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성남시)] [include(틀:성남시의 교통)] [목차] == [[철도]] == === 일반철도 및 [[고속철도]] === [[수서평택고속선]]이 지하로 관통하지만 관내 정차역이 없다. 과거엔 [[분당선]] 등 수도권 전철 이외의 광역철도교통을 이용하기가 쉽지 않아 [[시외버스 8446|시외버스]]를 이용하여 [[광명역]]까지 가거나, 전철 혹은 [[서울 버스 9401|9401번]], [[성남 버스 9000|9000번]] 등의 [[광역버스]]를 이용하여 [[서울역]]까지 가야만 했으나, 2016년 12월 9일 SRT의 개통으로 성남시 인근 [[수서역]]에서 [[SRT]] 고속열차를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특히 [[수서역]]의 경우 성남시 전역에서 접근성이 좋은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수서역]]과 연결되어있어 더욱 편리한 이용이 가능하다는 특징이 있다. 다만 SRT는 호남선과 경부선만 운행하기 때문에 강릉선, 경전선, 동해선, 전라선을 이용할 경우 여전히 [[서울역]], [[용산역]] 등지로 가거나 SRT를 타고 가서 다른 역에서 환승해야 한다. 하지만 여전히 일반철도 접근성은 좋지 않다. [[무궁화호]] 등 일반열차를 이용하는 경우 [[수인분당선]], [[수원 버스 2007]] 등을 타고 [[수원역]]까지 가야만 한다. [[경강선]] 월곶-판교 구간, 여주-원주 구간 및 [[중부내륙선]] 개통 시 [[판교역(성남)|판교역]]에 [[KTX-이음]]이 정차한다는 계획이 있으며 이 경우 성남시 최초의 고속철도 정차역이 되며, [[원주역]], [[강릉역]], [[충주역]] 방면 철도 접근성이 크게 향상될 것이다. === [[광역철도]] 및 [[지하철|도시철도]] === ||<-2> [[파일:성남시 CI_White.svg|height=25px]] '''{{{#ffffff 성남시의 철도역}}}''' || || '''철도명''' || '''역명''' || || [[파일:Seoulmetro8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8호선|{{{#000 서울 지하철 8호선}}}]] || [*A [[복정역]]은 수정구 [[복정동]]의 이름을 땄으나, 서울특별시 송파구 장지동에 위치한다.] [[남위례역]] - [[산성역]] - [[남한산성입구역]] - [[단대오거리역]] - [[신흥역(성남)|신흥역]] - [[수진역]] - '''[[모란역]]''' || || [[파일:SBLine_icon.svg|width=20]]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000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 [*A] [[가천대역]] - [[태평역]] - '''[[모란역]]''' - [[야탑역]] - '''[[이매역]]''' - [[서현역]] - [[수내역]] - '''[[정자역]]''' - '''[[미금역]]''' - [[오리역]] || || [[파일:SinbundangLine_icon.svg|width=20]] [[신분당선|{{{#000 신분당선}}}]] || '''[[판교역(성남)|판교역]]''' - '''[[정자역]]''' - '''[[미금역]]''' || || [[파일:GyeonggangLine_icon.svg|width=20]] [[수도권 전철 경강선|{{{#000 수도권 전철 경강선}}}]] || ~~[[서판교역]]~~ - '''[[판교역(성남)|판교역]]''' - ~~'''[[성남역]]'''~~ - '''[[이매역]]''' || || [[파일:GTX.png|width=20]]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노선|{{{#000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노선}}}]] || ~~'''[[성남역]]'''~~ || 수도권 다른 도시들과 비교할 때 광역철도망이 매우 우수하다. 수도권 지하철 및 철도 노선으로 성남 구도심을 다니는 [[서울 지하철 8호선]]과, [[성남대로]] 아래로 다니는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경부고속도로]] 라인으로 이어진 [[신분당선]], [[경충대로]] 연선과 이어지는 [[수도권 전철 경강선]]이 있다. 분당선의 경우 [[강남구]] 일부 구간에서의 [[강남리 마을 전철|좁은 역 간격]] 등으로 인하여 광역철도 기능을 제대로 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으나, [[용인시]]의 [[난개발/경기도|난개발]]로 인하여 승객이 늘어났다. 신분당선이 건설되면서 [[서울특별시]] [[서초구]] 동부 및 [[강남구]] 남서부로의 접근성이 더욱 향상되었다. 아울러 [[수도권 전철 경강선]]의 개통으로 [[광주시]], [[이천시]], [[여주시]]로의 대중교통 접근성이 향상되었다. [[경강선]] [[판교역(성남)|판교역]]~[[월곶역]] 연장과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노선]] [[성남역]]이 현재 건설 중이며, 2022년 기준으로 다음과 같은 계획들이 있다. * 위례 ~ 광주 연장안을 포함한 [[위례신사선]]. * [[신분당선]] [[판교창조경제밸리]] 중간역 신설. * [[성남 도시철도 1호선]]과 [[성남 도시철도 2호선]]이 [[판교신도시]]건설 당시부터 추진됐었으나 B/C값에 비달하여 2014년 중반 이후 중단된 상태이다. [[성남 도시철도 2호선|2호선]]의 경우 특히 [[경강선]]과의 선로중복 문제를 지적 받다았다. 이후 [[판교트램]]과 같이 [[노면전차|트램]]으로 추진하고 있다. 2018년 타당성 조사 결과가 높은 [[판교트램]]이 먼저 추진되고 있어서 [[판교트램]]이 착공되면 [[성남 도시철도 1호선]]과 [[성남 도시철도 2호선]]이 뒤이어 추진될 가능성이 있다. * [[서울 지하철 8호선]] [[판교역(성남)|판교역]] 연장. 중간에 성남시청역 및 삼평역이 추가될 예정이다. == [[버스]] == === [[시외버스]] 및 [[고속버스]] === 주로 [[성남종합버스터미널]]을 이용한다. 성남터미널의 바이패스 격으로 [[모란역]][* 구 성남종합버스터미널이 위치하였다.] 교통권역([[선진고속(안산)|선진고속]] 시외버스), [[서현역]] 교통권역([[인천국제공항]] 리무진 등)이 경기도 내 시외 교통 연결 기능을 분담하고 있다. 고속버스 회사들 중 [[중앙고속]]이 [[성남시]] 번호판을 이용한다. 그런데 코로나 후유증으로 2023년 1월 1일 부로 본 터미널이 폐쇄되어 임시터미널을 가동중이다. === [[시내버스]] === [[성남시 버스 목록]] ~~또는 [[광주시 버스 목록]]~~ 참고. 지역 버스회사로 [[대원버스]], [[성남시내버스]], [[대명운수]]가 있다. [[대원버스]]는 [[용인시]]에서 [[서울특별시|서울시]] 각지를 잇는 [[직행좌석버스]]를 절찬리에 운행하고 있으며 시외로 나가는 노선이 매우 많지만, [[성남시내버스]]나 [[대명운수]]는 [[직행좌석버스]]를 제외하고는 시외로 나가는 노선이 거의 없다. [[성남시내버스]]는 용인시를 지나지만 정차하지 않고 바로 수원으로 나가는 [[성남 버스 4500]]번을 운행한다. 과거 이 지역을 주름잡던 [[경기교통]]이라는 업체가 있었으나 현 노선은 대원버스와 성남시내버스에서 노선을 맡고 있다. 타지역 업체로는 [[광주시]] 버스업체이자 [[KD 운송그룹]] 그룹사인 [[경기고속]], [[대원고속]], [[화성여객]]이 수많은 [[아웃광주]]나 아웃화성 버스를 운행하고 있다. 의외로 [[용인시]]에 들어가지 않는 [[삼경운수]] 노선이 다니는가 하면 [[성우운수]]도 들어온다. [[경남여객]]도 820번으로 [[정자역]]까지 다닌다. [[동성교통]], [[남성버스]] 소속 [[서울특별시]] [[광역버스]]가 [[분당신도시]]에 들어가는가 하면 구성남 지역에 수많은 시내버스 노선을 운행한다. 서울행 광역버스나 직좌 노선은 [[분당신도시]]에는 매우 많으나, 수정중원 지역에는 [[분당선]]이나 [[서울 지하철 8호선]] 등이 있고, 전철로 강남까지 30분 내외로 접근이 가능하기 때문에 [[서울 버스 9403|9403번]]만 다닌다. [[광역급행버스]]는 [[광역급행버스 M4102|M4102번]]이 유일하게 운행된다. [[광역급행버스 M4101|아랫동네 M버스]]보다는 운행수가 적지만, [[경기광주 버스 8100]], [[성남 버스 G8110]] 등이 있어서 분당에서 도심으로 가는 노선이 수지에서 도심 가는 노선보다 많다. === [[마을버스]] === [[성남시 마을버스]] 참고. 주로 [[수인분당선]] 전철역과 각 주택단지를 이어주는 노선이 운행된다. [[미금역]]에는 [[용인시 마을버스]]가 매우 많이 다녀서 아예 [[터미널]] 역할을 하고 있다. 미금역을 거치는 [[용인시]] [[용인시 버스 목록|시내버스]] 노선은 [[용인 버스 820|한 노선]]뿐이다. == 도로 == [include(틀:수정구의 로)] [include(틀:중원구의 로)] [include(틀:분당구의 로)] === [[고속도로/대한민국|고속도로]] === [[경부고속도로]],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제2경인고속도로]], [[용인서울고속도로]] 등이 지난다. 경부고속도로 [[판교IC]]는 [[경기도]] 성남출장소의 시 승격을 앞둔 1972년 성남출장소 접근성을 위하여 건설되었다. 다만 경부고속도로상에 제대로 된 나들목이 판교IC 하나다 보니 이 나들목으로 진출입하는 차량들이 상당하다. 구시가지는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성남IC]]가 고속도로 진입 관문이며, [[성남종합버스터미널]]을 오가는 버스들도 [[성남IC]]를 이용한다. 이후 제2경인고속도로 상의 [[동판교IC]], [[여수대로IC]]가 신설되어 인천, 시흥, 광명, 안양, 과천, 의왕 방면 소통이 더욱 편리해졌다. 용인서울고속도로는 [[서분당IC]], [[서판교IC]], [[고등IC]] 등이 있지만 시 서쪽과 북쪽 경계로 지나가기 때문에 큰 도움은 되지 않는다. === [[국도]] 및 주요 도로 === 국도는 [[3번 국도]](일부 구간은 [[성남대로]], [[경충대로]], [[성남이천로]])가 [[광주시]]에서 넘어와 [[서울특별시]] [[송파구]]로 넘어가며, [[23번 지방도]]([[대왕판교로]]), [[57번 지방도]]([[서현로(성남)|서현로]], [[안양판교로]]), [[분당내곡간도시고속화도로]], [[분당수서간도시고속화도로]] 가 있다. * [[3번 국도]]: 광주시에서 넘어와 구시가지를 지나 [[서울특별시]]로 넘어간다. [[경충대로|광주에서 넘어오는 구간]]은 경사도 있는 데다가 교통량이 워낙 많아 만성 정체 구간이었으며, [[성남이천로]]로 지정 구간이 바뀌면서 다소 개선되었다. === 시내교통 === 주 간선축인 [[성남대로]]를 따라 [[분당선]]이 지어져있을 정도로 성남대로의 이용량이 매우 많다. 성남대로는 [[오리역]]에서 [[가천대학교]]까지 성남시의 핵심지역을 이어주고 서울방향으로 이어준다. 성남대로 축과 동일하게 [[분당수서간도시고속화도로]]가 개설되어 있다. 그리고 연동속도 구간이다. 수정구, 중원구에서는 성남대로를 중심으로 [[산성대로]]와 [[수정로(성남)|수정로]]가 만난다. 산성대로와 수정로는 가로축 교통망을 이루지만 분당신도시에 비해서는 약간 교통이 복잡하다. 분당구에서는 세로축으로는 단연 성남대로고, 분당신도시 안쪽으로 [[돌마로]]가 있어서 [[미금역]] 사거리에서 두 도로가 만난다. [[수지구|아랫 동네]]에 비해 매우 바둑판처럼 교통이 잘 되어 있다. [[분류:성남시의 교통]][[분류:성남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