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성남시의 버스)] [include(틀:성남-광주간 버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성남 109-1번 대형차량.webp|width=100%]]}}}|| [목차] == 노선 정보 == ||<-6> [[파일:성남시 CI_White.svg|width=20]] {{{#ffffff 성남시 마을버스 109-1번}}} || ||<-6> {{{#!folding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성남 109-1 노선도.png|width=100%]]}}} || ||<-2> 기점 || [[경기도]] [[광주시]] [[신현동(광주)|신현동]](태재고개) ||<-2> 종점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정자동(정자역) || ||<|2> 종점행 || 첫차 || 평일 06:10, 휴일 06:40 ||<|2> 기점행 || 첫차 || 평일 06:35, 휴일 07:00 || || 막차 || 평일 22:40, 휴일 22:00 || 막차 || 평일 23:00, 휴일 22:30 || ||<-2> 평일배차 || 출퇴근 6~8분, 평시 10~15분 ||<-2> 휴일배차 || 20~30분 || ||<-2> 운수사명 || [[진아교통(성남)|진아교통]] ||<-2> 인가대수 || 7대[* 실제로는 최대 '''9대'''로 운행한다.] || ||<-2> 노선 ||<-4> 태재고개 - 요한성당 - 현진에버빌 - 대진고 - (→ 진로빌라 →/← 한성빌라 ←) - 샛별동성아파트 - 분당동주민센터 - 동국대한방병원.수내고 - 정든우성6단지 - 한솔주공 5~6단지 - (→ 상록마을우성아파트 →/← 정자2동주민센터 ← 느티마을4단지 ←) - 정자역 || == 개요 == 태재고개에서 분당동, 수내3동을 거쳐 [[정자역]]을 잇는 마을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약 15.5km이다. [[http://map.naver.com/?busId=5152|전체 정류장 목록]] == 역사 == * 1995~1996년에 신설되었다. 당시 노선은 '백궁역(現 정자역) → 상록마을 → 한솔초교 → 수내파출소 → 중앙고 → 계원예고 → 상록마을 → 백궁역'이었다. * 이후 폐선되었다가 2002년에 정자역 ↔ 대진고 노선으로 다시 신설되었다. * 2015년 10월 1일부터 대진고에서 요한성당으로 노선이 연장되었다. [* 노선 연장이 필요하다는 민원이 꾸준히 존재해왔다고 한다.] 그리고 배차간격 유지를 위해 [[성남 버스 109|109번]]에서 1대를 차출, 증차하였다. * 2017년 1월부터, 평일 출퇴근시간대 차량 6대가 운행하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 2018년 12월부터, 본 노선 이용자의 편의를 위해 회사에서 차량 1대를 증차시켜 배차간격을 더 조밀하게 맞추게 되었다. [* 다만 출퇴근시간에도 7대가 모두 운행하지는 않았으며, 아마도 주 52시간 근무제한에 맞추기 위해 조치한 것으로 보인다.] * 2020년 6월 13일부터 종점이 태재고개[* 하행 정류장만 편도 운행]로 연장되어, 광주시로 진입하게 되었다. [[https://www.seongnam.go.kr/city/1000052/30001/bbsView.do?currentPage=1&searchSelect=&searchWord=&searchOrganDeptCd=&searchCategory=&subTabIdx=&idx=197896|성남시 공지사항]] [* 요한성당 정문 앞 U턴 후 대기장소 관련 문제로 인하여 광주시와 협의 후 연장하게 되었고, 이후 요한성당 U턴 문제로 투입하지 못했던 뉴 슈퍼 에어로시티까지 들어가는 중이다. [[https://m.dcinside.com/board/transit/240324|#관련 게시물]] 참조.] 동시에 출근시간대 차량 운행 대수가 9대로 증차되었다. * 2023년 3월부터, 기종점이 맞바뀌어 태재고개 출발 → 정자역 회차로 운행한다. [* 이전부터 율동공원 주차장을 차고지로 써왔기 때문에, 이번 조정으로 불필요한 공차회송 거리 발생 및 중간출발 문제가 해소되었다.] * 2023년 4월 5일 발생한 [[정자교 붕괴 사고]]로 사고 직후 부터 궁내교로 임시 우회한다. 그러므로 BIS 상 위치가 정확하지 않거나 배차간격이 길어질 수 있다. [[https://www.seongnam.go.kr/city/1000052/30001/bbsView.do?idx=337473|성남시 공지사항]] == 특징 == * 인가대수가 2대였던 시절에는 일부 시간대에 배차간격이 막강하게 벌어졌으나, 증차를 거듭한 이후로는 훨씬 사정이 좋아졌다.[* 현재 이 회사가 보유한 노선들 중 운행대수가 가장 많은 노선이다.] * 출퇴근시간 차량 혼잡도가 극심함에도 불구하고 요한성당 회차 문제로 도입하지 못했던 대형차량을 태재고개 연장 직후 투입하였다. * 고정 운행차량은 5대, RH용 예비차량은 4대이다.[* [[성남 버스 111|111번 맞춤형 노선]]과 공유하는 예비차의 경우 측면에 행선지를 '109-1', '정자역', '동국대한방병원', '요한성당' 이렇게 4개의 탈부착 가능 스티커를 붙여 표시한다.] * 도착시간 정보가 간혹 안 맞는다. 한 정류장에서 안 움직이다가 갑자기 다섯 정류장을 워프하는 경우가 있다.[* 노선 경로상에 고속 주행이 수월한 구간이 많아, 여러 교차로의 신호를 한 번에 통과하는 경우가 있다는 점도 감안해야 한다.] 도착시간 정보를 믿고 정류장에 가면 낭패를 당하기 십상이니 그냥 도착시간 정보가 없다고 생각하는 것이 속 편하다. 어차피 그렇게 오래 기다려서 타는 버스도 아니니...[* 그러나 이 노선의 주말 배차간격은 짧은 편이 아니다.] * 버스 번호에 불이 안 들어오기 때문에 밤에는 멀리서 식별할 수가 없었으나, 현재는 전면부 LED를 장착하여 아주 잘 보이게 되었다. * 평시나 주말에 휴식 및 배차 유지 등을 위해 지역난방공사 방향 '요한성당' 정류장 앞에서 장기정차하는 경우가 잦았다. 이 때문에 간혹 3번과 3-2번을 운행하는 기사가 손님이 안 보인다고 직접 시에 민원을 넣기도 했다.[* 지금은 민원을 수용하여 반대 방향 끝차선에 정차하는 것으로 바뀌었다. 태재고개 연장 이후에도 배차가 벌어지는 것을 대비해 요한성당에 대기하는 예비차가 있다.] * 태재고개로 연장되면서 분당의 학교, 특히 대진고와 수내고로 통학하는 광주시 학생들이 [[경기광주 버스 17|17번]] 대신 이용할 수 있는 대체재가 되었다. 이 때문에 기존 분당동, 수내동 지역에서 [[수내고]]나 [[한솔고등학교(경기)|한솔고]]로 통학하던 학생들은 탑승하기 더욱 어렵게 되었다. === 일평균 승차량 === * 원 출처는 [[http://gits.gg.go.kr/gtdb/web/trafficDb/bus/TransitBusLinePass.do|경기교통DB]]이며, 노선별 이용인원의 자료를 재구성했다. * 경기도 자료는 연간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아 '''매년 3월'''을 기준으로 작성했다. * '''현금승차량은 집계되지 않았으며, 데이터 누락이나 오류로 인해 실제 승차량보다는 낮게 집계되니 단순 참고용으로만 확인하기 바람.''' ||<-3><#f99d1c> {{{#ffffff '''평일'''}}} || || 연도 || 일평균 승차량 || 전년대비 변동폭 || || 2020년 ||<)> 2,076 ||<)> || || 2021년 ||<)> '''3,669''' ||<)> {{{#red △ 1,593}}} || ||<-3> {{{-1 ※ 하차 인원 미포함}}} || ||<-3><#f99d1c> {{{#ffffff '''주말'''}}} || || 연도 || 일평균 승차량 || 전년대비 변동폭 || ||2020년 ||<)> 1,164 ||<)> || ||2021년 ||<)> '''1,873''' ||<)> {{{#red △ 709}}} || ||<-3> {{{-1 ※ 하차 인원 미포함}}} || == 연계 철도역 == * [[파일:SBLine_icon.svg|width=20]]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정자역]] * [[파일:SinbundangLine_icon.svg|width=20]] [[신분당선]]: 정자역 [include(틀:성남-광주간 버스)] [[분류:성남시의 마을버스]][[분류:2002년 개업한 버스 노선]][[분류:광주시 경유 관외 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