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수권 - 강)] [include(틀:대한민국의 하천)] ||<-2> {{{#fff '''{{{-1 국가하천 · [[파일:전라북도 휘장_White.svg|height=15]] 전라북도 지방하천}}}[br]{{{+2 섬진강}}}'''[br]'''[[蟾|{{{#fff 蟾}}}]][[津|{{{#fff 津}}}]][[江|{{{#fff 江}}}]]''' | '''Seomjingang River'''}}}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섬진강 곡성.jpg|width=100%]]}}}|| || '''위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2]] [[대한민국]][br]└[[전라북도]][br]└[[전라남도]][br]└[[경상남도]] || || '''수계''' ||섬진강수계 || || '''발원'''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2]] [[전라북도]] [[진안군]] 백운면 신암리 [[팔공산(전북)|팔공산]] 데미샘 || || '''하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2]] [[전라남도]] [[광양시]] 진월면 망덕리[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2]] [[경상남도]] [[하동군]] 금성면 고포리 || || '''유입''' ||[[오수천]], [[요천]], [[보성강]], [[서시천]], [[횡천강]] 등 || || '''유출''' ||[[동해]][* 국제해양법상 명칭. 국제해양법에서는 남해가 존재하지 않으며, 1953년 《해양과 바다의 경계(Limits of Oceans and Seas)》에서 제주도 동쪽까지를 동해로 구획하였고 남해는 동중국해의 일부이다.] {{{-1 ([[남해]][* 대한민국 국내 분류법 가운데 오륙도 기점을 채택할 경우.])}}} || || '''유로연장''' ||223.86 km (139 mi)[* 대한민국 영토의 국가하천 본류에서 [[낙동강]], [[한강]], [[금강]]에 이어 4번째로 긴 강이다.] || || '''유역면적''' ||4,912.89 km² (1,896 sq mi)[* 길이와 마찬가지로 남한에서 한강, 낙동강, 금강 다음의 4번째 유역 면적이다.] || || '''유량''' ||670 m³/s (23,661 cu ft/s) || || '''하중도''' ||- || || '''하천코드''' ||4000010 (국가하천)[br]4020010 (지방하천) || [목차] == 개요 == [[파일:섬진강.jpeg.jpg]] [[전라북도]] 남동부와 [[전라남도]] 동부, [[경상남도]] 서부를 흐르는 [[강]]. 중상류에서는 호남 지역을 흐르지만 하류 지역에서 경상남도와 전라남도의 경계선을 흐르기 때문에 양남의 경계라는 인식이 강하다. == 유역 == 발원지인 [[전라북도]] [[진안군]] 백운면 신암리 데미샘은 [[장수군]]과 진안군의 경계인 [[팔공산(전북)|팔공산]]에 있다.[* [[대구광역시]]의 [[팔공산]]과는 다른 산이다.] 진안군 마령면 등을 경유한 다음, [[임실군]] 운암면에서 섬진강[[댐]] 건설로 조성된 [[옥정호]]로 흘러든다. 섬진강댐 하류에서는 [[순창군]] 동부[* 2000년대 전반기에 순창군 적성면에 섬진강을 막아 적성댐을 건설하려고 하다가 격렬한 반대로 백지화되었다.]를 남북으로 경유하여 [[남원시]]와 [[곡성군]]의 경계를 지난다. [[전라남도]]에서는 [[남원시]]를 지나 흘러드는 요천과 곡성군 북부에서 합류한 후 남동으로 흐른다. [[곡성군]]과 [[구례군]]의 경계를 이루며 남동쪽으로 흐르다가 곡성군 오곡면 압록리 근처에서 [[보성강]]과 합류한다. 그 이후 [[순천시]]와 [[구례군]]의 경계를 살짝 지나다가[* 여기에 [[전라선]] [[구례구역]]이 지난다.] [[구례군]]과 [[광양시]]에서 [[지리산]] 남부의 협곡을 지난 후 [[경상남도]](하동군)와 [[전라남도]]의 경계를 이루면서 [[남해]] [[광양만]]으로 흘러들어간다. == 특징 == 호남 지방의 동부를 흐르면서도 서부 지방과 달리 지형이 험하고 충적지가 적다. 유역 전체를 온통 호남정맥이 둘러싸고 곡성, 구례, 악양 등지에 그나마 분지가 조금 있는 수준이다. 유역면적은 4,913㎢이고, 유로연장은 223.9km이다. 섬진강 유역은 [[한반도]] 내 대표적인 [[다우지]]로 [[한강]], [[낙동강]], [[금강]] 등 주요하천에 비해 길이도 짧고 유역도 작지만 수자원이 풍부하기 때문에 전남과 광주 등지에 용수를 공급하는 수자원으로 활용된다. 예전엔 곡성군에서 [[전라선]] 기차를 타면서 나란히 흐르는 섬진강을 보는 경치가 아름다웠지만, 복선화되면서 이설되어 현재는 해당 구간에서 터널로 들어가버리기 때문에 [[구례구역]] 근처를 제외하면 경치를 즐기기는 어려워졌다. 다만 옛 철길의 일부는 [[섬진강 기차마을]]이라는 관광상품으로 만들어서 ~~디젤~~증기기관차와 레일바이크를 운영 중이다. [[경전선]] 진주역 - 광양역 구간이 개량구간으로 개통되면 폐선될 섬진강 철교를 레일바이크 구간으로 만들 계획이 있다고 한다. [[하동군]] 화개면의 [[재래시장]]인 [[화개장터]]에는 영남과 호남의 화합을 상징하는 남도대교라는 다리가 있다.[* 화개장터 노래 첫 소절에도 섬진강이 등장한다. "전라도와 경상도를 가로지르는 섬진강 줄기따라 화개장터엔..."] --[[조영남|구경 한번 와 보세요!]]-- 매년 3월 새하얀 눈꽃이 가득한 섬진강변 매화마을을 중심으로 광양매화축제가 개최된다. === 생태 === 하굿둑이 존재하지 않아 기수역 어종이나 회유어종이 풍부하게 분포한다. 민물과 바닷물이 섞이는 섬진강 유역에서 자라는 벚[[굴(어패류)|굴]] 또한 유명하다. 맛이 은은하고 껍질과 살이 [[크고 아름다운]] 사이즈를 자랑한다. 하굿둑이 없는 섬진강에서만 서식하는 데다 양식이 불가능해서 봄 짧은 시기에 모래밭에서 직접 따야 하기에 값이 비싼 편이라고 한다. 섬진강에서 잡히는 [[재첩]]으로 끓이는 재첩국이 유명하지만, 수질 악화로 지금은 많은 식당이 수입산 재첩을 쓰는 실정이라고 한다. == 정체성 == 역사적으로는 원래 [[가야]]의 포상팔국 (3세기~4세기 초)와 [[반파국]](5세기)이 번영했던 곳이다. 타 호남 지역과 달리 백제, 마한 외에 가야 유적도 많기 때문에 남원, 장수부터 시작해 유역 지자체에서는 운봉가야 같은 가야 정체성을 밀기도 한다. 남해안적인 특징을 가장 강하게 띠는 지역들인 [[여수시]], [[순천시]], [[광양시]], [[남해군]], [[하동군]], [[사천시]] 등을 "섬진강권"으로 부르며, 섬진강시라도 별도 광역시를 만들자는 논의도 나왔다.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1410672|#]] 다만, 엄밀히 말하면 순천시(주암면, 송광면, 외서면 제외), 여수시, 사천시 세 곳은 섬진강 수계가 아니고, 위 논의에서는 진짜 섬진강 수계인 보성군은 빠져있다는 문제가 있다. 남해안의 중간이라 하여 '남중권'으로 부르기도 한다. == 수질 == 국가하천으로 지정되어 있는 [[한강]], [[금강]], [[영산강]], [[낙동강]]들과 비교해서 수질이 가장 좋은 곳으로 평가받는데, 다른 하천과는 달리 유역이 호남정맥 계곡을 흐르는 형태라 유역이 좁아 강 주위에 별다른 산업 시설이나 도시가 발달해 있지 않고 하구둑도 없기 때문이다. 그나마 꼽을 수 있는 산업 시설이 [[금호타이어]] 곡성공장 정도이고, 본류만 따지면 발원지부터 바다에 도착할 때까지 읍면지역만 흐르다 바다에 다 도착해서야 동이 처음으로 나타난다(광양시 태인동).[* 지류까지 따져봐도 요천이 남원시의 동 지역을 흐르는게 전부다.] 하류에 공업도시인 광양시가 있긴 하지만, 광양의 산업 시설은 본류가 끝나는 하구 및 해안 지역에 주로 위치해 있다. 그 때문인지 4대강 정비 사업 때에도 별일 없이 그냥 넘어갔다. 물론 [[박준영]] [[전라남도지사]]의 극구반대가 있어서 넘어간 거긴하다. 원래는 5대강이었지만 대선 유력 후보였던 [[이낙연]]부터 절대반대였다. [youtube(JLYlRo6QNB0)] 하지만 강 상류에 [[섬진강댐]]의 건설로 수량이 줄고 하구에 [[광양제철소]]가 들어서면서 바닷물의 흐름이 바뀌어 역류하면서 섬진강 하류의 생태계가 조금씩 피해를 입고 있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3&aid=0004205737|섬진강 하류 염해 피해 보상법 발의]]] 그 영향인지 섬진강 하류의 낚시꾼 및 어민들은 섬진강 하류의 염화 현상이 심할 때(주로 밀물)는 바닷물고기[* 섬진강에서 염화 현상이 일어나지 않았던 시절에는 섬진강 내에서는 남해안과 맞닿은 하구 쪽([[광양시]]와 [[하동군]])에서나 잡혔다. 그러나 염화 현상이 심해진 후에는 상대적으로 내륙 쪽에 있는 [[구례군]]에서도 섬진강에서 바닷물고기가 잡히는 일이 일어나고 있다.]를 잡고 그렇지 않을 때(주로 썰물)는 민물고기를 잡는 경우가 많아졌다. 이 때문에 섬진강에서 바다 생물을 발견하게 되는 일도 많은데, 유해동물인 [[황소개구리]]나 [[붉은귀거북]]이 섬진강의 염화 현상으로 인해 올라온 [[상어]]나 [[문어]] 등에게 잡아먹히기도 한다. 예전에는 [[재첩]]이 유명했으나 [[수질오염]]으로 인해 점점 수질오염에 잘 견디는 중국산이 한국산의 자리를 대신하고 있으며 중국산 재첩과 교배한 한국산 재첩은 중국산 재첩과 똑같아지며, 맛이 떨어지지만 그 대신 잡종 재첩은 환경오염을 잘 견디게 되었다. == 지류 == || 제1지류 || 제2지류 || 제3지류 || 제4지류 || || 상표천 || || 마치천 || || 은천 || || 세동천 || 정곡천 || || 외궁천 || 도통천 || || 달길천 || || 회초천 || || 구신천 || || 상월천 || || 임실천 || || 지장천 || || 옥녀동천 || 제목천 || ||<|4> 추령천 || 금월천 || || 갈월천 || || 방산천 || || 학선천 || || 갈담천 || ||<|3> 치천 || 문치천 || || 각안천 || || 금창천 || ||<|10> [[오수천]] || 동화천 || || 초장천 || || 원산천 || || 사계천 || || 둔남천 || ||<|4> 율천 || 도룡천 || || 다산천 || || 괴양천 || 진기천 || || 매내천 || || 월평천 || 계수천 || || 수홍천 || || 심초천 || || 경천 || 양지천 || ||<|4> 옥과천 || 운곡천 || || 설옥천 || ||<|2> 삼기천 || 금반천 || || 상덕천 || || 입천 || 창정천 || || 송대천 || ||<|13> [[요천]] || 교동천 || || 두동천 || || 대상천 || || 갈치천 || || 고죽천 || || 백암천 || 효촌천 || || 원천천 || || 주촌천 || 송치천 || ||<|2> 광치천 || 율치천 || || 내척천 || || 옥률천 || 운교천 || || 송내천 || 장구천 || || 대곡천 || || 수지천 || || 고달천 || ||<|2> 곡성천 || 월봉천 || || 오곡천 || ||<|29> [[보성강]] || 대산천 || || 구암천 || || 석교천 || 배산천 || || 장평천 || || 임천천 || || 명동천 || || 대련천 || || 노동천 || || 봉화천 || || 겸백천 || || 율어천 || || 복내천 || ||<|6> 동복천 || 대덕천 || || 남천 || || 길성천 || || 내북천 || || 유천천 || 가수천 || || 외남천 || || 송광천 || 외서천 || || 광천 || || 주암천 || 용촌천 || || 백록천 || || 유정천 || || 온수천 || || 석곡천 || || 목사동천 || || 죽곡천 || || 동계천 || || 고치천 || ||<|2> 황전천 || 월용천 || || 회룡천 || ||<|6> 서시천 || 무동천 || || 수락천 || 대두천 || || 무은천 || 둔기천 || || 천은천 || || 용정천 || 죽정천 || || 백연천 || || 마산천 || || 중산천 || || 토지천 || || 간문천 || || 흥대천 || || 금천천 || ||<|5> 횡천강 || 중이천 || || 명호천 || || 여의천 || || 남산천 || || 강화천 || || 주교천 || == 기타 == [[이명박]] 대통령의 [[한반도 대운하]] 프로젝트에 포함됐으나, 사업이 축소된 [[4대강 정비 사업]]에는 지역주민과 국토부의 반대로 사업이 무산된 이력이 있다. [[https://www.pressian.com/pages/articles/65158|#]] [[2020년 한반도 폭우 사태]]로 인해 인근이 침수되었다. [[한강]]과 더불어 한국을 대표하는 강이다. [[애국가]] 영상 2분 35초 이후에도 섬진강이 나온다. 2004년 3월 28일에 방송된 [[전국노래자랑]] 전남 광양시 편이 이곳 둔치에서 녹화됐었다. == 같이 보기 == [include(틀:영산강 및 섬진강의 댐)] [include(틀:하동10경)] * [[곡성역|섬진강 기차마을]] * [[섬진강대로]] * [[섬진강로]] * 섬진강매화로 * [[섬진강휴게소]] * ~~[[섬진광역시]]~~ == 동음이의어: 포커 게임중 [[강게임]]의 일종 == [[강게임]]이라는 포커 분류 중 세 번 바꾸는 게임. 한 번 바꾸면 [[한강]], 두 번 바꾸면 [[두만강]]이라는 게임이 된다. [[분류:동음이의어]][[분류:섬진강]][[분류:트럼프(카드)/게임]]