거리에 있어 연계해서 방문할 수 있다. * 2019년 한반도를 강타한 태풍 [[미탁(2019년 태풍)|미탁]]에 의해 피해를 입기도 했다. 피해를 입고 난 후 복구 작업을 해서 현재는 거의 복구되었다. * 2022년 3월 등대지기 출판사의 동명소설 "성밖숲"이 출판되었다. 저자의 고향인 성주 성밖숲을 배경으로 스토리가 전개되고 있다. == 외부 링크 == * [[https://ko.wikipedia.org/wiki/성주_경산리_성밖숲|한국어 위키백과: 성주 경산리 성밖숲]]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75767&cid=46640&categoryId=46640|한국민족문화대백과: 성주 경산리 성밖숲]]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999040&cid=42856&categoryId=42856|대한민국 구석구석: 성주 경산리 성밖숲]]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195782&cid=40942&categoryId=33562|두산백과: 성주 경산리 성밖숲]] == 천연기념물 제403호 == *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16,04030000,37&pageNo=1_1_1_0|문화재청 홈페이지: 성주 경산리 성밖숲 (星州 京山里 城밖숲)]] >성주 경산리 성밖숲은 성주 읍성(邑城) 서문 밖에 만들어진 숲으로 조선 중기 서문 밖의 어린 아이들이 이유없이 죽자 풍수지리설을 따라서 만들어진 것이라고 전해지고 있다. 현재 성밖 숲에는 나이가 300∼500년 정도로 추정되는 왕버들 59그루가 자라고 있다. > >성주 경산리 성밖숲은 왕버들나무로만 이루어진 숲으로 생물학적 자료로서의 가치가 있을 뿐만 아니라 마을의 풍수지리, 역사, 문화, 신앙에 따라 만들어진 전통적인 마을 숲으로 향토성, 민속성, 역사성 등의 가치가 높아 천연기념물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다. [[분류:숲]][[분류:대한민국의 천연기념물]][[분류:성주군의 문화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