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이 터미널이 입주하고 있는 성남시의 복합 쇼핑몰, rd1=테마폴리스)] [include(틀:KD 운송그룹의 계열사)] [include(틀:경기도의 버스 터미널)] ||<-2> {{{+2 '''성남임시터미널'''}}}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성남종합버스터미널, 너비=100%, 높이=200)]}}} || ||<-2> {{{#333 '''다국어 표기'''}}} || || 영어 || Seongnam Terminal || || 중국어 || 城南客运站 || || 일본어 || 城南ターミナル || ||<-2> {{{#333 '''주소'''}}} || ||<-2>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성남대로]]925번길 16 ([[야탑동]]) || ||<-2> {{{#333 '''터미널 코드 / 행선지 표기'''}}} || ||<-2> 120 / 성남종합 || ||<-2> {{{#333 '''운영사'''}}} || ||<-2> [[KD 운송그룹|[[파일:KD 운송그룹 로고.svg|width=110]]]] || ||<-2> {{{#333 '''개업일'''}}} || ||<-2> [[1982년]] [[3월]] || ||<-2> {{{#333 '''이전일'''}}} || ||<-2> [[2001년]] [[4월]](고속버스)[br][[2004년]] [[5월]](시외버스)[br][[2023년]] [[1월 1일]](기존 터미널 폐업 및 임시터미널 개업) || ||<-2> {{{#333 '''운영 노선(행선지)'''}}} || ||<-2> [[성남종합버스터미널#s-3|하단]] 참조 || ||<-2> {{{#333 '''연계 철도역'''}}} || ||<-2>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5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000000; font-size: .95em" [[야탑역|[[파일:SBLine_icon.svg|width=20]] {{{#ffffff '''야탑'''}}}]]}}} || [목차] [clearfix] == 개요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성남임시터미널(매표소).jpg|width=100%]]}}}||{{{#!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성남임시터미널(승차장).jpg|width=100%]]}}}|| ||<-2> 2023년 1월 1일부터 운영을 시작한 임시터미널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동]]에 있는 [[버스 터미널]]이다. 원래는 [[모란역]] 근처, 현 [[성남시]] 재개발 홍보관과 메트로칸 빌딩 자리에 고속터미널과 시외터미널이 통합된 형태로 되어있었다. 1990년대 구성남(모란)터미널은 포화 상태였던 데다가 낡을 대로 낡았었는데, 소유권 분쟁으로 제때 이전하지 못해서 주차장에 승강장을 만들어 두는 등 눈물이 앞을 가리는 기괴한 운영을 할 수 밖에 없었다. 몇 안되는 승강장으로 상당히 많은 버스가 오갔다. 2001년에 고속버스 노선이 먼저 분당의 새 터미널로 이전했고, 2004년에는 시외버스 노선도 이전하면서 성남터미널의 모란 시대는 막을 내렸다. 성남터미널은 성남시민은 물론이고 [[용인시]] [[수지구]]나 [[기흥구]] 주민들도 이 터미널을 이용하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특히 [[기흥구]] 주민의 경우는 지역에 따라 다른데 보정동이나 구성 지역에서는 고민 없이 [[수지구]]처럼 여기로 오는 경우가 많고 그 외에는 [[신갈정류장]], [[기흥역]], 영통입구, [[수원버스터미널|수원터미널]] 등의 선택지가 있는데 이 중에 철도(분당선)와 연계되는 곳은 기흥역 빼고는 없기 때문에 교통편을 감안하여 본 터미널을 선택하는 경우가 있다. 그나마도 기흥역은 최근에 조성되기 시작한 중간 정차지이고, 기존에는 [[처인구]]에 있는 [[용인공용버스터미널]]이 너무 멀다는 사정 때문에 주로 신갈정류장을 이용했던 지역이다. 대부분은 이 신갈정류장이나 영통 쪽 정류장을 이용하는 편이지만, 예를 들어 주말에 좌석편이 남아 있지 않아 여의치 않는 경우 성남터미널을 대안으로 생각하기도 한다. 또한 [[강남구]] 수인분당선 연선이나 [[송파구]]에 사는 주민들도 많이 오는데, 애매하게 [[남부터미널]]이나 [[센트럴시티]], [[서울고속버스터미널]]로 갈 바에는 [[복정역]]에서 [[수인분당선]]타고 오는 게 맘 편하기 때문이다. 잘 알려져 있지는 않으나 강남구에서도 [[테헤란로]] 남쪽의 수인분당선 연선(즉, [[한티역]]-[[수서역]] 구간) 에서 오가기도 생각보다 편리하다. 이들 지역에서는 강남고속버스터미널이 거리상으로는 가까우나 강남고속버스터미널까지 지하철 이동시에는 환승을 요하며[* 도곡역, 수서역 제외. 다만 수서역은 서울경부/호남보다 성남터미널이 더 가깝다.] 시내버스로 이동시 강남의 정체구간을 필히 지나게 되고 소요시간이 예상 외로 길어지는데, 분당선으로 야탑역까지 환승저항 없이 20분 내외면 갈 수 있기 때문이다.[* 다만 수인분당선의 배차간격이 2호선 또는 3호선이나 9호선보다 좋지는 않다.] 또한 상습 정체구간인 [[경부고속도로]] 서울구간([[경부간선도로]])을 지나기 때문에 훨씬 남쪽에서 출발하는 성남터미널을 이용하는것이 편리하다. === 성남터미널? 분당터미널? === 이 터미널의 공식 명칭은 소속된 시의 명칭을 딴 “성남터미널”이고, 터미널의 역사도 [[성남 본시가지|구성남시가지]]에서 시작되었지만, 현재 대부분의 이용객(특히 [[분당신도시]] 주민들)은 성남터미널 보다는 “분당터미널” 혹은 “야탑터미널”이라는 명칭을 선호하며, 타 지역에서 이 터미널로 오는 버스의 표를 구매할 때도 “분당행 버스표 주세요”라고 하는 경우가 잦다. 이를 의식해서인지 버스 회사에서도 노선표에 성남/분당이라고 붙여놓는 경우가 많고, 버스 터미널 측에서도 “분당행”이라고 말해도 알아듣고 “성남행” 티켓을 준다. === 무기한 폐업 === 수요 감소와 그로 인한 기존 사업자(NSP(주))의 경영 문제로 인해 '''2023년 1월 1일 부로 무기한 폐업에 들어갔다.'''[* 현재 기존 사업자였던 NSP의 [[http://www.newseongnamterminal.co.kr/|성남터미널 홈페이지]]는 2022년 9월 이후로 업데이트가 없으며, 임시터미널 운영 관련 공지도 없다.] 이로 인해 성남시와 [[KD 운송그룹]]은 이용객들의 불편을 최소화하고자 임시 터미널을 마련했다. 매표소와 승차장은 터미널 건물 남쪽 택시승강장(성남대로 925번길)에, 하차장은 터미널 건물 서쪽(장미로 48번길)에 위치해 있으며 모란역 인근 성남동 대형 주차장을 박차장으로 사용한다.[* 기존에 있던 박차장(지하 3~4층)은 [[신도양|신도양(주)]] 마을버스 차고지, 홈플러스 검품장, 전세버스 주차장 등으로 쓰이고 있다. 터미널 폐업 전에는 고속버스, 시외버스들도 있었으나 성남동 대형 주차장으로 이전하였으니 지금은 거의 보기 힘들다.] 현재 기존 터미널 부분이었던 테마폴리스 건물의 1층 하차장, 지하1층 매표소/승차장 내 일부 매장(메가커피, 세븐일레븐, 약국 등)이 영업 중이라, 라바콘과 노란 테잎으로 부분통제만 진행중이다. 심지어 건물 내 간판과 연결통로에는 아직 지하1층을 승차장으로 안내하고 있는데, 임시터미널 운영기간에는 1층에만 임시 승하차장이 있으니 유의해야 한다.[* 이 때문에 [[야탑역]]에서는 기존 건물(테마폴리스) 연결통로 말고, 4번출구로 나가서 횡단보도를 건너는 게 더 빠를 수 있다.] ==# 구조(폐업 전) #== 터미널은 복합 쇼핑몰인 [[테마폴리스]] 건물에 입주하고 있다. 상술한 대로 하차장은 1층에 있고[* 종착한 차량은 나선형의 통로를 통해 지하 승차장으로 들어간다. 층이 다르지만, 복층으로 승차장이 있는 [[신세계 동대구 복합환승센터/동대구터미널|동대구터미널]]에도 나선형 통로가 있다.] 매표소와 승차장이 지하 1층에 있는 구조이다. == 운행노선 == 40분 거리에 있는 [[동서울터미널|동서울]]의 하위 호환 버전이라고 봐도 될 정도로 노선이 꽤 많은 편이다. 특히 상술한 대로 처인구를 제외한 용인시 사람들은 용인터미널보다 이곳 또는 [[수원터미널]]을 선호한다. 1군 고속버스 회사로는 [[금호고속]], [[중앙고속]], [[동양고속]], [[천일고속]], [[속리산고속]], [[코리아와이드 경북]][*A 시외버스 노선으로 들어온다.], [[충남고속]][*A], [[대원고속]][*A]이 성남터미널에 들어온다. 특히 본진이 [[청주고속버스터미널|청주]]인 [[속리산고속]]은 [[청주고속버스터미널|본진]]과 거리가 있는 장거리 노선인 [[신세계 동대구 복합환승센터/동대구터미널|대구]], [[부산종합버스터미널|부산]], --[[통영종합버스터미널|통영]]--행을 운행 중인지라 성남터미널을 포커스급으로 이용 중이다. 선산, 금산인삼랜드, [[정안알밤휴게소|정안]], 낙동강의성 [[환승휴게소]]를 모두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횡성휴게소]]를 제외하면 이 터미널에서 웬만한 [[환승휴게소]]를 이용할 수 있다. 예매는 모두 [[전국고속버스운송사업조합|코버스]]에서 가능하다. 이 터미널로 진출입하는 [[고속버스]]들은 궁내동의 [[경부고속도로]] [[서울TG]]에서 요금을 한 번 내고 [[판교JC]]를 통해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로 진입한 후, [[성남IC]]로 진출하여 여수네거리를 경유하여 터미널로 들어온다. 그러나 [[광주원주고속도로]]의 개통 후 [[신세계 동대구 복합환승센터/동대구터미널|대구]], [[부산종합버스터미널|부산]]방면 노선들은 [[3번 국도]]를 거쳐 [[경기도]] [[광주시]] [[초월IC]]로 넘어가서 [[광주원주고속도로]]를 타는 경로로 주로 간다. 대구 방향 기준 후자의 방법은 잘 쓰지 않고, 전자의 방법을 주로 쓴다. [[중앙고속]]이 [[성남시]] 면허(차적)이긴 하지만, [[진주고속버스터미널|진주]]행과 [[창원종합버스터미널|창원]]([[마산고속버스터미널|마산]] 경유)행, [[유스퀘어|광주]]행만 성남터미널에서 운행한다. 이 터미널에 들어오는 고속버스 회사는 [[금호고속]], [[속리산고속]], [[동양고속]]이 대부분 보인다. 2017년 6월 30일부터 [[고속버스 성남-광주|성남 ↔ 광주]] 노선에 [[프리미엄 버스]]가 운행된다. 서울 외 지역만을 운행하는 노선으로는 [[고속버스 인천-광주|인천 ↔ 광주]], [[고속버스 인천공항-김해|인천국제공항T1/T2, 인천종합 ↔ 김해]] 노선과 함께 처음이다. 그러나 [[SRT]]와의 경쟁에서 밀려 프리미엄이 감차됐다. 단점이 있다면, 상당수가 차급이나 배차간격[* 물론 [[성남시]] 인구와 [[용인시]] [[수지구]] 인구가 서울 동부의 인구보다는 당연히 적으니…]은 [[동서울터미널|동서울]]/강남발보다 나쁘다는 게 단점. 예를 들어 강남/[[동서울터미널|동서울]]-[[안동터미널|안동]]은 FX212 신차가 들어오고 30분 간격[* 서울경부는 1시간 간격]으로 운행 중이지만 성남-[[안동터미널|안동]]은 [[영주종합터미널|영주]]를 거쳐 가는데다 차량도 구형 크루저1이 다닌다. 경주/포항행도 [[동서울터미널|동서울]]에선 40분 간격으로 다니지만 성남에선 1일 4회다. === [[고속버스]] === ==== 주의사항 ==== * [[정안알밤휴게소|정안]], [[선산휴게소|선산]], [[낙동강의성휴게소|낙동강]], [[금산인삼랜드휴게소|인삼랜드]] 발권 불가의 시기는 다음과 같다. * [[프리미엄 버스|프리미엄]], [[설날]] 및 [[추석]]의 특송 기간 * [[고속버스 프리패스|프리패스]] 사용 불가의 시기는 다음과 같다. * 프리미엄, 설날 및 추석의 특송 기간, [[통영종합버스터미널|통영]] * 프리미엄으로 [[국가유공자]] 할인 불가능하다. *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현 상황]]으로 인해 [[부산서부시외버스터미널|서부산]] 및 통영의 노선이 결행 중이다. → [[고속버스 성남-부산사상]] 및 [[고속버스 성남-통영]] 참조. ==== 호남권 ==== ||<-3> '''{{{#ffffff 호남권}}}''' || || '''{{{#ffffff 행선지}}}''' || '''{{{#ffffff 운행횟수}}}''' || '''{{{#ffffff 운수회사}}}''' || ||<#039b43> '''{{{#ffffff 정안알밤휴게소[br]광주}}}''' || 일 9회(월)[br]일 8회(화~목)[br]일 10회(금~일) || [[금호고속]][br][[중앙고속]] || ||<-3> {{{#!folding [ 상세정보 펼치기 · 접기 ] ||
<-3> '''{{{#ffffff 성남발 광주행}}}''' || || '''{{{#ffffff 경유지}}}''' || '''{{{#ffffff 소요시간}}}''' || '''{{{#ffffff 운임}}}''' || ||<#039b43> '''[[정안알밤휴게소|{{{#ffffff 정안알밤휴게소}}}]]''' || 1:10 || ₩ 7,900[br]₩ 11,400({{{#0000ff 우등}}}) || ||<#039b43> '''[[비아정류소|{{{#ffffff 비아동}}}]]''' ||<-2> '''광주''' 발권 후 하차 || ||<#039b43> '''[[유스퀘어|{{{#ffffff 광주(유스퀘어)}}}]]''' || 3:15 || ₩ 20,400[br]₩ 30,100({{{#0000ff 우등}}})[br]₩ 33,100({{{#0000ff 심야우등}}}) || ||<#039b43> '''{{{#ffffff 운행시각표}}}''' ||<-2><(>{{{#0000ff 06:30, 07:35, 09:10, 10:20, 11:30, 12:30, 14:20, 15:30, 16:30, 17:30, 19:40, 21:00}}} || ||<-3><(>[[고속버스 성남-광주]] 참조. 막차를 제외한 나머지 시간대 [[정안알밤휴게소]] 발권 가능하다. 2017년 6월 30일부터 [[프리미엄 버스|프리미엄]]이 개통되었다. *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현 상황]]으로 인해 결행 중이다.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현 상황]]으로 인해 날짜마다 미운행하는 시간도 존재하며, [[전국고속버스운송사업조합|KOBUS]] 통해 날짜 별로 조회하는 방법밖에 없다. || }}} || ##해당 주석은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의 안정화로 운행 일수가 재개되면 앞 문단 제거 후 밑 주석을 사용해주시기 바랍니다. ##||
<-3> '''{{{#ffffff 호남권}}}''' || ##|| '''{{{#ffffff 행선지}}}''' || '''{{{#ffffff 운행횟수}}}''' || '''{{{#ffffff 운수회사}}}''' || ##||<#039b43> '''{{{#ffffff 정안알밤휴게소[br]광주}}}''' || 일 20회 || [[금호고속]][br][[중앙고속]] || ##||<-3> {{{#!folding [ 상세정보 펼치기 · 접기 ] ##||
<-3> '''{{{#ffffff 성남발 광주행}}}''' || ##|| '''{{{#ffffff 경유지}}}''' || '''{{{#ffffff 소요시간}}}''' || '''{{{#ffffff 운임}}}''' || ##||<#039b43> '''[[정안알밤휴게소|{{{#ffffff 정안알밤휴게소}}}]]''' || 1:10 || ₩ 7,900[br]₩ 11,400({{{#0000ff 우등}}}) || ##||<#039b43> '''[[비아정류소|{{{#ffffff 비아동}}}]]''' ||<-2> '''광주''' 발권 후 하차 || ##||<#039b43> '''[[유스퀘어|{{{#ffffff 광주(유스퀘어)}}}]]''' || 3:15 || ₩ 20,400[br]₩ 30,100({{{#0000ff 우등}}})[br]₩ 33,100({{{#ff0000 프리미엄(월~목)}}})[br]₩ 35,700({{{#ff0000 프리미엄(금~일, 공휴일)}}})[br]₩ 30,200({{{#0000ff 심야우등}}}) || ##||<#039b43> '''{{{#ffffff 운행시각표}}}''' ||<-2><(>{{{#0000ff 06:30, 07:20}}}, 08:10, {{{#0000ff 09:00}}}, {{{#ff0000 09:50}}}, {{{#0000ff 10:40, 11:30, 12:20, 13:10}}}, 14:00, {{{#0000ff 14:40}}}, {{{#ff0000 15:20}}}, {{{#0000ff 16:00, 16:50, 17:40, 18:30}}}, 19:20, {{{#0000ff 20:10}}}, {{{#ff0000 21:00}}}, (심야){{{#0000ff 22:00}}} || ##||<-3><(>[[고속버스 성남-광주]] 참조. ## ##06:30 ~ 19:20 → [[정안알밤휴게소]] 발권 가능하다. ## ##일반은 중고생 할인이 적용된다. ## ##2017년 06월 30일부터 [[프리미엄 버스|프리미엄]]이 개통되었다. || ##}}} || ||<#039b43> '''{{{#ffffff 정안알밤휴게소[br]전주}}}''' || 일 16회 || [[금호고속]][br][[천일고속]] || ||<-3> {{{#!folding [ 상세정보 펼치기 · 접기 ] ||
<-3> '''{{{#ffffff 성남발 전주행}}}''' || || '''{{{#ffffff 경유지}}}''' || '''{{{#ffffff 소요시간}}}''' || '''{{{#ffffff 운임}}}''' || ||<#039b43> '''[[정안알밤휴게소|{{{#ffffff 정안알밤휴게소}}}]]''' || 1:10 || ₩ 7,900[br]₩ 11,400({{{#0000ff 우등}}}) || ||<#039b43> '''[[호남제일문|{{{#ffffff 호남제일문}}}]]''' ||<-2> '''전주''' 발권 후 하차 || ||<#039b43> '''[[전주고속버스터미널|{{{#ffffff 전주(고속)}}}]]''' || 2:30 || ₩ 14,600[br]₩ 21,400({{{#0000ff 우등}}})[br]₩ 23,500({{{#0000ff 심야우등}}}) || ||<#039b43> '''{{{#ffffff 운행시각표}}}''' ||<-2><(>{{{#0000ff 06:00}}}, 07:00, {{{#0000ff 08:00, 09:00, 10:00, 11:00}}}, 12:00, {{{#0000ff 13:00, 14:00, 15:00, 16:00}}}, 17:00, {{{#0000ff 18:00, 19:00, 20:00}}}, (심야){{{#0000ff 22:00}}} || ||<-3><(>[[고속버스 성남-전주]] 참조. 07:00 ~ 20:00 → [[정안알밤휴게소]] 발권 가능하다. 일반은 중고생 할인이 적용된다. '''이 터미널'''의 기준으로 [[천일고속]]의 유일한 노선이다.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현 상황]]으로 인해 날짜마다 미운행하는 시간도 존재하며, [[전국고속버스운송사업조합|KOBUS]] 통해 날짜 별로 조회하는 방법밖에 없다. || }}} || ##||<#039b43> '''{{{#ffffff 정안알밤휴게소[br]전주}}}''' || 일 19회 || [[금호고속]][br][[천일고속]] || ##||<-3> {{{#!folding [ 상세정보 펼치기 · 접기 ] ##||
<-3> '''{{{#ffffff 성남발 전주행}}}''' || ##|| '''{{{#ffffff 경유지}}}''' || '''{{{#ffffff 소요시간}}}''' || '''{{{#ffffff 운임}}}''' || ##||<#039b43> '''[[정안알밤휴게소|{{{#ffffff 정안알밤휴게소}}}]]''' || 1:10 || ₩ 7,900[br]₩ 11,400({{{#0000ff 우등}}}) || ##||<#039b43> '''[[호남제일문|{{{#ffffff 호남제일문}}}]]''' ||<-2> '''전주''' 발권 후 하차 || ##||<#039b43> '''[[전주고속버스터미널|{{{#ffffff 전주(고속)}}}]]''' || 2:30 || ₩ 14,600[br]₩ 21,400({{{#0000ff 우등}}})[br]₩ 23,500({{{#0000ff 심야우등}}}) || ##||<#039b43> '''{{{#ffffff 운행시각표}}}''' ||<-2><(>{{{#0000ff 06:00}}}, 07:00, {{{#0000ff 08:00, 09:00, 10:00, 10:40}}}, 11:30, {{{#0000ff 12:20, 13:10, 14:00, 14:40}}}, 15:30, {{{#0000ff 16:20, 17:10, 18:00, 18:40}}}, 19:30, {{{#0000ff 21:00}}}, (심야){{{#0000ff 22:30}}} || ##||<-3><(>[[고속버스 성남-전주]] 참조. ## ##07:00 ~ 19:30 → [[정안알밤휴게소]] 발권 가능하다. ## ##'''이 터미널'''의 기준으로 [[천일고속]]의 유일한 노선이다. ## ##일반은 중고생 할인이 적용된다. || ##}}} || ==== 영남권 ==== ||
<-3> '''{{{#ffffff 영남권}}}''' || || '''{{{#ffffff 행선지}}}''' || '''{{{#ffffff 운행횟수}}}''' || '''{{{#ffffff 운수회사}}}''' || ||<#0062bc> '''{{{#ffffff 낙동강의성휴게소[br]부산}}}''' || 일 6회 || [[천일고속]][br][[속리산고속]] || ||<-3> {{{#!folding [ 상세정보 펼치기 · 접기 ] ||
<-3> '''{{{#ffffff 성남발 부산행}}}''' || || '''{{{#ffffff 경유지}}}''' || '''{{{#ffffff 소요시간}}}''' || '''{{{#ffffff 운임}}}''' || ||<#0062bc> '''[[낙동강의성휴게소|{{{#ffffff 낙동강의성휴게소}}}]]''' || 2:00 || ₩ 20,800({{{#0000ff 우등}}}) || ||<#0062bc> '''[[부산종합버스터미널|{{{#ffffff 부산}}}]]''' || 4:15 || ₩ 39,300({{{#0000ff 우등}}}) || ||<#0062bc> '''{{{#ffffff 운행시각표}}}''' ||<-2><(>{{{#0000ff 07:30, 09:30, 11:30^^(이상 속리산고속)^^, 14:30, 16:30, 18:40^^(이상 천일고속)^^}}} || ||<-3><(>[[고속버스 성남-부산]] 참조. 막차를 제외한 나머지 시간대 [[낙동강의성휴게소]] 발권 가능하다. 2023년 2월 13일부로 [[금호고속]]이 철수하고 [[천일고속]]이 이 노선을 이어받았다. [[천일고속]]은 '''여기'''에 주박하지 않으며, 반대로 [[속리산고속]]도 [[부산종합버스터미널|부산]]에 주박하지 않는다.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현 상황]]으로 인해 금~일 한정으로 날짜마다 미운행하는 시간도 존재하고, [[전국고속버스운송사업조합|KOBUS]] 통해 날짜 별로 조회하는 방법밖에 없으며, 22:00([[두실역]] 경유)의 막차 시간이 결행 중이다. || }}} || ##||
<-3> '''{{{#ffffff 영남권}}}''' || ##|| '''{{{#ffffff 행선지}}}''' || '''{{{#ffffff 운행횟수}}}''' || '''{{{#ffffff 운수회사}}}''' || ##||<#0062bc> '''{{{#ffffff 낙동강의성휴게소[br]부산}}}''' || 일 8회(월~목)[br]일 10회(금~일) || [[천일고속]][br][[속리산고속]] || ##||<-3> {{{#!folding [ 상세정보 펼치기 · 접기 ] ##||
<-3> '''{{{#ffffff 성남발 부산행}}}''' || ##|| '''{{{#ffffff 경유지}}}''' || '''{{{#ffffff 소요시간}}}''' || '''{{{#ffffff 운임}}}''' || ##||<#0062bc> '''[[낙동강의성휴게소|{{{#ffffff 낙동강의성휴게소}}}]]''' || 2:00 || ₩ 19,800({{{#0000ff 우등}}}) || ##||<#0062bc> '''[[두실역|{{{#ffffff 두실역}}}]]''' ||<-2> 22:00 → '''부산''' 발권 후 하차 || ##||<#0062bc> '''[[부산종합버스터미널|{{{#ffffff 부산}}}]]''' || 4:15 || ₩ 39,300({{{#0000ff 우등}}})[br]₩ 39,100({{{#0000ff 심야우등}}}) || ##||<#0062bc> '''{{{#ffffff 운행시각표(월~목)}}}''' ||<-2><(>{{{#0000ff 07:20, 09:30, 11:30, 13:30^^(이상 속리산고속)^^, 15:00, 17:00, 18:40}}}, (심야){{{#0000ff 22:00^^(이상 천일고속)^^}}} || ##||<#0062bc> '''{{{#ffffff 운행시각표(금~일)}}}''' ||<-2><(>{{{#0000ff 06:30, 08:20, 10:00, 11:40, 13:30^^(이상 속리산고속)^^, 14:30, 15:10, 16:50, 18:40}}}, (심야){{{#0000ff 22:00^^(이상 천일고속)^^}}} || ##||<-3><(>[[고속버스 성남-부산]] 참조. ## ##막차를 제외한 나머지 시간대 [[낙동강의성휴게소]] 발권 가능하다. ## ##[[천일고속]]은 '''여기'''에 주박하지 않으며, 반대로 [[속리산고속]]도 [[부산종합버스터미널|부산]]에 주박하지 않는다. || ##}}} || ##||<#0062bc> '''{{{#ffffff 선산휴게소[br]서부산}}}''' || 일 2회 || [[금호고속]][br][[속리산고속]] || ##||<-3> {{{#!folding [ 상세정보 펼치기 · 접기 ] ##||
<-3> '''{{{#ffffff 성남발 서부산행}}}''' || ##|| '''{{{#ffffff 경유지}}}''' || '''{{{#ffffff 소요시간}}}''' || '''{{{#ffffff 운임}}}''' || ##||<#0062bc> '''[[선산휴게소|{{{#ffffff 선산휴게소}}}]]''' || 2:05 || ₩ 13,800[br]₩ 20,200({{{#0000ff 우등}}}) || ##||<#0062bc> '''[[부산서부시외버스터미널|{{{#ffffff 서부산(사상)}}}]]''' || 4:15 || ₩ 24,400[br]₩ 36,300({{{#0000ff 우등}}}) || ##||<#0062bc> '''{{{#ffffff 운행시각표}}}''' ||<-2><(>09:05^^(금호고속)^^, {{{#0000ff 17:20}}}^^(속리산고속)^^ || ##||<-3><(>[[고속버스 성남-부산사상]] 참조. ## ##전 시간대 [[선산휴게소]] 발권 가능하다. ## ##09:05 → 중고생 할인이 적용된다. || ##}}} || ||<#0062bc> '''{{{#ffffff 선산휴게소[br]동대구}}}''' || 일 6회(월~목)[br]일 7회(금~일) || [[동양고속]][br][[속리산고속]] || ||<-3> {{{#!folding [ 상세정보 펼치기 · 접기 ] ||
<-3> '''{{{#ffffff 성남발 동대구행}}}''' || || '''{{{#ffffff 경유지}}}''' || '''{{{#ffffff 소요시간}}}''' || '''{{{#ffffff 운임}}}''' || ||<#0062bc> '''[[선산휴게소|{{{#ffffff 선산휴게소}}}]]''' || 2:05 || ₩ 15,000[br]₩ 22,000({{{#0000ff 우등}}}) || ||<#0062bc> '''[[서대구고속버스터미널|{{{#ffffff 서대구}}}]]''' ||<|2> 3:25 ||<|2> ₩ 20,000[br]₩ 29,500({{{#0000ff 우등}}})[br]₩ 32,400({{{#0000ff 심야우등}}}) || ||<#0062bc> '''[[신세계 동대구 복합환승센터/동대구터미널|{{{#ffffff 동대구}}}]]''' || ||<#0062bc> '''{{{#ffffff 운행시각표(월~목))}}}''' ||<-2><(>{{{#0000ff 06:40, 10:00^^(이상 동양고속)^^, 12:40^^(속리산고속)^^, 16:00}}}, 19:00, (심야){{{#0000ff 22:00^^(이상 동양고속)^^}}} || ||<#0062bc> '''{{{#ffffff 운행시각표(금~일))}}}''' ||<-2><(>{{{#0000ff 06:40, 10:00^^(이상 동양고속)^^, 11:40, 14:10^^(속리산고속)^^, 16:00}}}, 19:00, (심야){{{#0000ff 22:00^^(이상 동양고속)^^}}} || ||<-3><(>[[고속버스 성남-동대구]] 참조. 막차를 제외한 나머지 시간대 [[선산휴게소]] 발권 가능하다. 19:00 → 중고생 할인이 적용된다. || }}} || ##||<#0062bc> '''{{{#ffffff 선산휴게소[br]동대구}}}''' || 일 12회 || [[동양고속]][br][[속리산고속]] || ##||<-3> {{{#!folding [ 상세정보 펼치기 · 접기 ] ##||
<-3> '''{{{#ffffff 성남발 동대구행}}}''' || ##|| '''{{{#ffffff 경유지}}}''' || '''{{{#ffffff 소요시간}}}''' || '''{{{#ffffff 운임}}}''' || ##||<#0062bc> '''[[선산휴게소|{{{#ffffff 선산휴게소}}}]]''' || 2:05 || ₩ 15,000[br]₩ 22,000({{{#0000ff 우등}}}) || ##||<#0062bc> '''[[서대구고속버스터미널|{{{#ffffff 서대구}}}]]''' ||<|2> 3:25 ||<|2> ₩ 20,000[br]₩ 29,500({{{#0000ff 우등}}})[br]₩ 32,400({{{#0000ff 심야우등}}}) || ##||<#0062bc> '''[[신세계 동대구 복합환승센터/동대구터미널|{{{#ffffff 동대구}}}]]''' || ##||<#0062bc> '''{{{#ffffff 운행시각표}}}''' ||<-2><(>{{{#0000ff 06:40, 08:00}}}, 09:20^^(속리산고속)^^, {{{#0000ff 10:40, 12:00, 13:20}}}, 14:40^^(동양고속)^^, {{{#0000ff 15:50, 17:00, 18:00, 20:00}}}, (심야){{{#0000ff 22:00}}} || ##||<-3><(>[[고속버스 성남-동대구]] 참조. ## ##06:40 ~ 19:00 → [[선산휴게소]] 발권 가능하다. ## ##일반은 중고생 할인이 적용된다. || ##}}} || ||<#0062bc> '''{{{#ffffff 선산휴게소[br]마산ㆍ진해}}}''' || 일 2회 || [[동양고속]] || ||<-3> {{{#!folding [ 상세정보 펼치기 · 접기 ] ||
<-3> '''{{{#ffffff 성남발 진해행}}}''' || || '''{{{#ffffff 경유지}}}''' || '''{{{#ffffff 소요시간}}}''' || '''{{{#ffffff 운임}}}''' || ||<#0062bc> '''[[선산휴게소|{{{#ffffff 선산휴게소}}}]]''' || 2:05 || ₩ 22,000({{{#0000ff 우등}}}) || ||<#0062bc> '''[[마산고속버스터미널|{{{#ffffff 마산(고속)}}}]]''' || 3:50 || ₩ 35,900({{{#0000ff 우등}}}) || ||<#0062bc> '''[[진해시외버스터미널|{{{#ffffff 진해}}}]]''' || 4:20 || ₩ 37,200({{{#0000ff 우등}}}) || ||<#0062bc> '''{{{#ffffff 운행시각표}}}''' ||<-2><(>{{{#0000ff 07:30, 18:30}}} || ||<-3><(>[[고속버스 성남-진해]] 참조. 전 시간대 [[선산휴게소]] 발권 가능하다. 중고생 할인이 적용된다. * 단, 선산 발권 대상자는 제외 다른 시간의 경우 [[창원종합버스터미널|창원]] 노선으로 대체 가능하다. * [[진해시외버스터미널|진해]] : [[마산고속버스터미널|마산]] 발권 후 하차 → [[창원 버스 160|160번]][* 자유무역지역후문 정류장까지 도보 이동 후 이용], [[창원 버스 3002|3002번(좌석)]]의 노선 통해 환승하는 방법밖에 없다. 2019년 7월 29일부터 마산행 노선이 진해로 연장되면서 [[내서고속버스터미널|내서]]를 경유하지 않는다. 따라서 내서로 가고 싶은 승객은 [[선산휴게소]]에서 환승해야 한다. 단, [[설날]] 및 [[추석]]의 특송 기간일 경우 [[마산고속버스터미널|마산]] 발권 후 하차 → [[창원시 시내버스|시내버스]] 통해 환승하는 방법밖에 없다. 단, 막차 놓치면 창원의 막차(20:00)로 마산 발권 후 하차 → [[택시]] 를 이용할수밖에 없다. || }}} || ##||<#0062bc> '''{{{#ffffff 선산휴게소[br]마산ㆍ진해}}}''' || 일 3회(월~목)[br]일 4회(금~일) || [[동양고속]] || ##||<-3> {{{#!folding [ 상세정보 펼치기 · 접기 ] ##||
<-3> '''{{{#ffffff 성남발 진해행}}}''' || ##|| '''{{{#ffffff 경유지}}}''' || '''{{{#ffffff 소요시간}}}''' || '''{{{#ffffff 운임}}}''' || ##||<#0062bc> '''[[선산휴게소|{{{#ffffff 선산휴게소}}}]]''' || 2:05 || ₩ 22,000({{{#0000ff 우등}}}) || ##||<#0062bc> '''[[마산고속버스터미널|{{{#ffffff 마산(고속)}}}]]''' || 3:50 || ₩ 32,500({{{#0000ff 우등}}})[br]₩ 35,700({{{#0000ff 심야우등}}}) || ##||<#0062bc> '''[[진해시외버스터미널|{{{#ffffff 진해}}}]]''' || 4:20 || ₩ 33,700({{{#0000ff 우등}}})[br]₩ 37,000({{{#0000ff 심야우등}}}) || ##||<#0062bc> '''{{{#ffffff 운행시각표}}}''' ||<-2><(>{{{#0000ff 07:30, 15:00, 18:30}}}, (심야){{{#0000ff 22:00}}}^^(금~일)^^ || ##||<-3><(>[[고속버스 성남-진해]] 참조. ## ##금~일의 막차를 제외한 나머지 시간대 [[선산휴게소]] 발권 가능하다. ## ##중고생 할인이 적용된다. ## * 단, 선산 발권 대상자는 제외 ## ##다른 시간의 경우 [[창원종합버스터미널|창원]] 노선으로 대체 가능하다. ## * [[진해시외버스터미널|진해]] : [[마산고속버스터미널|마산]] 발권 후 하차 → [[창원 버스 160|160번]][* 자유무역지역후문 정류장까지 도보 이동 후 이용], [[창원 버스 3002|3002번(좌석)]]의 노선 통해 환승하는 방법밖에 없다. ## ##2019년 07월 29일부터 마산행 노선이 진해로 연장되면서 [[내서고속버스터미널|내서]]를 경유하지 않는다. 따라서 내서로 가고 싶은 승객은 [[선산휴게소]]에서 환승해야 한다. 단, [[설날]] 및 [[추석]]의 특송 기간일 경우 [[마산고속버스터미널|마산]] 발권 후 하차 → [[창원시 시내버스|시내버스]] 통해 환승하는 방법밖에 없는다. 단, 18:30 놓치면 마산 발권 후 하차(창원 노선 : 20:00 포함) → [[택시]]를 이용할 수 밖에 없다. || ##}}} || ||<#0062bc> '''{{{#ffffff 선산휴게소[br]마산ㆍ창원}}}''' || 일 4회 || [[동양고속]][br][[중앙고속]] || ||<-3> {{{#!folding [ 상세정보 펼치기 · 접기 ] ||
<-3> '''{{{#ffffff 성남발 창원행}}}''' || || '''{{{#ffffff 경유지}}}''' || '''{{{#ffffff 소요시간}}}''' || '''{{{#ffffff 운임}}}''' || ||<#0062bc> '''[[선산휴게소|{{{#ffffff 선산휴게소}}}]]''' || 2:05 || ₩ 15,000[br]₩ 22,000({{{#0000ff 우등}}}) || ||<#0062bc> '''[[마산고속버스터미널|{{{#ffffff 마산(고속)}}}]]''' || 3:50 || ₩ 24,200[br]₩ 35,900({{{#0000ff 우등}}}) || ||<#0062bc> '''[[창원종합버스터미널|{{{#ffffff 창원}}}]]''' || 3:50 || ₩ 24,300[br]₩ 36,100({{{#0000ff 우등}}}) || ||<#0062bc> '''{{{#ffffff 운행시각표}}}''' ||<-2><(>{{{#0000ff 09:00^^(중앙고속)^^, 13:00}}}, 16:30, {{{#0000ff 20:00^^(이상 동양고속)^^}}} || ||<-3><(>[[고속버스 성남-창원]] 참조. 막차를 제외한 나머지 시간대 [[선산휴게소]] 발권 가능하다. 중고생 할인이 적용된다. * 단, 선산 발권 대상자는 제외 다른 시간의 경우 [[진해시외버스터미널|진해]] 노선으로 대체 가능하다. * [[창원종합버스터미널|창원]] : [[마산고속버스터미널|마산]] 발권 후 하차 → [[창원 버스 106|106번]], [[창원 버스 108|108번]][*참고/주의. [[창원 NC 파크|야구장]]앞홈플러스 정류장까지 걸어야 한다.(단, 106번은 예외)]의 노선 통해 환승하는 방법밖에 없다. 주의. [[창원역]]을 경유하지 않으며, 마산 또는 창원 발권 후 하차 → [[창원시 시내버스|시내버스]] 통해 환승하는 방법밖에 없다. || }}} || ##||<#0062bc> '''{{{#ffffff 선산휴게소[br]마산ㆍ창원}}}''' || 일 5회 || [[동양고속]][br][[중앙고속]] || ##||<-3> {{{#!folding [ 상세정보 펼치기 · 접기 ] ##||
<-3> '''{{{#ffffff 성남발 창원행}}}''' || ##|| '''{{{#ffffff 경유지}}}''' || '''{{{#ffffff 소요시간}}}''' || '''{{{#ffffff 운임}}}''' || ##||<#0062bc> '''[[선산휴게소|{{{#ffffff 선산휴게소}}}]]''' || 2:05 || ₩ 13,800[br]₩ 20,200({{{#0000ff 우등}}}) || ##||<#0062bc> '''[[마산고속버스터미널|{{{#ffffff 마산(고속)}}}]]''' || 3:50 || ₩ 21,900[br]₩ 32,500({{{#0000ff 우등}}}) || ##||<#0062bc> '''[[창원종합버스터미널|{{{#ffffff 창원}}}]]''' || 3:50 || ₩ 22,100[br]₩ 32,800({{{#0000ff 우등}}}) || ##||<#0062bc> '''{{{#ffffff 운행시각표}}}''' ||<-2><(>{{{#0000ff 09:00, 11:00, 13:00}}}, 16:30, {{{#0000ff 20:00}}} || ##||<-3><(>[[고속버스 성남-창원]] 참조. ## ##막차를 제외한 나머지 시간대 [[선산휴게소]] 발권 가능하다. ## ##중고생 할인이 적용된다. ## * 단, 선산 발권 대상자는 제외 ## ##다른 시간의 경우 [[진해시외버스터미널|진해]] 노선으로 대체 가능하다. ## * [[창원종합버스터미널|창원]] : [[마산고속버스터미널|마산]] 발권 후 하차 → [[창원 버스 108|108번]] 또는 [[창원 버스 801|801번(급행좌석)]][*참고/주의. [[메트로시티|메트로시티2단지]].삼성버킹궁아파트의 정류장까지 걸어야 한다.(단, 108번은 예외)]의 노선 통해 환승하는 방법밖에 없다. ## ##주의. [[창원역]]을 경유하지 않으며, 마산 또는 창원 발권 후 하차 → [[창원시 시내버스|시내버스]] 통해 환승하는 방법밖에 없다. || ##}}} || ||<#0062bc> '''{{{#ffffff 금산인삼랜드휴게소[br]진주}}}''' || 일 5회 || [[동양고속]][br][[중앙고속]] || ||<-3> {{{#!folding [ 상세정보 펼치기 · 접기 ] ||
<-3> '''{{{#ffffff 성남발 진주행}}}''' || || '''{{{#ffffff 경유지}}}''' || '''{{{#ffffff 소요시간}}}''' || '''{{{#ffffff 운임}}}''' || ||<#0062bc> '''[[금산인삼랜드휴게소|{{{#ffffff 금산인삼랜드휴게소}}}]]''' || 1:45 || ₩ 12,700[br]₩ 18,500({{{#0000ff 우등}}}) || ||<#0062bc> '''[[개양정류장|{{{#ffffff 개양}}}]]''' || 3:25 ||<|2> ₩ 22,800[br]₩ 33,900({{{#0000ff 우등}}}) || ||<#0062bc> '''[[진주고속버스터미널|{{{#ffffff 진주(고속)}}}]]''' || 3:40 || ||<#0062bc> '''{{{#ffffff 운행시각표}}}''' ||<-2><(>{{{#0000ff 10:00, 13:00}}}, 15:30^^(동양고속)^^ || ||<-3><(>[[고속버스 성남-진주]] 참조. 전 시간대 [[금산인삼랜드휴게소]] 발권 가능하다. 중고생 할인이 적용된다. 13:00의 경우 운행 다이어에 따라 [[동양고속]]이 운행하는 날도 있고, [[중앙고속]]이 운행하는 날도 있다. [[진주고속버스터미널|진주]]행을 동양고속이 운행하면 성남행을 중앙고속이 운행하며, 반대로 진주행을 중앙고속이 운행하면 성남행을 동양고속이 운행한다. 다시 말해, 진주행이 전자라면 성남행은 후자로 운행하고, 진주행이 후자라면 성남행은 전자로 운행한다. 양 방향의 출발 시간이 동일하며, [[전국고속버스운송사업조합|KOBUS]] 통해 날짜 별로 조회하는 방법밖에 없다. * 예). 진주행([[개양정류장|개양]]경유) → 성남행([[진주혁신도시 정류소|진주혁신도시]] 경유) || ||<-3> '''{{{#ffffff 성남발 진주행}}}''' || || '''{{{#ffffff 경유지}}}''' || '''{{{#ffffff 소요시간}}}''' || '''{{{#ffffff 운임}}}''' || ||<#0062bc> '''[[금산인삼랜드휴게소|{{{#ffffff 금산인삼랜드휴게소}}}]]''' || 1:45 || ₩ 18,500({{{#0000ff 우등}}}) || ||<#0062bc> '''[[진주혁신도시 정류소|{{{#ffffff 진주혁신도시}}}]]''' || 3:25 ||<|2> ₩ 33,900({{{#0000ff 우등}}}) || ||<#0062bc> '''[[진주고속버스터미널|{{{#ffffff 진주(고속)}}}]]''' || 3:40 || ||<#0062bc> '''{{{#ffffff 운행시각표}}}''' ||<-2><(>{{{#0000ff 07:30, 18:30}}} || ||<-3><(>[[고속버스 성남-진주]] 참조. 전 시간대 [[금산인삼랜드휴게소]] 발권 가능하다. 중고생 할인이 적용된다. 전 시간대를 운행 다이어에 따라 [[동양고속]]이 운행하는 날도 있고, [[중앙고속]]이 운행하는 날도 있다. [[진주고속버스터미널|진주]]행을 동양고속이 운행하면 성남행을 중앙고속이 운행하며, 반대로 진주행을 중앙고속이 운행하면 성남행을 동양고속이 운행한다. 다시 말해, 진주행이 전자라면 성남행은 후자로 운행하고, 진주행이 후자라면 성남행은 전자로 운행한다. 양 방향의 출발 시간이 동일하며, [[전국고속버스운송사업조합|KOBUS]] 통해 날짜 별로 조회하는 방법밖에 없다. * 예). 진주행([[진주혁신도시 정류소|혁신도시]] 경유) → 성남행([[개양정류장|개양]] 경유) → 진주행(혁신도시 경유) || }}} || ##||<#0062bc> '''{{{#ffffff 금산인삼랜드휴게소[br]진주}}}''' || 일 5회 || [[동양고속]][br][[중앙고속]] || ##||<-3> {{{#!folding [ 상세정보 펼치기 · 접기 ] ##||
<-3> '''{{{#ffffff 성남발 진주행}}}''' || ##|| '''{{{#ffffff 경유지}}}''' || '''{{{#ffffff 소요시간}}}''' || '''{{{#ffffff 운임}}}''' || ##||<#0062bc> '''[[금산인삼랜드휴게소|{{{#ffffff 금산인삼랜드휴게소}}}]]''' || 1:45 || ₩ 11,100[br]₩ 18,500({{{#0000ff 우등}}}) || ##||<#0062bc> '''[[개양정류장|{{{#ffffff 개양}}}]]''' || 3:25 ||<|2> ₩ 20,700[br]₩ 33,900({{{#0000ff 우등}}}) || ##||<#0062bc> '''[[진주고속버스터미널|{{{#ffffff 진주(고속)}}}]]''' || 3:40 || ##||<#0062bc> '''{{{#ffffff 운행시각표}}}''' ||<-2><(>10:00, {{{#0000ff 13:00}}}, 15:30 || ##||<-3><(>[[고속버스 성남-진주]] 참조. ## ##전 시간대 [[금산인삼랜드휴게소]] 발권 가능하다. ## ##중고생 할인이 적용된다. || ##||<-3> '''{{{#ffffff 성남발 진주행}}}''' || ##|| '''{{{#ffffff 경유지}}}''' || '''{{{#ffffff 소요시간}}}''' || '''{{{#ffffff 운임}}}''' || ##||<#0062bc> '''[[금산인삼랜드휴게소|{{{#ffffff 금산인삼랜드휴게소}}}]]''' || 1:45 || ₩ 18,500({{{#0000ff 우등}}}) || ##||<#0062bc> '''[[진주혁신도시 정류소|{{{#ffffff 진주혁신도시}}}]]''' || 3:25 ||<|2> ₩ 33,900({{{#0000ff 우등}}}) || ##||<#0062bc> '''[[진주고속버스터미널|{{{#ffffff 진주(고속)}}}]]''' || 3:40 || ##||<#0062bc> '''{{{#ffffff 운행시각표}}}''' ||<-2><(>{{{#0000ff 07:30, 18:30}}} || ##||<-3><(>[[고속버스 성남-진주]] 참조. ## ##전 시간대 [[금산인삼랜드휴게소]] 발권 가능하다. ## ##중고생 할인이 적용된다. || ##}}} || ##||<#0062bc> '''{{{#ffffff 금산인삼랜드휴게소[br]통영}}}''' || 일 2회 || [[고려여객]][br][[속리산고속]] || ##||<-3> {{{#!folding [ 상세정보 펼치기 · 접기 ] ##||
<-3> '''{{{#ffffff 성남발 통영행}}}''' || ##|| '''{{{#ffffff 경유지}}}''' || '''{{{#ffffff 소요시간}}}''' || '''{{{#ffffff 운임}}}''' || ##||<#0062bc> '''[[금산인삼랜드휴게소|{{{#ffffff 금산인삼랜드휴게소}}}]]''' || 1:45 || ₩ 16,600({{{#0000ff 우등}}}) || ##||<#0062bc> '''[[통영종합버스터미널|{{{#ffffff 통영}}}]]''' || 3:55 || ₩ 34,600({{{#0000ff 우등}}}) || ##||<#0062bc> '''{{{#ffffff 운행시각표}}}''' ||<-2><(>{{{#0000ff 09:30^^(속리산고속)^^, 17:30^^(고려여객)^^}}} || ##||<-3><(>[[고속버스 성남-통영]] 참조. ## ##전 시간대 [[금산인삼랜드휴게소]] 발권 가능하다. ## ##[[고려여객]]도 [[티머니]] [[E-Pass]]가 장착되어 수동으로 검표하지 않는다. || ##}}} || === [[시외버스]] === ==== 수도권 ==== || 행선지 || 경유지 || 업체 || 배차 || 요금 || 비고 || || [[인천종합터미널|인천]] || [[모란역]] || [[대원고속]] || 23~27회 || 4,400원 || [[시외버스 8806|8806번]] || ## || --[[시흥종합버스터미널|시화]]-- || --군포, 대야미, [[상록수역]], 한양대, [[안산종합버스터미널|안산]], [[안산역]]-- || --[[선진고속 ]]--[[]] || --4회-- || --5,900원(시화)-- || --[[시외버스 8467|8467번]]--{{{#Red (결행)}}} || ## || --[[부평역|부평]]-- || --모란역, [[부천종합터미널|부천]]-- || --[[선진고속(안산)|선진고속]]-- ||-- 30~40분-- || --3,000원-- || --[[시외버스 8414|8414번]]--{{{#Red (결행)}}} || * 안성행 시외버스가 2021년 10월 11일에 [[직행좌석버스(경기도)|직행좌석버스]]로 전환되었다. 성남에서 안성으로 가기 위해서는 터미널 밖으로 나가서 [[야탑역|야탑역]].종합버스터미널(전면) 정류장에서 광역 버스 [[경기광주 버스 8201|8201번]]을 이용해야 한다. * 2022년 9월 1일에 직행좌석버스 [[경기광주 버스 6801|6801번]]이 신설됨에 따라, 성남터미널~[[평택터미널]]을 운행하던 시외버스 노선은 폐지되었다. 단, 광역버스 6801번의 시종점은 평택터미널이 아닌 [[평택지제역]]이다. * 2023년 4월 1일 성남터미널 ~ [[오산역환승센터]] ~ [[송탄시외버스터미널|송탄터미널]]을 운행하던 노선이 광역버스 [[경기광주 버스 8301|8301번]]으로 변경되었다. 이제 성남터미널에서 출발하는 수도권 노선은 인천행 단 1개 뿐이다. ==== 강원권 ==== * {{{#Orange 주황색}}} 글씨는 시외우등 노선, {{{#skyblue 하늘색}}} 글씨는 일부시간대 시외우등이 투입되는 노선이다. || 행선지 || 경유지 || 업체 || 배차 || 요금 || 비고 || || [[춘천시외버스터미널|{{{#orange 춘천}}}]] || [[가천대역 환승 정류장|가천대학교]] || [[강원고속]]ㆍ[[대원고속]] || [[시외버스 춘천-성남|10회]] || 11,700원(우등) || 시외우등 || || [[원주종합버스터미널|원주]] || 문막 || [[경기고속]]ㆍ[[대원고속]] || [[시외버스 원주-성남|15회]][* 3회는 문막을 경유하지 않는 직통] || 11,000원(원주)[br]9,300원(문막) || [* 원주 종착이 13회, 원주를 지나 제천 종착 및 영월 종착{{{-2 (제천 경유)}}}은 각 1회] || || [[강릉시외버스터미널|{{{#orange 강릉}}}]] || 무정차 || [[경기고속]] || [[시외버스 8212|8회]] || 22,600원(우등) || - || || [[속초시외버스터미널|{{{#skyblue 속초}}}]] || [[원통버스터미널|원통]] || [[금강고속]] || 6회 || 26,500원(우등/속초)[br]22,100원(일반/속초) || - || || [[삼척종합버스정류장|{{{#Orange 삼척}}}]] || [[동해종합버스터미널|동해]] || [[경기고속]]ㆍ[[대원고속]]ㆍ--[[강원여객]]-- || 6회 || 30,200원(삼척)[br]27,200원(동해) || 시외우등 || ## || --[[정선버스터미널|정선]]--[* 부천 출발이다.] || --문막, [[원주종합버스터미널|원주]], 쌍룡, 연당, [[영월시외버스터미널|영월]], 문곡, 미탄-- || --[[경기고속]]-- || --1회-- || -- 22,300원-- || {{{#Red 결행}}} || ## || --[[태백버스정류장|{{{#Orange 태백}}}]]-- || --고한/[[원주시외버스터미널|원주]], 신림, 주천, [[영월버스터미널|영월]], 석항, 녹전-- || --[[경기고속]]ㆍ[[화성고속]]-- || --7회 --[* 고한 경유 6회, 완행 1회] || --20,300원/26,400원-- || {{{#Red 결행}}} || ## || --[[영월시외버스터미널|영월]]-- || --문막, [[원주종합버스터미널|원주]], 신림, 황둔, 주천-- || --[[경기고속]]-- || --4회-- || --17,400원-- || {{{#Red 결행}}} || || [[홍천터미널|홍천]] || [[양평시외버스터미널|양평]] || [[금강고속]] || 4회 || 12,900원(홍천)[br]6,200원(양평) || - || ## || ~~와수리~~ || ~~[[장지역]]. [[가락시장역]], [[잠실역]], 장현, 포천, 양문, 운천, 신철원~~ || ~~[[경기고속]]~~ || ~~1일 4회~~ || ~~11,000원~~ || {{{#Red 결행}}} || ==== 충청권 ==== * {{{#Orange 주황색}}} 글씨는 시외우등 노선, {{{#skyblue 하늘색}}} 글씨는 일부시간대 시외우등이, {{{#purple 보라색}}} 글씨는 일부시간 프리미엄이 투입되는 노선이다. || 행선지 || 경유지 || 업체 || 배차 || 요금 || 비고 || || [[대전복합터미널|{{{#purple 대전}}}]] || 무정차 || [[중부고속]]ㆍ[[금남고속]] || 17회 || 20,500원([[프리미엄 버스|프리미엄]])[br]15,700원(우등) || 전환고속[br][[고속버스 대전복합-성남|상세]] || || [[유성시외버스정류소|{{{#purple 유성}}}]] || [[둔산시외버스정류소|정부대전청사(둔산동)]] || [[금남고속]]ㆍ[[중부고속]] || 15회 || 20,500원([[프리미엄 버스|프리미엄]])[br]15,700원(우등) || 전환고속[br][[고속버스 유성-성남|상세]] || || [[천안종합버스터미널|{{{#skyblue 천안}}}]] || 무정차 || [[금남고속]]ㆍ[[중부고속]]ㆍ[[한양고속]] || 29회 || 8,500원(우등)[br]6,500원(일반) || [[시외버스 성남-천안|상세]] || || [[청주시외버스터미널|{{{#skyblue 청주}}}]] || 무정차 || [[삼흥고속]] || 20회 || 12,700원(우등)[br] 9,800원(일반) || [[시외버스 성남-청주|상세]] || || [[제천시외버스터미널|{{{#orange 제천}}}]] || 무정차 || [[대원고속]] || 6회[br](금 8회, 토,일 7회) || 16,100원(우등) || - || || [[세종고속시외버스터미널|{{{#orange 세종}}}]] || 세종청사 || [[금남고속]]ㆍ[[중부고속]] || 5회 || 15,600원(우등)[br]14,700원(우등/세종청사) || - || || [[아산시외버스터미널|{{{#skyblue 아산}}}]] || 배방정류소 || [[한양고속]]ㆍ[[금남고속]] || 4회 || 11,700원원(우등)[br]9,000원(일반) || - || || [[태안공영버스터미널|{{{#orange 태안}}}]] || 기지시, [[당진공영버스터미널|당진]], 구룡동, 운산, 음암, [[서산공용버스터미널|서산]], 어송리 || [[한양고속]]ㆍ[[충남고속]] || 6회 || 17,800원(태안)[br]16,000원(서산)[br]10,600원(당진) || [[시외버스 성남-태안|상세]] || || [[안면공용정류장|{{{#orange 안면도}}}]] || 기지시, [[당진공영버스터미널|당진]], 구룡동, 운산, 음암, [[서산공용버스터미널|서산]], [[태안공영버스터미널|태안]], 남면, 창기리 || [[한양고속]]ㆍ[[충남고속]] || 2회 || 23,900원 || - || ## || --[[보령시외버스터미널|보령]]-- || --고덕, [[내포신도시고속시외버스정류소|내포(충남도청)]], [[홍성종합터미널|홍성]], 광천-- || --[[충남고속]], [[한양고속]]-- || -- 4회 -- || --11,600원-- || {{{#Red 결행}}} || || [[논산시외버스터미널|논산]] || [[천안종합버스터미널|천안]], 광정, 석송, 모란, [[공주종합버스터미널|공주]] || [[금남고속]] || 1회 || 18,400원 || - || ## || --[[부여시외버스터미널|부여]]-- || --[[천안종합버스터미널|천안]], [[공주종합버스터미널|공주]]-- || --[[금남고속]]-- || --2회-- || --12,900원-- || {{{#Red 결행}}} || ## || --[[단양시외버스터미널|단양]]-- || --문막, [[원주시외버스터미널|원주]]-- || --[[경기고속]]-- || --2회-- || --17,400원-- || {{{#Red 결행}}} || ## || --[[진천종합터미널|진천]]-- || --백암, 죽산, 두원공대, 광혜원, 이월-- || --[[경일여객]]-- || --4회-- || --8,900원-- || {{{#Red 결행}}} || || [[충주공용버스터미널|충주]] || 일죽, 생극 || [[경기고속]] || 2회[br](목,금,토,일 4회) || 13,300원 || - || || [[수안보시외버스정류장|수안보]] || 일죽, 생극, 충주 || [[경기고속]] || 1회[br](목,금,토,일 2회) || 16,000원 || - || || [[건국터미널|건국대학교 글로컬캠퍼스]] || 일죽, 생극, 용원, 주덕, 충주 || [[경기고속]] || 1회[br](목,금,토,일 3회) || 13,300원 || - || ==== 영남권 ==== * {{{#Orange 주황색}}}글씨는 시외우등 노선, {{{#skyblue 하늘색}}}글씨는 일부시간대 시외우등이 투입되는 노선이다. || 행선지 || 경유지 || 업체 || 배차 || 요금 || 비고 || || [[안동터미널|{{{#Orange 안동}}}]][* [[시외버스 성남-안동]] 참조.] || [[풍기IC 터미널|풍기]], [[영주종합터미널|영주]] || [[코리아와이드 경북]]ㆍ[[경기고속]] || 6회 || 18,100원(풍기)[br]20,200원(영주)[br]27,400원(안동) || 시외우등 || || [[김해여객터미널|{{{#orange 김해}}}]][* 원래 직통과 [[구미종합터미널|구미]]경유가 있었는데 직통노선 돌리시던 분께서 [[김천공용버스터미널|김천]] 경유로 노선변경을 하려고 했는데 무기한 보류하셨다는듯 하다.][* [[시외버스 성남-김해]] 참고.] || [[구미종합터미널|구미]] || [[코리아와이드 경북]] || 2회 || 23,200원(구미)[br]38,900원(김해) || 시외우등 || || [[상주종합버스터미널|{{{#orange 상주}}}]] || 문경, [[점촌시외버스터미널|점촌]] || [[대원고속]] || 점촌 6회[br]상주 5회 || 16,700원(문경)[br]20,800원(점촌)[br]24,900원(상주) || 시외우등 || || [[포항터미널|{{{#orange 포항}}}]] || [[경주시외버스터미널|경주]] || --[[아성고속]]--ㆍ[[천마고속]]ㆍ[[대원고속]] || 3회 || 32,100원(경주)[br]37,600원(포항) || 시외우등 || || [[울산시외버스터미널|{{{#Orange 울산}}}]] || 무정차 || [[아성고속]]ㆍ--[[천마고속]]--ㆍ--[[경기고속]]-- || 1회 || 36,800원 || 시외우등 || ## || --[[해운대시외버스정류소|{{{#Orange 해운대}}}]]-- || --좌천-- || --[[대원고속]]-- || --1일 2회-- || {{{#Red 결행}}} || [[경산시]], [[청도군]], [[밀양시]], [[김천시]] 등과 같이 [[철도]] 강세 지역이다 보니 노선이나 횟수는 많이 빈약하다. [[분당선]] 타고 [[수원역]] 가서 [[경부선]]을 이용하던가 아니면 수서역에서 [[SRT]]를 이용하면 된다. ==== 호남권 ==== * {{{#Orange 주황색}}}글씨는 시외우등 노선, {{{#skyblue 하늘색}}}글씨는 일부시간대 시외우등이 투입되는 노선이다. || 행선지 || 경유지 || 업체 || 배차 || 요금 || 비고 || ## || --[[목포종합버스터미널|{{{#skyblue 목포}}}]]-- || --[[영광종합터미널|영광]], [[무안여객자동차터미널|무안]]-- || --[[금호고속]]ㆍ[[대한고속]]-- || --3회--[* 무안 경유 1회] || {{{#Red 결행}}} || ## || --[[정읍종합버스터미널|{{{#Orange 정읍}}}]]-- || --무정차-- || --[[경기고속]]-- || --3회-- || {{{#Red 결행}}} || || [[여수종합버스터미널|{{{#skyblue 여수}}}]] || [[순천종합버스터미널|순천]] || [[금호고속]]ㆍ[[경기고속]]ㆍ--[[전북고속]]-- || 4회[br](금,토,일 5회) || 30,400원(순천)[br]36,900원(여수) || [[시외버스 성남-여수]] 참조 || || [[중마버스터미널|{{{#Orange 동광양}}}]] || [[수원버스터미널|수원]], [[광양터미널|광양]] || [[대원고속]] || 3회 || 38,000원 || 시외우등 || ## || --[[부안시외버스터미널|부안]]-- || --[[익산공용버스터미널|익산]], [[김제시외버스터미널|김제]]-- || -- [[금남고속]]-- || --2회-- || {{{#Red 결행}}} || || [[군산시외버스터미널|{{{#skyblue 군산}}}]] || 무정차 || [[경기고속]]ㆍ--[[금남고속]]--ㆍ--[[충남고속]]-- || 3회[br](금 4회, 토,일 6회, 월 5회) || 23,000원 || 시외우등 || ## || --[[강진버스여객터미널|{{{#Orange 강진}}}]]-- || --[[나주버스터미널|나주]], [[영암시외버스터미널|영암]]-- || --[[금호고속]]--[* 금호고속 2팀(직행부)에서 운행하는 시외버스이므로 [[티머니]] [[E-Pass]] 미장착 차량 투입 시 수동으로 검표한다.] || --1일 2회-- || {{{#Red 결행}}} || ==# 버스 승차홈(폐업 전) #== ===# [[고속버스]] #=== * 1번: 진주, --통영-- * 2번: 마산, 창원, 진해 * 3번: 부산, 부산사상, 해운대[* 참고로 고속버스는 아닌데 부산지역이 없다 보니...] * 4번: 대구 * 5번: 전주 * 6번: 광주 ===# 시외버스 #=== * --7번: 장지역, 잠실, 의정부, 덕계, 동두천, 소요산, 전곡, 연천, 운천, 신철원, 와수리--[* 2020년 1월 부터 운휴.] * 8번: 송탄, 평택, 평택대, 오산 * 9번: 죽산, 광혜원, 두원대, 이월, 진천, 청주 * 10번: 일죽, 생극, 주덕, 충주, 수안보, 건국대, 제천, 대소, 음성 * 11번: 양평, 홍천, 원통, 속초, 춘천 * 12번: 원주, --신림, 주천--, 영월, 신고한, --상동--, 태백, --단양, 정선--, 장평, 진부, 횡계, 강릉, --동해, 삼척-- * 13번: --이천, 부발, 능서, 여주--, 문막, --고양(화정)-- * 14번: 대전, 유성, 대전청사, 세종, 세종청사 * 15번: 천안, 광천, 태안, 논산, 서대전, 아산, 보령, 안면도, 강경, 부여, 예산, 당진, 합덕, --서천--, 광천, 홍성, 내포, 구룡동, 운산, 서산, --장항--, 공주 * 16번: 익산, 광양, --목포, 김제--, 군산, 삼호, --부안, 영광, 해남, 정읍, 무안--, 순천, 여수, --나주, 영암, 강진-- * 17번: 문경, 점촌, 상주, --용궁, 예천--, 구미, 경주, 포항, 울산, 영주, 안동, 김해 * 18번: 군포, 상록수, 예술인아파트, 중앙동, 안산시청, 안산역, 시화공단 * 19번: 예비홈 * 20번: 인천(관교동), 부평역, 부천(소풍) == 중간정류소 == * [[모란역]] 정류소 == 사건사고 == [[2015년]] [[4월]] 건물 유지비 등의 체납 문제로 터미널 내 전기 공급이 차단되었다. 이 때문에 정상적인 발권 업무이 불가하므로 모든 창구가 폐쇄됐다. 임시 방편으로 무인 발권기를 이용하거나, 임시로 마련된 창구에서 티켓팅을 할 수 있으나 현금 결제는 불가하고 신용카드만 이용할 수 있다. [[http://blog.naver.com/yggoodday/220344604670|#]] 성남터미널은 경매에 넘겨진 상태며, 정상화까지 오랜 시일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2015년 [[7월]] 말부터 터미널이 정상화되어 창구에서 예매 및 발권이 가능하다. 예매는 그 동안 발권했던 [[버스연합회]]가 아닌 [[터미널협회]]에서 예매해야 한다. 2016년 6월 8일부터는 예매가 [[https://txbus.t-money.co.kr/|티머니]] [[시외버스]] 예매 홈페이지로 변경된다. [[고속버스]] 측은 중간에 터미널 사업자가 바뀐 듯하다. [[고속버스]] [[승차권]] 좌측 하단 기준으로 지엠코리아 or 지엠지 → 엔에스피 === 2022년 [[코로나19]]로 인한 터미널 휴업 소동 === 터미널 개장 초기부터 유치권 행사 등으로 사정이 좋지 않았던 터미널이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19]]가 겹치면서 경영난에 결정타를 먹고 터미널이 휴업을 선언했다가 철회하는 소동이 있었다. 2021년 12월 13일 코로나19 및 교통여건 변화에 따른 이용객의 감소로 '''2022년 1월 1일 부로 1년 간 휴업에 들어간다는 공지가 게시되었다.''' 이에 따라 1월부터 매표실, 대합실, 승하차장 등 터미널 시설은 일시 중단되며 사용할 수 없다고 공지하였다. [[http://www.newseongnamterminal.co.kr/customer/notice_content.aspx?code=notice&snum=33|공식자료]] 진짜로 그렇게 되면 성남시는 시외교통 자체가 전멸해버린다. 그나마 [[SRT]]는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수인·분당선]]을 타면 [[수서역]]에서 이용할 수 있다지만, 일반열차는 애초에 없었으며[* 이것도 수서역과 마찬가지로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수인·분당선]]을 타고 [[수원역]]에서 이용할 순 있다.] 그나마 있던 단거리 시외버스를 제외한 중장거리 시외, 고속버스 자체가 없어지는 것이다. 성남시 전체가 [[부천시/교통|서울 바로 옆의 외딴섬]]이 되는 거나 매한가지다. 성남시에서는 터미널 운영업체에 1억 3000만 원 규모의 성남형 5차 연대안전기금을 특별 지원하고, 내년엔 경기도와 공동으로 터미널형 경기버스 라운지조성 사업비 9억 6,000만 원과 터미널 시설개선사업비 4억 원도 지원하는 등 터미널의 휴업을 막기 위한 대책 마련에 나섰다. 다행스럽게도 12월 21일 터미널 대표와 성남시 및 관련기관이 협의한 결과, 휴업을 철회하고 터미널을 정상 운영하게 되었다. [[http://www.newseongnamterminal.co.kr/customer/notice_content.aspx?code=notice&snum=34|휴업 철회에 대한 터미널측 안내문]] [[https://www.seongnam.go.kr/city/1000060/30005/bbsView.do?currentPage=1&searchSelect=&searchWord=&searchOrganDeptCd=&searchCategory=&subTabIdx=&idx=249618|휴업 철회에 대한 성남시 보도자료]] === 2023년 터미널 폐업 및 임시터미널 전환 === 그러나 버스 이용객 감소와 유치권 분쟁, 심한 적자로 인해 휴업을 철회한 지 약 1년 만에 낸 폐업 신고가 승인되어 '''2023년 1월 1일부터 폐쇄'''되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4/0004940115?sid=102|기사]][* 무기한 폐쇄되는 구역은 건물 내 터미널 부분(1층과 지하1층)이며, 같은 건물을 쓰는 홈플러스 야탑점(3층)과 [[CGV 야탑]](지하2층), 그 외 테마폴리스 내에 딸려있는 상가 등은 남아 있게 된다.] [[파일:성남터미널 폐업 안내.jpg]] 폐업 이유는 '이용객 감소로 인한 적자'이다. 2019년 하루 평균 6700명이던 터미널 이용객 수는 2022년 3500명으로 47.7%가량 줄어들었다. 또한, 2016년 12월 [[SRT]]의 개통과 2016년 9월 [[수도권 전철 경강선|경강선]][* 성남터미널 주력 노선중 하나였던 [[시외버스 8417|이천 노선]]이 전성기 30분 간격 배차에서 일 1회 운행으로 대폭 감편되었으며, 한때 1일 14회 운행하던 여주 노선은 아예 폐선되었다.]의 개통으로 대체 교통수단이 생기면서 이용객의 상당수가 이탈했다.[* 여담으로 같은 [[경기도]]에 있는 [[부천종합터미널]]도 비슷한 이유로 이용객의 상당수가 이탈했다. 그나마 부천의 경우에는 뉴코아백화점 수익으로 버티고 있지만.] 승객 감소가 노선 및 배차의 감편으로 이어지고, 그로 인해 이용하고 싶은 시간에 운행편이 없어지자 다른 교통수단을 이용하게 되면서 승객이 더 감소하는 악순환이 계속된 끝에 결국 경영난을 버티지 못하게 된 것이다. 테마폴리스 건물 자체가 문을 닫는 건 아니다. [[홈플러스 야탑점]](3층)과 [[CGV 야탑]](지하 2층)은 영업을 계속할 예정이다.[* 홈플러스 야탑점은 2023년 1월 12일 리뉴얼 오픈했다.] [[수서광주선]] [[모란역]]과 [[중부내륙선]] [[KTX-이음]]이 [[판교역(성남)|판교역]]과 문경으로 연장 되면 성남터미널은 미래가 더 암울할 전망이다. 앞으로도 [[테마폴리스]] 소유자와 임대료 및 관리비 문제 등도 해결되어야 할 것이기에 갈 길이 멀다. 아예 북미처럼 임시터미널을 정식터미널로 바꾸어서 계속 영업해야 할 가능성도 있다.[* 북미에서는 이렇게 노상에서 고속버스를 승하차하는게 흔하다. 정확히는 폿말만 하나 세워두고 승객을 승하차한다. 심지어 폿말도 없는 경우도 있어서 위치를 잘 확인해야 한다.] 차라리 시외·고속버스를 판교역 앞에 세우는 게 나을 수도 있다. [[익산역#s-6.2|익산]]이나 [[신세계 동대구 복합환승센터|동대구]]처럼 KTX-버스 환승을 유도하는 것. 다만 판교의 경우 분당신도시와 성남 원도심 등 기존의 성남 지역과는 연계교통이 부실한 편이라서 문제가 있기는 하다. [[분류:경기도의 버스 터미널]][[분류:성남시의 교통]][[분류:분당신도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