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폐선)] [목차] = 1기 노선 = ||<-6> {{{#ffffff 성남시 시내일반버스 310번}}} || ||<-2> 기점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구미동(오리역) ||<-2> 종점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사송동([[사송공영차고지]]) || ||<|2> 종점행 || 첫차 || - ||<|2> 기점행 || 첫차 || - || || 막차 || - || 막차 || - || ||<-2> 평일배차 || - ||<-2> 주말배차 || - || ||<-2> 운수사명 || [[대원버스]] ||<-2> 인가대수 || - || ||<-2> 노선 ||<-4> [[오리역]] - [[미금역]] - 분당이마트 - 정자동주민센터 - 양지마을 - 분당구청 - 서현역 - 이매촌한신 - 백현마을 - [[판교역(성남)|판교역]] - 봇들마을 - [[사송공영차고지]] || 판교신도시에 입주가 시작되면서 해당 지역 교통편의를 위해 2009년 2월 28일 개통했던 노선이다. 당시에는 [[오리역]]에서 세곡동까지 잇는 노선으로 개통했는데[* 양지마을 - 이매촌한신아파트([[서현역]]) - 백현마을 - 봇들마을 - 한국도로공사 - 시흥사거리 - 서울공항 - 세곡동사거리], 동판교 - 분당은 다른 중복되는 노선들에 밀리고, 고등동 - 세곡동 구간은 공급에 비해 수요가 턱없이 모자른 곳이라 점점 배차가 벌어졌다. 회사측에서도 [[자일대우버스 BS|BS090]]을 투입하면서 면허만 유지하는 수준으로 운행했다. 그래도 2009년 여름에는 BS090 2대로 오리역 기준 5:20-22:00까지 매시 정각마다 다녔고 2007년 2412가 야탑역으로 단축된 상황에서 고등동-세곡동 구간에서 서현역까지 바로 꽂아주는 노선이 다시 생겼다는 의의는 있었다고 하겠다. 그러다 2011년 6월 20일 [[직행좌석버스]] 1001번(동백 - [[잠실역]])이 [[시내버스]] [[성남 버스 101|101번]]으로 형간전환하면서 310번과 거의 중복이 되었다. 노선을 유지할 명분조차 사라지게 된 것. 2011년 10월 28일 [[신분당선]] 개통으로 인한 [[시내버스]] 노선 조정에 따라 종점이 [[사송공영차고지]]로 단축되었고, 1대만으로 조용히 운행하다 2012년 12월 운행을 중단했다. 그러다 8년 반 정도 후에 분당신도시 대신 대장지구를 경유하는 노선으로 재개통했다. [[성남 버스 310|해당 문서]] 참조.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성남 버스 310, version=9, title2=성남시 버스 목록/폐선, version2=330, paragraph2=2.51)] = 2기 노선 = [[파일:310_1759.jpg]] == 노선 정보 == ||<-6><:><#33cc99>{{{#ffffff 성남시 일반시내버스 310번}}}|| ||<-2><:>기점||<:>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산성동(산성동)||<-2><:>종점||<:>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분당동(율동공원)|| ||<|2><:>종점행||<:>첫차||<:>05:00||<|2><:>기점행||<:>첫차||<:>06:00|| ||<:>막차||<:>22:00||<:>막차||<:>23:00|| ||<-2><:>평일배차||<:>출퇴근 20분/평시 25~30분||<-2><:>주말배차||<:>40~50분|| ||<-2><:>운수사명||<:>[[성남시내버스]]||<-2><:>인가대수||<:>5대|| ||<-2><:>노선||<-4><:>산성동 - [[산성역]].신흥주공아파트후문 - 성남세무서 - 단대쇼핑 - 신구대학교 - 숭신여자중.고교 - 금광동 래미안아파트 - 숭신여자중,고교 - 신구대학교 - 단대쇼핑 - 세이브존.[[단대오거리역]] - 성남우체국 - [[신흥역(성남)|신흥역]].종합시장 - 구.시청 - 통계청.[[태평역]] - [[모란역]].모란시장 - [[야탑역]].[[성남종합버스터미널]] - [[이매역]] - 새마을연수원입구 - 율동공원|| == 개요 == 성남시 시내버스 노선 중 하나였다. == 역사 == * 2017년 9월 4일에 [[성남 버스 60|60번]] 노선 변경과 [[성남 버스 2(폐선)|2번]]과 [[성남 버스 2-1(폐선)|2-1번]]을 폐선하고 신설되었다. [[http://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infra&no=89153|관련 게시물]] 인가는 2-1번 인가를 가지고 와 GBIS에서도 2번은 폐선된 후에도 그대로 남아있던 반면 2-1번은 바로 사라졌으며, 포털사이트 지도 등에서도 310번에서 운행 중인 차량이 2-1번 노선에서 운행 중인 걸로 나오기도 했다. * 2018년 2월 14일에 폐선되었다. 이로 인해 [[성남 버스 60|60번]]이 다시 숭신여고를 경유한다. [[http://m.dcinside.com/view.php?id=transit&no=20197|관련 게시물]] == 특징 == * [[성남 버스 60|60번]] 대신 [[숭신여자중학교]], [[숭신여자고등학교]]로 들어갔다. * 신설 당시엔 2-1번 출신 차량 3대으로 운행했다. 이후 [[성남 버스 331|331번]], [[성남 버스 55|55번]], [[성남 버스 340|340번]]에서 각각 1대씩 빼오면서 3대가 증차되어 6대로 운행했고, [[성남 버스 55|55번]] 출신 차량이 [[성남 버스 340-1|340-1번]]에 투입되면서 1대가 감차되었다. * 배차간격은 평균적으로 40분이었다. 과거 2-1번 시절보다는 배차가 나았던 편이지만 그래도 상당히 긴 편에 속했다. 평일 출퇴근시간에도 30분 간격이었고 주말에는 많이 벌어지면 1시간 가까이 가는 경우도 있었다. * 3XX번대 시내버스 중[* 300번은 판교신도시가 없던 2006년 경에 신설된 노선으로 논외.] 유일하게 판교신도시로 들어가지 않았다. * '숭신여중고 - 율동공원' 구간은 구)시청, 태평역 구간을 제외하고 [[경기광주 버스 17-1|17-1번]]과 중복되었으며, '태평역 - 율동공원' 구간은 [[경기광주 버스 119|119번]]과 중복되었다. * 같은 곳에서 회차하는 [[성남 버스 33|33번]]과 달리 야탑역에 들어갔다. * 폐선 후 차량들은 전부 60번으로 증차되었다. 이로 인해 60번 배차간격이 대폭 줄어들었다. == 연계 철도역 == * [[서울 지하철 8호선]] : [[산성역]], [[단대오거리역]], [[신흥역(성남)|신흥역]], [[모란역]] * [[수도권 전철 분당선]] : [[태평역]], 모란역, [[야탑역]], [[이매역]] * [[수도권 전철 경강선]] : 이매역 [[분류:성남시의 시내버스]][[분류:2009년 개업한 버스 노선]][[분류:2012년 폐지된 버스 노선]][[분류:2017년 개업한 버스 노선]][[분류:2018년 폐지된 버스 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