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성남시의 버스)] [include(틀:경기순환버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경기순환8109AJS.jpg|width=100%]]}}} || [목차] [clearfix] == 노선 정보 == ||<-6> [[파일:성남시 CI_White.svg|width=20]] {{{#ffffff 성남시 경기순환버스 8109번}}} || ||<-6> {{{#!folding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성남 8109 노선도.svg|width=100%]]}}} || ||<-2> 기점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구미동(오리역) ||<-2> 종점 ||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대화동(킨텍스 제2전시장) || ||<|2> 종점[br]행 || 첫차 || 05:00 ||<|2> 기점[br]행 || 첫차 || 05:00 || || 막차 || 23:30 || 막차 || 23:30 || ||<-2> 평일배차 || 40~60분(1일 24회) ||<-2> 주말배차 || 40~70분(1일 21회) || ||<-2> 운수사명 || [[경기고속]] ||<-2> 인가대수 || 8대 || ||<-5> {{{#ffffff 경유 정류장}}} || || '''성남(분당)''' ||<|8> ↔ ||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8> ↔ || '''고양(일산)''' || || 오리역 ||<|2> 가천대 ||<|2> 안산공원(상)[br]백석역(하) || || 미금역.청솔마을.2001아울렛 || || 정자역 ||<|2> 구리영업소 || 마두역 || || 롯데백화점.수내역 || 일산동구청 || || 서현역.AK플라자 ||<|2> 불암산영업소 || 주엽역 || || 이매역.농업기술센터.진흥아파트.동신아파트(상)[br]이매역(하) || 대화역 || || 야탑역.종합버스터미널 || 양주영업소 || 킨텍스제2전시장 || == 개요 == [[경기고속]]에서 운행하는 경기순환버스 노선으로, [[분당신도시]]와 [[일산신도시]]를 잇는다. 왕복 운행거리는 '''171.8km'''다. [[https://map.naver.com/?busId=10199|전체 정류장 목록]] == 역사 == * 2010년 8월 23일에 개통되었다. * 2011년 2월 11일에 '이매촌 한신아파트 - [[서현로(성남)|서현로]] - [[판교IC]] - ([[경부고속도로]]) - [[판교JC]] -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 [[성남IC]]' 구간이 [[서현역]] - ([[성남대로]]) - [[야탑역]] - [[성남IC]]' 경유로 변경되었다. * 2015년 12월 29일부터 [[가천대역]]에 추가로 정차한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1&aid=0008082236&viewType=pc|관련 기사]] * 2016년 11월 5일에 [[성남TG]] 내 정류장이 폐지되면서 무정차 통과한다. * 2020년 1월 2일부터 [[이매역]]에 추가로 정차한다. * 2021년 9월 1일부터 적자 누적으로 인해 운행이 중단될 예정이었으나 [[http://www.buspia.co.kr/m/buspia/subpage/notice/noticeView.php?page=1&board_bundle=10&seq=37&pos=8&typ=10|운수업체 공식 입장]], 고양시에서 8109번의 10월 중 [[경기도 공공버스]] 편입과 보조금을 더 지원하는 전제 하에 운행을 계속하기로 하였다. [[https://m.dcinside.com/board/transit/380141|관련 글]] 고양시가 유독 경기도의 공공버스 정책에 부정적이라 이 노선에도 참여를 거부하여 결국 폐선으로 가닥지었는데, 폐선 직전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transit&no=379776|운수업체와 지자체, 경기도간 회의]] 끝에 [[https://www.news1.kr/articles/?4421416|8월 31일 저녁]]에 고양시의 예산 투입이 극적으로 결정되면서 폐선만은 막게 된 것. 다만 이후에도 고양시의 우호적이지 않은 반응에 대한 [[http://www.joongboo.com/news/articleView.html?idxno=363501828|기사]]가 나오는 등 갈등이 완전히 봉합된 것은 아니었다. * 2021년 11월 1일에 예정대로 [[경기도 공공버스]]로 전환되었다. 이 과정에서 노선 면허 지자체가 광주시에서 성남시로 변경되었고 동시에 인가대수는 차량출고 전까지는 14대에서 8대로 축소되었다. 다만 공공버스 전환 직전까지 4대만 운행하는 파행운행이 이어져왔기에 실제 운행대수는 늘어났고 배차간격도 40~70분으로 대폭 줄어들었다. * 평일 28회, 주말 24회로 운행횟수가 정해졌는데, 첫날부터 월요일 정체와 맞물려 배차간격이 깨지는 상황이 벌어졌다.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transit&no=409149|당시 배차 기록]] * 2022년 2월 5일부터 운행횟수가 평일 26회, 주말 23회로 감축되었다. == 특징 == * 전 구간 완주 시 2시간이 소요된다. 단, 교통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 현재 대한민국 내륙에서 운행거리가 가장 긴 시내버스 노선이다.[* 도서 지역까지 포함 시 [[제주 버스 201|제주시 간선 201번]]이 가장 길다.] 개통 당시에는 [[경기도 시내버스]] 중 가장 거리가 긴 노선이었으며, 전국에서 가장 긴 노선이었으나 [[양주 버스 8906|8906번]]이 [[안양시]]와 [[양주시]]로 연장되면서 왕복 거리가 191km로 길어지자 8109번은 2위로 밀려났다. 전국 레벨로 보면 제주도 버스들이 시내버스로 형간전환하면서 더욱 밀려났다. 그러나 2022년 11월 1일에 8906번이 [[부천시]]로 단축되면서 다시 한반도에서 제일 긴 시내버스 타이틀을 받게되었다. * 주 수요는 영업소 간의 환승 수요와 분당, 일산-영업소 환승 수요이며, [[https://m.dcinside.com/board/transit/379185|관련 게시물]]에서 볼 수 있듯이 일산-분당을 오가는 초장거리 수요 또한 존재한다. * 성남시 기준으로 [[청계TG]] 방향으로 이동하면 운행 거리가 단축되지만 [[경기순환버스]]의 개통 취지인 환승 유도와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일산~중동~시흥 구간의 유달리 심각한 상습정체를 피하고, [[구리시]], [[남양주시]]에서의 환승 수요를 확보하기 위해서 일부러 [[구리남양주TG]] 방향으로 노선을 선정하였다.[* 실제로 [[구리남양주TG]], [[불암산TG]]에서 8109번으로 환승하여 [[성남시]] 방면으로 이동하는 수요가 많다. 가천대 한정으로 [[의정부 버스 8401, 8409|8401번이나 8409번]]으로 움직일 수도 있다.] 그래서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의 민자구간을 모두 경유하는 유일한 버스가 되었다. * 신설 당시 노선 번호가 잘못 부여되었다. 간선급행버스 노선 번호 규칙을 따르면 810'''7'''번이 맞지만 노선이 개통된 후 지금도 8109번이 유지되는 중이다.[* 9번은 의정부, 양주, 동두천 권역 번호이다.] [[경기도]] 역시 잘못된 부분을 파악하였지만 비용 문제도 있고 이용객들도 그렇게 신경쓰지 않기 때문에 현재까지도 유지되고 있다. * 행선판과 LED에는 '성남'과 '고양'이라고 적혀있지만 통상적으로 성남이라고 불리는 [[중원구]]를[* 그나마 [[수정구]]에는 가천대 정류장이 있어서 [[성남 본시가지]] 이동 수요를 책임질 수 있다.] 경유하지 않고, 고양으로 불리는 [[덕양구]]를 경유하지 않는다. 경유하는 것은 맞지만 시 전체를 경유하지는 않는 것이다. 그래서 개통하고 얼마 뒤에는 성남 밑에 '분당', 고양 밑에는 '일산 킨텍스'라는 표기를 병기하였다. 이후 8109번의 인지도가 올라가면서 부가 표기는 사라지게 된다. * 대학생들의 이용률이 높다. 고양은 물론 구리/남양주에 거주하는 성남/용인/광주 권역 대학교의 대학생들에겐 이만한 노선이 없기 때문. * [[단국대학교]] - [[미금역]]이나 [[오리역]]에서 [[용인 버스 102(대원버스)|102번]], [[용인 버스 1101|1101번]], [[용인 버스 8100|8100번]], [[용인 버스 7007-1|7007-1번]], [[용인 버스 39-1|39-1번]], [[용인 버스 1303|1303번]]으로 환승.[* 실제로 8109번이 개통하고 [[단국대학교]]는 일산행 통학버스를 폐지했다.] * [[가천대학교]], [[동서울대학교]] - 가천대 하차[* 가천대는 가천대 정류장 바로 앞에 있으며, 동서울대는 한번 더 환승하는 것이 낫다.] * [[을지대학교]], [[신구대학교]], [[한국폴리텍Ⅰ대학#s-4|한국폴리텍Ⅰ대학 성남캠퍼스]] - 가천대에서 [[하남 버스 30|30번]], [[서울 버스 452|452번]]으로 환승.[* 신구대의 경우 [[단대오거리역]]에서 한 번 더 환승해야 한다. 단대오거리역에서 신구대까지의 거리는 1km 정도로 먼 거리는 아니지만 도보로 20여 분이 걸린다. 이외에도 가천대가 아닌 야탑역.종합버스터미널 정류장에 내려서 [[성남 버스 57|57번]]으로 환승하는 방법이 있다.][* 한국폴리텍대학의 경우도 수정로 연선에서 [[성남 버스 330|330번]]으로 갈아타면 더 빨리 도달할 수 있다.] * [[한국외국어대학교/캠퍼스#s-2|한국외국어대학교 글로벌캠퍼스]] - 가천대에서 [[용인 버스 1117|1117번]]으로 환승.[* [[야탑역]]에서 [[용인 버스 1005|1005번]]을 타는 방법도 있지만, 우선 길을 건너서 타야하고 1005번에 노선 굴곡이 있으며 무엇보다 배차간격이 기본 30분이다. 또한 서현역에서 [[용인 버스 1150|1150번]]이나 [[용인 버스 1500-2|1500-2번]]으로 환승하는 방법도 있지만, 두 노선이 정차하는 이매촌한신아파트 정류장은 8109번이 정차하는 서현역 정류장과는 600m 넘게 떨어져 있다. 그리고 [[정자역]], [[미금역]], [[오리역]]에서 [[용인 버스 1303|1303번]]이나 오리역에서 [[경기광주 버스 60|60번]]으로 환승하는 방법도 있지만, 분당 남쪽까지 내려가야 하기 때문에 시간이 오래 걸린다.] * [[동원대학교]] - 가천대에서 [[경기광주 버스 500-1|500-1번]], [[경기광주 버스 500-2|500-2번]]으로 환승.[* 다만 이쪽은 [[구리남양주TG|구리영업소]]에서 [[남양주 버스 11|11번]], [[남양주 버스 100|100번]] 환승 후 [[강변역]]에서 [[경기광주 버스 1113-1|1113-1번]]을 타는 게 훨씬 빠르다.] * [[광역급행버스 M7731|M7731번]]과 비슷하게 [[KINTEX]]에서 행사가 열리면 만차가 되는 경우가 잦다. 대표적으로 2021년 12월 31일 [[2022 Weverse Con|HYBE 레이블즈 콘서트]]로 인해 킨텍스발 21:20차가 만석을 찍었고, 2022년 4월 2일에도 [[2022 LoL Champions Korea Spring/결승전|2022 LCK 스프링 결승전]]으로 인해 킨텍스발 22:20차가 만석을 찍었다. 또한 인근 [[고양체육관]]에서의 농구 경기 혹은 행사 이후에 성남 방향으로 이동할 때도 유용하다. === 시간표 === ||<-3> {{{#ffffff 성남 버스 8109번 운행시간표(평일·토요일)}}}[br]{{{#ffffff 2023년 6월 8일 기준}}} || || 횟수 || 오리역 || 킨텍스 제2전시장 || || 1 || 05:00 || 05:00 || || 2 || 06:00 || 05:30 || || 3 || 06:50 || 06:00 || || 4 || 07:50 || 06:40 || || 5 || 08:40 || 07:20 || || 6 || 09:30 || 08:00 || || 7 || 10:20 || 08:40 || || 8 || 11:00 || 09:20 || || 9 || 11:40 || 10:20 || || 10 || 12:20 || 11:10 || || 11 || 13:00 || 12:10 || || 12 || 13:40 || 12:50 || || 13 || 14:30 || 13:30 || || 14 || 15:30 || 14:30 || || 15 || 16:20 || 15:10 || || 16 || 17:00 || 15:50 || || 17 || 17:50 || 16:40 || || 18 || 18:40 || 17:40 || || 19 || 19:30 || 18:40 || || 20 || 20:10 || 19:40 || || 21 || 20:50 || 20:30 || || 22 || 21:40 || 21:10 || || 23 || 22:30 || 22:20 || || 24 || 23:30 || 23:30 || ||<-3> {{{#ffffff 성남 버스 8109번 운행시간표(주말·공휴일)}}}[br]{{{#ffffff 2023년 5월 15일 기준}}} || || 횟수 || 오리역 || 킨텍스 제2전시장 || || 1 || 05:00 || 05:00 || || 2 || 06:00 || 05:30 || || 3 || 07:10 || 06:00 || || 4 || 08:20 || 06:40 || || 5 || 09:30 || 07:20 || || 6 || 10:10 || 08:00 || || 7 || 10:50 || 09:10 || || 8 || 11:30 || 10:20 || || 9 || 12:40 || 11:10 || || 10 || 13:30 || 12:10 || || 11 || 14:30 || 12:50 || || 12 || 15:30 || 13:30 || || 13 || 16:20 || 14:30 || || 14 || 17:20 || 15:30 || || 15 || 18:00 || 16:30 || || 16 || 19:00 || 17:40 || || 17 || 20:00 || 18:40 || || 18 || 20:50 || 19:40 || || 29 || 21:40 || 20:30 || || 20 || 22:30 || 21:10 || || 21 || 23:30 || 23:30 || == 연계 철도역 == * [[파일:Seoulmetro3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3호선]]: [[백석역]], [[마두역]], [[정발산역]][* 일산동구청 정류장 하차 후 도보로 약 150m.], [[주엽역]], [[대화역]] * [[파일:SBLine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가천대역]], [[야탑역]], [[이매역]], [[서현역]], [[수내역]], [[정자역]], [[미금역]], [[오리역]] * [[파일:SinbundangLine_icon.svg|width=17]] [[신분당선]]: 정자역, 미금역 * [[파일:GyeonggangLine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경강선]]: 이매역 == 둘러보기 == [include(틀:고양-주요 지역간 버스)] [[분류:경기순환버스]][[분류:성남시의 시내버스]][[분류:2010년 개업한 버스 노선]][[분류:고양시 경유 관외 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