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관련 문서, top1=분당구/정치)] [include(틀:제21대 국회의원/경기도)] [include(틀:성남시의 정치)] ||<-4>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height=15]]]] {{{#fff [[대한민국|{{{#fff 대한민국}}}]]의 [[대한민국 국회|{{{#fff 국회}}}]][[선거구|{{{#fff 선거구}}}]]}}}'''[br]{{{#!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 {{{#!wiki style="margin: -5px 0" [[대한민국 국회|[[파일:국회휘장.svg|height=70]]]]}}}|| {{{#!wiki style="margin: -5px 0" '''{{{#fff {{{+2 성남시 분당구 을}}}}}}'''[br]{{{-1 {{{#fff 정자동, 수내동, 금곡동, 구미동 등[br]城南市 盆唐區 乙[br]Seongnam Bundang B}}}}}}}}} ||}}} || ||<-4>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국회선거구 성남시 분당구 을.svg|width=100%]]}}} || ||<-2> '''선거인 수''' ||<-2> 232,609명 (2020) || ||<-2> '''상위 행정구역''' ||<-2> [[경기도]] [[성남시]] || ||<-2> '''관할 구역''' ||<-2>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분당구|{{{#373a3c,#fff 분당구}}}]] 일부''' 정자1동, 정자2동, 정자3동, 정자동, 분당동, 금곡동, 구미동, 구미1동, 수내1동, 수내2동, 수내3동 }}} || ||<-2> '''신설년도''' ||<-2> [[제16대 국회의원 선거|2000년]] || ||<-2> '''이전 선거구''' ||<-2> 성남시 분당구 || ||<-2> '''국회의원'''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김병욱(1965)|김병욱]] || [목차] [clearfix] == 개요 == [[분당신도시]] 남부 지역을 관할하는 선거구이다. [[수내동]]의 경우 원래 수내3동만 을 선거구였으나 2016년 [[20대 총선]]부터 수내1, 2동이 [[성남시 분당구 갑|갑 선거구]]에서 을 선거구로 편입되어 지금은 수내동 전체가 을 선거구에 속해 있다. 현재 국회의원은 [[더불어민주당]] 소속의 [[김병욱(1965)|김병욱]]이다.[* [[포항시 남구·울릉군]]에 [[띠동갑]]의 [[김병욱(1977)|동명이인]]이 있지만 이쪽은 [[국민의힘]]으로 당적이 다르다. 한자이름까지 같다 보니 [[제21대 국회]] 본회의 전광판 및 의원명패에는 재선 의원인 민주당 김병욱이 한글로 기재하고 초선 의원인 국힘 김병욱이 한자 金炳旭으로 기재한다.] 경기도에서 소득/생활 수준이 가장 높은 지역 중 한 곳으로, 원래는 [[판교신도시]] 전체가 포함되어 있는 [[성남시 분당구 갑|갑 선거구]]에 비해 [[보수주의|보수]]세가 더 강한 편이었으나 현재는 분당구 갑과 엇비슷하거나 오히려 갑구가 더 높게 나오는 경우도 있다. 다만 2022년 대선에서도 격차가 갑에 비해 5%p 가량 더 크게 나왔다. 분당 갑에서는 11.5% 차이였는데 을에서는 16.18% 차이로 서울 송파구와 비슷한 수준이었다. 아무래도 갑 선거구보다 연령대가 높은 것도 감안해야 할 부분. 그럼에도 [[손학규]], [[김병욱]] 등 민주당계 정당에서도 꾸준히 국회의원 당선자를 배출하고 있으며, [[이재명]]의 [[성남시장]], [[경기도지사]] 득표율도 준수하게 나온 편이었다. [[경기도]] 신도시들이 [[민주당계 정당]]의 텃밭인 와중에 과천시, 용인 수지구와 더불어 분당만 보수 초강세 지역인데, 이는 이 지역들이 경기도 신도시의 주류 여론과는 괴리되어 있으며 오히려 [[서울특별시]]([[강남3구]])와 강하게 연동되기 때문이다. [[강남3구]]에서 넘어온 주민들의 비율이 매우 높으며 이들은 [[경기도]]와 [[성남시]]에서 주민 정체성을 찾지 않고 “분당시”, “분당시민”으로 본인의 정체성을 정의하기도 하며, 생활기반을 [[성남시]]가 아닌 [[강남3구]]에 두고 있기 때문. [[광역버스(서울)|서울-성남간 광역버스]] 노선을 살펴봐도 [[서울 버스 9403]]을 제외하고는 [[성남 본시가지]]를 거치지 않고 바로 서울과 분당을 이어준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 [[수내동|수내1동, 수내2동]]: 양지마을과 파크타운이 해당되며 [[분당중앙공원]]을 끼고 있어 생활 환경이 우수하다. [[분당신도시]] 내에서 중대형 아파트 비중이 커서 [[고소득층]], [[전문직]]군이 많이 거주하며, [[정자동|정자1동]]과 더불어 성남시 대표 학군지인 관계로 분당구 을 내에서도 보수세가 강한 편이다. * [[정자동|정자1동]]: 고가의 [[주상복합]] [[아파트]]가 많이 들어선 곳으로 2017년 대선을 제외하고 단 한 번도 보수정당이 패하지 않았다. 인구 또한 을 선거구 지역 중 가장 많고, 주민들 태반이 고액 자산가에다가 [[등록기준지]]가 [[대구광역시]], [[경상북도]]인 관계로 그 보수세가 [[서현동]]과 [[수내동]]과는 차원이 다르다[* [[강재섭]]이 분당을에 출마했을 때 [[대구광역시]] 주민들이 분당 정자동에 상경해서 낙선 운동을 펼쳤고, [[민주당]] [[손학규]]가 당선되었다.]. 당장 최근 3차례의 큰 선거만 봐도 정자1동이 모두 보수 후보 득표율 1위를 차지했다. * [[분당동]], [[정자동|정자동, 정자2동, 정자3동]], [[수내동|수내3동]]은 상대적으로 진보세가 강하다. 단, 정자동 상록마을과 분당동 샛별마을은 보수 경합우세 지역이다. * [[구미동|구미동, 구미1동]]과 [[금곡동]]은 보수 우세 지역이다. 세부적으로는 고급 빌라 단지를 낀 무지개마을이 속한 구미동의 보수세가 더 강하며 구미1동은 [[경합지역|경합]]이 나오는 경우도 있다. 2000년대 후반까지는 줄곧 보수세가 탄탄[* 다른 경기도 지역과 다르게 중대형 평형의 고가 주택이 많은 동네이다.]해서 민주당계에게는 난공불락의 수도권 최대 험지였으나, 2011년 재보선에서 [[손학규]] 전 바른미래당 대표가 '분당대첩'으로 승리하면서 변화의 조짐이 보이기도 했었다. 이후 2016년 제20대 총선에서 민주당이 승리를 거둔 것을 기점으로, 민주당 입장에서 예전보다는 할 만해진 지역구가 되었다는 평가가 나오기도 했었다. 그러나 [[제20대 대통령 선거|20대 대선]]의 [[제20대 대통령 선거/개표 결과/지역별/수도권/경기도#s1-7|결과]]가 보여주듯, 2020년대 들어 전국적인 부동산 문제로 인해 [[부촌]] 지역의 보수세가 다시 결집하는 경향이 나타나면서 보수세가 다시 강해졌다. 실제로 [[국민의힘]] [[윤석열]] 후보는 민주당 이재명 후보를 상대로 분당을에서 56.76% : 40.58%로 16%p 이상 격차의 낙승을 거뒀다. [[이재명]] 前 [[경기도지사]]의 거처[* 수내1동 양지마을 금호 1단지 아파트였다.[[http://gwanbo.mois.go.kr/ezpdf/customLayout.jsp?contentId=00000000000000001585008880369000&tocId=00000000000000001585008880544000|출처1(관보)]], [[https://www.kgnews.co.kr/news/article.html?no=581227|출처2(기사)]] 이재명은 [[18대 총선]]에서 [[성남시 분당구 갑]]에 출마한 적이 있었는데, 당시 수내1동은 을구가 아니라 갑구에 속해 있었다.]가 이 지역구 소속인 수내1동에 위치했으며, 이재명 지사의 정치적 고향이다. 다만 [[2022년 6월 보궐선거]] 이후 이재명 지사가 계양구로 정치적 기반을 옮긴 이후 2023년을 기준으로는 이재명 지사의 정치적 고향이라는 점이 크게 부각되지는 않는 상황이고, [[성남 본시가지]]에서는 [[이재명]]을 분당이 아닌 구성남 기반 정치인으로 여기는 경향이 있다. 현직 의원인 [[김병욱(1965)|김병욱]] 의원은 [[이재명계]]로 분류된다. [[김상곤]] 전 사회부총리도 수내1동에 거주하고 있으며, [[김광두]] 전 국민경제자문회의 부의장은 궁내동에 거주하고 있다. == 역대 국회의원 명단 및 역대 선거 결과 == || '''총선''' || '''당선인''' || '''당적''' || '''임기''' || '''선거구''' || || 제13대 || [[이찬구(1941)|이찬구]] || [include(틀:평화민주당)] || [[1988년]] [[5월 30일]] ~ [[1992년]] [[5월 29일]] || 성남시 을 || || 제14대 ||<|2> [[오세응]] || [include(틀:민주자유당)] || [[1992년]] [[5월 30일]] ~ [[1996년]] [[5월 29일]] || 성남시 중원구·분당구 || || 제15대 || [include(틀:신한국당)] || [[1996년]] [[5월 30일]] ~ [[2000년]] [[5월 29일]] || 성남시 분당구 || || 제16대 ||<|3> [[임태희]] || [include(틀:한나라당(1997~2004))] || [[2000년]] [[5월 30일]] ~ [[2004년]] [[5월 29일]] ||<|7> 성남시 분당구 을 || || 제17대 ||<|2> [include(틀:한나라당)] || [[2004년]] [[5월 30일]] ~ [[2008년]] [[5월 29일]] || ||<|2> 제18대 || [[2008년]] [[5월 30일]] ~ [[2010년]] [[10월 1일]] || || [[손학규]] || [include(틀:민주당(2008년))] || [[2011년]] [[4월 28일]] ~ [[2012년]] [[5월 29일]] || || 제19대 || [[전하진]] || [include(틀:새누리당(2012년))] || [[2012년]] [[5월 30일]] ~ [[2016년]] [[5월 29일]] || || 제20대 ||<|2> [[김병욱(1965)|김병욱]] ||<|2>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2016년]] [[5월 30일]] ~ [[2020년]] [[5월 29일]] || || 제21대 || [[2020년]] [[5월 30일]] ~ || === 성남시 중원구·분당구 (14대) === 성남시가 구를 설치함에 따라 중원구 선거구로 선거구명이 변경되었다. 중원구에서 분리된 분당구 역시 이 선거구로 편입됐다. ==== [[제14대 국회의원 선거]] ==== ||<-4> {{{#ffffff {{{+1 '''성남시 중원구·분당구'''}}}}}}[br]{{{#ffffff 중원구 일원, 분당구 일원}}}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오세응|{{{#373a3c,#dddddd 오세응}}}]](吳世應)''' || '''51,989''' || 1위 || || [[민주자유당|[include(틀:민주자유당)]]] || '''39.68%''' || '''{{{#373a3c 당선}}}''' || ||<|2> {{{#ffffff {{{+5 '''2'''}}}}}} || [[조성준(정치인)|{{{#373a3c,#dddddd 조성준}}}]](趙誠俊) || 41,583 || 2위 || || [[통일민주당|[include(틀:민주당(1991년))]]] || 31.74% || 낙선 || ||<|2> {{{#ffffff {{{+5 '''3'''}}}}}} || [[이찬구(1941)|{{{#373a3c,#dddddd 이찬구}}}]](李讚九) || 25,063 || 3위 || || [[통일국민당|[include(틀:통일국민당)]]] || 19.13% || 낙선 || ||<|2> {{{#ffffff {{{+5 '''4'''}}}}}} || [[김기평|{{{#373a3c,#dddddd 김기평}}}]](金基平) || 5,052 || 4위 || || [include(틀:신정치개혁당)] || 3.85% || 낙선 || ||<|2> {{{#ffffff {{{+5 '''5'''}}}}}} || 임동현(林東顯) || 3,955 || 5위 || || [include(틀: 민중당(1990년))] || 3.01% || 낙선 || ||<|2> {{{#ffffff {{{+5 '''6'''}}}}}} || 홍대원(洪大源) || 3,355 || 6위 || || [include(틀:무소속)] || 2.56%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95,832 ||<|3> '''투표율'''[br]67.68% || || '''투표 수''' || 132,537 || || '''무효표 수''' || 1,540 || === 성남시 분당구 (15대) === ==== [[제15대 국회의원 선거]] ==== ||<-4> {{{#ffffff {{{+1 '''성남시 분당구'''}}}}}}[br]{{{#ffffff 분당구 일원}}}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오세응|{{{#373a3c,#dddddd 오세응}}}]](吳世應)''' || '''49,674''' || '''1위''' || || [include(틀:신한국당)] || '''33.06%''' || '''{{{#000000 당선}}}''' || ||<|2> {{{#ffffff {{{+5 '''2'''}}}}}} || 나필열(羅必烈) || 38,439 || 2위 || || [include(틀:새정치국민회의)] || 25.58% || 낙선 || ||<|2> {{{#ffffff {{{+5 '''3'''}}}}}} || [[성유보|{{{#373a3c,#dddddd 성유보}}}]](成裕普) || 28,444 || 4위 || || [include(틀:통합민주당(1995년))] || 18.93% || 낙선 || ||<|2> {{{#ffffff {{{+5 '''4'''}}}}}} || [[권헌성|{{{#373a3c,#dddddd 권헌성}}}]](權憲成) || 29,240 || 3위 || || [include(틀:자유민주연합)] || 19.46% || 낙선 || ||<|2> {{{#ffffff {{{+5 '''5'''}}}}}} || 김종우(金鍾宇) || 1,668 || 6위 || || [include(틀:무소속)] || 1.11% || 낙선 || ||<|2> {{{#ffffff {{{+5 '''6'''}}}}}} || 염형민(廉炯敏) || 2,786 || 5위 || || [include(틀:무소속)] || 1.85%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231,900 ||<|3> '''투표율'''[br]65.44% || || 투표수 || 151,744 || || 무효표수 || 1,493 || === 성남시 분당구 을 (16대~) === ==== [[제16대 국회의원 선거]] ==== ||<-4> {{{#ffffff {{{+1 '''성남시 분당구 을'''}}}}}}[br]{{{#ffffff 분당동, 수내동, 정자동, 불정동, 신기동, 금곡동, 구미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임태희|{{{#373a3c,#dddddd 임태희}}}]](任太熙)''' || '''40,036''' || '''1위''' || || [[한나라당|[include(틀:한나라당(1997~2004))]]] || '''50.86%''' || '''{{{#373a3c 당선}}}''' || ||<|2> {{{#ffffff {{{+5 '''2'''}}}}}} || [[이상철(1948)|{{{#373a3c,#dddddd 이상철}}}]](李相哲) || 34,783 || 2위 || || [[새천년민주당|[include(틀:새천년민주당)]]] || 44.19% || 낙선 || ||<|2> {{{#ffffff {{{+5 '''3'''}}}}}} || [[오세응|{{{#373a3c,#dddddd 오세응}}}]](吳世應) || 3,895 || 3위 || || [[자유민주연합|[include(틀:자유민주연합)]]] || 4.95%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29,581 ||<|3> '''투표율'''[br]61.20% || || '''투표 수''' || 79,305 || || '''무효표 수''' || 591 || ====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 ||<-4> {{{#ffffff {{{+1 '''성남시 분당구 을'''}}}}}}[br]{{{#ffffff 분당동, 수내3동, 정자1동, [br]정자2동, 정자3동, 금곡동, 구미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임태희|{{{#373a3c,#dddddd 임태희}}}]](任太熙)''' || '''55,171''' || '''1위''' || || [include(틀:한나라당)] || '''53.95%''' || '''당선''' || ||<|2> {{{#ffffff {{{+5 '''2'''}}}}}} || 박인수(朴仁洙) || 4,004 || 3위 || || [include(틀:새천년민주당)] || 3.92% || 낙선 || ||<|2> {{{#000000 {{{+5 '''3'''}}}}}} || [[김재일|{{{#373a3c,#dddddd 김재일}}}]](金在日) || 42,043 || 2위 || || [include(틀:열린우리당)] || 41.11% || 낙선 || ||<|2> {{{#ffffff {{{+5 '''4'''}}}}}} || 김태수(金泰壽) || 462 || 5위 || || [include(틀:녹색사회민주당)] || 0.45% || 낙선 || ||<|2> {{{#ffffff {{{+5 '''5'''}}}}}} || 주정모(朱珽模) || 575 || 4위 || || [include(틀:무소속)] || 0.56%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52,410 ||<|3> '''투표율'''[br]67.49% || || '''투표 수''' || 102,861 || || '''무효표 수''' || 606 || ==== [[제18대 국회의원 선거]] ==== ||<-4> {{{#ffffff {{{+1 '''성남시 분당구 을'''}}}}}}[br]{{{#ffffff 분당동, 수내3동, 정자1동, 정자2동, [br]정자3동, 금곡1동, 금곡2동, 구미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김종우(金鍾宇) || 19,821 || 2위 || || [include(틀:통합민주당(2008년))] || 26.72% || 낙선 || ||<|2> {{{#ffffff {{{+5 '''2'''}}}}}} || '''[[임태희|{{{#373a3c,#dddddd 임태희}}}]](任太熙)''' || '''52,704''' || '''1위''' || || [include(틀:한나라당)] || '''71.06%''' || '''당선''' || ||<|2> {{{#ffffff {{{+5 '''6'''}}}}}} || 최진태(崔鎭泰) || 1,640 || 3위 || || [include(틀:평화통일가정당)] || 2.21%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66,389 ||<|3> '''투표율'''[br]45.25% || || '''투표 수''' || 75,291 || || '''무효표 수''' || 1,126 || ==== [[2011년 상반기 재보궐선거]][* 전임자 임태희 의원 대통령 비서실장 임명으로 인한 사퇴] ==== ||<-4> [[성남시 분당구 을|{{{#ffffff {{{+1 '''성남시 분당구 을'''}}}}}}]][br]{{{#ffffff 정자1동, 정자2동, 정자3동, 정자동,[br]분당동, 금곡동, 구미동, 구미1동, 수내3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강재섭|{{{#373a3c,#dddddd 강재섭}}}]](姜在涉) || 39,382 || 2위 || || [include(틀:한나라당)] || 48.31% || 낙선 || ||<|2> {{{#ffffff {{{+5 '''2'''}}}}}} || '''[[손학규|{{{#373a3c,#dddddd 손학규}}}]](孫鶴圭)''' || '''41,570''' || '''1위''' || || [include(틀:민주당(2008년))] || '''51.00%''' || '''당선''' || ||<|2> {{{#ffffff {{{+5 '''8'''}}}}}} || 이재진 || 552 || 3위 || || [include(틀:무소속)] || 0.68%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66,384 ||<|3> '''투표율'''[br]49.06% || || '''투표 수''' || 81,634 || || '''무효표 수''' || 130 || 전임자 [[임태희]] 의원이 대통령 비서실장에 임명되면서 의원직을 사퇴하였다. 보통 현직 의원이 비서실장으로 임명되는 사례는 매우 이례적인 것이었으나,[* 과거 2003년 [[의정부시]] 국회의원이던 [[문희상]]이 실장으로 임명된 적이 있어서 전례가 아주 없는 것은 아니었다.] [[임태희]] 의원이 이명박의 최측근, 오른팔 등으로 불리던 인물인지라 큰 파문이 일지는 않았다. 한편 사퇴서가 늦게 수락되는 바람에 원래 2010년 보궐선거에 치러졌어야 하는 보궐선거가 2011년 치러지게 되었다. [[한나라당]]에서는 [[박계동]] 전 의원이 출사표를 던졌다. 그러던 중 [[정운찬]] 총리가 분당구 을에 출마할 수 있다는 설이 나돌았지만, 정운찬 총리가 스스로 고사하면서 무산되었다. 이렇게 되자 분당구 을 지역구에서 15년 동안 거주했던 [[강재섭]] 전 한나라당 대표가 유력하게 거론되었다. [[민주당(2008년)|민주당]]에서는 [[강금실]] 전 법무부장관과 [[조국(인물)|조국]] 서울대학교 교수가 거론되었다. 여론조사에서는 강금실이 앞섰지만 김병욱 한투증 대리가 출마하면서 강금실과 조국이 불출마를 선언했다. 그렇게 김병욱의 공천이 확정되는가 싶더니, 갑자기 [[손학규]] 민주당 대표가 강재섭과 싸울만한 사람은 자신밖에 없다면서 출마를 저울질하였다. 분당이 보수정당 우세 지역구였던지라 강재섭에게 패배할 시 정치 인생이 끝장날 수도 있는 상황이었지만, 대권 지지율에서 [[유시민]] 국민참여당 대표에게 많이 밀렸던 상황인지라 자의반 타의반으로 분당구 을 출마를 선언한다. 얼마 안 있어 [[강재섭]] 한나라당 대표도 출마를 선언했다. 그렇게 전 여당 대표 vs 야당 대표라는 거물급 매치가 성사되었고, 어떤 조사에서는 손학규가, 어떤 조사에서는 강재섭이 앞서는 알 수 없는 구도로 선거가 치러졌다. 그러나 YTN의 출구조사 결과 [[손학규]] 대표가 54%를 얻어 44%를 얻은 데 그친 강재섭 대표를 여유있게 앞서는 것으로 나왔다. 막판에 고가 아파트가 밀집한 [[정자동(성남)|정자1동]]과 강재섭 대표의 거주지였던 구미동에서 한나라당 몰표가 쏟아졌지만, 차이만 좁혀졌을 뿐 최종 결과는 바뀌지 않았고 이른바 '분당대첩'이라고 불렸던 선거전은 손학규의 승리로 끝났다. [[손학규]]의 밀착형 선거운동, MB 심판론, [[이대엽]] 전임 시장의 부정부패와 일부 대구 시민들의 [[http://www.kmaeil.com/news/articleView.html?idxno=49438|'''낙선 운동''']][* 강재섭이 [[대구광역시]] [[서구(대구광역시)|서구]]에서 4선 국회의원을 지내면서 지역구를 심각한 수준으로 홀대해 대구 인구 1위 자치구였던 서구는 대구에서 가장 낙후된 곳으로 전락했기 때문이다.]이 합쳐져 이뤄낸 결과라고 보는 평이 다수이다. [[캐삭빵|이 일로 강재섭은 사실상 정계를 은퇴하지만]], 손학규는 이후 승승장구하여 유시민을 제치고 대권주자 1위를 탈환한다. 이후 [[2011년 하반기 재보궐선거]]에서 한나라당이 서울시장까지 패하면서 친이계는 완전히 몰락하고 [[박근혜]]의 [[친박]]이 차기 권력으로 급부상하였다. ====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 ||<-4> [[성남시 분당구 을|{{{#ffffff {{{+1 '''성남시 분당구 을'''}}}}}}]][br]{{{#ffffff 정자1동, 정자2동, 정자3동, 정자동,[br]분당동, 금곡동, 구미동, 구미1동, 수내3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전하진|{{{#373a3c,#dddddd 전하진}}}]](田夏鎭)''' || '''52,362''' || '''1위''' || || [include(틀:새누리당(2012년))] || ''' 52.59%''' || '''당선''' || ||<|2> {{{#3ab34a {{{+5 '''2'''}}}}}} || [[김병욱(1965)|{{{#373a3c,#dddddd 김병욱}}}]](金炳旭) || 42,938 || 2위 || || [include(틀:민주통합당)] || 43.12% || 낙선 || ||<|2> {{{#ffffff {{{+5 '''6'''}}}}}} || 김종우(金鐘宇) || 782 || 4위 || || [include(틀:미래연합)] || 0.78% || 낙선 || ||<|2> {{{#ffffff {{{+5 '''7'''}}}}}} || 한창구(韓昌求) || 3,480 || 3위 || || [include(틀:무소속)] || 3.49%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66,604 ||<|3> '''투표율'''[br]60.04% || || '''투표 수''' || 100,032 || || '''무효표 수''' || 470 || ====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 ||<-4> [[성남시 분당구 을|{{{#ffffff {{{+1 '''성남시 분당구 을'''}}}}}}]][br]{{{#ffffff 정자1동, 정자2동, 정자3동, 정자동, 분당동, 금곡동,[br]구미동, 구미1동, 수내1동, 수내2동, 수내3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전하진|{{{#373a3c,#dddddd 전하진}}}]](田夏鎭) || 39,367 || 2위 || || [include(틀:새누리당(2012년))] || 30.96% || 낙선 || ||<|2> {{{#ffffff {{{+5 '''2'''}}}}}} || '''[[김병욱(1965)|{{{#373a3c,#dddddd 김병욱}}}]](金炳旭)''' || '''50,661''' || '''1위'''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39.85%''' || '''당선''' || ||<|2> {{{#ffffff {{{+5 '''3'''}}}}}} || [[윤은숙|{{{#373a3c,#dddddd 윤은숙}}}]](尹銀淑) || 11,936 || 4위 || || [include(틀:국민의당(2016년))] || 9.38% || 낙선 || ||<|2> {{{#ffffff {{{+5 '''5'''}}}}}} || [[김미라(정치인)|{{{#373a3c,#dddddd 김미라}}}]](金美羅) || 1,242 || 5위 || || [include(틀:민중연합당)] || 0.97% || 낙선 || ||<|2> {{{#ffffff {{{+5 '''6'''}}}}}} || [[임태희|{{{#373a3c,#dddddd 임태희}}}]](任太熙) || 23,921 || 3위 || || [include(틀:무소속)] || 18.81%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95,260 ||<|3> '''투표율'''[br]65.75% || || '''투표 수''' || 128,387 || || '''무효표 수''' || 1,260 || (당시 기준) 범여권(보수)의 분열로 김병욱 후보가 덕을 봤다. 보수-진보 양당제가 확고했던 시절에는 40%대의 득표율로도 떨어지는 경우가 매우 많았지만, 국민의당이라는 제3당의 출현과 [[친이]]라는 이유로 공천에서 탈락한 [[임태희]] 후보의 무소속 독자 출마로 범여권(범보수)이 분열돼서 김병욱 후보가 소선거구제에서 30%대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21대 총선 결과를 보면 이때 새누리당의 오판은 치명적인 것이 되었다. 보수적인 지역구이고 김병욱의 경쟁력을 과소평가해서 임태희가 무소속으로 출마하는 것을 개의치 않고 컷오프했는데, 김병욱이 표 분산의 효과를 톡톡히 보고 또 재선까지 되었으니 말이다. ====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 ||<-4> [[성남시 분당구 을|{{{#ffffff {{{+1 '''성남시 분당구 을'''}}}}}}]][br]{{{#ffffff 정자1동, 정자2동, 정자3동, 정자동, 분당동, 금곡동, [br] 구미동, 구미1동, 수내1동, 수내2동, 수내3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김병욱(1965)|{{{#373a3c,#dddddd 김병욱}}}]](金炳旭)''' || '''68,387''' || '''1위'''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47.94%''' || '''당선''' || ||<|2> {{{#ffffff {{{+5 '''2'''}}}}}} || [[김민수(정치인)|{{{#373a3c,#dddddd 김민수}}}]](金玟秀) || 64,342 || 2위 || || [include(틀:미래통합당)] || 45.10% || 낙선 || ||<|2> {{{#000000 {{{+5 '''6'''}}}}}} || [[양호영|{{{#373a3c,#dddddd 양호영}}}]](楊鎬榮) || 3,021 || 4위 || || [include(틀:정의당(2013~2021))] || 2.11% || 낙선 || ||<|2> {{{#ffffff {{{+5 '''7'''}}}}}} || 채지민(蔡志旼) || 439 || 6위 || || [include(틀:우리공화당)] || 0.30% || 낙선 || ||<|2> {{{#ffffff {{{+5 '''8'''}}}}}} || [[김미라(정치인)|{{{#373a3c,#dddddd 김미라}}}]](金美羅) || 489 || 5위 || || [include(틀:민중당)] || 0.34% || 낙선 || ||<|2> {{{#ffffff {{{+5 '''9'''}}}}}} || 송의준(宋義晙) || 305 || 7위 || || [include(틀:국가혁명배당금당)] || 0.21% || 낙선 || ||<|2> {{{#ffffff {{{+5 '''10'''}}}}}} || [[이나영(정치인)|{{{#373a3c,#dddddd 이나영}}}]](李娜榮) || 5,662 || 3위 || || [include(틀:무소속)] || 3.96%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95,239 ||<|3> '''투표율'''[br]73.62% || || '''투표 수''' || 143,734 || || '''무효표 수''' || 1,089 || ||<-5> {{{#ffffff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성남시 분당구 을)'''}}} || || '''정당'''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include(틀:미래통합당)] ||<|2> 격차[br](1위/2위) ||<|2> 투표율[br](선거인/표수) || || '''후보''' || [[김병욱(1965)|{{{#ffffff '''김병욱'''}}}]] || [[김민수(정치인)|{{{#ffffff 김민수}}}]] || || '''득표수[br](득표율)''' || {{{#ffffff '''68,387 [br] (47.94%)'''}}} || '''64,342 [br] (45.10%)''' || '''+ 4,045 [br] (△2.84)''' || '''143,734 [br] (73.61%)''' || || '''분당동''' || {{{#004ea2 49.53%}}} || 44.36% || △5.17 || 70.33 || || '''수내1동''' || 43.86% || {{{#ef426f 49.21%}}} || ▼5.34 || 73.14 || || '''수내2동''' || 43.31% || {{{#ef426f 50.25%}}} || ▼6.95 || '''78.97''' || || '''수내3동''' || {{{#004ea2 52.63%}}} || 40.84% || △11.79 || 74.54 || || '''정자동''' || {{{#004ea2 47.16%}}} || 45.08% || △2.09 || 70.88 || || '''정자1동''' || {{{#696969 37.02%}}} || {{{#ef426f '''57.51%'''}}} || {{{#696969 ▼20.49}}} || {{{#696969 68.56}}} || || '''정자2동''' || {{{#004ea2 '''52.93%'''}}} || {{{#696969 39.09%}}} || '''△13.84''' || 73.51 || || '''정자3동''' || {{{#004ea2 50.38%}}} || 42.47% || △7.91 || 74.58 || || '''금곡동''' || {{{#004ea2 46.57%}}} || 45.92% || △0.65 || 71.73 || || '''구미동''' || {{{#004ea2 48.21%}}} || 45.45% || △2.76 || 71.43 || || '''구미1동''' || {{{#004ea2 50.69%}}} || 40.36% || △10.32 || 74.59 || || '''후보''' || [[김병욱(1965)|{{{#004ea2 '''김병욱'''}}}]] || [[김민수(정치인)|{{{#ef426f 김민수}}}]] ||<-2> 격차 || || '''거소·선상투표''' || {{{#004ea2 46.60%}}} || 42.23% ||<-2> △4.37 || || '''관외사전투표''' || {{{#004ea2 56.61%}}} || 36.25% ||<-2> △20.35 || || '''재외투표''' || {{{#004ea2 56.26%}}} || 40.00% ||<-2> △16.27 || ||<-4> {{{#ffffff '''성남시 분당구 을 주요 아파트 개표 결과'''}}} || || '''정당'''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include(틀:미래통합당)] ||<|2> 격차[br](1위/2위) || || '''후보''' || [[김병욱(1965)|{{{#ffffff '''김병욱'''}}}]] || [[김민수(정치인)|{{{#ffffff 김민수}}}]] || || '''한솔마을 주공 5단지''' || {{{#004ea2,#5dabff '''52.06%'''}}} || 40.87% || ▼11.19 || || '''무지개마을 주공 4단지''' || {{{#004ea2,#5dabff 51.20%}}} || 40.54% || ▼10.66 || || '''무지개마을 대림''' || {{{#004ea2,#5dabff 50.93%}}} || 44.30% || ▼6.63 || || '''한솔마을 주공 4단지''' || {{{#004ea2,#5dabff 50.67%}}} || 37.88% || ▼12.79 || || '''한솔마을 청구''' || {{{#004ea2,#5dabff 49.28%}}} || 43.59% || ▼5.69 || || '''청솔마을 주공 6단지''' || {{{#004ea2,#5dabff 48.13%}}} || 43.29% || ▼4.84 || || '''[[파크뷰|{{{#000,#fff 파크뷰}}}]]''' || 23.49% || {{{#ef426f,#bc103c '''72.82%'''}}} || △49.33 || || '''로얄팰리스''' || 24.10% || {{{#ef426f,#bc103c 71.65%}}} || △47.55 || || '''[[아이파크 분당|{{{#000,#fff 아이파크 분당}}}]]''' || 24.57% || {{{#ef426f,#bc103c 71.03%}}} || △46.46 || || '''무지개마을 LG''' || 44.21% || {{{#ef426f,#bc103c 49.03%}}} || △4.82 || || '''청솔마을 주공 9단지''' || 44.92% || {{{#ef426f,#bc103c 45.08%}}} || △0.16 || 현역 [[김병욱(1965)|김병욱]] [[더불어민주당]] 후보는 민주당계 정당에게 험지인 지역 특성상 경선을 원하는 후보가 없어 단수공천되었다. 이에 맞서 [[김민수(정치인)|김민수]] [[미래통합당]] 당협위원장이 도전장을 내밀었고, 경선없이 전략공천되었다. [[정의당]]에서는 [[양호영]] 지역위원장이 출마했다. 2020년 3월 여론조사 결과 [[미래통합당]]의 정당 지지도가 42%로 [[더불어민주당]]의 33.40%에 비해 8.60% 높게 나온다. 하지만 후보간의 격차는 이보다 적어 미래통합당의 김민수 후보가 39.90%, 더불어민주당의 김병욱 후보가 36.30%로 오차범위 이내인 3.60% 격차로 나타나고 있으며 지역별로는 수내1동, 수내2동, 정자동, 정자1동, 금곡동, 구미1동은 김민수 후보가, 분당동, 수내3동, 정자2동, 정자3동, 구미동은 김병욱 후보가 앞서고 있었다. 그러나 막상 투표함을 열어 본 결과 여론조사를 뒤집고 현역인 김병욱 의원이 승리, 이 지역구 최초로 민주당계 국회의원이 재선에 성공한 사례로 남았다. 당초 출구조사에서 경합이기는 했지만 4.5% 정도 김민수 후보가 앞서는 걸로 나왔고 실제 개표 70%까지는 김민수 후보가 출구조사만큼 크게 앞서면서 당선 유력까지 갔지만, 사전투표가 개표되면서 서서히 차이가 좁혀지더니 개표 87% 시점에서 역전해서 최종적으로 2.8%, 약 4,000표 차이로 김병욱 의원이 재선에 성공했다. 이 결과는 판교신도시 전체를 끼고 있는 [[분당구 갑|갑 선거구]]에서 [[김은혜|통합당 후보]]가 [[김병관(정치인)|현역인 민주당 후보]]를 꺾었다는 것을 감안할 때 더 의외의 결과였다.[* 여기는 김병관 의원이 서현동 110번지 개발과 판교 임대아파트 분양전환 문제에 제대로 대처하지 못해서 정치 지형상 김병욱 의원보다 더 유리한 조건을 전혀 살리지 못한게 패배의 주 요인이었다. 득표율 차도 0.7%차이였으니 더 크게 와닿는 부분이다.] 개표 현황을 보면 고가 아파트가 많은 정자1동[*5][* 단지 내 투표소가 있는 [[아이파크 분당]]아파트(제4투표소, 김민수 71.03%), 로얄팰리스아파트(제7투표소, 김민수 71.64%) 등에서 몰표가 쏟아졌다. 또 '''분당 대장주'''로 꼽히는(판교 제외) [[파크뷰]]아파트 입주민들이 투표하는 정자1동 제6투표소(김민수 72.81%)에서도 몰표가 쏟아졌다.]과 양지마을, 파크타운이 있는 수내1동, 수내2동[*4]은 미래통합당 김민수 후보가 앞섰지만[* 그런데 이기긴 했지만 득표율 격차가 한 자릿수였다는게 김민수 후보에게는 독이 되었다. 왜냐하면 본래 이 두 동은(특히 수내2동) 분당 전체에서도 보수 텃밭으로 분류되던 곳인만큼 여기서 득표율 차이를 여유있게 벌려야 했는데 결과가 그 기대치에 미치지 못하면서 결과적으로 선거 패배의 요인이 되버린 셈. 물론 예전보다 보수 표심이 약화되기도 했지만 그만큼 김병욱이 지역구 관리에 공을 들인 결과라고 보는게 타당하다.], 분당동, 수내3동, 정자2동, 정자3동, 금곡동, 구미동에서 더불어민주당 김병욱 후보가 김민수 후보를 앞섰고, 결정적으로 관내, 관외 사전투표에서 김병욱 의원에게 몰표가 쏟아져 의석을 사수하는 데 성공했다. 이 승리는 김병욱 의원에게 더 의미가 있는데, 단순히 재선에 성공했을 뿐만 아니라 경기도의원 출신인 민주당계 무소속 후보와 정의당, 민중당 후보들이 출마해서 3천 표 넘게 가져갔는데도 이겼다. 지난 총선에서 표 분산으로 이긴 게 단순히 운이 아니라 후보 본인의 경쟁력이었음을 제대로 증명해 보였으며, 결과적으로 분당구 을은 예전보다 보수세가 많이 약화되었다고 볼 수 있다. 공교롭게도 [[4월 15일]]이 그의 생일이어서 그는 생일 선물로 국회의원 당선증을 받은 셈이 되었다.[*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서울특별시 [[종로구(선거구)|종로구]]에 [[미래통합당]] 후보로 출마한 [[황교안]]도 이 날이 생일이었지만, 황교안은 낙선했다.] 한편 이나영 후보는 원래 민주당 소속 경기도의원이였는데, 공천이 안되자 탈당해서 무소속으로 출마했다. 하지만 3.96%를 받는데 그쳐 낙선하고, 원래 그 후보가 있었던 지역구도 미래통합당이 가져가게 되었다. 이곳은 디시전K의 유력 판정[* 당선확률 95%]이 뒤집힌 경우인데, [[용인시 병]]에서 확실 판정[* 당선확률 99%]이 뒤집히는 대사건이 벌어지면서 조용히 넘어갔다. 다만 용인시 병은 출구조사가 맞았던 반면, 성남시 분당구 을은 출구조사가 뒤집혔다. ====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 ||<-4> [[성남시 분당구 을|{{{#ffffff {{{+1 '''성남시 분당구 을'''}}}}}}]][br]{{{#ffffff 정자1동, 정자2동, 정자3동, 정자동, 분당동, 금곡동,[br]구미동, 구미1동, 수내1동, 수내2동, 수내3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 0 ||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00.00% || || ||<|2> {{{#FFFFFF {{{+5 '''2'''}}}}}} || || 0 || || || [include(틀:국민의힘)] || 00.00% || || ||<|2> {{{#000000 {{{+5 '''3'''}}}}}} || || 0 || || || [include(틀:정의당)] || 00.00% || || ||<|3> '''계''' || '''선거인 수''' || ||<|3> '''투표율'''[br]00.00% || || '''투표 수''' || || || '''무효표 수''' || || [[분류:선거구/대한민국]][[분류:경기도의 정치]][[분류:분당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