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성공회대학교)] [include(틀:역대 성공회대학교 총장)] ||<-5>
'''{{{#white [[파일:성공회대학교 UI.svg|width=40]] {{{+4 성공회대학교 총장}}}}}}''' {{{#white '''聖公會大學校 總長'''}}} {{{#white '''President of Sungkonghoe University'''}}} || ||||<-5>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김경문 이삭 신부.jpg|width=100%]]}}} || || '''{{{#white 현임}}}''' ||<-4>[[김경문(신부)|김경문]] 이사악 총장신부[* [[서울교구]] 소속 사제.] {{{-2 (9대)}}} || || '''{{{#white 취임일}}}''' ||<-4>2022년 8월 1일 || ||<-5> [[파일:성공회대학교 UI.svg|width=30]] '''[[성공회대학교|{{{#ffffff 역대 성공회대학교 총장}}}]]''' || || 8대 ||<|2> ← || '''9대''' ||<|2> → || 현직 || || [[김기석(신부)|김기석]] 아모스 신부 || '''[[김경문(신부)|김경문]] 이사악 신부''' || 재직 중 || [목차] [clearfix] == 개요 == [[성공회대학교]] 총장(聖公會大學校 總長, President of Sungkonghoe University). == 역대 총장 == === 성 미카엘 신학원장[* 조선성공회신학원장 포함. 허세실 신부가 안식년을 마치고 본국으로부터 귀환한 후(1921년), 명칭을 '조선성공회신학원'이라고 개칭한 것은 분명한 사실이다. 그렇기 때문에 '조선성공회신학원'이라는 명칭이 개칭 이후에도 기존의 '성 미카엘 신학원'과 혼용되었다가, 1948년 재 개교때 '조선성공회신학원'이라는 명칭을 폐하고 '성 미카엘 신학원'으로 정식 개칭되었거나, 국내명칭은 '조선성공회신학원'으로 하고, 국외 영문명으로는 계속 'St Michael's Seminary'를 유지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 ==== 강화도 시대 ==== * 세실 헨리 노블 허지스 신부 (허세실, Cecil Henry Noble Hodges) (초대, 1914~1915. 12[* 안식년으로 본국 귀국]/1921. 5[* 조선으로 귀환] ~ 1921. 10. 23) 당시 [[조선교구장]]이었던 [[마크 트롤로프]] 주교에 의해 전도사 교육 및 성직후보자 훈련 담당을 목적으로 초빙되어 1911년 조선으로 오게 된다. 신학원 개원 전까지 교구 업무[* 수원전도구, 천안전도구 관할사제]를 맡기도 하였다. 이후 1915년 안식년으로 본국으로 잠시 귀국한다. * 헨리 존 드레이크 신부 (민재은, Henry John Drake) (원장서리, 1918. ~ 1921. 5)[* 신학교의 예과 성격인 전도사 교육 실시] 허세실 신부의 원장직을 대리해 예과교육만을 1918년 3차에 걸쳐 3개월 과정으로 실시하였다. 그러나 1차대전의 여파로 허지스 신부의 귀환이 늦어지며 신학원은 사실상 운영이 불가능했다. ==== 인천 시대 ==== * 세실 헨리 노블 허지스 신부 (Cecil Henry Noble Hodges, 허세실) (초대, 1921. 10. 23 ~ 1924. 5) '조선성공회신학원'이란 명칭으로 재개원한다. 다만, 기존의 '성 미카엘 신학원'이란 명칭도 혼용된다. 그러던 1925년 허지스 신부는 다시 안식년을 위해 본국으로 귀국하였다.[* 그리곤 다시 돌아오지 않았고, 그는 그의 보고서에서 조선에서의 교육활동을 긍정적으로 평가하지는 않았다. 다만, 그는 [[양화진외국인묘원]]에 묻혔는데, 1926년 [[서울대성당]]의 건축과정을 보러 왔다가 폐렴으로 사망했기 때문이다.] * 헨리 존 드레이크 신부 (민재은, Henry John Drake) (원장서리, 1924. 5 ~ 1925) * [[마크 트롤로프|마크 네이피어 트롤로프]] 주교 (조마가, Mark Napier Trollope) (2대, 1925 ~ 1926) * 에너스트 아놀드 신부 (안을도, Ernest Henry Arnold) (3대, 1928. 11 ~ 1933. 1. 1) 이 시기부터는 서울과 인천을 오가며 단기교육만을 실시하였다. * 성직후보자 양성 단기 교육[* 아마 신입생들이 있을 때마다 근근이 선교사들이 돌아가며 신학교육을 맡았을 것으로 추정된다.] (1934. 2. 2 ~ 1940. 3. 13[* 신학원 폐원]) * 알버트 윌리암 리 신부 (이도암, Albert William Lee) (4대, 1948. 4. 20 ~ 1950. 7. 25) ==== 청주시대 ==== * 윌리암 퍼셋트 신부 (오해리, William Henry Carr Fawcett) (5대, 1952. 4. 19 ~ 1954.) ==== 항동캠퍼스 시대 ==== * [[루번 아처 토리 3세]] 신부 (대천덕, Reuben Archer Torrey Ⅲ) (6대, 1957. 12. 06. ~ 1964. 08. 04.) * [[리처드 럿트|세실 리처드 럿트]] 신부 (노대영, Cecil Richard Rutt) (7대, 1964. 08. 04. ~ 1966. 06. 23.) * 김은태 스테반 신부[* 한국계 미국인이다.] (8대, 1966. 06. 23. ~ 1968. 07. 10.[* 연구 차 도미. 사실상의 임기 종료일이다. 실제 사임일은 '69년 10월 1일.]) * [[최철희]] 윌리암 신부 (원장서리, 1968. 06. 04. ~ 1969. 10. 02.) * [[최철희]] 윌리암 신부 (9대, 1969. 10. 02. ~ 1970. 08. 01.) * [[이천환]] 바우로 주교 (10대, 1970. 08. 01. ~ 1971. 11. 11.) * 이근홍 누가 신부 (원장서리, 1971. 11. 11. ~ 1972. 02. 08.) * 이근홍 누가 신부 (11대, 1972. 02. 08. ~ 1977. 01. 26.) * [[이천환]] 바우로 주교 (12대, 1977. 01. 26. ~ 1979. 01. 31.) * [[윤환(주교)|윤환]] 바우로 신부 (13대, 1979. 01. 31. ~ 1982. 03. 11.) === 천신신학교 학장 === * 이제민 아브라함 박사[* 최초의 평신도 총장] (초대, 1982. 03. 11. ~ 1983. 06. 25.) * [[배두환]] 마가 주교[* 당시 [[대전교구장]]] (2대, 1983. 06. 25. ~ 1984. 04. 27.) * [[정철범]] 마태 신부[* 훗날 [[서울교구장]]] (3~4대, 1984. 04. 27. ~ 1988. 04. 25 / 1988. 04. 25 ~ 1988. 07. 08.) * [[이재정(1944)|이재정]] 요한 신부 (5대, 1988. 10. 27. ~ 1989. 03. 01.) === 성공회신학교 학장 === * [[이재정(1944)|이재정]] 요한 신부(초대, 1989. 03. 01. ~ 1993. 03.) === 성공회신학대학장 === * [[이재정(1944)|이재정]] 요한 신부 (초대, 1993. 03. ~ 1994. 09.) === 성공회대학교 총장 === * [[이재정(1944)|이재정]] 요한 신부 (초대~2대, 1994. 09. ~ 1997. 03. / 1997. 03. ~ 2000.) * [[김성수(주교)|김성수]] 시몬 주교[* 은퇴 주교 신분.] (3~4대, 2000. ~ 2004. / 2004. ~ 2008. 09. 29.) * [[양권석]] 예레미야 신부 (5대, 2008. 09. 29. ~ 2012. 09. 26.) * [[이정구(신부)|이정구]] 어거스틴 신부 (6~7대, 2012. 09. 26. ~ 2016. 08. / 2016. 08. ~ 2018. 08. 01.) * [[김기석(신부)|김기석]] 아모스 신부 (8대, 2018. 08. 01. ~ 2022. 08. 01.) * [[김경문(신부)|김경문]] 이사악 신부 (9대, 2022. 08. 01.~) == 같이보기 == * [[대한성공회]] * [[성공회대학교]] [[분류:성공회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