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이 문서는 국회의원 선거구에 대해서 다루고 있습니다. 성남시에 설치된 일반구, rd1=중원구)] [include(틀:제21대 국회의원/경기도)] [include(틀:성남시의 정치)] ||<-4>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height=15]]]] {{{#fff [[대한민국|{{{#fff 대한민국}}}]]의 [[대한민국 국회|{{{#fff 국회}}}]][[선거구|{{{#fff 선거구}}}]]}}}'''[br]{{{#!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 {{{#!wiki style="margin: -5px 0" [[대한민국 국회|[[파일:국회휘장.svg|height=70]]]]}}}|| {{{#!wiki style="margin: -5px 0" '''{{{+2 {{{#fff 성남시 중원구}}}}}}'''[br]{{{-1 {{{#fff [[중원구|{{{#fff 중원구}}}]][br]城南市 中院區[br]Seongnam Jungwon}}}}}}}}} ||}}} || ||<-4>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국회선거구 성남시 중원구.svg|width=100%]]}}} || ||<-2> '''선거인 수''' ||<-2> 219,400명 (2020) || ||<-2> '''상위 행정구역''' ||<-2> [[경기도]] [[성남시]] || ||<-2> '''관할 구역''' ||<-2>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중원구|{{{#373a3c,#ddd 중원구}}}]] 전역''' 성남동, 중앙동, 도촌동, 금광1동, 금광2동, 은행1동, 은행2동, 하대원동, 상대원1동, 상대원2동, 상대원3동}}} || ||<-2> '''신설년도''' ||<-2> [[제15대 국회의원 선거|1996년]] || ||<-2> '''이전 선거구''' ||<-2> 성남시 중원구·분당구 || ||<-2> '''국회의원'''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윤영찬]] || [목차] [clearfix] == 개요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를 관할하는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구로, 성남 4개 선거구 중 하나이다. 현 국회의원은 [[더불어민주당]] 소속의 [[윤영찬]] 의원이다. [[성남 본시가지]] 중 [[산성대로]](단대천) 남부지역[* [[성남동]], [[중앙동]], [[상대원동|상대원1동, 상대원2동, 상대원3동]], [[금광동|금광1동, 금광2동]], [[은행동|은행1동, 은행2동]].]이 대부분을 차지하며, [[도촌동|도촌지구 및 여수지구, 갈현동]]이 나머지 축에 속한다. 그 중 본시가지 지역은 [[평화민주당]] 시기부터 [[민주당계 정당]]의 철옹성 중 하나였으며, [[경기동부연합]]의 근거지라는 배경 때문인지 [[민주당계 정당]] 외에도 아닌 진보정당이 20% 넘는 득표를 얻은 적이 있다. 같은 원도심([[덕양구]] 원당) 지역으로서 민주당 외에도 진보정당[*다만 중원구는 [[진보당]]이, 원당은 [[정의당]] 강세 지역이다.] 강세 지역인, [[고양시 갑]] 지역구와 성향이 비슷하다. 여수지구와 도촌지구, 갈현동은 [[분당신도시]]와 연담화되어 있는 탓에 분당과 같은 보수 텃밭으로 오해할 수 있으나, (원도심보다는 친민주 표심이 약하지만) [[경기도]] 신도시들이 으레 그렇듯 민주당 경합우세 지역이다[* 경기도 신도시들이 죄다 민주당 텃밭인 와중에 [[과천시]]와 [[분당신도시]]만이 거의 유이하게 보수 초강세 지역이다.]. [[분당구]]와 [[중원구]]의 경계인 [[양현로]]를 사이에 두고, 보수계 정당 플래카드로 도배된 [[야탑동]]과 민주당 플래카드가 걸려있는 [[여수동]] 지역이 극명한 대비를 이룬다. 7회 지방선거에서 성남시장 출신의 [[이재명]] 경기도지사 후보가 도내에서 가장 높은 득표율(64%)을 기록한 지역이자 20대 대선에서 이재명 후보가 원래 민주당세가 막강한 호남을 제외하고 전국 시군구 중 가장 높은 득표율(57%)을 기록한 지역이다.[* 두 번째로 이재명의 득표율이 높은 곳은 [[성남시 수정구(선거구)|성남시 수정구]]이다.] 자세한 이야기는 [[중원구]] 문서의 정치 문단을 참조. 국회의원은 [[새누리당]](현 [[국민의힘]]) 소속 [[신상진]] 의원(현 [[성남시장]])이 이곳에서 4선(17대~20대)을 했다. 이는 신상진 의원의 개인기 뿐만 아니라 [[성남 본시가지]]를 기반으로 한 시민운동가 출신이라는 점 때문이며, 또한 17대 및 19대 때는 다른 당 의원들의 의원직 상실로 인해 반사이익을 얻어 본인이 재보선에서 당선된 경우이다. 17대 때는 전임자 [[이상락]] 의원이 공직선거법 위반으로 의원직을 상실해 2005년 재보선에서 당선되었고, 또 19대 때는 [[헌법재판소]]의 [[통합진보당 위헌정당해산 사건|통합진보당 해산 결정]]으로 인해 [[김미희(정치인)|김미희]] 의원이 의원직을 상실해 재보선을 통해 당선되었다. == 역대 국회의원 명단 및 역대 선거 결과 == || '''총선''' || '''당선인''' || '''당적''' || '''임기''' || || 제14대 || [[오세응]] || [include(틀:민주자유당)] || [[1992년]] [[5월 30일]] ~ [[1996년]] [[5월 29일]] || || 제15대 ||<|2> [[조성준(정치인)|조성준]] || [include(틀:새정치국민회의)] || [[1996년]] [[5월 30일]] ~ [[2000년]] [[5월 29일]] || || 제16대 || [include(틀:새천년민주당)] || [[2000년]] [[5월 30일]] ~ [[2004년]] [[5월 29일]] || ||<|2> 제17대 || ~~[[이상락]]~~ || [include(틀:열린우리당)] || ~~ [[2004년]] [[5월 30일]] ~ [[2004년]] [[12월 10일]]~~[* 당선무효] || ||<|2> [[신상진]] ||<|2> [include(틀:한나라당)] || [[2005년]] [[5월 1일]] ~ [[2008년]] [[5월 29일]] || || 제18대 || [[2008년]] [[5월 30일]] ~ [[2012년]] [[5월 29일]] || ||<|2> 제19대 || ~~[[김미희(정치인)|김미희]]~~ || [include(틀:통합진보당)] || ~~[[2012년]] [[5월 30일]] ~ [[2014년]] [[12월 19일]]~~[* 정당해산으로 의원직 상실] || ||<|2> [[신상진]] ||<|2> [include(틀:새누리당(2012년))] || [[2015년]] [[4월 30일]] ~ [[2016년]] [[5월 29일]] || || 제20대 || [[2016년]] [[5월 30일]] ~ [[2020년]] [[5월 29일]] || || 제21대 || [[윤영찬]]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2020년]] [[5월 30일]] ~ || === [[제13대 국회의원 선거]] 이전 === [[광주시 갑|성남·광주]] 선거구였다. === 성남시 을 (13대) === 성남·광주 선거구가 분리되면서 성남시 갑, 성남시 을, 광주시 세 개의 선거구가 되었다. ==== [[제13대 국회의원 선거]] ==== ||<-4> {{{#000000 {{{+1 '''성남시 을'''}}}}}}[br]{{{#000000 중원출장소 일원[* 성남동, 중동, 단대2동, 단대3동, 은행1동, 상대원1동, 상대원2동, 상대원3동, 분당동, 이매동, 여수동, 판교동, 금곡동, 운중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오세응|{{{#373a3c,#dddddd 오세응}}}]](吳世應) || 30,056 || 2위 || || [include(틀:민주정의당)] || 32.13% || 낙선 || ||<|2> {{{#ffffff {{{+5 '''2'''}}}}}} || 양건주(梁健柱) || 7,448 || 4위 || || [include(틀:통일민주당)] || 7.96% || 낙선 || ||<|2> {{{#000000 {{{+5 '''3'''}}}}}} || '''[[이찬구(1941)|{{{#373a3c,#dddddd 이찬구}}}]](李讚九)''' || '''37,187''' || '''1위''' || || [include(틀:평화민주당)] || '''35.47%''' || '''{{{#000000 당선}}}''' || ||<|2> {{{#ffffff {{{+5 '''4'''}}}}}} || [[김기평|{{{#373a3c,#dddddd 김기평}}}]](金基平) || 19,754 || 3위 || || [include(틀:신민주공화당)] || 21.11% || 낙선 || ||<|2> {{{#f8c050 {{{+5 '''5'''}}}}}} || [[정완립|{{{#373a3c,#dddddd 정완립}}}]](鄭完立) || 3,096 || 5위 || || [include(틀:한국국민당(1981년))] || 3.34%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41,893 ||<|3> '''투표율'''[br]65.92% || || 투표수 || 93,541 || || 무효표수 || 844 || === 성남시 중원구·분당구 (14대) === 성남시가 구를 설치함에 따라 중원구 선거구로 선거구명이 변경되었다. 중원구에서 분리된 분당구 역시 이 선거구로 편입됐다. ==== [[제14대 국회의원 선거]] ==== ||<-4> {{{#ffffff {{{+1 '''성남시 중원구·분당구'''}}}}}}[br]{{{#ffffff 중원구, 분당구 일원}}}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오세응|{{{#373a3c,#dddddd 오세응}}}]](吳世應)''' || '''51,989''' || '''1위''' || || [[민주자유당|[include(틀:민주자유당)]]] || '''39.68%''' || '''{{{#373a3c 당선}}}''' || ||<|2> {{{#ffffff {{{+5 '''2'''}}}}}} || [[조성준(정치인)|{{{#373a3c,#dddddd 조성준}}}]](趙誠俊) || 41,583 || 2위 || || [[민주당(1991년)|[include(틀:민주당(1991년))]]] || 31.74% || 낙선 || ||<|2> {{{#ffffff {{{+5 '''3'''}}}}}} || [[이찬구(1941)|{{{#373a3c,#dddddd 이찬구}}}]](李讚九) || 25,063 || 3위 || || [[통일국민당|[include(틀:통일국민당)]]] || 19.13% || 낙선 || ||<|2> {{{#ffffff {{{+5 '''4'''}}}}}} || [[김기평|{{{#373a3c,#dddddd 김기평}}}]](金基平) || 5,052 || 4위 || || [include(틀:신정치개혁당)] || 3.85% || 낙선 || ||<|2> {{{#ffffff {{{+5 '''5'''}}}}}} || 임동현(林東顯) || 3,955 || 5위 || || [include(틀:민중당(1990년))] || 3.01% || 낙선 || ||<|2> {{{#ffffff {{{+5 '''6'''}}}}}} || 홍대원(洪大源) || 3,355 || 6위 || || [include(틀:무소속)] || 2.56%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95,832 ||<|3> '''투표율'''[br]67.68% || || '''투표 수''' || 132,537 || || '''무효표 수''' || 1,540 || === 성남시 중원구 (15대~) === ==== [[제15대 국회의원 선거]] ==== 분당구가 단일 선거구로 분구되었다. ||<-4> {{{#ffffff {{{+1 '''성남시 중원구'''}}}}}}[br]{{{#ffffff 중원구 일원}}}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정완립|{{{#373a3c,#dddddd 정완립}}}]](鄭完立) || 27,355 || 2위 || || [include(틀:신한국당)] || 26.00% || 낙선 || ||<|2> {{{#ffffff {{{+5 '''2'''}}}}}} || '''[[조성준(정치인)|{{{#373a3c,#dddddd 조성준}}}]](趙誠俊)''' || '''40,022''' || '''1위''' || || '''[include(틀:새정치국민회의)]''' || '''38.04%''' || '''당선''' || ||<|2> {{{#ffffff {{{+5 '''3'''}}}}}} || 김일주(金一柱) || 7,318 || 4위 || || [include(틀:통합민주당(1995년))] || 6.95% || 낙선 || ||<|2> {{{#ffffff {{{+5 '''4'''}}}}}} || 강희규(姜熙圭) || 21,700 || 3위 || || [include(틀:자유민주연합)] || 20.62% || 낙선 || ||<|2> {{{#ffffff {{{+5 '''5'''}}}}}} || [[정형주|{{{#373a3c,#dddddd 정형주}}}]](丁炯周) || 8,794 || 5위 || || [include(틀:무소속)] || 8.36%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91,053 ||<|3> '''투표율'''[br]56.29% || || '''투표 수''' || 107,545 || || '''무효표 수''' || 2,356 || ==== [[제16대 국회의원 선거]] ==== ||<-4> {{{#ffffff {{{+1 '''성남시 중원구'''}}}}}}[br]{{{#ffffff 중원구 일원}}}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김일주(金一柱) || 23,123 || 2위 || || [include(틀:한나라당(1997~2004))] || 25.11% || 낙선 || ||<|2> {{{#ffffff {{{+5 '''2'''}}}}}} || '''[[조성준(정치인)|{{{#373a3c,#dddddd 조성준}}}]](趙誠俊)''' || '''40,187''' || '''1위''' || || [include(틀:새천년민주당)] || '''43.64%''' || '''당선''' || ||<|2> {{{#ffffff {{{+5 '''3'''}}}}}} || 최인식(崔仁植) || 5,881 || 4위 || || [include(틀:자유민주연합)] || 6.39% || 낙선 || ||<|2> {{{#ffffff {{{+5 '''4'''}}}}}} || [[정형주|{{{#373a3c,#dddddd 정형주}}}]](鄭亨柱) || 19,781 || 3위 || || [include(틀:민주노동당)] || 21.48% || 낙선 || ||<|2> {{{#ffffff {{{+5 '''5'''}}}}}} || 황한섭(黃漢燮) || 3,109 || 4위 || || [include(틀:무소속)] || 3.38%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90,735 ||<|3> '''투표율'''[br]48.88% || || '''투표 수''' || 93,224 || || '''무효표 수''' || 1,143 || ====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 ||<-4> {{{#000000 {{{+1 '''성남시 중원구'''}}}}}}[br]{{{#000000 중원구 일원[*중원 성남동, 중앙동, 도촌동, 금광1동, 금광2동, 은행1동, 은행2동, 하대원동, 상대원1동, 상대원2동, 상대원3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신상진|{{{#373a3c,#dddddd 신상진}}}]](申相珍) || 27,032 || 2위 || || [include(틀:한나라당)] || 24.79% || 낙선 || ||<|2> {{{#ffffff {{{+5 '''2'''}}}}}} || [[김태식(정치인)|{{{#373a3c,#dddddd 김태식}}}]](金台植) || 11,082 || 4위 || || [include(틀:새천년민주당)] || 10.16% || 낙선 || ||<|2> {{{#000000 {{{+5 '''3'''}}}}}} || '''[[이상락|{{{#373a3c,#dddddd 이상락}}}]](李相樂)''' || '''42,770''' || '''1위''' || || '''[include(틀:열린우리당)]''' || '''39.22%''' || '''당선''' || ||<|2> {{{#ffffff {{{+5 '''4'''}}}}}} || [[김기평|{{{#373a3c,#dddddd 김기평}}}]](金基平) || 1,456 || 6위 || || [include(틀:자유민주연합)] || 1.33% || 낙선 || ||<|2> {{{#ffffff {{{+5 '''5'''}}}}}} || [[정형주|{{{#373a3c,#dddddd 정형주}}}]](鄭亨柱) || 22,640 || 3위 || || [include(틀:민주노동당)] || 20.76% || 낙선 || ||<|2> {{{#ffffff {{{+5 '''6'''}}}}}} || [[이영성(정치인)|{{{#373a3c,#dddddd 이영성}}}]](李英成) || 4,084 || 5위 || || [include(틀:무소속)] || 3.74%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203,254 ||<|3> '''투표율'''[br]54.13% || || '''투표 수''' || 110,014 || || '''무효표 수''' || 950 || 이때 민주노동당+새천년민주당+열린우리당의 표를 다 합하면 무려 '''70.14%'''가 나온다, 하지만 재보궐선거에선... ==== [[2005년 재보궐선거]] ==== ||<-4> [[성남시 중원구(선거구)|{{{#ffffff {{{+1 '''성남시 중원구'''}}}}}}]][br]{{{#ffffff 중원구 일원[*중원 성남동, 중앙동, 도촌동, 금광1동, 금광2동, 은행1동, 은행2동, 하대원동, 상대원1동, 상대원2동, 상대원3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000000 {{{+5 '''1'''}}}}}} || [[조성준(정치인)|{{{#373a3c,#dddddd 조성준}}}]](趙誠俊) || 12,717 || 3위 || || [include(틀:열린우리당)] || 21.60% || 낙선 || ||<|2> {{{#ffffff {{{+5 '''2'''}}}}}} || '''[[신상진|{{{#373a3c,#dddddd 신상진}}}]](申相珍)''' || '''20,435''' || '''1위''' || || '''[include(틀:한나라당)]''' || '''34.72%''' || '''{{{#000000 당선}}}''' || ||<|2> {{{#ffffff {{{+5 '''3'''}}}}}} || [[정형주|{{{#373a3c,#dddddd 정형주}}}]](鄭亨柱) || 16,120 || 2위 || || [include(틀:민주노동당)] || 27.39% || 낙선 || ||<|2> {{{#ffffff {{{+5 '''4'''}}}}}} || [[김강자|{{{#373a3c,#dddddd 김강자}}}]](金康子) || 6,815 || 4위 || || [include(틀:새천년민주당)] || 11.58% || 낙선 || ||<|2> {{{#ffffff {{{+5 '''5'''}}}}}} || [[강성현(정치인)|{{{#373a3c,#dddddd 강성현}}}]](姜聲顯) || 501 || 7위 || || [include(틀:무소속)] || 0.85% || 낙선 || ||<|2> {{{#ffffff {{{+5 '''6'''}}}}}} || [[김태식(정치인)|{{{#373a3c,#dddddd 김태식}}}]](金台植) || 1,414 || 5위 || || [include(틀:무소속)] || 2.40% || 낙선 || ||<|2> {{{#ffffff {{{+5 '''7'''}}}}}} || 양동기(梁東基) || 854 || 6위 || || [include(틀:무소속)] || 1.45%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204,521 ||<|3> '''투표율'''[br]29.10% || || '''투표 수''' || 59,511 || || '''무효표 수''' || 655 || 지난 선거에 비하면 진보정당 총합 득표율은 많이 낮아지긴 했지만, 그래도 당시 상황을 생각해보면 총합 60.57%는 많이 높은 편이긴 했다, 다만 중도-좌파 진영에서 민주노동당, 열린우리당, 새천년민주당이 모두 출마했기에 표가 제대로 갈리고 신상진은 그 덕을 제대로 맛보고 어부지리로 당선된다. ==== [[제18대 국회의원 선거]] ==== ||<-4> {{{#ffffff {{{+1 '''성남시 중원구'''}}}}}}[br]{{{#ffffff 중원구 일원[*중원 성남동, 중앙동, 도촌동, 금광1동, 금광2동, 은행1동, 은행2동, 하대원동, 상대원1동, 상대원2동, 상대원3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조성준(정치인)|{{{#373a3c,#dddddd 조성준}}}]](趙誠俊) || 29,446 || 2위 || || [include(틀:통합민주당(2008년))] || 36.62% || 낙선 || ||<|2> {{{#ffffff {{{+5 '''2'''}}}}}} || '''[[신상진|{{{#373a3c,#dddddd 신상진}}}]](申相珍)''' || '''34,546''' || '''1위''' || || '''[include(틀:한나라당)]''' || '''42.96%''' || '''당선''' || ||<|2> {{{#ffffff {{{+5 '''4'''}}}}}} || [[정형주|{{{#373a3c,#dddddd 정형주}}}]](鄭亨柱) || 10,941 || 3위 || || [include(틀:민주노동당)] || 13.61% || 낙선 || ||<|2> {{{#ffffff {{{+5 '''6'''}}}}}} || [[김기평|{{{#373a3c,#dddddd 김기평}}}]](金基平) || 4,832 || 4위 || || [include(틀:친박연대(2008년))] || 6.01% || 낙선 || ||<|2> {{{#ffffff {{{+5 '''7'''}}}}}} || 권혁서 || 648 || 5위 || || [include(틀:평화통일가정당)] || 0.81%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206,957 ||<|3> '''투표율'''[br]39.17% || || '''투표 수''' || 81,071 || || '''무효표 수''' || 658 || 재보궐선거 때와 비슷하게 또 민주노동당과 통합민주당의 표가 제대로 갈린 반면, 현역 신상진 의원이 지역 기반을 잘 다지며 충분한 경쟁력을 보인 끝에, 조성준 후보를 6%p 차이로 제치고 재선 의원이 되었다. ====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 ||<-4> {{{#ffffff {{{+1 '''성남시 중원구'''}}}}}}[br]{{{#ffffff 중원구 일원[*중원 성남동, 중앙동, 도촌동, 금광1동, 금광2동, 은행1동, 은행2동, 하대원동, 상대원1동, 상대원2동, 상대원3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신상진|{{{#373a3c,#dddddd 신상진}}}]](申相珍) || 45,408 || 2위 || || [include(틀:새누리당(2012년))] || 46.11% || 낙선 || ||<|2> {{{#ffffff {{{+5 '''4'''}}}}}} || '''[[김미희(정치인)|{{{#373a3c,#dddddd 김미희}}}]](金美希)''' || '''46,062''' || '''1위''' || || [include(틀:통합진보당)] || '''46.77%''' || '''{{{#000000 당선}}}''' || ||<|2> {{{#ffffff {{{+5 '''6'''}}}}}} || [[김기평|{{{#373a3c,#dddddd 김기평}}}]](金基平) || 1,039 || 5위 || || [include(틀:국민행복당)] || 1.05% || 낙선 || ||<|2> {{{#FEDD02 {{{+5 '''7'''}}}}}} || [[이대의|{{{#373a3c,#dddddd 이대의}}}]](李大儀) || 2,764 || 3위 || || [include(틀:정통민주당)] || 2.80% || 낙선 || ||<|2> ~~{{{#ffffff {{{+5 '''8'''}}}}}}~~ || ~~김재갑~~ || - ||<|2> 사퇴 || || ~~[include(틀:무소속)]~~ || - || ||<|2> {{{#ffffff {{{+5 '''9'''}}}}}} || 윤용호(尹容鎬) || 1,036 || 6위 || || [include(틀:무소속)] || 1.05% || 낙선 || ||<|2> {{{#ffffff {{{+5 '''10'''}}}}}} || [[정형만|{{{#373a3c,#dddddd 정형만}}}]](鄭亨晩) || 2,159 || 4위 || || [include(틀:무소속)] || 2.19%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206,897 ||<|3> '''투표율'''[br]48.48% || || '''투표 수''' || 100,304 || || '''무효표 수''' || 1,836 || 지난 두 차례의 선거에서는 민주-진보 진영이 분열로 인해 신상진 의원이 과반 미만의 득표율을 기록하며 당선되었지만, 이번에는 민주당과 통합진보당이 야권연대를 이루는 데 성공하며 김미희 후보가 단일 후보로 나섰고, 현역 신상진 의원과 피말리는 접전 속에서 600여 표 차이로 승리하였다. ==== [[2015년 재보궐선거]] ==== ||<-4> {{{#ffffff {{{+1 '''성남시 중원구'''}}}}}}[br]{{{#ffffff 중원구 일원[*중원 성남동, 중앙동, 도촌동, 금광1동, 금광2동, 은행1동, 은행2동, 하대원동, 상대원1동, 상대원2동, 상대원3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신상진|{{{#373a3c,#dddddd 신상진}}}]](申相珍)''' || '''36,859''' || '''1위''' || || '''[include(틀:새누리당(2012년))]''' || '''55.90%''' || '''당선''' || ||<|2> {{{#ffffff {{{+5 '''2'''}}}}}} || [[정환석|{{{#373a3c,#dddddd 정환석}}}]](鄭煥錫) || 23,490 || 2위 || || [include(틀:새정치민주연합)] || 35.62% || 낙선 || ||<|2> {{{#ffffff {{{+5 '''4'''}}}}}} || [[김미희(정치인)|{{{#373a3c,#dddddd 김미희}}}]](金美希) || 5,581 || 3위 || || [include(틀:무소속)] || 8.46%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209,799 ||<|3> '''투표율'''[br]31.52% || || '''투표 수''' || 66,137 || || '''무효표 수''' || 207 || 2014년 통합진보당이 해산되며 치러진 재선거. 신상진 전 의원이 다시 출마를 하였으며, 새정치민주연합에서도 정환석 후보를 공천하였다. 그리고 통진당 해산 전 현역 의원이었던 김미희 의원까지 출마하며 3파전 구도로 치러졌으나, 낮은 투표율과 신상진 전 의원의 개인기 등의 여파로 인해 과반을 훌쩍 넘는 55.9%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 ||<-4> [[성남시 중원구(선거구)|{{{#ffffff {{{+1 '''성남시 중원구'''}}}}}}]][br]{{{#ffffff 중원구 일원[*중원 성남동, 중앙동, 도촌동, 금광1동, 금광2동, 은행1동, 은행2동, 하대원동, 상대원1동, 상대원2동, 상대원3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신상진|{{{#373a3c,#dddddd 신상진}}}]](申相珍)''' || '''49,714''' || '''1위''' || || '''[include(틀:새누리당(2012년))]''' || '''43.41%''' || '''당선''' || ||<|2> {{{#ffffff {{{+5 '''2'''}}}}}} || [[은수미|{{{#373a3c,#dddddd 은수미}}}]](殷秀美) || 44,546 || 2위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38.89% || 낙선 || ||<|2> {{{#ffffff {{{+5 '''3'''}}}}}} || [[정환석|{{{#373a3c,#dddddd 정환석}}}]](鄭煥錫) || 20,257 || 3위 || || [include(틀:국민의당(2016년))] || 17.68%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210,248 ||<|3> '''투표율'''[br]55.07% || || '''투표 수''' || 115,794 || || '''무효표 수''' || 1,277 || 새누리당에선 현역 신상진 의원을 공천하였으며, 야당인 더불어민주당에선 비례대표 의원인 은수미 의원을 공천하였다. 국민의당에선 지난해 재보선에서 새정치민주연합 소속으로 출마한 정환석 후보를 공천하였다. 선거 결과, 야권이 분열되어 있었기 때문에 지역 기반을 잘 다진 신상진 후보가 은수미 후보를 약 4.5%p 차이로 제치고 4선 고지에 오르는 데 성공하였다. 국민의당 소속으로 나선 정환석 후보는 1년 전에 비해 득표율이 반토막이 나버리며 부진했다. 낙선한 은수미 후보는 2년 후에 치러진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성남시장에 출마해 당선되었다. ====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 ||<-4> [[성남시 중원구(선거구)|{{{#ffffff {{{+1 '''성남시 중원구'''}}}}}}]][br]{{{#ffffff 중원구 일원[*중원 성남동, 중앙동, 도촌동, 금광1동, 금광2동, 은행1동, 은행2동, 하대원동, 상대원1동, 상대원2동, 상대원3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윤영찬|{{{#373a3c,#dddddd 윤영찬}}}]](尹永燦)''' || '''65,947''' || '''1위'''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54.62%''' || '''{{{#000000 당선}}}''' || ||<|2> {{{#ffffff {{{+5 '''2'''}}}}}} || [[신상진|{{{#373a3c,#dddddd 신상진}}}]](申相珍) || 50,315 || 2위 || || [include(틀:미래통합당)] || 41.67% || 낙선 || ||<|2> {{{#ffffff {{{+5 '''7'''}}}}}} || [[김미희(정치인)|{{{#373a3c,#dddddd 김미희}}}]](金美希) || 3,687 || 3위 || || [include(틀:민중당)] || 3.05% || 낙선 || ||<|2> {{{#ffffff {{{+5 '''8'''}}}}}} || 오성은(吳成銀) || 787 || 4위 || || [include(틀:국가혁명배당금당)] || 0.65%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92,279 ||<|3> '''투표율'''[br]63.51% || || '''투표 수''' || 122,114 || || '''무효표 수''' || 1,378 || ||<-8> {{{#ffffff '''21대 총선 중원구 개표 결과'''}}} || ||<-8> {{{#ffffff '''국회의원 선거'''}}} || || '''정당'''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include(틀:미래통합당)] ||<|2> 격차[br](1위/2위) ||<|2> 투표율[br](선거인/표수) || || '''후보''' || [[윤영찬|{{{#ffffff '''윤영찬'''}}}]] || [[신상진|{{{#ffffff 신상진}}}]] || || '''득표수[br](득표율)''' || {{{#ffffff '''65,947 [br] (54.62%)'''}}} || '''50,315 [br] (41.67%)''' || '''+ 15,632 [br] (△12.95)''' || '''122,114 [br] (63.50%)''' || || '''성남동''' || {{{#004ea2 '''55.98%'''}}} || {{{#696969 40.27%}}} || '''△15.71''' || 59.50 || || '''중앙동''' || {{{#004ea2 52.53%}}} || 43.76% || △8.77 || 58.31 || || '''금광1동''' || {{{#004ea2 52.96%}}} || 42.92% || △10.03 || 60.57 || || '''금광2동''' || {{{#004ea2 53.35%}}} || 42.55% || △10.79 || 57.23 || || '''은행1동''' || {{{#004ea2 53.70%}}} || 42.06% || △11.64 || 62.15 || || '''은행2동''' || {{{#004ea2 52.96%}}} || 43.32% || △9.64 || 60.67 || || '''상대원1동''' || {{{#004ea2 53.27%}}} || 43.29% || △9.98 || 58.79 || || '''상대원2동''' || {{{#004ea2 52.07%}}} || 43.37% || △8.70 || {{{#696969 56.14}}} || || '''상대원3동''' || {{{#004ea2 53.18%}}} || 42.75% || △10.43 || 56.67 || || '''하대원동''' || {{{#4169e1 50.67%}}} || '''46.03%''' || {{{#696969 △4.63}}} || 67.05 || || '''도촌동''' || {{{#004ea2 55.68%}}} || 41.68% || △14.00 || '''69.66''' || || '''후보''' || [[윤영찬|{{{#004ea2 '''윤영찬'''}}}]] || [[신상진|{{{#ef426f 신상진}}}]] ||<-2> 격차 || || '''거소·선상투표''' || {{{#004ea2 48.90%}}} || 44.16% ||<-2> △4.74 || || '''관외사전투표''' || {{{#004ea2 63.19%}}} || 32.70% ||<-2> △30.49 || || '''재외투표''' || {{{#004ea2 74.10%}}} || 22.32% ||<-2> △51.79 || 제1야당 미래통합당에서는 현역 [[신상진]] 의원이 이변 없이 단수공천되었다. 여당 더불어민주당에서는 은수미가 지선에서 성남시장으로 당선되면서 새 인물이 필요했다. [[윤영찬]] 전 청와대 국민소통수석, 조신 전 국가교육회의 기획단장이 예비후보로 등록했다. 경선 끝에 윤영찬이 승리, 공천이 확정되었다. 그 외 민중당에서는 [[김미희(정치인)|김미희]] 전 국회의원이 예비후보로 등록했다. 선거 결과 더불어민주당 [[윤영찬]] 후보가 미래통합당 신상진 후보를 상대로 압승하며 지역구를 탈환했다. 민중당 김미희 후보가 윤영찬 후보의 표를 분산시킬 수 있다는 우려도 있었으나 현실은 중원구에서 [[경기동부연합]]의 위상이 얼마나 추락했는지만 보여주고 말았다. [* 특히 민주당 지지층 중 젊은 연령층은 NL계열에 대한 비토가 상당히 심하기 때문에, [[정의당]]이 아닌 [[민중당(2017년)|민중당]]으로 표가 갈라지는 일은 거의 없다.] 여담으로 이 선거에서 낙선한 신상진 후보는, 2년 뒤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성남시장으로 당선되었다. ====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 ||<-4> [[성남시 중원구(선거구)|{{{#ffffff {{{+1 '''성남시 중원구'''}}}}}}]][br]{{{#ffffff 중원구 일원[*중원 성남동, 중앙동, 도촌동, 금광1동, 금광2동, 은행1동, 은행2동, 하대원동, 상대원1동, 상대원2동, 상대원3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 0 ||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00.00% || || ||<|2> {{{#FFFFFF {{{+5 '''2'''}}}}}} || || 0 || || || [include(틀:국민의힘)] || 00.00% || || ||<|2> {{{#000000 {{{+5 '''3'''}}}}}} || || 0 || || || [include(틀:정의당)] || 00.00% || || ||<|3> '''계''' || '''선거인 수''' || ||<|3> '''투표율'''[br]00.00% || || '''투표 수''' || || || '''무효표 수''' || || ---- [[더불어민주당]]에서는 현역인 [[윤영찬]] 의원이 재선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이 외에 [[현근택]] [[민주연구원]] 부원장이 최근 성남시 중원구 쪽에 플랜카드를 거는 등 행보를 보이고 있어서 이 곳으로의 출마가 유력하다. [[분류:선거구/대한민국]][[분류:경기도의 정치]][[분류:중원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